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124B1 -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124B1
KR102153124B1 KR1020180173781A KR20180173781A KR102153124B1 KR 102153124 B1 KR102153124 B1 KR 102153124B1 KR 1020180173781 A KR1020180173781 A KR 1020180173781A KR 20180173781 A KR20180173781 A KR 20180173781A KR 102153124 B1 KR102153124 B1 KR 102153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 conveyor
ammunition
main body
war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820A (ko
Inventor
노윤재
Original Assignee
(주)대성티엠씨
노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티엠씨, 노윤재 filed Critical (주)대성티엠씨
Priority to KR102018017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1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바퀴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부에 적재되는 탄약함을 육상 또는 군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타단이 승강 또는 하강되게 하는 높이 조절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적재되는 탄약함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탄약함의 무게로 인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와 이송 컨베이어 및 높이 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탄약함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컨베이어를 본체와 함께 군함으로 이송시킨 후,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부두에 정박된 군함의 높이로 이송 컨베이어를 하강시킨 후에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탄약함을 군함에 연속적으로 이송 적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군함에 인력으로 탄약함을 적재하는 것에 대비하여 대량의 탄약함을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어 탄약함의 효율적인 적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추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의 다양한 중량을 보상할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탄약함을 이송하는데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Ammunition conveyance loading device for warship}
본 발명은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약함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컨베이어를 본체와 함께 군함으로 이송시킨 후,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부두에 정박된 군함의 높이로 이송 컨베이어를 하강시킨 후에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탄약함을 군함에 연속적으로 이송 적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군함에 인력으로 탄약함을 적재하는 것에 대비하여 대량의 탄약함을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어 탄약함의 효율적인 적재를 유도할 수 있는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함에 사용되는 탄약은 탄약함에 담고, 그 탄약함을 군함을 적재하여 탄약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현재까지는 인력을 통해 탄약함을 군함에 이송 적재함으로 인해 탄약에 적재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너무 많은 인력의 동원이 요구되어 군함에 탄약의 효율적인 적재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두에 정박된 군함은 파도에 의해 연속적인 흔들림이 발생하는 특성상 작업자가 무거운 탄약함을 들고 군함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탄약함을 군함으로 적재할 수 있는 적재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탄약함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컨베이어를 본체와 함께 군함으로 이송시킨 후,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부두에 정박된 군함의 높이로 이송 컨베이어를 하강시킨 후에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탄약함을 군함에 연속적으로 이송 적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군함에 인력으로 탄약함을 적재하는 것에 대비하여 대량의 탄약함을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어 탄약함의 효율적인 적재를 유도할 수 있는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무게추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의 다양한 중량을 보상할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탄약함을 이송하는데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는 다수의 바퀴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는 본체;와, 일단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의 하부에는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바퀴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적재되는 탄약함을 육상 또는 군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타단이 하강 또는 승강되게 하는 높이 조절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적재되는 탄약함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가 탄약함의 무게로 인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와 이송 컨베이어 및 높이 조절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타단에는 상기 이송 컨베어이를 타고 이송되는 탄약함이 군함으로 수평되게 공급되게 하는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 형상의 공급판과, 일단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로드는 상기 공급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급판의 위치를 제어하는 공급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을 중량을 고려하여 탄약함의 용이한 무게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무게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게추 이송수단은 내부에 상기 무게추가 내장되는 이송케이스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케이스의 전·후방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와, 상기 본체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이송케이스를 당겨 전방으로 이송시키거나 밀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에 의하면, 탄약함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컨베이어를 본체와 함께 군함으로 이송시킨 후,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부두에 정박된 군함의 높이로 이송 컨베이어를 하강시킨 후에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탄약함을 군함에 연속적으로 이송 적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군함에 인력으로 탄약함을 적재하는 것에 대비하여 대량의 탄약함을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어 탄약함의 효율적인 적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추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의 다양한 중량을 보상할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탄약함을 이송하는데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의 정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의 평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100)는 본체(10)와, 이송 컨베이어(20)와, 높이 조절수단(30)과, 무게추(40)와, 컨트롤러(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바퀴(11)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성이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후설될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와 함께 탄약함(1)을 적재 또는 하차하기 위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러한 상기 본체(10)는 후설될 상기 컨트롤러(50)의 제어를 통해 작동 제어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이송 컨베이어(20)는 일단은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의 하부에는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본체(10)와 함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바퀴(2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적재되는 탄약함(1)을 육상 또는 군함으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는 상부에 안치되는 탄약함(1)을 이송시켜 부두에 정박된 군함으로 적재시키거나, 탄약함을 지면으로 이송 하차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상부에는 봉 형상의 걸림바(21)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상부에 안치되는 