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97B1 -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0897B1 KR101820897B1 KR1020160066509A KR20160066509A KR101820897B1 KR 101820897 B1 KR101820897 B1 KR 101820897B1 KR 1020160066509 A KR1020160066509 A KR 1020160066509A KR 20160066509 A KR20160066509 A KR 20160066509A KR 101820897 B1 KR101820897 B1 KR 101820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work
- main
- frame member
- constru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7—Devices and methods for erecting scaffolds, e.g. automatic scaffold erec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중앙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레일들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작업 대차유닛; 및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대차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 및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각각의 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층의 내부 작업 및 외벽 마감 작업을 위하여 여러 종류의 건축자재를 크레인과 같은 공동설비를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인양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거푸집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바닥면과 기본 기둥을 형성하며 각층을 시공하고 이 후 비계, 동바리, 발판, 서포트 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각층의 벽면분할 및 덕트작업 등과 같은 내부작업과 마감자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부 마감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자재들은 윗층으로 인양하여 동일한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하는데, 이때 자재의 인양은 통상적으로 타워크레인과 같은 공동으로 사용되는 건축시설을 이용하게 된다.
즉,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해당 층에는 벽체 거푸집을 구축하기 위한 각종 자재가 인양되어야 하는 바, 거푸집 패널 등과 같은 건축자재를 정리하여 인양장치에 올린 후, 상기 인양장치를 타워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시공층으로 인양하고 하차시켜 그 자재를 사용하여 벽체 거푸집을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축공사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타워크레인과 같은 시설물의 사용비중이 높아짐으로 인하여 전체 건축공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는 공기의 지연에 의한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건축 자재를 시공층에 인양하는 경우 그 인양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시공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고, 상기와 같이 시공층에 자재를 인양하는 경우 그 직하부층 구조물의 강도를 살펴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상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 및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중앙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레일들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작업 대차유닛; 및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대차유닛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작업과,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레일들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작업 대차유닛과,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대차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들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 설정 중앙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 설정 가장자리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에 주 작업 대차유닛과 보조 작업 대차유닛이 직접 설치됨으로써, 철골구조 시공 작업이나 외부 마감 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건축 자재 등을 인양하기 위해 크레인과 같은 공동설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보조 작업 대차유닛은 주 작업 대차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주 작업 대차유닛에서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영역은 보조 작업 대차유닛에서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보조 작업 대차유닛의 보조 작업 발판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맞게 보조 작업 발판부재를 회전시키며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주 작업 대차유닛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할 때에는 보조 작업 대차유닛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주 작업 대차유닛으로 삽입되므로 건축구조물의 기둥에 간섭되지 않고 작업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중 주 작업 대차유닛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중 제1 케이지 유닛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중 제2 케이지 유닛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지 유닛을 이용하여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 예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중 주 작업 대차유닛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중 제1 케이지 유닛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중 제2 케이지 유닛이 도시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지 유닛을 이용하여 고층 건축구조물의 시공 예가 도시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는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부(미표기)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1000)는 주 작업 대차유닛(100)과,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에 전면과 후면(이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좌측면과 우측면(이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레일(10)들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부를 하부에서 본 저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부(미표기)에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길게 연장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 이격되는 레일(10)들이 설치된다.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은 주 프레임 부재(110), 롤러 구동부재(130) 및 주 작업 발판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는 복수 개의 프레임(미표기)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이며,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동부재(130)는 상기 레일(10)들을 따라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가 슬라이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의 좌우방향 양 측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10)들과 연결된다. 상기 롤러 구동부재(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롤러 구동부재(130)는 롤러(131) 및 제1 모터(133)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롤러(131)는 상기 레일(10) 상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131)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롤러 구동부재(130)에 의해 상기 레일(10)과 연결된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한다.
