KR102075248B1 -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248B1
KR102075248B1 KR1020180078050A KR20180078050A KR102075248B1 KR 102075248 B1 KR102075248 B1 KR 102075248B1 KR 1020180078050 A KR1020180078050 A KR 1020180078050A KR 20180078050 A KR20180078050 A KR 20180078050A KR 102075248 B1 KR102075248 B1 KR 102075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wedge mechanism
tension
tower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978A (ko
Inventor
김성은
박용기
박효진
Original Assignee
김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은 filed Critical 김성은
Priority to KR102018007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2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는 타워마스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워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타워마스트의 일측 상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상단설치대, 상기 타워마스트의 일측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하단설치대,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설치대에 마련된 도르래, 상기 밸런스웨이트 및 상기 하단설치대에 마련된 도르래를 거쳐 상기 승강기 하측과 연결되는 메인로프, 상기 상단설치대와 상기 하단설치대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기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로프 및, 상기 메인로프의 끊김에 따라 상기 고정로프를 파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낙하방지장치{DEVICE FOR LIFT FALL PREVENTION}
본 발명은 승강기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와 연결된 로프가 끊어지는 경우 타워크레인 등과 고정된 로프를 파지하여 승강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워크레인은 타워마스트의 내측에 운전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수직사다리가 구비되어, 운전자는 수직사다리를 통해 운전실까지 올라간 후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끝난 후 운전실에서 나와 다시 수직사다리를 타고 내려온다.
이와 같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실까지 오르내림에 있어 타워크레인의 높이가 높을 경우 많은 시간과 힘이 소요되며, 자칫 발을 헛디뎌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타워크레인에 운전자를 운전실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여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08840호(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제안되어 있으며, 추락이나 이상속도가 발생했을 때 회전되는 도르래의 회전을 정지시켜 주고, 한 쌍의 와이어로프 중 하나가 끊어져도 운전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나, 여전히 운전자가 수직사다리를 이용하여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17206호(이하, '인용발명 2'라 함)에는 수직사다리를 이용하지 않고 타워크레인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기를 마련하고, 승강기에 탑승한 작업자의 몸무게의 합과 일치하도록 반대측에 균형추를 설치한 후, 승강기 내부를 관통한 지지로프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로 잡아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승강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 2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승강기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로프가 끊어져 승강기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없으며, 작업자가 승강기에 승하차 하기 위하여 발로 눌러 로프를 압착하여 승강기를 정지시키는 구성이 있기는 하나, 작업자가 발로 눌러 로프를 압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기에서 하차하는 경우 갑자기 승강기가 상승하여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승강기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로프의 끊기는 경우, 승강기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승강기에서 하차하는 경우, 승강기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선행문헌 : 한국등록특허(제10-0817206호)
본 발명은 승강기에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메인로프가 끊어지더라도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자가 안전바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승하차할 경우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승강기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낙하방지로프 및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낙하방지로프 및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이 작아지는 경우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는 타워마스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워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타워마스트의 일측 상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상단설치대, 상기 타워마스트의 일측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하단설치대,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설치대에 마련된 도르래, 상기 밸런스웨이트 및 상기 하단설치대에 마련된 도르래를 거쳐 상기 승강기 하측과 연결되는 메인로프, 상기 상단설치대와 상기 하단설치대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기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로프 및, 상기 메인로프의 끊김에 따라 상기 고정로프를 파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낙하방지부재는, 상기 승강기의 상부에 상측으로 형성된 수직바, 상기 승강기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직바가 결합되는 수평바, 상기 수직바에 형성되어 고정로프가 관통되며 회동 시 일단부가 고정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쐐기구가 구비된 제1 로프파지구, 상기 메인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상기 제1 쐐기구의 타단부를 연결하며 상방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낙하방지로프 및 상기 제1 쐐기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구비되며 낙하방지로프(30)가 팽팽할 때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로프의 끊김에 따라 낙하방지로프의 장력 감소 시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제1 쐐기구가 회동하며 상기 고정로프를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승강기는,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방으로 