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324A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324A
KR20100045324A KR1020080104453A KR20080104453A KR20100045324A KR 20100045324 A KR20100045324 A KR 20100045324A KR 1020080104453 A KR1020080104453 A KR 1020080104453A KR 20080104453 A KR20080104453 A KR 20080104453A KR 20100045324 A KR20100045324 A KR 2010004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ft
aerial platform
aerial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659B1 (ko
Inventor
신봉헌
최승진
김대경
이현철
천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소 등 작업현장의 바닥면에 공작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지그가 설치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와, 작업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리프트와, 상면에 리프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와, 복수의 다리 각각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바퀴와, 작업대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롤러를 포함하되, 복수의 다리가 설치된 베이스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다수의 받침지그 보다 높은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으로써, 작업현장에 설치된 받침지그를 철거 또는 재설치 하지 않고도 고소작업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고소작업대, 리프트, 받침지그

Description

고소작업대{ELEVATING WORK PLATFORM}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선소 등 작업현장의 바닥면에 공작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받침지그가 설치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대는 높은 장소에서의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 작업이 행해지는 위치까지 작업자를 들어올려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현재 다양한 형상, 구조 및 원리의 고소작업대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특수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기능을 부가한 고소작업대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선박 또는 항공기 등 대형 제품을 생산하는 작업현장에서는 제작 과정에서 작업현장 바닥면으로부터 높은 곳의 용접, 그라인딩 및 페인팅 보수 작업 등을 위해 고소작업대가 사용된다.
그런데, 선박 또는 항공기 등 대형 제품을 조립하는 작업현장에서는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받침지그를 작업현장의 바닥에 설치하므로, 받침지그들 사이로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며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받침지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받침지그(10)의 몸체(11)의 일부분에는 받침지그(10)가 작업현장의 바닥면에 직립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편(12)이 설치된다. 몸체(11)의 상부에는 지지봉(13)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봉(13)의 상단부에는 구형두부(15)가 나사결합 된다. 지지봉(13)에는 복수의 걸림공(1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구형두부(15)에는 공구(17)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구(16)가 형성된다.
받침지그(10)가 지지하는 부품(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어 대형 선박의 일부분인 블록(block)과 같은 부품(도시되지 않음)은 곡면 형상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받침지그(10)를 이용하여 부품(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할 때에는 복수의 받침지그(10) 간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받침지그(10)가 사용될 높이에 적당하게 지지봉(13)을 몸체(11)로부터 인출한 다음, 고정핀(도시되지 않음)을 걸림공(14)에 삽입하여 지지봉(13)이 몸체(1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공구(17)를 구형두부(15)에 형성된 공구삽입구(16)에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구형두부(15)가 지지봉(13)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받침지그(10)의 전체적인 높이를 필요한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구형두부(15)에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받침대(도시되지 않음)를 더 설치하여, 부품(도시되지 않음)이 구형두부(15)에 직접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항공기와 같은 대형 제품을 조립하는 작업현장에는 바닥면에 다수의 받침지그(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받침지그(10)에 의해 지지되는 부품의 자중 및 형상에 따라 다수의 받침지그(10) 사이의 간격이 좁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는 받침지그(10)들 사이로 고소작업대(도시되지 않음)를 이동시키며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현장에서 고소작업대(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받침지그(10)를 먼저 철거한 후에 고소작업대를 사용할 수 있고, 이후 다시 받침지그(10)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고소작업대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의 작업을 수행할 때에 고소작업대가 흔들리면서 작업물과 고소작업대의 상단부가 충돌하여 작업물의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현장에 설치된 받침지그를 철거 또는 재설치 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은 자유로우면서도 작업 중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받침지그가 바닥면에 설치된 작업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소작업대로서, 작업대와, 작업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리프트와, 상면에 리프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와, 복수의 다리 각각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 및 작업대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롤러를 포함하되, 복수의 다리가 설치된 베이스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다수의 