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510A - 무동력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510A
KR20210136510A KR1020200054851A KR20200054851A KR20210136510A KR 20210136510 A KR20210136510 A KR 20210136510A KR 1020200054851 A KR1020200054851 A KR 1020200054851A KR 20200054851 A KR20200054851 A KR 20200054851A KR 20210136510 A KR20210136510 A KR 2021013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ixing
unit
lift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469B1 (ko
Inventor
유병호
Original Assignee
유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호 filed Critical 유병호
Priority to KR102020005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4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따로 제공하지 않고도 고소작업대와 연동하여 화물을 승강플랫폼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리프트 장치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 동작되는 승강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화물이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통해 소정 높이로 상승 동작되는 적재부; 상기 지지부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면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된 상기 적재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동력 리프트 장치{Non-motorized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무동력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간판 등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소작업대와 연동되어 화물을 승강시키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대는 건물의 외벽 등에 간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각종 공사(배관 공사, 외벽 보수공사 등)를 수행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소 작업대는 일반적으로 구동바퀴가 설치되면서 유압장치 등의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 및 상기 본체와 탑승부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탑승부를 소정 높이로 수직 상승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대의 구조로 인해 탑승부와 지면 간의 높이차가 발생하고, 이 때문에 작업시 필요한 화물 등을 탑승부에 적재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리프트에 화물을 쉽게 적재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846150호의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작업대(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고소작업대는, 고소작업대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사각틀체로서, 내측에 가이드홈이 구비된 좌우 양측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양측의 수직프레임을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작업에 필요한 물품이 적재되고, 적재된 물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구성되는 물품적재부; 상기 물품적재부를 수직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고소작업대는 물품적재부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자가 물품적재부와 탑승부의 승강 동작을 따로 제어해야 하므로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동력을 따로 제공하지 않고도 고소작업대의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화물을 탑승부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0846150 B1 (2008. 07. 08.) KR 10-2015-0081503 A (2015. 07. 15.) KR 10-1550686 B1 (2015. 09. 01.) KR 10-2017-0090375 A (2017. 08. 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력을 따로 제공하지 않고도 고소작업대와 연동하여 화물을 승강플랫폼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리프트 장치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 동작되는 승강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화물이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통해 소정 높이로 상승 동작되는 적재부; 상기 지지부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면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부를 통해 고정된 상기 적재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상부 쪽에 상기 적재부가 자중에 의해 하강 동작될 때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적재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수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에 소정 깊이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적재부의 상기 삽입공에 소정 크기의 걸림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걸림구가 복수 개의 탄성스프링을 통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후 밀착 유지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대의 승강플랫폼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부가 소정 높이로 상승되면서 화물이 적재된 적재부이 함께 소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적재부를 통해 화물을 승강플랫폼으로 쉽게 이동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높이로 상승 고정된 적재부가 감속부재(완강기)를 통해 하강되므로 파손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리프트 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정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 및 해정부가 설치된 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리프트 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를 통해 적재부가 상승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통해 적재부가 위치 고정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정부를 통해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정부를 통해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되어 적재부가 완강기를 통해 하강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리프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9는 도 18에 따른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0은 도 18에 따른 적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동력을 따로 제공하지 않고도 고소작업대와 연동하여 화물을 승강플랫폼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무동력 리프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 승강부(20), 적재부(30), 고정부(40) 및 고정해제부(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리프트 장치(2)에 있어서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30)가 위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이와 반대로 지지부(10)의 수직프레임(11)이 위치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지지부(10)는 바닥에 설치되면서 후술되는 승강부(20)와 적재부(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면서 바닥에 지지되는 소정 크기의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과, 상기 바닥프레임(11)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의 일단을 연결하여 일측면을 커버하는 수직프레임(13)을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에는 상하 길이를 따라 소정 폭의 가이드부(R1, R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부(R1, R2)를 통해 후술되는 승강부(20)와 적재부(30)의 승강 동작이 안내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R1, R2)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승강부(20)와 적재부(30)의 승강 동작이 각각 안내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적재부(30)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R2)만 형성된 다음, 상기 가이드부(R2)를 따라 상하 승강되는 적재부(30)를 통해 승강부(20)의 위치가 제한되어 수직 방향으로의 승강 동작이 자연스럽게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3)에는 도 5에 후술되는 고정부(40)의 탄성스프링(44)이 설치되도록 하는 소정 지름의 스프링설치부(13A)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상부 쪽에는 후술되는 고정해제부(50)의 레버(51)가 힌지 조립되는 레버설치부(13B)가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에는 소정 높이에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설치대(14)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14)를 통해 리프트 장치(2)가 고소작업대(1)의 일측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수직프레임(13)과 고소작업대(1)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설치대(14)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 힌지결합부(14A)가 설치되고, 이러한 힌지결합부(14A)에 후술되는 고정부(40)의 고정쇠(41)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바닥프레임(11)에는 복수 개의 바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러한 바퀴를 통해 리프트 장치(2)를 쉽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시에는 바퀴에 의해 지지부(10)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의 상부 쪽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바(15)가 설치되고, 이러한 수평바(15)에는 후술되는 적재부(3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될 때, 하강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가 설치된다.
