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920B1 - 고가 사다리차 - Google Patents

고가 사다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920B1
KR101250920B1 KR1020110065910A KR20110065910A KR101250920B1 KR 101250920 B1 KR101250920 B1 KR 101250920B1 KR 1020110065910 A KR1020110065910 A KR 1020110065910A KR 20110065910 A KR20110065910 A KR 20110065910A KR 101250920 B1 KR101250920 B1 KR 10125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auxiliary
moving
elevated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700A (ko
Inventor
양건이
Original Assignee
양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이 filed Critical 양건이
Priority to KR102011006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9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06C5/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by piston and cylinder, or equivalent means, operated by a pressure mediu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2Devices for altering inclination; Latching devices therefor ; Balanc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4Other accessories on ladders, e.g. acoustical signalling devices, dismountable switc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Abstract

대차를 견인하는 로프의 파손이나 손상 등에 의해 대차가 갑자기 하강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량과, 차량의 탑승석 후방 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는 신축사다리가 설치되는 사다리장치와, 사다리장치의 신축사다리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대차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와, 대차이동장치를 보조하는 보조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가 사다리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가 사다리차 {Aerial Ladder truck}
본 발명은 고가 사다리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를 높게 상승시켜 작업시 대차가 매달리는 로프가 손상되거나 권취기 등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갑작스런 대차의 하강이나 추락의 위험성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가 사다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는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높은 건물에 화재가 났을 때나 공중에서 일을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상기 고가 사다리차는 산업사회의 발달이나 대도시의 인구집중현상 등으로 인해 고층건물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그 사용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고가 사다리차는 주로 화물차량의 탑승석 후방 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신축사다리를 구비하게 되며, 이 신축사다리는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의 사다리가 서로 미끄럼이동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고가 사다리의 신축사다리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쪽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상태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신축사다리에는 화물을 싣거나 작업자 등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대차가 설치되며, 이 대차는 대략 박스형상이나 판형상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사다리의 하부 쪽에 위치한 권취기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면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가 상기 신축사다리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로프는 권취기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사다리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위치한 풀리에 감아 걸리면서 상기 대차와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고가 사다리차는 와이어로프의 노후나 손상 등에 의하여 와이어로프가 절단되는 경우 곧바로 대차가 하강하여 추락하고 권취기 등의 고장이나 오작동의 경우에도 커다란 인명피해나 재산피해 등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므로 이러한 위험성에 대비하여 대형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차가 상승 이동하여 작업을 행하는 상태에서 대차와 무게균형을 맞출 수 있는 중량추가 설치되므로 로프를 감거나 푸는 권취기의 고장이나 오작동, 로프의 노후나 파손 등으로 인해 대차가 하강이나 추락 등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고가 사다리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가 사다리차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탑승석 후방 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쪽에 설치되고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는 신축사다리를 구비하는 사다리장치와, 상기 신축사다리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와, 상기 대차이동장치를 보조하는 보조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이동장치는 상기 신축사다리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권취기와, 상기 권취기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대차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신축사다리의 마지막단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가 걸리는 풀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이동장치는 상기 신축사다리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보조권취기와, 상기 보조권취기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대차에 연결되는 보조로프와, 상기 신축사다리의 마지막단 끝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걸리는 제1보조풀리 및 제2보조풀리와, 상기 신축사다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보조풀리와 제2보조풀리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보조로프에 걸리는 중량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에 의하면, 대차와 무게균형을 이룰 수 있는 보조이동장치가 설치되므로 상기 대차이동장치의 오작동이나 권취기의 고장, 로프의 파손 등으로 인해 대차가 빠르게 갑자기 하강하거나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대차의 상향 이동시 대차를 상향 이동시키는 로프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에 의하면, 신축사다리에 연장 또는 단축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신축사다리의 연장 및 단축시 사용되는 와이어의 파손이나 늘어짐 등으로 인하여 신축사다리가 임의로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고소작업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 중에 신축사다리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에 의하면, 아웃트리거에 중량가중부재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큰 하중이 아웃트리거에 가해지게 되므로 소방작업 등을 위해 신축사다리를 길게 연장하여 작업하는 경우 차량의 유동이나 전도 등의 우려가 감소하고 고층건물에서 초고층건물에 이르기까지 안정된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에 의하면, 