받침지그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는 다수의 리프트 암이 X자형으로 힌지 연결되어 승강실린더에 의해 신장 및 단축되는 펜터그래프(pantograph)형 리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및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전대와, 운전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를 포함하되, 구동바퀴는 운전대에 의해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다리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아우트리거(outrigger)를 더 포함하되, 아우트리거는 펼쳐지는 길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소작업대에는 복수의 바퀴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브레이크를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접촉롤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복수의 접촉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 또는 리프트의 하강이 정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접촉롤러의 소재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일 수 있고, 이동부 및 복수의 접촉롤러 사이에 개재되는 암을 더 포함하되, 암은 신축 및 접철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외측 핸드레일(handrail)과, 이동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내측 핸드레일과, 내측 핸드레일의 일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출입문과,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와,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출입문의 잠김 및 리프트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내측 핸드레일의 상단부는 외측 핸드레일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내측 핸드레일에는 도구 거치대 및 안전 걸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퀴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다리가 작업현장에 설치된 받침지그 보다 높으므로, 받침지그를 철거하지 않고도 고소작업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복수의 아우트리거를 이용하여 고소작 업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롤러에 의해 작업대가 작업물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물의 표면에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200)는 크게 주행부(210), 리프트(230) 및 작업대(250)로 구성된다.
주행부(210)는 고소작업대(200)를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베이스부(211)의 상면에 리프트(230)가 설치된다. 베이스부(211)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다리(212, 214)가 설치되고, 복수의 다리(212, 214) 각각의 하단부에는 바퀴(213, 215)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200)에는 4개의 다리(212, 214)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리의 수는 고소작업대(200)에 적재되는 장비(도시되지 않음) 등의 하중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211)의 일측에 설치된 다리(212)의 하단부에는 각각 고정바 퀴(213)가 설치된다. 고정바퀴(213)는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되어 있어서,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수평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부(211)의 타측에 설치된 다리(214)의 하단부에는 각각 조향바퀴(215)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향바퀴(215)는 바닥면에 대하여 회전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회전된다.
이때, 다리(212, 214)는 베이스부(211)의 상면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베이스부(211)의 타측에 설치된 다리(214) 중 어느 하나에는 운전대(217)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다리(214)와 인접하게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운전대(217)의 하단부에는 구동바퀴(216)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운전손잡이(218)가 설치된다.
구동바퀴(216)에는 전동기(도시되지 않음) 및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데, 작업자(도시되지 않음)는 이를 이용하여 주행부(2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운전대(217)의 수평방향의 회전에 따라 구동바퀴(216)의 구동방향이 정해지며, 구동바퀴(216)의 구동 및 정지 여부는 운전손잡이(218)로 조절할 수 있다. 운전손잡이(218)에는 구동바퀴(216)의 정회전, 역회전, 회전속도 및 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여기서,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고소작업대(200)를 이동시키는 도중에 운전대(217)의 수평방향 각도를 변경시켜 구동바퀴(216)의 방향이 변경되면, 조향바퀴(2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21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 치되어 있으므로, 조향바퀴(215) 또한 구동바퀴(216)가 향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도시되지 않음)는 운전손잡이(218)를 이용하여 고소작업대(200)의 이동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소작업대(2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정지시킬 수 있다. 고소작업대(200)를 이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운전손잡이(218)를 다리(214) 부근으로 접철하여 다른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이동 및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2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장박스(219) 내부에는 배터리 및 제어장치 등이 설치되어, 운전손잡이(218)의 레버(도시되지 않음) 외에 고소작업대(200)의 다른 곳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동기(도시되지 않음) 및 유압펌프(도시되지 않음)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리프트(230)는 다수의 리프트 암(235)의 양단부 및 중간 부분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일부의 리프트 암(235)에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231) 및 승강로드(232)가 연결된다.