상기 제1 모터(133)는 상기 롤러(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롤러(13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롤러 구동부재(130)는 상기 제1 모터(13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13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가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면을 향하거나 후면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3 참조)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는 작업자가 상기 건축구조물의 상기 천정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 상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00)를 따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예시적으로 복수 개의 프레임(미표기)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는 작업자들이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에 탑승하여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 상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이 상기 레일(10)들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을 왕복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중앙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한다. 작업자는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에 건축자재를 실어두고,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 상을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천정부의 설정 중앙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의 길이만큼의 상기 천정부 설정 중앙 영역 시공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를 상기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천정부 설정 중앙 영역 시공 작업을 연속 진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은 슬라이드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를 따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170)가 구비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가 이송모터(170)로 적용된다. 상기 이송모터(170)가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모터(17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상기 주작업 발판부재(150)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가 상기 이송모터(170)로 적용되는 것을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이므로, 상기 슬라이드 이동부재(170)는 다양한 구성 및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부 가장자리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이나, 측면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의 양 측 각각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은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은, 보조 프레임 부재(310) 및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의 상기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가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프레임(미표기)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좌우 방향과 나란한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의 종단면의 크기는 상기 좌우 방향과 나란한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가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는 모터(미도시)와 같은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가 자동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가 레일구조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를 밀거나 잡아당겨 슬라이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는 작업자가 상기 건축구조물의 상기 천정부 가장자리 영역이나 및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는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프레임(미표기)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도 작업자가 탑승하여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는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는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건축구조물의 측면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면이나 후면에서 천정부 시공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은 회전운동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운동부재(350)는 일측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와 연결된다. 상기 회전운동부재(350)는 예시적으로 회전 축(미도시) 및 레버(미도시)와 같은 기계적인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를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에 대해 기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운동부재(350)는 모터(미표기)와 같은 구성으로 적용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를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에 대해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에 탑승한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한다. 특히,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은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이 상기 레일(10)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도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천정부 및 상기 측면부의 특정 영역의 시공 작업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구조물에는 상기 전후 방향 중앙에 기둥(3)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이 상기 레일(10)을 따라 상기 건축구조물의 상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기둥(3)들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작업 대차 유닛(300)의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주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는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3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1000)의 상기 좌우 방향 폭이 상기 기둥(3) 사이의 간격만큼 줄어들어 상기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1000)가 상기 기둥(3)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1000)는 제1 케이지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지 부재(500)는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 및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 각각에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 케이지 부재(500)에 탑승하여 상기 천정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의 철골 구조 보수 작업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케이지 부재(500)는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 및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 각각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기 제1 케이지 부재(5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 케이지 부재(500)는 제1 케이지(510) 및 리프트(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케이지(510)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케이지(510)는 복수 개의 프레임(미표기)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530)는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지(5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50)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30)에 연결된다. 상기 리프트(530)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미표기)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상기 제1 케이지(510)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리프트(530)는 특정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공지된 기술의 다수의 리프트들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 케이지(5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530)를 상승시켜 천정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의 철골 구조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1000)는 제2 케이지 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는 상기 건축구조물의 측면부 외부 마감 시공을 하기 위해 상기 주 작업 대차 유닛(100)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는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에 탑승하여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천정부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측면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건축구조물의 측면부에는 외부 마감 시공으로 장식물(20)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식물(20)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상기 천정부에 설치된 상기 레일(1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이나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에서만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를 이용하여 상기 건축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면서 상기 건축구조물의 측면외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는 제2 케이지(710) 및 보조 발판(73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케이지(710)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10)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 케이지(710)는 케이블(미표기)에 의해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10)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31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110)에 상기 제2 케이지(710)가 연결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 케이지(710)는 상기 제1 케이지(51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프레임(미표기)들을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되,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케이지(710)에서는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작업자를 시공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 발판(730)들은 작업자가 상기 제2 케이지(710)의 외부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케이지(710)의 발판(미표기)의 길이 방향 양 측 각각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발판(730)들은 예시적으로 상기 제2 케이지(710)의 발판과 레일 구조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보조 발판(730)을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상기 보조 발판(730)들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발판(730)들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발판(730)에는 작업자가 탑승한다. 이때, 다른 하나의 보조 발판(73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가 균형을 잃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발판(730)에 탑승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하나의 보조 발판(730)에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 발판과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카운터 웨이트(750)가 설치된다.
특히, 높은 위치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가 바람에 의해 흔들려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카운터 웨이트(750)를 구비하면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가 적당한 무게로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의 균형을 유지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를 이용하여 상기 건축구조물의 측면부에 장식물(20)을 설치하는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의 진행과정이 간략하게 도시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층 건축구조물(미도시)의 측면부에 상기 장식물(20)을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에 연결된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의 상기 제2 케이지(710)에 작업자가 탑승한다.