중량가중부재가 복수의 단위중량부재로 이루어는 것에 의하여 차량의 규격이나 작업높이 등에 따라 중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용성이 우수하고 휴대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에 의하면, 신축사다리의 회전중심점의 위치를 베이스프레임의 중앙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다리 본체를 길게 펼쳐 작업을 행하는 경우 베이스프레임 후미에 위치하는 것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사다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대차이동장치 및 보조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대차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이동장치의 중량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지드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지드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지드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지드럼에 라이닝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안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안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15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안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사다리의 연장상태에서 신축안전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사다리의 연장상태에서 신축안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안전부에 제1식별부 및 제2식별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실시예에 있어서 아웃트리거를 연장시켜 바닥에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아웃트리거를 연장하여 바닥에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아웃트리거와 중량가중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단위중량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ㄱ"형상의 중량가중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C-C선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1실시예는 도 1 ~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과, 상기 차량(10)의 탑승석(12) 후방 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 쪽에 설치되는 사다리장치(100)와, 상기 사다리장치(100)의 신축사다리(101)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150)와, 상기 대차(150)를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151)와, 상기 대차이동장치(151)를 보조하는 보조이동장치(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10)은 운전자가 승차하여 운행 등을 행할 수 있는 탑승석(12)이 구비되고 탑승석(12) 후방 쪽에는 적재함이 없고 차체(14)만 구비되는 트럭 등의 화물차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층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중량을 지탱하고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트레일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차량(10)의 후방쪽에는 트레일러 등을 연결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대략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10)의 탑승석(12) 후방 쪽에 설치 고정된다.
상기 사다리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소방용 사다리차 또는 화물 운반용 사다리차, 고소작업용 사다리차 등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다리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장치(1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한쪽 끝부분이 힌지축(11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사다리(102)와 상기 고정사다리(102)의 안쪽에 삽입되고 다단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사다리(104)로 이루어지는 신축사다리(101)와, 상기 고정사다리(102)를 상기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20)으로부터 상하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120)와, 상기 고정사다리(102)와 다단사다리(104)의 제1단을 연결하는 길이조절실린더(130)와, 상기 길이조절실린더(13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사다리(102)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다단사다리(104)를 바깥쪽으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다단사다리(104)의 길이를 연장하고 안쪽으로 끌어당김에 따라 길이를 단축하도록 설치되며 강철선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와이어로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다리장치(1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선회테이블(90)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테이블(90) 위에 사다리장치(1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선회테이블(90)은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에 널리 사용되는 선회테이블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대차(150) 및 대차이동장치(151)는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에 널리 사용되는 대차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대차이동장치(151)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하부쪽에 위치한 선회테이블(90) 위에 설치되는 권취기(152)와, 강철선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권취기(152)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대차(151)에 연결되는 로프(153)와,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다단사다리(104) 마지막단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153)가 걸리는 풀리(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권취기(152)를 이용해 로프(153)를 감으면 상기 대차(150)가 상기 풀리(154) 쪽으로 상승 이동되고 로프(153)를 풀면 상기 대차(150)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쪽으로 하향 이동된다.
상기 보조이동장치(160)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보조권취기(161)와, 상기 보조권취기(161)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대차(150)에 연결되는 보조로프(162)와,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다단사다리(104) 마지막단 끝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162)가 걸리는 한쌍의 제1보조풀리(163) 및 제2보조풀리(164)와, 상기 신축사다리(101)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보조풀리(163)와 제2보조풀리(164)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보조로프(162)에 걸리는 중량추(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권취기(161) 및 보조로프(162), 제1보조풀리(163), 제2보조풀리(164)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한 쌍씩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조권취기(161)의 경우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한쌍의 보조로프(162)를 감거나 푸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권취기(161)는 상기 신축사다리(101)가 연장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상기 보조로프(162)를 풀고 단축되는 경우 감게 된다.