이때 수평바(15)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의 상부 쪽에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에 소정 깊이의 안착홈(H)이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15)의 가운데 부분에는 감속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걸고리(15A)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부(20)는 지지부(10)에 설치되어 고소작업대(1)를 따라 승강 동작되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적재부(30)를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승강부(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소정 크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21)과,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2)과,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22)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프레임(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 또는 수직프레임(22)의 양측에는 소정 크기의 가이드돌기(22A)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돌기(22A)가 측면프레임(12A, 12B)의 가이드부(R1)에 삽입되며, 그 결과 승강부(20)가 고소작업대(1)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만 승강 동작되게 된다.
또한, 수평프레임(23)에는 후술되는 고정해제부(50)의 레버(51)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소정 폭의 절개부(23A)가 형성되고, 이러한 수평프레임(23)의 상면에는 소정 크기의 장착대(24)가 설치되어 고소작업대(1)와 승강부(20)의 동작을 연동 또는 연동 해제시키기 위한 고정구(25)가 설치된다.
이때 고정구(25)는 역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장착대(24)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를 통해 고정구(25)의 자유단이 위쪽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소작업대(1)의 승강플랫폼(1A) 쪽으로 끌어당긴 후 고정구(25)를 놓으면 고정구(25)의 자유단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를 통해 고소작업대(1)의 승강플랫폼(1A)에 고정구(25)가 걸쳐지게 되어 승강부(20)가 승강플랫폼(1A)과 함께 승강 동작되게 된다.
또한, 승강플랫폼(1A)과 승강부(20)의 연동을 해제할 때에는 위와 반대로 승강플랫폼(1A)에 걸쳐진 고정구(25)의 자유단이 위쪽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승강부(20) 쪽으로 고정구(25)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연동이 쉽게 해제되게 된다.
적재부(30)는 작업에 필요한 화물이 적재되도록 지지부(10)에 설치되면서 승강부(20)를 따라 소정 높이로 상승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적재부(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 안착되는 소정 크기의 적재판(31)과, 상기 적재판(31)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2)를 포함한다.
이때 적재판(31)은 화물을 쉽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ㄷ"자 모양의 포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32)는 적재판(31)의 양측면이 소정 폭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 지름의 원형 관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32)의 양측면에는 소정 지름의 삽입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공에 후술되는 고정부(40)의 걸림구(42)가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제되면서 적재부(30)가 고정 및 고정 해제되게 된다.
이에 더해 가이드부재(32)의 가운데 부분 또는 적재판(31)의 상면에는 소정 지름의 고리(32A)가 구비되고, 이러한 고리(32A)를 통해 감속부재의 와이어(도면부호 없음)가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32)는 측면프레임(12A, 12B)의 가이드부(R2)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승강부(20)의 상승 동작시 지지프레임(21)에 의해 적재판(31)의 저면이 지지되면서 적재부(30)가 함께 상승되게 된다.
