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559B1 -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559B1
KR101700559B1 KR1020160060341A KR20160060341A KR101700559B1 KR 101700559 B1 KR101700559 B1 KR 101700559B1 KR 1020160060341 A KR1020160060341 A KR 1020160060341A KR 20160060341 A KR20160060341 A KR 20160060341A KR 101700559 B1 KR101700559 B1 KR 10170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late
cutting
saw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한
Original Assignee
일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슬래브 철거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이격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는 링크부와, 상기 하판부와 상기 링크부를 연결하며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관절운동시켜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 상기 상판부의 상부에 지지대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대해 90도 회전동작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회전테이블;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에 대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제1유압모터;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한 쌍의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바를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이동부재; 상기 안내레일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2유압모터; 상기 제2유압모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직선이동시키는 피니언; 상기 수직바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를 향해 원형회전톱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슬래브를 절단하는 슬래브커팅유닛; 일단은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에 고정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을 상하이동시키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판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에 의해 절단된 상기 슬래브를 하강시키며, 상면에 복수의 제1흡착공과, 하면에 하나의 공기배출공과,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1흡착공과 상기 하나의 공기배출공을 연결시키는 연결유로가 구비된 지지판; 일단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상기 회전판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3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공기배출공을 연결하여 복수의 제1흡착공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지지판에 상기 슬래브가 흡착고정되게 하는 플렉시블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SLAB DISMANTLEMENT METHOD AND SLAB DISMANTLEMENT APPARATUS FOR THIS SAME}
본 발명은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를 절단하여 절단된 슬라브를 하강시켜 반출하도록 하는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통상 건축물과 수명을 같이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구조변경을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철거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예를 들어 주택, 아파트, 공장 등의 층고(層高)를 높이기 위해서 슬래브를 전부 제거해야 하는 경우고 있고, 에스컬레이터, 계단을 신설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일부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건물의 일반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층간을 구획하는 슬래브(20)는 보(30)에 의해 지지되고, 건물의 전체 하중은 기둥(11)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종래의 슬래브 철거공법을 설명한다.
먼저 철거할 슬래브(20)를 먹줄 등으로 구획하여 표시하고, 슬래브(20)에 다수의 관통홀(50)을 형성한다. 슬래브(20)는 철근 콘크리트 재질이므로 통상 코어드릴(core drill)을 사용하여 관통홀(50)을 형성한다(도 2a 참조).
이어서 관통홀(50)에 인양줄(60)을 결속시키고 인양줄(60)의 상단을 기중기에 연결시킨다. 기중기는 건물 내에 설치된 소형의 호이스트(hoist) 또는 크레인일 수도 있고 건물 외부에 설치된 대형 크레인일 수도 있다. 한편 관통홀(50)을 대신하여 인양줄(60)을 결속할 수 있는 앵커를 슬래브(20)에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도 2b 참조).
인양줄(60)을 결속한 다음에는 먹줄을 따라서 링쏘(ring saw) 등으로 슬래브(209)를 절단한다. 도면부호 70은 절단선을 표시한 것이다(도 2c 참조).
슬래브(20)를 완전히 절단한 이후에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절단된 슬래브(20)를 상부로 들어올려서 인양한다(도 2d 참조).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철거대상 슬래브(20)를 모두 제거한 다음에는 필요에 따라 보(30)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슬래브 철거방법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인양줄(60)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철거할 슬래브(20)마다 적어도 2개의 관통홀(50)을 형성해야 하는데, 코어드릴을 이용하여 관통홀(50)을 뚫는 천공작업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공사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인건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절단된 슬래브(2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양줄(60)을 미리 기중기에 연결해 두어야 하고, 특히 절단 작업의 편의나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슬래브(20)를 수평으로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인양줄(60)만으로 슬래브(2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결코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셋째, 코어드릴로 관통홀(50)을 뚫는 작업, 관통홀(50)에 인양줄(60)을 결속시키는 작업, 링쏘(ring saw)를 이용해 슬래브를 절단하는 작업 등에 있어서 작업자가 직접 개입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작업인력 소요로 인한 인건비 상승에 따라 전체 철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직접적인 철거작업에 개입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철거작업이 이루어져 안전성이 높은 철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이격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는 링크부와, 상기 하판부와 상기 링크부를 연결하며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관절운동시켜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 상기 상판부의 상부에 지지대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대해 90도 회전동작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회전테이블;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에 대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제1유압모터;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한 쌍의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바를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이동부재; 상기 안내레일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2유압모터; 상기 제2유압모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직선이동시키는 