상기 보조로프(162)는 와이어로프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보조풀리(163)는 상기 대차이동장치(151)의 풀리(15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다단사다리(104)의 마지막단 끝부분에 설치되는 축(15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보조풀리(164)는 상기 축(155)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다단사다리(104)의 마지막단 끝부분에 설치되는 축(16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량추(170)에는 상기 보조로프(162)가 자연스럽게 감기면서 걸리도록 제3보조풀리(17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량추(170)는 금속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대차(150)보다 가볍거나 유사한 무게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중량추(170)의 하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내부에서 신축사다리(101)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17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량추(170)의 양측면에는 상기 신축사다리(101)와 항상 밀착되며 구름운동하도록 복수의 보조바퀴(173)를 추가로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바퀴(173)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축(174)을 더 설치하고, 상기 보조바퀴(173)와 중량추(170) 사이에는 보조바퀴(173)에 미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75)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보조이동장치(160)가 설치되면 상기 중량추(180)와 대차(150)가 어느 정도 무게균형을 맞출 수 있으므로 상기 대차이동장치(151)의 오작동이나 권취기(152)의 고장, 로프(153)의 파손 등으로 인해 대차(150)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거나 갑작스런 하강 또는 추락 등의 사고위험을 방지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보조이동장치(160)는 도 9 ~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조풀리(172)의 한쪽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내부에는 전자석(181)이 설치되는 정지드럼(180)과, 자성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드럼(180)과 제1보조풀리(172) 사이에서 제1보조풀리(172)의 중심축 선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보조풀리(17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181)에 전원이 공급되어 인력이 작용하면 정지드럼(180)의 측면에 달라붙어 회전이 정지되고 전원이 차단되어 인력이 제거되면서 정지드럼(180)과 이격되는 이동디스크(18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보조풀리(172)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디스크(184)가 제1보조풀리(172)의 중심축 선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대(186)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가이드대(186)에는 상기 이동디스크(184)가 상기 정지드럼(182)의 한쪽 측면 이격되도록 항상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187)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디스크(184)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지드럼(180)과 이동디스크(184)는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지드럼(180)과 이동디스크(184)의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라이닝부재(188)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2실시예는 도 13 ~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그 상태를 감시하는 신축안전부(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신축안전부(200)는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다단사다리(104) 마지막 단을 제외한 나머지 단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인접하는 다음 단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로막는 이동불능상태로 되게 하거나 가로막음을 해제하여 이동가능상태로 되게 멈춤레버(211)가 설치되는 복수의 안전장치(210)와, 상기 안전장치(210)의 작동상태를 촬영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촬영장치(230)와, 상기 촬영장치(23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장치(210)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사다리(101)의 각 단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중앙부가 힌지축(214)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한쪽 끝부분이 이웃하여 위치하는 다음 단을 가로막거나 가로막음을 해제하며 다른쪽 끝부분에는 장공(212)이 형성되는 상기 멈춤레버(211)와,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각 단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전진 및 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221)가 구비되며 피스톤로드(121)의 전진하는쪽 끝부분이 상기 멈춤레버(211)의 장공(212)과 힌지축(224)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멈춤레버(211)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신축 또는 단축상태에서 신축사다리(101) 각 단의 단축되는쪽 끝부분을 가로막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220)는 유압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장치(230)는 CCD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장치(210)에 의한 신축사다리(101)의 이동불능상태 또는 이동가능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4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40)는 모니터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촬영장치(230)에서 각각 촬영된 영상 전체가 한 번에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 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차량(10)의 탑승함(12) 내부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사용자 등이 신축사다리(101)의 