또한, 적재부(30)의 일측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의 롤러(33)가 설치되고, 이러한 롤러(33)를 통해 적재부(30)의 일단이 승강부(20)의 수직프레임(22)에 접촉되어 지지되게 되면서 적재부(30)가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소정 높이로 상승된 적재부(30)가 단독으로 쉽게 하강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지지부(10)에 설치되면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적재부(3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부(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ㄱ"자 및 "ㄱ"자 모양을 가지는 한 쌍의 고정쇠(41)와, 상기 한 쌍의 고정쇠(41) 일단에 구비되면서 가이드부재(32)의 양측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구(42)와, 상기 한 쌍의 고정쇠(41) 타단에 구비되는 소정 크기의 스프링가이드(43) 및 일단이 스프링설치부(13A)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가이드(4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탄성스프링(44)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쇠(41)의 소정 위치에는 설치대(14)의 힌지결합부(14A)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41A)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한 쌍의 고정쇠(41)의 타단이 탄성스프링(44)을 통해 탄성 지지되면서 힌지축(41A)을 중심으로 일단에 구비되는 걸림구(42)가 측면프레임(12A, 12B)의 가이드부(R2) 쪽에 소정 깊이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적재부(30)가 상승되면 가이드부재(32)를 통해 걸림구(42)가 가이드부(R2)의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면서 탄성스프링(44)이 적절하게 압축되게 된다.
이후 걸림구(42)가 가이드부재(32)의 삽입공 쪽에 위치되면 압축된 탄성스프링(4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구(42)가 재차 가이드부(R2) 쪽으로 삽입되게 되면서 삽입공에 걸림구(42)가 삽입되게 되고, 그 결과 적재부(30)의 높이가 고정되게 된다.
위에서는 고정쇠(41)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역"ㄱ"자 및 "ㄱ"자 모양의 사각 각관, 소정 두께의 판재 등으로 변경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걸림구(42)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구(球)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가이드부재(32)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쉽게 밀릴 수 있고 반대로 삽입공 내측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는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고정해제부(50)는 지지부(10)에 설치되면서 고정부(40)의 고정을 수동으로 해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해제부(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레버(51)와, 상기 레버(51)의 하부에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가압판(52)을 포함한다.
그리고 레버(51)의 하단에는 가입판(52)과 힌지 조립되는 제1 힌지축(51A)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51)의 가운데 부분에는 수직프레임(13)의 레버설치부(13B)에 힌지 조립되는 제2 힌지축(51A)이 구비된다.
또한, 가압판(52)의 일측에는 레버(51)의 제1 힌지축(51A)과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결합부(52A)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해제부(50)의 구성을 통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의 고정쇠(41)의 타단(스프링가이드(43)가 설치된 단부)이 가압판(52)을 통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고, 그 결과 작업자가 레버(51)의 상단을 잡고 끌어당기면, 제2 힌지축(51B)을 중심으로 하단이 수직프레임(13)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고정쇠(41)의 타단을 가압하여 탄성스프링(44)을 압축시키게 되며, 그 결과 고정쇠(41)의 힌지축(41A)을 기준으로 걸림구(42)가 삽입공의 내부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적재부(30)가 걸림구(42)를 통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한편, 승강부(20)는 고소작업대(1)의 승강플랫폼(1A)에 연동되어 승강되고, 적재부(30)는 승강부(2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소정 높이로 상승된 다음, 승강부(20)와 별개로 자중에 의해 하강되게 되는데, 이때 적재부(30)가 자중에 의해 빠르게 하강하게 되면, 지상의 작업자 등에 부딪쳐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따라서 감속부재를 통해 소정 속도로 감속되어 적재부(30)가 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감속부재의 예로는 로르래 구조물 또는 완강기(60)가 사용될 수 있다.
감속부재로 완강기(60)가 사용될 때에는 수평바(15)의 걸고리(15A)에 완강기(60)가 설치되고, 이후 완강기(50)의 와이어를 적재부(30)의 고리(32A)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리프트 장치가 사용되는 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고소작업대(1)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리프트 장치(2)를 이동시키고, 이후 고정구(25)를 이용하여 승강부(20)가 고소작업대(1)의 승강플랫폼(1A)과 연동하여 승강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적재부(30)에 소정량의 화물을 적재하고, 승강플랫폼(1A)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작업대(1)의 동력을 이용하여 승강플랫폼(1A)을 적재부(30)가 고정부(40)를 통해 고정되는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위 과정을 통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30)가 고정부(40)에 고정되고 나면, 승강플랫폼(1A)을 당초의 위치로 하강시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0)를 함께 하강시키고, 소정 높이로 상승된 적재부(30)에 적재된 화물을 승강플랫폼(1A) 쪽으로 이동 적재한다.