피니언; 상기 수직바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를 향해 원형회전톱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슬래브를 절단하는 슬래브커팅유닛; 일단은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에 고정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을 상하이동시키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판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에 의해 절단된 상기 슬래브를 하강시키며, 상면에 복수의 제1흡착공과, 하면에 하나의 공기배출공과,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1흡착공과 상기 하나의 공기배출공을 연결시키는 연결유로가 구비되며, 상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된 지지판; 일단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상기 회전판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3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공기배출공을 연결하여 복수의 제1흡착공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지지판에 상기 슬래브가 흡착고정되게 하는 플렉시블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철거하는 슬래브 철거공법은 a) 상기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의 상판부가 상승하여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의 상기 원형회전톱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에 근접하는 단계; b) 상기 원형회전톱이 회전구동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슬래브를 침투하고 상기 원형회전톱의 끝단이 상기 슬래브를 관통한 후,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원형회전톱이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슬래브를 절단하여 한 쌍의 제1커팅라인을 형성하는 1차커팅단계; c) 상기 원형회전톱이 원상태로 하강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90도 회전하는 단계; d) 상기 지지판이 상승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하는 단계; e) 상기 흡입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복수의 제1흡착공을 통해 상기 슬래브가 흡착되어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슬래브를 흡착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슬래브가 상기 지지판 위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 흡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형회전톱이 회전구동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슬래브를 침투하고 상기 원형회전톱의 끝단이 상기 슬래브의 상단을 관통한 후,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원형회전톱이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슬래브를 절단하여 한 쌍의 제1커팅라인과 직교 교차되는 한 쌍의 제2커팅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래브에서 사각형의 슬래브 조각이 분리되는 2차커팅단계; g) 상기 지지판이 원위치로 하강하고, 상판부가 원위치로 하강하는 단계; h) 상기 흡입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홈을 통해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여 지게차로 상기 슬래브조각을 반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판이 지지한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져 절단된 슬래브조각이 지지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슬래브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에 인양줄을 결속시키는 방식에 비해 철거작업이 간단해져 철거시간을 줄일 수 있어 철거비용을 대단히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슬래브를 지지판이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절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이 이룰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해 작업자가 관통홀을 형성하거나, 인양줄을 결속시키는 등의 기존과 같이 철거작업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리모콘으로만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슬래브의 커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줄이고 작업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장치는 유압식테이블 리프트의 상부에 한 쌍의 슬래브커팅유닛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 한 쌍의 슬래브커팅유닛이 직선이동하여 슬래브에 한 쌍의 제1커팅라인을 형성하고, 회전판이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한 쌍의 슬래브커팅유닛이 직선이동되어 슬래브에 한 쌍의 제1커팅라인에 직교 교차되는 한 쌍의 제2커팅라인이 형성되면서 슬래브 조각이 절단되는 방식이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커팅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철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 는 종래의 슬래브 철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정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 철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테이블리프트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구성에서 지지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판의 내부구조(a)와 상면구조(b)를 나타난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철거공법의 일부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철거공법에 의해 슬래브가 절단되는 과정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철거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철거공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하여 슬래브 철거공법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에, 슬래브 철거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슬래브 철거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 철거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슬래브 철거장치(10)는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110), 회전테이블(121), 한쌍의 안내레일(131), 한 쌍의 수평이동부재(133), 슬래브커팅유닛(140), 지지판(170), 흡입모터(177)를 포함한다.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110)은 하판부(111), 링크부(113), 상판부(114), 제1유압실린더(115)를 포함한다.
하판부(111)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면에 지지된다. 하판부(111)의 양측에는 이송용바퀴(118)가 구비되어,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장치(10)를 이동시키수 있다. 하판부(111)의 일측에는 본 발명의 유압구동형 구성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1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판부(114)는 하판부(111)와 동일한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링크부(113)를 통해 하판부(111)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유압실린더(115)는 일측은 하판부(1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링크부(113)의 일측에 연결되어, 신축동작에 의해 링크부(113)가 펴져서 상판부(114)를 상승하고, 링크부(113)가 접혀져 상판부(114)가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제1유압실린더(115)의 구동에 따라 링크부(113)가 접혀지거나 펴지는 관절운동에 따라 상판부(114)가 하판부(111)에 대해 수직으로 직선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원리는 생략하도록 한다.