작업자가 탑승한 상기 제2 케이지(710)는 상기 케이블(미표기)에 의해 상기 장식물(20)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로 하강한다. 상기 제2 케이지(710)가 상기 장식물(20)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 멈추면, 작업자는 상기 보조 발판(730)들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펼치고 상기 보조 발판(730)으로 이동하여 상기 장식물(20) 설치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는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300)에 연결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이 상기 레일(10)을 따라 상기 고층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장식물(20)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케이지 부재(700)는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과 함께 상기 고층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100)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천정부까지 상향 이동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장식물(20) 설치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해당 위치까지 하향 이동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고층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100: 주 작업 대차유닛 110: 주 프레임 부재
130: 롤러 구동부재 131: 롤러
133: 제1 모터 150: 주 작업 발판부재
170: 이송모터
300: 보조 작업 대차유닛 310: 보조 프레임 부재
330: 보조 작업 발판부재 350: 회전운동부재
500: 제1 케이지 부재 510: 제1 케이지
530: 리프트 700: 제1 케이지 부재
710: 제2 케이지 730: 보조 발판
750: 카운터 웨이트
100: 주 작업 대차유닛 110: 주 프레임 부재
130: 롤러 구동부재 131: 롤러
133: 제1 모터 150: 주 작업 발판부재
170: 이송모터
300: 보조 작업 대차유닛 310: 보조 프레임 부재
330: 보조 작업 발판부재 350: 회전운동부재
500: 제1 케이지 부재 510: 제1 케이지
530: 리프트 700: 제1 케이지 부재
710: 제2 케이지 730: 보조 발판
750: 카운터 웨이트
Claims (16)
-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중앙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천정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레일들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작업 대차유닛; 및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대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 케이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은,
상기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주 프레임 부재;
상기 레일들을 따라 상기 주 프레임 부재가 슬라이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 프레임 부재의 좌우방향 양 측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레일들과 연결되는 롤러 구동부재;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주 프레임 부재 상에 상기 주 프레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주 작업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부재는,
상기 레일 상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은,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 부재의 길이를 따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와 상기 주 프레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은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주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는 슬라이드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은,
상기 주 프레임 부재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주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주 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의 자유단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은,
일측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와 연결되는 회전운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는 상기 회전운동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와 나란하거나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와 교차하도록 회전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 위치보다 상측에서 철골 보수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 및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 각각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 케이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지 부재는,
상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케이지;
일측은 상기 제1 케이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에 연결되며,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상기 제1 케이지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지 부재는,
상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 중 어느 하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케이지; 및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제2 케이지의 외부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케이지 발판의 길이 방향 양 측 각각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발판들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지 부재는,
상기 보조 발판들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발판에 상기 작업자가 탑승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 발판과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보조 발판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 고층으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부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작업과,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건축구조물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레일들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작업 대차유닛과,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대차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들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 설정 중앙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면,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 설정 가장자리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 또는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 케이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제2 케이지 부재에 탑승하여 하향 이동하면서 상기 천정부 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측면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은,
상기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주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은,
상기 주 프레임 부재의 좌우 방향 양 측 각각에 상기 주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상기 주 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 부재;
상기 작업자가 상기 천정부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철골구조 시공 및 상기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의 자유단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작업 발판부재; 및
일측은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와 연결되는 회전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이 상기 레일들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는 기둥 사이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가 상기 주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는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과 상기 보조 작업 대차유닛이 상기 기둥 사이를 통과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 설정 가장자리 영역의 철골구조 시공 및 외부 마감 시공 작업과, 상기 측면부의 외부 마감 시공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가 상기 회전운동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와 나란하거나 상기 보조 프레임 부재와 교차하도록 회전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주 작업 대차유닛은,
상기 주 프레임 부재 상에 상기 주 프레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주 작업 발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 작업 발판부재 및 상기 보조 작업 발판부재 각각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 케이지 부재를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 케이지 부재에 탑승하여 상기 천정부 외부 마감 시공 작업 위치보다 상측에서 철골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6509A KR101820897B1 (ko) | 2016-05-30 | 2016-05-30 |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6509A KR101820897B1 (ko) | 2016-05-30 | 2016-05-30 |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108A KR20170135108A (ko) | 2017-12-08 |
KR101820897B1 true KR101820897B1 (ko) | 2018-01-22 |
Family
ID=6091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6509A KR101820897B1 (ko) | 2016-05-30 | 2016-05-30 |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08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909B1 (ko) * | 2018-09-11 | 2019-05-21 | 주식회사 경신산기 | 건물 실내 작업용 곤도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87955A (ja) * | 2006-10-05 | 2008-04-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 |
-
2016
- 2016-05-30 KR KR1020160066509A patent/KR1018208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87955A (ja) * | 2006-10-05 | 2008-04-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5108A (ko) | 2017-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90972B1 (en) |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 |
JP2764891B2 (ja) |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 |
KR20150125984A (ko) | 건축 시스템 | |
JP6883343B2 (ja) | 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飛散防止養生工法 | |
JP5039374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 |
US11098490B2 (en) | Self-lifting concrete form with platform adapted to accommodate horizontal reinforcing steel | |
KR101291815B1 (ko) | 교량 점검 보수용 작업장치 | |
KR20140003277U (ko) | 고소작업용 리프트 | |
CN110821149A (zh) | 一种应用于房屋滑模成型装置的取模装置及取模方法 | |
JP6270692B2 (ja) |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 |
KR101820897B1 (ko) |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 |
JP6167025B2 (ja) |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 |
KR101700559B1 (ko) |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 |
JP5914203B2 (ja) |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 |
CN105621304A (zh) | 一种建筑物料提升机 | |
KR101356369B1 (ko) |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 |
CN110524694B (zh) | 带有活动支撑的混凝土预制构件生产系统 | |
KR100583785B1 (ko) |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 |
JP2014047479A (ja) |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 |
JP5538470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 |
CN109208918A (zh) | 一种楼宇建造装置及方法 | |
JP6055616B2 (ja) | 建物の養生装置及び養生方法 | |
CN210764202U (zh) | 一种建筑用双升降工作平台车 | |
KR102204933B1 (ko) |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 |
KR20210146573A (ko) | 작업발판 인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