이때 적재부(30)와 승강플랫폼(1A) 간의 높이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적재부(30)에 적재된 화물을 지상에서 승강플랫폼(1A)에 싣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적재부(30)에 적재된 화물이 승강플랫폼(1A) 쪽으로 이동 적재되고 나면, 승강플랫폼(1A)에 탑승한 채 고정해제부(50)의 레버(51)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52)을 통해 고정쇠(41)의 타단(스프링가이드(43) 설치된 단부)이 가압되면서 걸림구(42)가 가이드부재(32)의 삽입공에서 이탈되어 적재부(3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고, 그 결과 적재부(30)가 자중과 감속부재를 통해 당소 위치까지 감속 하강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지지부(10)가 바닥프레임(11),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 및 수직프레임(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에는 가이드부(R1, R2)가 형성되어 승강부(20)와 적재부(30)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안내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프레임(12A, 12B)과 수직프레임(13)을 대신하여 사각 단면 모양의 가이드프레임(12)이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2)의 전방 쪽 가운데 부분에 상하 길이를 따라 소정 폭 절개되어 가이드부(R3)가 형성되는 것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승강부(20)가 가이드프레임(12)의 내측에 설치되고, 적재부(30)의 적재판(31) 일단이 가이드프레임(12)의 전방 쪽에 위치되며, 상기 적재판(31)의 타단이 가이드부(R3)를 통해 가이드프레임(12)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승강부(20)와 적재부(3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12)의 내측에서 쉽게 승강 동작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구름접촉부재(B)(원통롤러 또는 볼 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고소작업대(1)의 일측에 리프트 장치(2)가 따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이동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리프트 장치(2)가 고소작업대(1)의 일측에 용접이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고소작업대(1)의 승강플랫폼(1A)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부(20)가 승강 동작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승강부(20)에 유압장치 또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장치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승강부(20)가 별도의 동력을 통해 승강 동작되도록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승강플랫폼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부가 소정 높이로 상승되면서 화물이 적재된 적재부가 함께 소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적재부를 통해 화물을 승강플랫폼으로 쉽게 이동 적재할 수 있으며, 적재부가 감속부재(완강기)를 통해 지상으로 안전하게 하강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고소작업대 1A: 승강플랫폼
2: 리프트 장치 10: 지지부
11: 바닥프레임 12: 가이드프레임
12A: 측면프레임 12B: 측면프레임
13: 수직프레임 13A: 스프링설치부
13B: 레버설치부 14: 설치대
14A: 힌지결합부 15: 수평바
15A: 걸고리 20: 승강부
21: 지지프레임 22: 수직프레임
22A: 가이드돌기 23: 수평프레임
23A: 절개부 24: 장착대
25: 고정구 30: 적재부
31: 적재판 32: 가이드부재
32A: 고리 33: 롤러
40: 고정부 41: 고정쇠
41A: 힌지축 42: 걸림구
43: 스프링가이드 44: 탄성스프링
50: 고정해제부 51: 레버
51A: 제1 힌지축 51B: 제2 힌지축
52: 가압판 52A: 힌지결합부
60: 완강기 B: 구름접촉부재
H: 안착홈 R1, R2, R3: 가이드부

Claims (5)

  1. 고소작업대(1)의 일측에 위치되어 화물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장치(2)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2)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에 설치되어 상기 고소작업대(1)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 동작되는 승강부(20);
    상기 지지부(10)에 설치되어 화물이 안착되면서 상기 승강부(20)를 통해 소정 높이로 상승 동작되는 적재부(30);
    상기 지지부(10)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면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적재부(30)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40); 및
    상기 지지부(10)에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부(40)를 통해 고정된 상기 적재부(30)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상부 쪽에는 상기 적재부(30)가 자중에 의해 하강 동작될 때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에는,
    상기 적재부(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수직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30)의 양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0)는,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적재부(30)의 상기 삽입공에 소정 크기의 걸림구(42)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42)는,