승강로드(232)는 일단부가 승강실린더(231) 내부로 삽입되어, 통상 유압에 의하여 신장 또는 단축될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이다.
따라서, 승강실린더(231) 및 승강로드(232)가 신장되면 리프트(230)도 신장되고, 승강실린더(231) 및 승강로드(232)가 단축되면 리프트(230)도 단축된다. 즉, 리프트(23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펜터그래프형 리프트 또는 시저 리프트(scissor lift)로 칭해지는 것으로서, 고소작업대(200)가 사용되는 작업현장의 높이에 따라 리프트 암(235), 승강실린더(231) 및 승강로드(232)의 길이 및 수가 가감될 수 있다.
팬터그래프형 리프트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펜터그래프형 리프트 자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200)에는 펜터그래프형 리프트(230)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방식의 리프트도 사용될 수 있다.
리프트(230)의 상부에는 작업대(250)가 설치된다.
작업대(250)는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 작업대(250)에는 리프트(230)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부(251)와, 고정부(251)로부터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261)가 포함된다. 고정부(251) 및 이동부(261)의 슬라이딩 이동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부(261)의 전방 상측 양쪽에는 각각 상측 접촉 감지부(270)가 설치되고, 이동부(261)의 전방 하측 양쪽에는 각각 하측 접촉 감지부(280)가 설치된다. 상측 접촉 감지부(270) 및 하측 접촉 감지부(28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작업대(250)에는 작업자(도시되지 않음)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및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작업상 편의를 위한 장치가 부가될 수 있다. 작업자(도시되지 않음)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로는 외측 핸드레일(252), 내측 핸드레일(262) 및 안전 걸이(263) 등이 있고,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편의를 위한 장치로는 도구 거치대(264) 및 작업용 받침대(도시되지 않음) 등이 있다.
외측 핸드레일(252)은 고정부(251)의 전방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내측 핸드레일(262)은 이동부(26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작업대(250)에 탑승한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작업 중에 기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내측 핸드레일(262)의 상단부는 외측 핸드레일(252)의 상단부를 덮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손이 외측 핸드레일(252) 및 내측 핸드레일(262)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 걸이(263)는 내측 핸드레일(262)의 안쪽에 복수로 설치되어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몸에 연결된 안전벨트(도시되지 않음)를 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작업대(250) 바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핸드레일(262) 중 이동부(261)의 전방부 측은 다른 방향에 비해 높이가 낮게 설치된다. 이는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나,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추락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핸드레일(262)의 전방부에는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261)의 바닥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강판이나 고무판과 같은 미끄럼 방지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작업 도중 넘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구 거치대(264)는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동시에 복수의 도구(도 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예를 들어 용접 및 용접 스케일 제거를 동시에 할 경우, 용접기(도시되지 않음)를 도구 거치대(264)에 일시적으로 거치한 후에 도구 거치대(264)에 앞서 거치되어 있던 스크레이퍼(도시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용접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사용하던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바꾸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는 등 부가적인 동작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61)의 바닥면 일측에는 앞에서 언급한 작업용 받침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용 받침대(도시되지 않음)는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 또는 부품 등을 얹어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도구 또는 부품 등을 집기 위하여 많은 동작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용 받침대(도시되지 않음)에 서랍(도시되지 않음)을 더 설치하여 작업에 사용되는 소모품 또는 식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고소작업대(200)에 탑승한 후에 장시간 작업에 임하게 할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부호는 내측 핸드레일(262)의 일측 후방에 설치된 출입문(267)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작업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대(250)에는 고정부(251) 및 고정부(251)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261)가 포함된다.
고정부(251)의 저면에는 브라켓(255)이 설치되고, 브라켓(255)에는 신축실린 더(25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동부(261)의 저면에는 브라켓(255a)이 설치되고, 브라켓(255a)에는 신축로드(254)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때, 신축로드(254)는 타단부가 신축실린더(253)의 타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신장 또는 단축될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이다. 통상 신축로드(254) 및 신축실린더(253)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복동식 유압 장치가 사용된다.
