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503A - 고소 안전 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 안전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503A
KR20150081503A KR1020140001041A KR20140001041A KR20150081503A KR 20150081503 A KR20150081503 A KR 20150081503A KR 1020140001041 A KR1020140001041 A KR 1020140001041A KR 20140001041 A KR20140001041 A KR 20140001041A KR 20150081503 A KR20150081503 A KR 2015008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workbench
coupled
material lif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호
Original Assignee
유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호 filed Critical 유병호
Priority to KR1020140001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503A/ko
Publication of KR2015008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신장부를 매개로 결합되는 난간작업대; 및 상기 난간작업대의 측면에 수직설치되어 공구나 자재를 적재시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되는 밀판이 결합된 자재리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재리프트의 저면 타측은 난간작업대에 설치된 견인수단과 결합되어 90°회동에 의해 상기 난간작업대와 나란히 수평설치되어 보조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안전 작업대{SAFETY WORKPLATE FOR A HIGH PLACE}
본 발명은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재리프트를 통해 무거운 공구나 자재를 지면에서부터 난간작업대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자재리프트를 난간작업대와 나란히 수평배치시켜 고소 작업구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재리프트를 난간작업대의 상부면에 중첩시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스파이크블럭을 통해 자재리프트를 기둥이나 벽면에 고정하여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대는 별도의 장비없이 건물이나 주택의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하여 배관 공사, 덕트공사, 미장 공사, 건물 외벽 공사 등을 진행할 때 폭넓게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대는 작업대의 상부에 작업자가 올라가 신장부를 통해 고소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작업대에까지 손수 공구와 자재 등 기타 물품들을 들어올린 후 적재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재나 공구와 같은 물품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물품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작업대(특허등록 제0846150호)가 등록된바 있다.
하지만 승강장치가 구비된 고소작업대는 작업대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고소작업구간이 긴 경우, 자주 이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대가 높게 상승할 경우에는 작업대가 흔들려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자재리프트를 통해 무거운 공구나 자재를 지면에서부터 난간작업대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자재리프트를 난간작업대와 나란히 수평배치시켜 고소 작업구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고소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자재리프트를 보조작업대로 활용한 상태에서 스파이크블럭을 통해 자재리프트를 기둥이나 벽면에 고정하여 흔들림 없이 고소작업을 안정적이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바퀴(11)가 장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신장부(20)를 매개로 결합되는 난간작업대(30); 및 상기 난간작업대(30)의 측면에 수직설치되어 공구나 자재(200)를 적재시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되는 밀판(54)이 결합된 자재리프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자재리프트(50)의 저면 타측은 난간작업대(30)에 설치된 견인수단(40)과 결합되어 90°회동에 의해 상기 난간작업대(30)와 나란히 수평설치되어 보조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자재리프트는 모서리 4개소에 결합되는 수직가이드(51)와, 상기 각 수직가이드(51)에 상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1난간파이프(52a)와, 상기 수직가이드(51)의 중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2난간파이프(52b)와, 상기 각 제 2난간파이프(52b)의 내부에 축설되어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3)와, 상기 각 제 2난간파이프(52b)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레일(521)을 통해 회전스크류(53)에 스크류결합되는 밀판(5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밀판(54)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봉(541)과, 상기 연장봉(541)의 일단에 결합되어 기둥이나 벽면에 밀착되는 스파이크블럭(54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저면 일측에 지지대(55)가 접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지지대(55)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난간작업대(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장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31) 상에 자재리프트(50)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견인수단(40)은 난간작업대(30)의 저면 타측에 결합되어 장홈(31) 상에 설치되는 회전기어(41)와, 상기 난간작업대(30)의 저면 일측에 결합되어 장홈(31) 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42)와, 상기 회전기어(41)와 종동기어(42)에 결합되는 체인(43)과, 상기 체인(43)과 링크결합되는 이동블럭(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럭(44)의 상부는 상기 자재리프트(50)의 저면에 결합되어 견인되며, 종동기어(42)의 원주면을 지나가면서 90° 회동되어 결과적으로 자재리프트(5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난간작업대(30)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상부면에 승강작업대(60)가 결합되되, 상기 승강작업대(60)는 수직가이드(51)를 따라 가이드되고, 자재리프트(50)와 승강작업대(6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에 따르면, 자재나 공구를 공급하는 자재리프트를 난간작업대와 나란히 수평배치시켜 고소 작업구간을 활용하고, 이에 따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재리프트를 보조작업대로 활용한 상태에서 스파이크블럭을 통해 자재리프트를 기둥이나 벽면에 고정하여 흔들림 없이 고소작업을 안정적이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견인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견인수단을 통해 자재리프트를 수평상태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자재리프트의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기둥이나 벽면에 스파이크블럭의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 지지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이동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자재를 난간작업대로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자재리프트의 작동도,
도 9는 자재리프트가 수평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자재이송의 모습을 도시한 자재리프트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제 2실시예의 고소 안전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제 2실시예의 고소 안전 작업대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견인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견인수단을 통해 자재리프트를 수평상태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자재리프트의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기둥이나 벽면에 스파이크블럭의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지지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고소 안전 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자재리프트(50)를 통해 무거운 공구나 자재를 지면에서부터 난간작업대(30)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자재리프트(50)를 난간작업대(30)와 나란히 수평배치시켜 고소 작업구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재리프트(50)를 난간작업대(30)의 상부면에 중첩시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스파이크블럭(542)을 통해 자재리프트(50)를 기둥이나 벽면에 고정하여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안전 작업대(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베이스(10)와, 난간작업대(30) 및 자재리프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바퀴(11)가 장착되며, 지면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12)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아웃트리거(12)가 설치된 구조이다.