    복수 개의 탄성스프링(44)을 통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후 밀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20200054851A 2020-05-08 2020-05-08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234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51A KR102340469B1 (ko) 2020-05-08 2020-05-08 무동력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851A KR102340469B1 (ko) 2020-05-08 2020-05-08 무동력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10A true KR20210136510A (ko) 2021-11-17
KR102340469B1 KR102340469B1 (ko) 2021-12-16

Family

ID=7870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851A KR102340469B1 (ko) 2020-05-08 2020-05-08 무동력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435A (ko) 2021-12-22 2023-06-29 유병호 고소작업대로의 화물 적재 및 전원 사용이 용이한 리프트 장치
KR102661128B1 (ko) * 2023-12-27 2024-04-25 오동영 화물 이송용 이동식 사다리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JPH07257892A (ja) * 1994-03-24 1995-10-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高所作業車
KR200266423Y1 (ko) * 2001-11-22 2002-02-28 이종한 고소(高所) 작업대
KR100846150B1 (ko) 2008-03-04 2008-07-14 (주)에이원렌탈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20120134198A (ko) * 2011-06-01 2012-12-12 (주)오유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20150081503A (ko) 2014-01-06 2015-07-15 유병호 고소 안전 작업대
KR101550686B1 (ko) 2014-02-04 2015-09-07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20170090375A (ko) 2017-07-17 2017-08-07 한국렌탈주식회사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감지장치
KR20170091451A (ko) * 2016-02-01 2017-08-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제어 복합식 차량작업대 시스템
KR102073180B1 (ko) * 2019-04-15 2020-02-05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농업용 고소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888U (ja) * 1991-12-20 1993-07-0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
JPH07257892A (ja) * 1994-03-24 1995-10-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高所作業車
KR200266423Y1 (ko) * 2001-11-22 2002-02-28 이종한 고소(高所) 작업대
KR100846150B1 (ko) 2008-03-04 2008-07-14 (주)에이원렌탈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20120134198A (ko) * 2011-06-01 2012-12-12 (주)오유 작업용 전동 승강기
KR20150081503A (ko) 2014-01-06 2015-07-15 유병호 고소 안전 작업대
KR101550686B1 (ko) 2014-02-04 2015-09-07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20170091451A (ko) * 2016-02-01 2017-08-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제어 복합식 차량작업대 시스템
KR20170090375A (ko) 2017-07-17 2017-08-07 한국렌탈주식회사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감지장치
KR102073180B1 (ko) * 2019-04-15 2020-02-05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농업용 고소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435A (ko) 2021-12-22 2023-06-29 유병호 고소작업대로의 화물 적재 및 전원 사용이 용이한 리프트 장치
KR102661128B1 (ko) * 2023-12-27 2024-04-25 오동영 화물 이송용 이동식 사다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469B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JP4314497B2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JPS5848479B2 (ja) リフト用安全装置
US4897011A (en) Mechanical lift device
KR20110137864A (ko) 건축공사용 리프트
JP4352049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用のかご駆動装置取り付け方法及びこれによるエレベータ
KR101326793B1 (ko) 고소작업대
CN105016174A (zh)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KR20130029627A (ko) 레일 이동형 계단 운용 대차
CN114945531A (zh) 用于将装配框架引入竖井中的移动式传送设备及方法
CN110872060A (zh) 设备吊装移动机构和移动收纳装置
JP2007210703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装置および据付工法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KR20200056691A (ko)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US3856264A (en) Portable wheel stand
JPH06271245A (ja) 工事用昇降装置の搬器
KR101250920B1 (ko) 고가 사다리차
JPS5817118B2 (ja) クレ−ンの昇降装置
CN204778187U (zh) 一种用于楼梯上的轨道式电动升降车
CN115872276A (zh) 一种铁板吊装工具及其使用方法
JP2005343652A (ja) 狭所用重量物吊り換え工具
JP2016192981A (ja) 可搬型消防ポンプの積み下ろ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消防自動車
KR101701682B1 (ko) 차량용 적재함의 파이프 고정장치
JP2017071488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