회전테이블(121)은 상판부(114)의 상부 이격되게 설치된다. 회전테이블(!21)은 고정판(122)과 회전판(123)으로 이루어져, 고정판(122)과 회전판(123)은 각각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판(122)은 상판부(114)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지지대(125)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며, 회전판(123)은 중앙하부에 형성된 회전축(123a)이 고정판(122)의 중앙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판(123)은 제1유압모터(126)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제1유압모터(126)는 상판부(114)의 중앙에 고정설치되고, 회전축(126a)은 고정판(122)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판(123)의 중앙에 결합된다.
제1유압모터(126)는 유압유공급수단(116)으로부터 유압유를 공급받아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유압유공급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레일(131)은 회전판(123)의 상면이 길이방향 즉 장축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수평이동부재(133) 각각은 한 쌍의 안내레일(131)에 안내되어 전진 또는 후진 직선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수평이동부재(133)의 각각에는 상부로 수직하게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바(134)가 마련된다.
슬래브커팅유닛(140)은 케이싱(141)과, 이 케이싱(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 케이싱(141)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원형회전톱(143)과, 케이싱(141)에 내장되며 원형회전톱(143)을 회전시키는 톱회전모터(145)로 구성될 수 있다. 이 톱회전모터(145)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싱(141)은 수직바(134)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싱(141)과 수직바(134)에 레일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커팅유닛(140)은 수직바(134)에 대해 상하로 수직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원형회전톱(143)은 슬래브커팅을 위해 다이아몬트원형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슬래브커팅유닛(140)을 전진 또는 후진 직선이동 시키기 위해서 수평이동부재(133)를 안내레일(131)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래크-피니언 수단(151,153,155)이 설치될 수 있다.
래크(151)는 소정길이의 직선바 형태로 이루어지면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치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회전판(123)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래크(151)는 안내레일(13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형성된다.
각각의 제2유입모터(155)는 수평이동부재(133)의 내측단에 고정설치되고, 제2유입모터(155)의 회전축에는 피니언(153)이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피니언(153)은 래크(151)의 상면에 래크-피니언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유압모터(155)의 구동에 따라 피니언(153)이 회전됨으로써, 수평이동부재(133)가 전진 또는 후진되게 되고, 이로인해 슬래브커팅유닛(140)이 전진 또는 후진 직선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바(134)에 대해 슬래브커팅유닛(140)을 승강시키도록 제2유압실린더(161)가 설치된다. 제2유압실린더(161)의 실린더본체(162)는 하단이 수평이동부재(133)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제2유압실린더(161)의 로드(163) 상단은 슬래브커팅유닛(140)의 케이싱(141) 하단에 고정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유압실린더(161)의 신축동작에 따라 슬래브커팅유닛(140)이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유압실린더(161)는 유압유공급수단(116)에 의해 유압유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유압유공급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지지판(170)은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판(123)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이동되게 설치되며, 지지판(170)은 슬래브커팅유닛(140)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지지판(170)은 제3유압실린더(172)에 수직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유압실린더(172)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유압실린더 본체(173)의 하단이 회전판(123)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유압실린더 신축로드(174)의 상단이 지지판(17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3유압실린더(172)의 구동에 따라 지지판(170)이 수직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70)은 슬래브커팅유닛(140)의 원형회전톱(143)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가능하고 원형회전톱(143) 중심보다 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유압실린더(172)는 유압유공급수단(116)에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유압유공급수단(116)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지지판(170)은 슬래브(s)의 저면을 흡착하여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지지판(170)은 도 5와 같이 상면에 복수의 흡착공(170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공기배출공(170b)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흡착공(170a)과 공기배출공(170b)을 연결하는 연결유로(170c)가 형성된다.