따라서, 신축로드(254) 및 신축실린더(253)가 신장되면 이동부(261)가 고정부(251)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신축로드(254) 및 신축실린더(253)가 단축되면 이동부(261)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부(251) 내로 이동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부(261)의 저면 양측 및 고정부(251)의 상응하는 위치에는 신축로드(254) 및 신축실린더(253)가 신장 또는 단축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부(261)를 고정부(25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작업대(250)에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내측 핸드레일(262)의 일측 후방에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외측 핸드레일(252)에는 개방부(257)가 형성되는데, 개방부(257)의 위치는 이동부(261)가 고정부(251)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았을 때 출입문(도 2의 267 참고)과 같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부(257) 및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통하여 작업대(250)에 탑승할 수 있다.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에는 개폐를 단속하는 자동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작업대(250)에 탑승한 후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닫으면, 개폐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이를 감지하고 자동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이 작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의도와 상관없이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통하여 작업대(250)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작업을 종료한 후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출입문(도 2의 267 참조) 주위에 설치된 개방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 자동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가 용접, 연마, 도장 등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개폐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로는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오작동 할 가능성이 높은 적외선 센서 또는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 보다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식 센서를 사용하여 오작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개폐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 및 개방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오작동에 대비하기 위하여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수동으로 잠글 수 있도록 출입문(도 2의 267 참조) 안쪽에 빗장(도시되지 않음)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는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이 잠긴 상 태가 아닐 때에는 리프트(도 2의 230 참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통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이 잠긴 것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부(261) 또한 고정부(251)에 대해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도시되지 않음)가 개방부(257) 및 출입문(도 2의 267 참조) 사이에 끼이거나,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261)의 전방 상측에는 상측 접촉 감지부(270)가 설치되고, 이동부(261)의 전방 하측에는 하측 접촉 감지부(280)가 설치된다. 상측 접촉 감지부(270) 및 하측 접촉 감지부(280)에 대해서는 각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도 3에 A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측 접촉 감지부(270)는 이동부(도 2의 261 참조)의 내측 핸드레일(26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내측 핸드레일(262)의 상단부에는 브라켓(279)이 설치된다. 브라켓(279)에는 중공 암(276)의 일단부가 삽입되는데, 회동핀(277)이 브라켓(279) 및 중공 암(276)의 일단부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회동핀(277)에 의해 중공 암(276)의 일단부가 브라켓(279)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브라켓(279)의 회동핀(277)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내측 핸드레일(2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핀(278)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핀(278)은 회동핀(277)과 같이 중공 암(276)의 일단부를 브라 켓(279)과 함께 관통하여, 중공 암(276)이 브라켓(279)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고정핀(278)의 분실 방지를 위하여, 고정핀(278)의 일단부는 내측 핸드레일(262)과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중공 암(276)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 암(273)의 일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라이딩 암(273)에는 복수의 고정공(27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중공 암(276)의 타단부(276)에는 고정핀(275)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고정핀(275)은 중공 암(276) 및 슬라이딩 암(273)을 함께 관통하여, 슬라이딩 암(273)이 중공 암(276)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고정핀(275)의 분실 방지를 위하여, 고정핀(275)의 일단부는 중공암(276) 또는 내측 핸드레일(262)과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암(273)의 타단부에는 센서 커버(272)가 설치된다. 