아울러 난간작업대(30)는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난간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신장부(20)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신장부(2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또는 실린더(S)를 통해 신축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자재리프트(50)는 상기 난간작업대(30)의 측면에 수직설치되어 공구나 자재(200)를 적재시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되는 밀판(54)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자재리프트(50)의 저면 타측은 난간작업대(30)에 설치된 견인수단(40)과 결합되어 90°회동에 의해 상기 난간작업대(30)와 나란히 수평설치되어 보조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모서리 4개소에 결합되는 수직가이드(51)와, 상기 각 수직가이드(51)에 상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1난간파이프(52a)와, 상기 수직가이드(51)의 중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2난간파이프(52b)와, 상기 각 제 2난간파이프(52b)의 내부에 축설되어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3)와, 상기 각 제 2난간파이프(52b)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레일(521)을 통해 회전스크류(53)에 스크류결합되는 밀판(54)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밀판(54)은 자재리프트(50)의 수직상태에서는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3)에 의해 상승하여 자재(200)나 공구를 난간작업대(30)까지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자재리프트(50)의 수평상태에서는 자재(200)나 공구를 난간작업대(30)까지 이송시키는 기능을 겸한다.
아울러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수평상태에서 제 1난간파이프(52a)와 제 2난간파이프(52b)를 통해 보조작업대의 기능을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난간작업대(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장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31) 상에 자재리프트(50)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40)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견인수단(40)은 난간작업대(30)의 저면 타측에 결합되어 장홈(31) 상에 설치되는 회전기어(41)와, 상기 난간작업대(30)의 저면 일측에 결합되어 장홈(31) 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42)와, 상기 회전기어(41)와 종동기어(42)에 결합되는 체인(43)과, 상기 체인(43)과 링크결합되는 이동블럭(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블럭(44)의 상부는 상기 자재리프트(50)의 저면에 결합되어 견인되며, 종동기어(42)의 원주면을 지나가면서 90° 회동되어 결과적으로 자재리프트(5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난간작업대(30)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 때 상기 회전기어(41)를 회전시키는 모터(M)는 자재리프트(50)가 지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면 정지될 수 있도록 정밀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블럭(44)은 견인수단(40)을 통해 장홈(31)의 타측에 위치되면 상기 자재리프트(50)는 난간작업대(30)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자재리프트(50)에 결합된 밀판(54)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봉(541)과, 상기 연장봉(541)의 일단에 결합되어 기둥이나 벽면에 밀착되는 스파이크블럭(542)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파이크블럭(542)은 자재리프트(50)가 난간작업대(30)와 수평하게 회동하여 보조작업대로 사용할 때 밀판(54)과 동반 이송되어 인접한 기둥이나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크블럭(542)은 고소작업을 수행할 때 자재리프트(5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자중에 의해 회동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소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일측에 저면에 지지대(55)가 접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55)는 신장부(20)의 신장 길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자재리프트(50)의 상부면에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자재(200) 및 공구나 다수의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할 경우, 자재리프트(50)가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상부면에 승강작업대(60)가 결합되되, 상기 승강작업대(60)는 수직가이드(51)를 따라 가이드 되고, 자재리프트(50)와 승강작업대(6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난간작업대(30)와 함께 보조작업대로 사용될 시 서로 다른 높이의 고소 작업구간을 각각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소 안전 작업대의 이동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자재를 난간작업대로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자재리프트의 작동도이고, 도 9는 자재리프트가 수평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자재이송의 모습을 도시한 자재리프트의 작동도이다.