이동 금지상태 또는 이동 가능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40)를 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린더(220)의 피스톤로드(221)가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촬영장치(220)에 피스톤로드(221)가 촬영되고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는 촬영장치(230)에 피스톤로드(221)가 촬영되지 않도록 상기 촬영장치(230)의 위치를 설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스톤로드(221)가 촬영된 화면을 보고 이동불능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고 피스톤로드(221)가 보이지 않으면 이동가능상태임을 인지할 있게 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피스톤로드(221)에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동불능상태 또는 이동가능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표시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안전부(200)가 상기 실린더(220)의 피스톤로드(221)가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불능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제1식별부(224)와, 상기 제1식별부(224)에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안전장치(210)의 이동가능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제2식별부(2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식별부(224) 및 제2식별부(226)는 대략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촬영장치(230)는 상기 이동불능상태에서는 제1식별부(224)가 촬영되고 이동가능상태에서는 제2식별부(226)가 촬영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불능상태시 상기 촬영장치(230) 앞쪽에 상기 제1식별부(224)가 위치하고 이동가능상태시 촬영장치(230) 앞쪽에 제2식별부(226)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식별부(224) 및 제2식별부(224)에는 이동가능상태나 이동불능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색상 및/또는 글자, 도형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1식별부(224) 한쪽면에는 노란색 바탕에 "안전"으로 표시하고, 제2식별부(226)는 빨간색 바탕에 "위험" 등으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1식별부(224) 및 제2식별부(226)를 설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40)에서 사용자 등이 육안으로 이동가능상태인지 이동불능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파악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3실시예는 도 21 ~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앞쪽 및 뒤쪽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신축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아웃트리거(40)와, 중량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웃트리거(40)를 연결하며 고정되는 중량가중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아웃트리거(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앞쪽 및 뒤쪽에 각 한 쌍씩 총 두 쌍이 설치된다.
상기 아웃트리거(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다단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수평부(41)와, 상기 수평부(41)의 마지막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바닥을 향하는 하부 끝부분에는 길이의 신장시 바닥에 접하는 받침판이 연결되는 수직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41)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눕혀져 고정되며 내부에 제1유압실린더(43)가 설치되는 수평고정붐(42)과, 상기 수평고정붐(4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43)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1단 또는 다단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수평연장붐(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부(45)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연장붐(44)의 신축되는쪽 끝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일체로 고정되는 내부에 제2유압실린더(47)가 설치되는 수직고정붐(46)과, 상기 수직고정붐(46)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47)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고 끝부분에는 상기 받침판(49)이 설치되는 수직연장붐(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가중부재(60)는 금속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량가중부재(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앞쪽과 뒤쪽에서 좌측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한 쌍의 상기 아웃트리거(40) 및 우측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한 쌍의 상기 아웃트리거(40)를 각각 연결하며 고정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중량가중부재(60) 중 하나는 좌측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한 쌍의 상기 아웃트리거(40)의 수직고정붐(46)을 연결하며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우측으로 길이가 신축되는 한 쌍의 상기 아웃트리거(40)의 수직고정붐(46)을 각각 연결하며 고정된다.
상기 중량가중부재(6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ㄱ"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아웃트리거(40)의 수직고정붐(46)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가중부(61)와 상기 수평가중부(61)의 한쪽 끝부분에서 하부쪽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붐(46)의 측면에 위치하는 수직가중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가중부재(60)는 중량이 매우 크므로 상기 아웃트리거(40)에 받침부재(7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수직고정붐(46)의 하부에 상기 중량가중부재(60)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부재(70)가 설치 가능하다.