아울러, 회전판(123)의 상면 일측에는 진공모터 등의 흡입모터(177)가 설치되며, 이 흡입모터(177)는 플렉시블호스(178)를 통해 공기배출공(170b)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모터(177)가 구동되면, 복수의 흡착공(170a)을 통해 외부 공기가 연결유로(170c), 공기배출공(170b) 및 플렉시블호스(178)를 거쳐 흡입모터(177)로 흡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플렉시블호스(178)에 의해 흡입모터(177)의 흡입력이 지지판(170)에 형성된 복수의 흡착공(170a)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170)의 상면이 슬래브(s)의 저면에 밀착접촉된 상태에서 흡입모터(177)가 구동되면, 복수의 흡착공(170a)이 슬래브(s)의 하면을 흡착지지함으로써, 지지판(170)에 슬래브(s)가 흡착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유압실린더(115), 제2유압실린더(161), 제3유압실린더(172), 제1유압모터(126), 제2유압모터(155), 톱회전모터(145)는 유압유공급수단(116)에 의해 유압유를 공급받아 구동제어될 수 있으며, 이 유압유공급수단(116)은 상기 각 유압구동수단들을 별도로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유압유공급수단(116)은 유무선 원격방식의 리모컨수단(미도시)을 통해 작업자가 슬래브 철거장치(10)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제어하여 각 제1유압실린더(115), 제2유압실린더(161), 제3유압실린더(172), 제1유압모터(126), 제2유압모터(155), 톱회전모터(145) 들을 리모컨수단(미도시)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입모터(177)도 리모컨수단(미도시)을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리모컨수단(미도시) 뿐 아니라, 자동설정된 프로그램을 탑재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각 구성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리모컨수단(미도시)을 통해 조작하여 지지판(170)이 슬래브(s)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s)를 커팅한 후, 슬래브 조각(s1)을 하강시시킬 수도 있고, 자동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업자 없이도 자동적으로 지지판(170)이 슬래브(s)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s)를 커팅하고, 커팅된 슬래브 조각(s1)을 하강시킨 다음, 지게차 이용해 커팅된 슬래브 조각(s1)를 이동 반출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 철거장치(10)를 이용한 슬래브 철거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슬래브철거장치(10)를 이동시켜 철거할 슬래브(s) 부분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제1유압실린더(115)가 구동되어, 테이블리프트유닛(110)의 상판부(114)가 상승하여 슬래브커팅유닛(140)의 원형회전톱(143)이 슬래브(s) 저면에 근접된다(S10).
다음으로, 슬래브커팅유닛(140)이 구동되어 원형회전톱(143)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161)의 구동에 따라 원형회전톱(143)이 상승하여 슬래브(s)를 침투하고 이후에는 원형회전톱(143)의 상단이 슬래브(s)의 상단을 관통하게 되며, 이후, 각각의 제2유압모터(155)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원형회전톱(143)이 소정길이 전진하면서 슬래브(s)를 절단하여 도 7 (a)와 같이 슬래브(s)에 한 쌍의 1차커팅라인(c1)을 형성하게 된다(S20).
다음으로, 원형회전톱(143)이 정지되고, 제2유압실린더(161)의 구동에 따라 슬래브커팅유닛(140)이 하강하여 원형회전톱(143)이 슬래브(s)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회제1유압모터(126)의 구동에 따라 회전판(123)이 90도 회전하게 된다(S30).
다음으로, 제3유압실린더(172)의 구동에 따라 지지판(170)이 상승하여 슬래브(s)의 저면에 밀착지지하게 된다(S40).
다음으로, 흡입모터(177)의 구동에 의해 흡착공(170a)의 흡착공기에 의해 슬래브(s)가 흡착되어 지지판(170)이 슬래브(s)를 흡착고정하게 된다(S50).
다음으로, 슬래브커팅유닛(140)이 구동되어 원형회전톱(143)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161)의 구동에 따라 원형회전톱(143)이 상승하여 슬래브(s)를 침투하고 이후에는 원형회전톱(143)의 상단이 슬래브(s)의 상단을 관통하게 되며, 이후, 각각의 제2유압모터(155)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원형회전톱(143)이 소정길이 전진하면서 슬래브(s)를 절단하여 도 7 (b)와 같이 슬래브(s)에 한 쌍의 1차커팅라인(c1)과 직교 교차되는 제2커팅라인(c2)을 형성하게 된다(S60). 이렇게 제1커팅라인(c1)과 제2커팅라인(c2)이 교차형성됨으로써, 슬래브(s)에서 분리되는 슬래브 조각(s1)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슬래브 조각(s1)의 하면을 지지판(170)이 흡착고정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115)가 구동되어 상부판(114)이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S70).