회동하며, 탑승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하는 안전바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낙하방지부재는, 상기 제1 로프파지구의 하방으로 수직바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로프가 관통되며, 회동 시 일단부가 상기 고정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제2 쐐기구가 구비된 제2 로프파지구 및 상기 제2 쐐기구의 타단부와 상기 안전바를 연결하며, 상기 안전바가 수평상태인 경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급상승방지로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상방회동에 따른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 감소 시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2 쐐기구가 회동하며 고정로프를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제1 쐐기구의 타단부와 제2 쐐기구의 타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낙하방지로프 및 상기 급상승방지로프가 팽팽할 때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에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메인로프가 끊어지더라도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자가 안전바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승하차할 경우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승강기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낙하방지로프 및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낙하방지로프 및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이 작아지는 경우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가 타워크레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낙하방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기의 갑작스러운 추락과 상승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타워마스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워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 상기 타워마스트의 일측 상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상단설치대; 상기 타워마스트의 일측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를 구비하는 하단설치대; 상기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 일단이 상기 승강기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설치대에 마련된 도르래, 상기 밸런스웨이트 및 상기 하단설치대에 마련된 도르래를 거쳐 상기 승강기 하측과 연결되는 메인로프 상기 상단설치대와 상기 하단설치대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기 및 벨런스웨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로프; 및 상기 메인로프의 끊김에 따라 상기 고정로프를 파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인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인 승강기 낙하방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 상단의 지브를 지탱하는 타워마스트(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기(200) 및 상기 승강기(20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런스웨이트(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기(200)는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가능한 형태를 이루며,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면서 견고함을 가져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여야 하는바, 금속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사각함체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런스웨이트(300)는 승강기(200)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며, 메인로프(10)에 의해 승강기(200)의 상측과 밸런스웨이트(300) 상측이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워마스트(100)의 일측 상단에는 도르래(111a, 111b)가 구비된 상단설치대(1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타워마스트(100)의 일측 하단에는 도르래(121a, 121b)가 구비된 하단설치대(120)가 돌출형성되며, 메인로프(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승강기(200) 상측과 연결되고 상기 도르래(111a, 111b), 상기 밸런스웨이트(300) 및 상기 도르래(121a, 121b)를 거쳐 타단이 상기 승강기(200) 하측과 연결된다. 이때, 승강기(200)와 밸런스웨이트(300)는 안전상 타워마스트(100)의 일측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구비됨이 바람직한바, 상기 상단설치대(110)의 도르래(111a, 111b) 및 상기 하단설치대(120)의 도르래(121a, 121b)는 각각 적어도 2개가 구비되어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단설치대(110)와 하단설치대(120)를 연결하며 승강기(2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로프(20)를 포함한다.
따라서, 탑승자는 고정로프(20)를 잡아당김에 따라 승강기(200)가 이동하고, 승강기(200)의 이동에 따라 밸런스웨이트(300) 또한 이동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탑승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로프(20)를 잡고 아래쪽으로 당길 경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해 승강기(200)는 상승하게 되며 밸런스웨이트(300)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탑승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로프(20)를 잡고 위쪽으로 당길 경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인해 승강기(200)는 하강하게 되며 밸런스웨이트(300)는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승강기(2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승강기 및 탑승자의 무게와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300)가 승강기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탑승자는 적은 힘으로 승강기(2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기(200)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낙하방지부재(210)가 구비된다.