상기 받침부재(70)는 예를 들면, 상기 수직고정붐(46)의 하부 끝부분과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량가중부재(60)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판부(71)와, 상기 받침판(71)부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중량가중부재(60)의 측면을 감싸며 지지하는 측면지지판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가중부재(60)의 양쪽 끝부분과 수직고정붐(46)은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에서 중량가중부재(60)는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량가중부재(60)의 양쪽 끝부분이 상기 수직고정붐(4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아웃트리거(40)의 수직고정붐(46)에는 상부 쪽으로 돌출되는 결합핀(65)이 각각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중량가중부재(60)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결합핀(65)이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구멍(64)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결합핀(65)에는 수나사를 더 형성하고, 수나사와 결합되는 너트(66)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구멍(64)은 상기 결합핀(65)에 결합이 용이하고 아웃트리거(40)의 길이가 연장되면서 전,후방에 위치하는 아웃트리거(40)의 수직부(45)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도록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아웃트리거(40)의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력이 향상된 고가사다리차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차량(10)과 베이스프레임(20), 신축사다리(100), 아웃트리거(40)의 중량을 합산한 중량과 상기 한쌍의 중량가중부재(60)를 합산한 중량이 대략 1:2~3 정도의 중량비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10)과 베이스프레임(20), 신축사다리(100), 아웃트리거(40)의 중량을 합산한 중량을 10톤으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상기 중량가중부재(60)가 1개당 10톤 정도의 중량이 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중량비로 설치하면 신축사다리(100)를 건물의 20층 내지 100층 정도(대략 250~300m높이)까지 길게 펼친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량가중부재(60)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적층 가능한 복수의 단위중량부재(61)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위중량부재(61)는 대략 0.05~2톤 단위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단위중량부재(61)는 대략 막대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단위중량부재(61)의 양쪽 끝부분에도 상기 결합핀(65)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6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및/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제4실시예는 도 29 ~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사다리(101)의 회전중심점을 앞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다리 이동장치(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사다리 이동장치(80)는 구동모터(8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구동모터(8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이송스크류(84)와, 상기 이송스크류(84)의 회전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이송대(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82)는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이송대(86)의 이송량을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84)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베이스프레임(20)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사다리 이동장치(80)는 상기 이송대(86)가 차량(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안정된 상태로 이동되게 안내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8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88)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윗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88b)과, 상기 고정레일(88b)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대(86)에 고정되어 이송대(86)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레일(88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88)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LM가이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대(86)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테이블(90)이 설치되거나 신축사다리(101)의 고정사다리(102)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가 사다리차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0 : 차량 12 : 탑승석
20 : 베이스프레임 40 : 아웃트리거
60 : 중량가중부재 80 : 사다리 이동장치
90 : 선회테이블 100 : 사다리장치
101 : 신축사다리 102 : 고정사다리
102 : 다단사다리 110 : 힌지축
120 : 각도조절실린더 130 : 길이조절실린더
150 : 대차 151 : 대차이동장치
160 : 보조이동장치 170 : 중량추
180 : 정지드럼 200 : 신축안전부
210 : 안전장치 211 : 멈춤레버
220 : 실린더 230 : 촬영장치
24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7)

  1. 차량과,
    상기 차량의 탑승석 후방 쪽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쪽에 설치되고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는 신축사다리를 구비하는 사다리장치와,
    상기 사다리장치의 신축사다리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대차이동장치와,
    상기 대차이동장치를 보조하는 보조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이동장치는 상기 신축사다리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권취기와, 상기 권취기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대차에 연결되는 로프와, 상기 신축사다리의 마지막단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프가 걸리는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이동장치는 상기 신축사다리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보조권취기와, 상기 보조권취기에 한쪽 끝부분이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대차에 연결되는 보조로프와, 상기 신축사다리의 마지막단 끝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걸리는 제1보조풀리 및 제2보조풀리와, 상기 신축사다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보조풀리와 제2보조풀리 사이 구간에 위치하는 보조로프에 걸리는 중량추를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동장치는 상기 보조권취기와 중량추 사이에 위치하는 제1보조풀리의 한쪽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내부에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정지드럼과, 자성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드럼과 상기 제1보조풀리 사이에서 제1보조풀리의 중심축선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보조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어 인력이 작용하면 정지드럼의 측면에 달라붙어 회전이 정지되고 전원이 차단되어 인력이 제거되면서 정지드럼과 이격되는 이동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동장치는 상기 정지드럼과 이동디스크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지드럼과 이동디스크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에 설치되는 라이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동장치는 상기 제1보조풀리의 한쪽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이동디스크를 상기 제1보조풀리의 중심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디스크가 상기 정지드럼의 한쪽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되고 각도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고정사다리와 상기 고정사다리의 안쪽에 삽입되고 다단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사다리로 이루어지는 상기 신축사다리와, 상기 신축사다리의 고정사다리와 다단사다리의 제1단을 연결하는 길이조절실린더와, 상기 길이조절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사다리의 안쪽으로부터 상기 다단사다리를 바깥쪽으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다단사다리의 길이를 연장하고 안쪽으로 끌어당김에 따라 길이를 단축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사다리가 연장되거나 또는 단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그 상태를 감시하는 신축안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안전부는 상기 신축사다리의 마지막 단을 제외한 나머지 단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인접하는 다음 단의 이동을 가로막아 잠금상태로 되게 하거나 가로막음을 해제하여 풀림상태로 되게 하는 멈춤레버가 설치되는 복수의 안전장치와, 상기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촬영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축안전부의 안전장치는 상기 신축사다리 각 단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중앙부가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한쪽 끝부분이 인접하는 다음 단의 이동을 가로막아 잠금상태로 되게 하거나 가로막음을 해제하여 풀림상태로 되게 하며 다른쪽 끝부분에는 장공이 형성되는 상기 멈춤레버와, 상기 신축사다리 각 단의 연장되는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전진 및 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되며 피스톤로드의 전진하는쪽 끝부분이 상기 멈춤레버의 장공과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고가 사다리차.