센서 커버(272) 내부에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접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에는 접촉롤러(271)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접촉롤러(271)는 센서 커버(272) 보다 슬라이딩 암(273)의 타단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접촉롤러(271)의 소재로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와 같이 다른 물체의 표면과 접촉하였을 때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측 접촉 감지부(270)는 고정핀(275)을 인출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암(273)을 중공 암(276) 내로 삽입하거나 반대로 인출한 후 고정핀(275)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접촉롤러(271) 및 내측 핸드레일(26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 다. 즉, 암(273, 276)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상측 접촉 감지부(27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핀(278)을 인출하고 중공 암(276)을 브라켓(279)에 대하여 회동시켜 중공 암(276)이 수직 하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이동시킬 경우, 상측 접촉 감지부(270)를 수직 하방으로 접철 시켜 상측 접촉 감지부(270)가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측 접촉 감지부(27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도 3에 B로 표시한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측 접촉 감지부(280)는 이동부(26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이동부(261)의 하단부에는 센서 커버(282)가 설치되고, 센서 커버(282) 내부에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접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에는 접촉롤러(281)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접촉롤러(281)는 센서 커버(282) 보다 이동부(261)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접촉롤러(281)의 소재로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와 같이 다른 물체의 표면과 접촉하였을 때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하측 접촉 감지부(27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사용상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받침지그(10)가 설치된 선박 또는 항공기 등의 대형 제품(도시되지 않음)을 제조하는 작업현장에서 작업자(240)가 고소에 위치한 작업물(220)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장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바퀴(도 2의 213, 215 참조) 및 바퀴(도 2의 213, 215 참조)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 다리(212, 214)의 전체 높이, 즉 작업현장의 바닥면으로부터 베이스부(도 2의 211 참조)까지의 높이는 받침지그(10) 보다 높아서, 주행부(210)가 받침지그(10)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주행부(210) 위에 설치된 리프트(230)는 작업대(250)에 탑승한 작업자(240)가 고소에 위치한 작업물(220)에서 작업을 행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261)는 고정부(25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작업자(240)가 작업물(220)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되어있다.
여기서, 작업물(220)에는 상측 접촉 감지부(270)의 접촉롤러(도 4의 271 참조) 및 하측 접촉 감지부(280)의 접촉롤러(도 5의 281 참조)가 접촉되어 있다.
상측 접촉 감지부(270) 및 하측 접촉 감지부(280)는 각각 내장된 접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접촉롤러(도 4의 271, 도 5의 281 참조)가 작업물(220)과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접촉 감지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접촉롤러(271, 281) 중 어느 하나가 작업물(220)과 접촉된 것이 감지되면, 이동부(261)가 고정부(251)로부터 전방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하거나, 리프트(230)가 하강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측 접촉 감지부(270) 및 하측 접촉 감지부(280)는 이동부(261)와 작업물(22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물(220)의 표면을 보호한다.
한편, 접촉롤러(도 4의 271, 도 5의 281 참조)가 작업물(220)에 접촉되면, 이동부(261)가 고정부(251) 외에 작업물(220)에 의해서도 지지되므로, 작업자(240)는 작업대(250) 위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접촉롤러(도 4의 271, 도 5의 281 참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와 같이 다른 물체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었으므로, 작업물(22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접촉롤러(도 4의 271, 도 5의 281 참조)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240)의 움직임에 따라 작업대(250)가 다소 흔들리더라도 작업물(220)의 표면을 따라 상하로 구르면서 이동되므로, 작업물(22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접촉 감지부(270)는 접촉롤러(도 4의 271 참조)로부터 이동부(261)까지의 거리, 즉 상측 접촉 감지부(27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240)는 작업물(220)의 형상에 맞게 상측 접촉 감지부(270)의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에 