다음으로, 흡입모터(177)가 정지된 상태에서, 지게차의 포크(미도시)를 슬릿홈(170d)에 삽입하여 슬래브 조각(s1)을 들어올린 후, 지게차를 이동하여 반출위치로 옮김으로써 슬래브 조각(s1)에 대한 철거가 완료되게 된다(S80).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슬래브(s) 전체영역의 철거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공법은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하여 슬래브(s)로부터 절단되는 슬래브 조각(s1)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커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커팅작업이 이루질 수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인양줄을 결속하기 위한 홀을 천공할 필요도 없고, 홀에 인양줄을 결속하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철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래브(s)의 하면을 지지판(170)이 흡착한 상태에서 2차 커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슬래브(s)로부터 슬래브 조각(s1)이 안정적으로 절단될 수 있으며, 커팅된 슬래브 조각(s1)을 지지판(170)이 흡착한 상태에서 테이블리프트유닛(110)의 상판부(114)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슬래브 조각(s1)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슬래브 조각(s1)이 지지판(170)에서 덜컹거리거나 지지판(17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작업이 이루지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슬래브커팅유닛(140)이 직선으로 1차 이동하여 한 쌍의 1차커팅라인(c1)을 형성하고, 회전판(123)이 90도 회전한 다음, 다시 한 쌍의 슬래브커팅유닛(140)이 직선으로 2차 이동하여 한 쌍의 1차커팅라인(c1)에 직교 교차되는 2차 커팅라인(c2)을 형성해 줌으로써 슬래브 조각(s1)이 커팅되어 슬래브(s)에서 분리되는 방식이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슬래브커팅유닛(140)의 장착수를 줄일 수 있어 장비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인양줄을 결속하기 위한 홀을 천공할 필요도 없고, 홀에 인양줄을 결속하기 위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슬래브 철거장치(10)를 통해 슬래브(s) 하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s)를 커팅하고 하강시키는 슬래브(s)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커팅작업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설계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동실행되거나 슬래브 철거장치(10)에서 떨어져 있는 작업자가 간접적으로 리모콘수단을 이용해 원격제어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줄여 안전한 철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유압식 케이블리프트유닛
111...하판부
113...링크부
114...상판부
115...제1유압실린더
118...이송용바퀴
121...회전테이블
122...고정판
123...회전판
125...지지대
126...제1유압모터
131...안내레일
133...수평이동부재
134...수직바
140...슬래브커팅유닛
141...케이싱
143...원형회전톱
145...톱회전모터
151...래크
153...피니언
155...제2유압모터
161...제2유압실린더
170...지지판
172...제3유압실린더
177...흡입모터
178...플렉시블호스

Claims (2)

  1. 지면에 지지되는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의 상부에 이격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연결하는 링크부와, 상기 하판부와 상기 링크부를 연결하며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관절운동시켜 상기 상판부를 승강시키는 제1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
    상기 상판부의 상부에 지지대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대해 90도 회전동작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진 회전테이블;
    상기 상판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에 대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제1유압모터;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
    상기 한 쌍의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바를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이동부재;
    상기 안내레일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래크;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2유압모터;
    상기 제2유압모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에 기어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부재를 직선이동시키는 피니언;
    상기 수직바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를 향해 원형회전톱을 구비하며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슬래브를 절단하는 슬래브커팅유닛;
    일단은 상기 수평이동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에 고정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을 상하이동시키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판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에 의해 절단된 상기 슬래브를 하강시키며, 상면에 복수의 제1흡착공과, 하면에 하나의 공기배출공과,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1흡착공과 상기 하나의 공기배출공을 연결시키는 연결유로가 구비되며, 상면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된 지지판;
    일단은 상기 회전판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상기 회전판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3유압실린더;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모터; 및,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공기배출공을 연결하여 복수의 제1흡착공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을 흡착하여 상기 지지판에 상기 슬래브가 흡착고정되게 하는 플렉시블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철거장치.
  2. 제 1 항에 기재된 슬래브 철거장치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철거하는 슬래브 철거공법으로서,
    a) 상기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유닛의 상판부가 상승하여 상기 슬래브커팅유닛의 상기 원형회전톱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에 근접하는 단계;
    b) 상기 원형회전톱이 회전구동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슬래브를 침투하고 상기 원형회전톱의 끝단이 상기 슬래브를 관통한 후,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원형회전톱이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슬래브를 절단하여 한 쌍의 제1커팅라인을 형성하는 1차커팅단계;
    c) 상기 원형회전톱이 원상태로 하강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고정판에 대해 90도 회전하는 단계;
    d) 상기 지지판이 상승하여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슬래브의 저면을 지지하는 단계;
    e) 상기 흡입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복수의 제1흡착공을 통해 상기 슬래브가 흡착되어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슬래브를 흡착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슬래브가 상기 지지판 위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 흡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원형회전톱이 회전구동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상기 슬래브를 침투하고 상기 원형회전톱의 끝단이 상기 슬래브의 상단을 관통한 후, 상기 수평이동부재의 직선이동에 따라 상기 원형회전톱이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슬래브를 절단하여 한 쌍의 제1커팅라인과 직교 교차되는 한 쌍의 제2커팅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래브에서 사각형의 슬래브 조각이 분리되는 2차커팅단계;
    g) 상기 지지판이 원위치로 하강하고, 상판부가 원위치로 하강하는 단계;
    h) 상기 흡입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홈을 통해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여 지게차로 상기 슬래브조각을 반출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철거공법.