도 7과 같이, 신장부(20)를 접이시키고, 난간작업대(30)의 상부면에 자재리프트(50)을 중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고조 작업구간에서는 신장부(20)를 소망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견인수단(40)을 통해 자재리프트(50)를 회동시켜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시킨다.(도 2참조)
그리고 도 8과 같이, 자재리프트(50)의 밀판(54)을 상승시켜 자재(200)나 공구를 난간작업대(30)까지 공급하여 난간작업대(30) 위에서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9와 같이, 자재리프트(50)를 보조작업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밀판(54)에 자재(200)나 공구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견인수단(40)을 통해 자재리프트(50)를 난간작업대(30)와 평행하게 수평으로 회동시키고, 밀판(54)을 이동시켜 자재나 공구를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시킨다.(도 2 및 도 3참조)
그리고 상기 밀판(54)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밀판(54)에 결합된 스파이크블럭(542)이 인접한 벽면이나 기둥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할 때 자재리프트(5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시킨다.(도 5참조)
이 때 자재리프트(50)의 상부면에 중량이 많이 나가는 자재(200) 및 공구나 다수의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할 경우, 자재리프트(50)가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55)를 펼쳐 지면에 지지시킨다.(도 6참조)
또한 자재리프트(50)에 결합된 승강작업대(60)를 실린더(S)를 통해 상승시켜 난간작업대(30)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도 5참조)
도 10은 제 2실시예의 고소 안전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제 2실시예의 고소 안전 작업대의 작동도이다.
도 10과 같이, 제 2실시예는 상기 자재리프트(50)가 난간작업대(30)의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난간작업대(30)가 상승하면 상기 자재리프트(50)는 동반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자재리프트(50)는 난간작업대(30)의 신장부(20)가 접이된 상태에서 지면에서 약 5cm ~ 20cm 정도 이격 되어 고소 안전 작업대(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제 2실시예의 고소 안전 작업대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11과 도 12와 같이, 난간작업대(30)를 상승시키기 전에 자재(200)를 자재리프트(50)의 밀판(54)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판(54)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도 13과 같이, 밀판(54)을 난간작업대(30)의 난간까지 상승되도록 한다.
이 후 무거운 자재(200)를 난간작업대(30)의 상부 난간에 눕혀 안착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4와 같이, 난간작업대(30)에 결합된 신장부(20)를 상승시켜 자재를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고소작업을 진행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베이스 11: 바퀴 12: 아웃트리거
20: 신장부
30: 난간작업대 31: 장홈
40: 견인수단 41: 회전기어 42: 종동기어
43: 체인 44: 이동블럭
50: 자재리프트 51: 수직가이드 52a: 제 1난간파이프
52b: 제 2난간파이프 521: 가이드레일
53: 회전스크류
54: 밀판 541: 연장봉
542: 스파이크블럭 55: 지지대
60: 승강작업대
M: 모터 S: 실린더
100: 고소 안전 작업대 200: 자재

Claims (7)

  1. 지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바퀴(11)가 장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 신장부(20)를 매개로 결합되는 난간작업대(30); 및
    상기 난간작업대(30)의 측면에 수직설치되어 공구나 자재(200)를 적재시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되는 밀판(54)이 결합된 자재리프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자재리프트(50)의 저면 타측은 난간작업대(30)에 설치된 견인수단(40)과 결합되어 90°회동에 의해 상기 난간작업대(30)와 나란히 수평설치되어 보조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리프트는 모서리 4개소에 결합되는 수직가이드(51)와, 상기 각 수직가이드(51)에 상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1난간파이프(52a)와, 상기 수직가이드(51)의 중단에 결합되는 2개의 제 2난간파이프(52b)와, 상기 각 제 2난간파이프(52b)의 내부에 축설되어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53)와, 상기 각 제 2난간파이프(52b)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레일(521)을 통해 회전스크류(53)에 스크류결합되는 밀판(54)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54)은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봉(541)과, 상기 연장봉(541)의 일단에 결합되어 기둥이나 벽면에 밀착되는 스파이크블럭(5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저면 일측에 지지대(55)가 접이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지지대(55)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작업대(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장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31) 상에 자재리프트(50)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40)은 난간작업대(30)의 저면 타측에 결합되어 장홈(31) 상에 설치되는 회전기어(41)와, 상기 난간작업대(30)의 저면 일측에 결합되어 장홈(31) 상에 설치되는 종동기어(42)와, 상기 회전기어(41)와 종동기어(42)에 결합되는 체인(43)과, 상기 체인(43)과 링크결합되는 이동블럭(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럭(44)의 상부는 상기 자재리프트(50)의 저면에 결합되어 견인되며, 종동기어(42)의 원주면을 지나가면서 90° 회동되어 결과적으로 자재리프트(5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거나 난간작업대(30)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리프트(50)는 상부면에 승강작업대(60)가 결합되되,
    상기 승강작업대(60)는 수직가이드(51)를 따라 가이드되고, 자재리프트(50)와 승강작업대(6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S)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안전 작업대.