용이한 이동부(261) 및 작업물(220) 사이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200)는 다수의 받침지그(10)가 설치된 작업현장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받침지그(10)를 철거 및 재설치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롤러(261, 263)에 의해 작업대(250)가 작업물(22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작업물(220)의 표면에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도 2의 211 참조)의 높이는 받침지그(10) 보다 높으므로, 작업자(240)가 출입문(도 2의 267 참조)을 통하여 작업대(250)에 탑승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사다리(도시되지 않음)가 주행부(210) 또는 작업대(25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다리(도시되지 않음)는 접철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 고소작업대(200)가 이동할 경우, 사다리(도시되지 않음)의 하단부가 받침지그(10)와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접철된 사다리(도시되지 않음)가 이동 중에 펼쳐져서 주변의 작업자(도시되지 않음) 또는 받침지그(10)와 충돌하지 않도록 접철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51) 및 고정부(251)에 설치된 외측 핸드레일(도 2의 252 참조)에는 출입문(도 2의 267)을 통하여 탑승하는 작업자(240)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되어, 작업자(240)가 작업대(250)에 용이하게 탑승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소작업대(200)에는 경적(도시되지 않음) 또는 경광등(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고소작업대(200)를 이동시킬 때 주변의 다른 작업자들(도시되지 않음)의 주의를 환기시켜 고소작업대(200)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소작업대(200)는 옥외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비 또는 눈,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각 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특히 전동기 (도시되지 않음) 및 전장박스(도 2의 219 참조)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 설비를 부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고소작업대(200)의 각종 부품들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들(도시되지 않음)은 고소작업대(200)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전선들(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되거나 전선들(도시되지 않음)이 받침지그(10)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다리에 아우트리거가 부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의 다리(212)에 아우트리거(290)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212)의 일측에는 회전지지부(296)가 설치된다. 회전지지부(296)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고정공(297)이 그 중심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지지부(296)에는 중공지지대(294)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회동핀(296a)이 회전지지부(296) 및 중공지지대(294)를 함께 수직으로 관통하며 설치되어, 중공지지대(294)는 회전지지부(296)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한편, 중공지지대(294)에는, 일단부는 중공지지대(294)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회전지지부(296)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공(297)을 커버하는 브라켓(298)이 설치된다. 그리고, 브라켓(298)의 타단부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고정나사(299)가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나사(299)를 하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시켜 고정나사(299)의 단부가 고정공(297)에 삽입되도록 하면, 중공지지대(294)가 회전지지부(296)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나사(299)를 이용하여 중공지지대(294)가 특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중공지지대(294)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딩 지지대(292)의 일단부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슬라이딩 지지대(292)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공(293)이 형성되고, 중공지지대(294)의 타단부 일측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 삽입 또는 인출되는 고정나사(295)가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나사(295)를 하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시켜 고정나사(295)의 단부가 고정공(293)에 삽입되도록 하면, 슬라이딩 지지대(292)가 중공지지대(294)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고정나사(295)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지지대(292)가 중공지지대(294)로부터 인출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슬라이딩 지지대(292)의 타단부에는 접지부(291)가 설치된다. 접지부(291)는 슬라이딩 지지대(292)를 작업현장의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핸들(291a), 나사봉(291b), 접지판(291c)로 구성된 접지부(291)를 사용할 수 있다.
나사봉(291b)은 슬라이딩 지지대(292)의 타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데, 나사봉(291b)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291b)이 슬라이딩 지지대(292)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된다.