상기 낙하방지부재(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200)의 상부에 상측으로 형성된 수직바(211)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바(211)를 승강기(200)의 상부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승강기(20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놓여 승강기(200)와 결합되고, 중앙부에 수직바(211)가 결합 또는 형성되는 수평바(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211)에는 고정로프(20)가 관통되며 회동 시 일단부가 고정로프(20)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쐐기구(213a)가 구비된 제1 로프파지구(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로프파지구(213)는 승강기(20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로프(20)가 관통되어야 하는바, 수직바(211)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로프(20)는 낙하방지부재(210)에서 제1 로프파지구(213)만을 관통할 수 있으나, 고정로프(20)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고정로프(20)를 파지해야 하는 경우 정확한 고정로프(20)의 파지를 위해 상기 고정로프(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211)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바(211)의 상단에는 고정로프(20)를 양측에서 접하는 가이드도르래(21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바(211)의 하단과 접하는 수평바(212)의 하측에도 수직바(211)를 거쳐 수평바(212)를 관통하는 고정로프(20)를 양측에서 접하는 가이드도르래(2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프파지구(213)에 구비된 제1 쐐기구(213a)의 타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도록 연결되는데, 상방으로는 메인로프(10)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낙하방지로프(30)가 연결되고, 하방으로는 낙하방지로프(30)가 팽팽할 때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214)이 연결된다. 이때, 낙하방지로프(30)가 연결된 메인로프(10)는 하단에 승강기(200)의 각 모서리부에 연결되어 승강기(200)의 상측 중심으로 모이는 분산로프(1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스프링(214)은 후술할 제2 로프파지구(215)에 구비된 제2 쐐기구(215a)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파지구(213)의 하방으로 일단이 고정되는 형태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낙하방지부재(210)는 평상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방지로프(3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 쐐기구(213a)가 고정로프(20)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로프(10)가 끊어지는 경우 낙하방지로프(30)의 장력이 감소하여 낙하방지로프(30)가 제1 쐐기구(213a)를 당기는 힘보다 인장스프링(214)이 탄성력에 의해 제1 쐐기구(213a)를 당기는 힘이 커지게 되는바, 제1 쐐기구(213a)가 회동하여 일단부가 고정로프(20)를 파지하게 된다. 즉, 메인로프(10)가 끊어지더라도 고정로프(20)가 파지되므로 승강기(2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기(2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소정의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방으로 회동가능한 안전바(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탑승자는 상기 안전바(2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승강기(200)를 타거나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낙하방지부재(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로프파지구(213)의 하방으로 수직바(211)에 제2 로프파지구(21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로프파지구(215)는 제1 로프파지구(213)와 마찬가지로 고정로프(20)가 관통되며 회동 시 일단부가 고정로프(20)를 파지할 수 있는 제2 쐐기구(215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쐐기구(213a)와 제2 쐐기구(215a)는 일 예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쐐기구(213a)와 제2 쐐기구(215a)의 수평 부분에 쐐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쐐기구(213a)와 제2 쐐기구(215a)의 수직 부분 일단에는 낙하방지로프(30), 급상승방지로프(40) 및 인장스프링(2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원형의 링이 형성되어 인장력에 따라 제1 쐐기구(213a)와 제2 쐐기구(215a)의 수평 부분에 형성된 쐐기가 회동하여 고정로프(20)를 파지하거나 파지하지 않는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쐐기구(215a)의 타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인장력을 가지도록 연결되는데, 하방으로는 안전바(220)가 수평상태인 경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급상승방지로프(40)를 통해 안전바(220)와 연결되고, 상방으로는 급상승방지로프(40)가 팽팽할 때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214)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급상승방지로프(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안전바(220)의 회동축에 인접하여 안전바(220)에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장스프링(214)은 전술한 제1 로프파지구(213)에 구비된 제1 쐐기구(213a)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로프파지구(215)의 상방으로 일단이 고정되는 형태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낙하방지부재(210)의 구성 간소화와 제작의 용이성 측면에서 상기 인장스프링(214)은 제1 쐐기구(213a)의 타단부와 제2 쐐기구(215a)의 타단부를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제2 로프파지구(215)가 구비된 낙하방지부재(210)는 탑승자가 승강기에 탑승하여 안전바(22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상승방지로프(4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쐐기구(215a)가 고정로프(20)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탑승자가 승강기에서 내리거나 탑승자가 승강기에 타고자 안전바(22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상승방지로프(40)의 장력이 감소하여 급상승방지로프(40)가 제2 쐐기구(215a)를 당기는 힘보다 인장스프링(214)이 탄성력에 의해 제2 쐐기구(215a)를 당기는 힘이 커지게 되는바, 제2 쐐기구(215a)가 회동하여 일단부가 고정로프(20)를 파지하게 된다. 즉, 탑승자가 승강기에 승하차 시 고정로프(20)가 파지되므로 밸런스웨이트(300)의 무게로 인해 승강기(200)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에 낙하방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메인로프가 끊어지더라도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승강기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에 탑승한 탑승자가 안전바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승하차할 경우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승강기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낙하방지로프 및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낙하방지로프 및 급상승방지로프의 장력이 작아지는 경우 고정로프가 파지되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메인로프 11 : 분산로프
20 : 고정로프 30 : 낙하방지로프
40 : 급상승방지로프 100 : 타워마스트
110 : 상단설치대 111a, 111b : 도르래
120 : 하단설치대 121a, 121b : 도르래
200 : 승강기 210 : 낙하방지부재
211 : 수직바 212 : 수평바
213 : 제1 로프파지구 213a : 제1 쐐기구
214 : 인장스프링 215 : 제2 로프파지구