KR1020140001041A 2014-01-06 2014-01-06 고소 안전 작업대 KR20150081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041A KR20150081503A (ko) 2014-01-06 2014-01-06 고소 안전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041A KR20150081503A (ko) 2014-01-06 2014-01-06 고소 안전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503A true KR20150081503A (ko) 2015-07-15

Family

ID=5379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041A KR20150081503A (ko) 2014-01-06 2014-01-06 고소 안전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50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4243A (zh) * 2017-06-27 2017-11-07 张志通 一种建筑机械升降装置
KR102046413B1 (ko) * 2018-06-20 2019-12-04 김종현 술병 투입장치
JP2020132318A (ja) * 2019-02-15 2020-08-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高所作業車
KR20210025911A (ko) * 2019-08-28 2021-03-10 (주)오픈웍스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KR20210136510A (ko) 2020-05-08 2021-11-17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CN114477039A (zh) * 2022-02-11 2022-05-13 中原工学院 一种方便移动的建筑装饰工程设计用顶升装置
CN116690511A (zh) * 2023-08-03 2023-09-05 四川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航空零部件维修用支撑装置
CN117446710A (zh) * 2023-10-25 2024-01-26 武汉漫沙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用新能源施工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4243A (zh) * 2017-06-27 2017-11-07 张志通 一种建筑机械升降装置
KR102046413B1 (ko) * 2018-06-20 2019-12-04 김종현 술병 투입장치
JP2020132318A (ja) * 2019-02-15 2020-08-3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高所作業車
KR20210025911A (ko) * 2019-08-28 2021-03-10 (주)오픈웍스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KR20210136510A (ko) 2020-05-08 2021-11-17 유병호 무동력 리프트 장치
CN114477039A (zh) * 2022-02-11 2022-05-13 中原工学院 一种方便移动的建筑装饰工程设计用顶升装置
CN116690511A (zh) * 2023-08-03 2023-09-05 四川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航空零部件维修用支撑装置
CN116690511B (zh) * 2023-08-03 2023-10-13 四川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航空零部件维修用支撑装置
CN117446710A (zh) * 2023-10-25 2024-01-26 武汉漫沙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用新能源施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1503A (ko) 고소 안전 작업대
WO2022037081A1 (zh) 一种水平结构的拆除清运方法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KR20100045324A (ko) 고소작업대
US9174311B2 (en) Welding workbench assembly with wraparound dual state barriers
CN106276695A (zh) 可移动的升降装置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CA2610182C (en)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CN108237573A (zh) 一种自动化高精度pvc管切割机
US20180104849A1 (en) Cut and movement fabrication system
KR100949431B1 (ko)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KR200386876Y1 (ko) 건축용 승강식 작업대
CN217947606U (zh) 空中作业车
KR20130059690A (ko) 승강이송로봇용 부품교체장치
KR20190001635A (ko) 보일러용 이동식 비계장치
KR20220104989A (ko)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CN103663260A (zh) 一种升降机结构
JP2003341989A (ja) ドック用可動作業ユニット
KR101820897B1 (ko)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KR200478758Y1 (ko) 고소 작업용 장치
TWM444365U (zh) 搬運機具
KR101662476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KR101627800B1 (ko) 산업 시설용 고소 안전 작업대
CN210238124U (zh) 一种全自动挂布机
CN211598697U (zh) 能使用多种断面的防水板挂布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