나사봉(291b)의 상단부에는 고정핸들(291a)이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접지 판(291c)이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핸들(291a)을 이용하여 접지판(291c)이 작업현장 바닥면을 지지하게 하거나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아우트리거(290)는, 고정나사(295, 299)를 이용하여 다리(212)로부터 접지판(291c)까지의 거리 및 아우트리거(290)가 다리(212)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주행부(210)에 설치된 복수의 다리(도 2의 212, 214 참조) 각각에 아우트리거(290)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아우트리거(29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게 설치하면,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할 때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는 다수의 받침지그(도 5의 10 참조)가 설치된 작업현장뿐만 아니라, 각종 생산장비(도시되지 않음) 및 테스트 장비(도시되지 않음) 등의 장애물이 바닥면에 설치된 작업현장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고정핸들(도 7의 291a 참조)을 회전시켜 접지판(도 7의 291c 참조)을 작업현장의 바닥면으로부터 들어올리고, 고정나사(도 7의 295 참조)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지지대(도 7의 292 참조)가 중공지지대(도 7의 294)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도록 하며, 고정나사(도 7의 299 참조)를 이용하여 중공지지대(294)가 주행부(210) 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아우트리거(290)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210)의 양측에 인접하도록 하여 고소작업대(도 2의 200)를 작업현장 내에서 이동시킬 때 받침지그(도 5의 10 참조), 생산장비(도시되지 않음) 및 테스트 장비(도시되지 않음)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의 다리(도 2의 212, 214 참조)에 유압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을 부가하여 그 높이가 신축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받침지그(도 5의 10 참조)가 설치되지 않은 작업현장에서는 베이스부(211)의 높이를 낮춰서 더욱 안정적으로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사용할 수 있고, 받침지그(도 5의 10 참조)의 높이가 다양할 경우에도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소작업대(도 2의 200 참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 바퀴(도 2의 213, 215)에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차륜지(車輪止, scotch,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받침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작업대 부분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A로 표시한 부분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B로 표시한 부분의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다리에 아우트리거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에 설치된 아우트리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고소작업대 210 : 주행부
212, 214 : 다리 217 : 운전대
218 : 운전손잡이 219 : 전장박스
230 : 리프트 250 : 작업대
251 : 고정부 252 : 외측 핸드레일
261 : 이동부 262 : 내측 핸드레일
270 : 상측 접촉 감지부 280 : 하측 접촉 감지부
290 : 아우트리거

Claims (12)

  1. 다수의 받침지그가 바닥면에 설치된 작업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소작업대로서,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리프트;
    상면에 상기 리프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
    상기 복수의 다리 각각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다리가 설치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다수의 받침지그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이동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다수의 리프트 암이 X자형으로 힌지 연결되어 승강실린더에 의해 신장 및 단축되는 펜터그래프형 리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및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전대; 및
    상기 운전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바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운전대에 의해 구동여부 및 구동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아우트리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펼쳐지는 길이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퀴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롤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접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접촉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 또는 상기 리프트의 하강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롤러의 소재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및 상기 복수의 접촉롤러 사이에 개재되는 암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암은 신축 및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외측 핸드레일;
    상기 이동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내측 핸드레일;
    상기 내측 핸드레일의 일측면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출입문;
    상기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 및
    상기 개폐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출입문의 잠김 및 상기 리프트의 작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핸드레일의 상단부는 상기 외측 핸드레일의 상단부를 커버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핸드레일에 설치되는 도구 거치대 및 안전 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1020080104453A 2008-10-23 2008-10-23 고소작업대 KR10103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53A KR101036659B1 (ko) 2008-10-23 2008-10-23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453A KR101036659B1 (ko) 2008-10-23 2008-10-23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324A true KR20100045324A (ko) 2010-05-03