KR1020110065910A 2011-07-04 2011-07-04 고가 사다리차 KR10125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10A KR101250920B1 (ko) 2011-07-04 2011-07-04 고가 사다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10A KR101250920B1 (ko) 2011-07-04 2011-07-04 고가 사다리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00A KR20130004700A (ko) 2013-01-14
KR101250920B1 true KR101250920B1 (ko) 2013-04-09

Family

ID=4783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910A KR101250920B1 (ko) 2011-07-04 2011-07-04 고가 사다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03B1 (ko) * 2013-12-10 2015-07-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대형 구조물(인공위성) 조립용 트롤리
KR101647671B1 (ko) * 2015-05-21 2016-08-12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 자동 인출장치
KR102033925B1 (ko) * 2019-06-14 2019-10-18 (주)한서정공 고가사다리 소방차의 사다리 신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66A (ko) * 1992-06-23 1994-01-03 장성춘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KR200166629Y1 (ko) 1998-01-13 2000-01-15 박현무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KR100680148B1 (ko) 2004-10-07 2007-02-07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KR100875146B1 (ko) 2007-05-14 2008-12-22 양건이 다단 고가사다리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366A (ko) * 1992-06-23 1994-01-03 장성춘 고소(高所)작업겸용 화물 승강장치
KR200166629Y1 (ko) 1998-01-13 2000-01-15 박현무 차량 착탈식 유압 사다리
KR100680148B1 (ko) 2004-10-07 2007-02-07 주식회사 한우티엔씨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KR100875146B1 (ko) 2007-05-14 2008-12-22 양건이 다단 고가사다리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00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991B1 (ko) 고가 사다리차
CN105377738B (zh) 用于平台的防坠保险装置
CA2805399C (en) Lift unit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 scaffold
JP4511520B2 (ja) 高層建築物の上層階に外側から到達する方法と装置
JP6296249B2 (ja) 大型船舶と海洋プラント建造用超大型エレベーター
KR100875146B1 (ko) 다단 고가사다리차
CN205590191U (zh) 一种防超载式建筑塔吊
JP2013019195A (ja) 足場用昇降機の制動装置
CN211226043U (zh) 一种移动龙门吊架
KR101250920B1 (ko) 고가 사다리차
CA3032178A1 (en) Platform hoist with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
KR101762771B1 (ko)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US10596398B2 (en) Safety device
KR101230656B1 (ko) 고가 사다리차
KR101283567B1 (ko) 고가 사다리차
US11795037B2 (en) Overhead travelling crane assembly
JP4276941B2 (ja) エレベータかご上での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保守に用いる安全装置
KR101374540B1 (ko) 고가 사다리차
KR101184598B1 (ko) 크레인 스톰앵커
JP2010261286A (ja) 分割可能伸縮昇降枠付可搬式高所作業台
US10173144B2 (en) Lift system with moving cam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JP5684637B2 (ja) 伸縮梯子セット用落下安全装置
CN208916604U (zh) 一种高层建筑消防救援系统
CN214399591U (zh) 一种抱杆平衡臂及抱杆
CN216235761U (zh) 一种塔式起重机的过载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