215a : 제2 쐐기구 216 : 가이드도르래
220 : 안전바 300 : 밸런스웨이트

Claims (4)

  1. 타워마스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워마스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며 탑승자가 내부에 탑승하는 승강기(200);
    상기 타워마스트(100)의 일측 상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111a, 111b)를 구비하는 상단설치대(110);
    상기 타워마스트(100)의 일측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다수의 도르래(121a, 121b)를 구비하는 하단설치대(120);
    상기 승강기(200) 및 탑승자의 무게에 대응되는 무게를 가지는 밸런스웨이트(300);
    일단이 상기 승강기(200) 상측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설치대(110)에 마련된 도르래(111a, 111b), 상기 밸런스웨이트(300) 및 상기 하단설치대(120)에 마련된 도르래(121a, 121b)를 거쳐 상기 승강기(200) 하측과 연결되는 메인로프(10);
    상기 상단설치대(110)와 상기 하단설치대(120)를 연결하며, 상기 승강기(2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로프(20); 및
    상기 메인로프(10)의 끊김에 따라 상기 고정로프(20)를 파지하는 낙하방지부재(210);
    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방지부재(210)는,
    상기 승강기(200)의 상부에 상측으로 형성된 수직바(211);
    상기 승강기(2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수직바(211)가 결합되는 수평바(212);
    상기 수직바(211)에 형성되어 고정로프(20)가 관통되며 회동 시 일단부가 고정로프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쐐기구(213a)가 구비된 제1 로프파지구(213):
    상기 메인로프(10)를 파지할 수 있는 상기 제1 쐐기구(213a)의 타단부를 연결하며 상방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낙하방지로프(30); 및
    상기 제1 쐐기구(213a)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구비되며 낙하방지로프(30)가 팽팽할 때의 장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인장스프링(214);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로프(10)의 끊김에 따라 낙하방지로프(30)의 장력 감소 시 상기 인장스프링(214)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제1 쐐기구(213a)가 회동하며 상기 고정로프(20)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200)는,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방으로 회동하며, 탑승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하는 안전바(220)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방지부재(210)는,
    상기 제1 로프파지구(213)의 하방으로 수직바(211)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로프(20)가 관통되며, 회동 시 일단부가 상기 고정로프(20)를 파지할 수 있는 제2 쐐기구(215a)가 구비된 제2 로프파지구(215); 및
    상기 제2 쐐기구(215a)의 타단부와 상기 안전바(220)를 연결하며, 상기 안전바(220)가 수평상태인 경우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급상승방지로프(4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바(220)의 상방회동에 따른 급상승방지로프(40)의 장력 감소 시 상기 인장스프링(214)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2 쐐기구(215a)가 회동하며 고정로프(20)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4. 삭제
KR1020180078050A 2018-07-05 2018-07-05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KR10207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50A KR102075248B1 (ko) 2018-07-05 2018-07-05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50A KR102075248B1 (ko) 2018-07-05 2018-07-05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78A KR20200004978A (ko) 2020-01-15
KR102075248B1 true KR102075248B1 (ko) 2020-02-07

Family

ID=6915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50A KR102075248B1 (ko) 2018-07-05 2018-07-05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2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3266U (zh) * 1991-11-08 1992-08-19 李丕熙 建筑塔吊操作工自行升降梯
CN202936062U (zh) * 2012-06-05 2013-05-15 北京唐浩电力工程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风机电控升降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3266U (zh) * 1991-11-08 1992-08-19 李丕熙 建筑塔吊操作工自行升降梯
CN202936062U (zh) * 2012-06-05 2013-05-15 北京唐浩电力工程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风机电控升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78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71B1 (ko)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CA2539883C (en) Apparatus for escaping area of accident
KR102075248B1 (ko) 승강기 낙하방지장치
JP6611965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2007512200A (ja) エレベータ
JP6599649B2 (ja) 調速機用張り車の位置調整方法
JP2018003436A (ja) 墜落防止装置
KR101982932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KR102075250B1 (ko) 승강기 흔들림방지장치
JP3807775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上昇移動方法
KR102075249B1 (ko)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한 승강장치
JP41181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151053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JP4790941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掛け方法
JP540160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070017A (ja) 法面作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面作業安全帯
CN212924009U (zh) 一种竖井卷扬机停层保护装置
JP4917829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および据付装置
CA2080715A1 (en) Suspended work platform with safety line
CN217437694U (zh) 一种防落装置
JP721336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6841268B2 (ja) エレベータ用かご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保守方法
CN220223348U (zh) 一种攀爬塔吊的辅助装置
JP2000344440A (ja) 2: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掛け作業方法およびその主ロープ案内装置
JP2012051702A (ja) 移動仮設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