KR101036659B1 KR101036659B1 (ko) 2011-05-25

Family

ID=4227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453A KR101036659B1 (ko) 2008-10-23 2008-10-23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963B1 (ko) * 2010-07-09 2011-01-14 (주)에이원렌탈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101358679B1 (ko) * 2012-09-11 2014-02-11 주식회사 호룡 붐 결합 힌지 조립장치
KR20140083186A (ko) * 2012-12-24 2014-07-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터널작업구조물
CN104005546A (zh) * 2014-05-08 2014-08-27 中航飞机股份有限公司西安飞机分公司 一种可移动的工作梯
CN107447972A (zh) * 2017-08-16 2017-12-08 苏州市名志金属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升降台
CN107916771A (zh) * 2017-11-16 2018-04-17 郑州诚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便捷活动装修平台
JP2019011159A (ja) * 2017-06-29 2019-01-24 ハイランドテクノ株式会社 高所作業車用カバー
CN111749449A (zh) * 2020-07-18 2020-10-09 奉剑雄 一种方便组合式建筑架板
CN112360126A (zh) * 2020-11-25 2021-02-12 刘启聪 一种建筑用自动脚手架
CN113187210A (zh) * 2021-04-26 2021-07-30 安徽双凤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施工用施工平台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342B1 (ko) * 2013-02-15 2013-11-15 김진하 중장비용 안전장치
KR101483518B1 (ko) * 2013-10-07 2015-01-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터널용 입체프레임 구조물
CN105672636B (zh) * 2015-11-19 2018-02-02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室内施工用升降装置
KR20160132793A (ko) 2016-11-01 2016-11-21 한국렌탈주식회사 고소작업용 리프터의 작동 제어방법
KR102153124B1 (ko) * 2018-12-31 2020-09-07 (주)대성티엠씨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KR102153118B1 (ko) * 2018-12-31 2020-09-07 (주)대성티엠씨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KR102411511B1 (ko) 2020-09-22 2022-06-21 어수학 자이로스코프와 작업물고정체를 장착시킨 고소작업용 전동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657Y2 (ja) * 1991-09-24 1997-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高所作業車の作業台
JP3000901B2 (ja) * 1995-08-24 2000-01-17 日本鋼管株式会社 高所作業構台
JP2006131370A (ja) * 2004-11-08 2006-05-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高所作業車の移動バケットの安全装置
KR20080039329A (ko) * 2007-12-26 2008-05-07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고소작업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963B1 (ko) * 2010-07-09 2011-01-14 (주)에이원렌탈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101358679B1 (ko) * 2012-09-11 2014-02-11 주식회사 호룡 붐 결합 힌지 조립장치
KR20140083186A (ko) * 2012-12-24 2014-07-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터널작업구조물
CN104005546A (zh) * 2014-05-08 2014-08-27 中航飞机股份有限公司西安飞机分公司 一种可移动的工作梯
JP2019011159A (ja) * 2017-06-29 2019-01-24 ハイランドテクノ株式会社 高所作業車用カバー
CN107447972A (zh) * 2017-08-16 2017-12-08 苏州市名志金属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装修升降台
CN107916771A (zh) * 2017-11-16 2018-04-17 郑州诚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便捷活动装修平台
CN111749449A (zh) * 2020-07-18 2020-10-09 奉剑雄 一种方便组合式建筑架板
CN111749449B (zh) * 2020-07-18 2022-06-10 泉州台商投资区庆旺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组合式建筑架板
CN112360126A (zh) * 2020-11-25 2021-02-12 刘启聪 一种建筑用自动脚手架
CN113187210A (zh) * 2021-04-26 2021-07-30 安徽双凤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施工用施工平台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659B1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659B1 (ko) 고소작업대
KR20150067120A (ko) 유지 보수 장치
CN110255454B (zh) 防坠落电力施工升降机
CN107215827B (zh) 隧道检查作业装置
KR100769925B1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20150081503A (ko) 고소 안전 작업대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US20060062655A1 (en) Panel lifting and positioning device
KR100949431B1 (ko) 크레인의 고소작업용 호이스트장치
CN207568150U (zh) 一种室内装修用升降装置
CN110065780A (zh) 船用设备机柜进舱工装
US6035972A (en) Lift table
JP3585867B2 (ja) トンネルの作業用装置
JP5944722B2 (ja) 高所作業車
JP5778943B2 (ja) 高所作業車
KR20220104989A (ko)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CN111186744A (zh) 电梯井道底坑检修平台
KR102269773B1 (ko) 스캔 레이저 지그
KR200478758Y1 (ko) 고소 작업용 장치
CN220664776U (zh) 一种升降工作台
KR101833706B1 (ko) 크레인을 활용한 구조물 점검장치
CN109494541B (zh) 一种通用型下线样板
KR20130007441U (ko)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US20220379366A1 (en) B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Workpiece By Means Of A Bending Machine
CN218533708U (zh) 盖板取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