KR1020160060341A 2016-05-17 2016-05-17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KR10170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41A KR101700559B1 (ko) 2016-05-17 2016-05-17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341A KR101700559B1 (ko) 2016-05-17 2016-05-17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559B1 true KR101700559B1 (ko) 2017-01-26

Family

ID=5799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341A KR101700559B1 (ko) 2016-05-17 2016-05-17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5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560B1 (ko) 2019-11-14 2020-05-28 성도건설산업㈜ 하이테크 리모델링 현장의 친환경 고효율 슬래브 절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절단방법
KR102297785B1 (ko) * 2021-07-14 2021-09-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공동주택의 층고확장 및 층간소음 저감형 리모델링 골조 시공방법
KR102583733B1 (ko) * 2023-03-03 2023-09-27 백도 마이크로시멘트 균열 보수재를 이용한 누수 방수장치 및 콘크리트 보강 방법
CN117266626A (zh) * 2023-11-23 2023-12-22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梁板同步拆除的高层建筑顶层楼板拆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68A (ko) * 2001-11-17 2003-05-23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스트립 절단기의 분해 수리용 유압실린더 롤링장치
JP2006110969A (ja) * 2004-10-14 2006-04-27 Koichi Nakayam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切断装置及び切断解体工法
JP3789562B2 (ja) * 1996-08-12 2006-06-28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装着装置
KR100858401B1 (ko) * 2008-02-11 2008-09-11 황준태 유로폼 적층장치 및 그 적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9562B2 (ja) * 1996-08-12 2006-06-28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装着装置
KR20030040968A (ko) * 2001-11-17 2003-05-23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스트립 절단기의 분해 수리용 유압실린더 롤링장치
JP2006110969A (ja) * 2004-10-14 2006-04-27 Koichi Nakayam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切断装置及び切断解体工法
KR100858401B1 (ko) * 2008-02-11 2008-09-11 황준태 유로폼 적층장치 및 그 적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560B1 (ko) 2019-11-14 2020-05-28 성도건설산업㈜ 하이테크 리모델링 현장의 친환경 고효율 슬래브 절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절단방법
KR102297785B1 (ko) * 2021-07-14 2021-09-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공동주택의 층고확장 및 층간소음 저감형 리모델링 골조 시공방법
KR102583733B1 (ko) * 2023-03-03 2023-09-27 백도 마이크로시멘트 균열 보수재를 이용한 누수 방수장치 및 콘크리트 보강 방법
CN117266626A (zh) * 2023-11-23 2023-12-22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梁板同步拆除的高层建筑顶层楼板拆除方法
CN117266626B (zh) * 2023-11-23 2024-04-05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梁板同步拆除的高层建筑顶层楼板拆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559B1 (ko) 슬래브 철거공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 철거장치
CN105620148B (zh) 一种多功能雕刻机
CA2903613C (en) Safety mechanism for scissors lift assembly
JP5536583B2 (ja) 壁構造体の切断装置及び切断・解体方法
KR102412165B1 (ko) 천정 드릴링 장치
JP5991009B2 (ja) コンクリートバイブレータ支持装置
KR101922324B1 (ko) 천정 리프트 업 시공 방법
KR20150081503A (ko) 고소 안전 작업대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JP3178279U (ja) スライドダウン装置
KR20200055421A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의 홀 가공장치
JP6261887B2 (ja) 把持切断装置
KR20120094997A (ko) 앵글용 절단기
KR20180085639A (ko)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JP5718018B2 (ja) 建築物の解体工法
JP6669524B2 (ja) インバートコンクリート施工装置
JP2016060123A (ja) チェーンソー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
JP6055616B2 (ja) 建物の養生装置及び養生方法
KR102059062B1 (ko) 자동 용접 장치
KR101820897B1 (ko) 건축구조물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 방법
US3659392A (en) Brick-laying machine
KR200366291Y1 (ko)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JP5817285B2 (ja) 切削装置、切削方法、及び構造物の解体方法
CN104260210B (zh) 岩石锯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