탄약함(1)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한 탄약함(1)의 안전한 이송을 유도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수단(3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회동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이 하강 또는 승강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고정기둥(31)과, 일단은 상기 고정기둥(31)의 상부에 상기 고정기둥(3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실린더(32)와, 일단은 상기 조절실린더(32)의 로드(32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실린더(32)를 통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을 하강시키거나 승강 복귀시키는 조절와이어(33)와, 일단은 상기 본체(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기둥(31)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기둥(31)과 본체(10)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하는 보강기둥(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100)를 통해 탄약함(1)을 군함에 이송 적재하거나 하역이 요구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수단(30)의 조절실린더(32)를 통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와이어(33)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을 군함에 근접 위치되게 하강시킨 후, 상기 이송 컨베어이(20)를 통해 탄약함(1)을 간편히 적재 또는 하역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약함(1)의 적재 또는 하역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실린더(32)를 통해 상기 조절와이어(33)를 후방으로 당겨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원위치로 승강 복귀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한 탄약함(1)의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이 완료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40)는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에 적재되는 탄약함(1)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탄약함의 무게로 인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군함에 사용되는 탄약은 다소 무거운 중량을 갖는 특성상,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안치된 탄약함(1)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에 다수 개가 위치되는 경우에 탄약함(1)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전방(타단) 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무게추(40)를 통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에 안치되는 탄약함(1)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탄약함(1)의 무게로 인해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본체(10)와 이송 컨베이어(20) 및 높이 조절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에는 상기 이송 컨베어이(20)를 타고 이송되는 탄약함(1)이 군함으로 수평되게 공급되게 하는 공급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급수단(7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 형상의 공급판(71)과, 일단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로드(72a)는 상기 공급판(7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급판(71)의 위치를 제어하는 공급실린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한 탄약함(1)의 적재 또는 하역이 요구되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하방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위치되므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으로 탄약함(1)의 적재나 하역이 다소 불편할 수 있는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상기 공급수단(70)의 공급실린더(72)를 통해 상기 공급판(71)을 수평되게 회동 위치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로 적재 또는 하역되는 탄약함(1)을 상기 공급판(71)을 통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판(71)의 상면에는 탄약함(1)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40)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1)을 중량을 고려하여 탄약함(1)의 용이한 무게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무게추 이송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게추 이송수단(80)은 내부에 상기 무게추(40)가 내장되는 이송케이스(81)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케이스(81)의 전·후방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82)와, 상기 본체(10)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이송케이스(81)를 당겨 전방으로 이송시키거나 밀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 컨베이어(81)를 통해 다소 무거운 중량의 탄약함(1)이 안치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게추(40)를 통해 탄약함(1)의 무게를 보상한다고 하더라도 다소 무거운 중량의 탄약함(1)에 의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기울어져 넘어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다소 무거운 중량의 탄약함(1)을 이송하는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 이송수단(80)의 이송실린더(83)를 통해 상기 무게추(40)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무게추(40)를 통해 무거운 중량의 상기 탄약함(1)의 용이한 무게 보상을 유도함으로 다소 무거운 중량의 탄약함(1)으로 인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장치의 사용안전성이 더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탄약함(1)을 적재 이송시 상기 본체(10)의 견고한 고정을 유도하는 고정수단(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고정수단(90)은 상기 본체(10)의 타단 양측에 각각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단에는 내주면에 나사산(91a')이 형성된 승강공(91a)이 형성되는 회동부재(91)와, 외주면에 상기 승강공(91a)의 나사산(91a')과 치합되는 나사산(92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공(91a)을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하되, 하부에는 지면과 밀착되는 고정패드(92b)가 형성되는 고정부재(92)와, 상기 고정부재(9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92)의 용이한 회전을 유도하는 손잡이(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높이 조절수단(30)을 통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적재하고자 하는 탄약함(1)을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에 무거운 탄약함(1)이 적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흔들림에 상기 본체(10)가 흔들리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수단(90)의 회동부재(91)를 회동시켜 상기 회동부재(91)를 상기 본체(10)의 바깥쪽으로 펼치거나 상기 본체(10)의 타단(전방) 측으로 회동 배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92)가 상기 승강공(91a)을 타고 하강하도록 상기 손잡이(93)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92)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재(92)의 고정패드(92b)가 지면에 가압 밀착되게 하여 상기 본체(10)가 상기 고정수단(90)에 의지하여 견고히 고정되게 함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한 탄약함(1)의 안정적인 적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100)는 탄약함(1)을 이송시킬 수 있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상기 본체(10)와 함께 군함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높이 조절수단(30)을 통해 부두에 정박된 군함의 높이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하강시킨 후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탄약함(1)을 군함에 연속적으로 이송 적재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군함에 인력으로 탄약함을 적재하는 것에 대비하여 대량의 탄약함을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어 탄약함의 효율적인 적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 이송수단(80)을 통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1)의 다양한 중량을 보상할 수 있어 다양한 중량의 탄약함(1)을 이송하는데 용이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100)은 다음과 같이 탄약함을 부두에 정박된 군함으로 간편히 적재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100)를 군함이 정박된 부두로 이동시킨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수단(30)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20)를 하강 회동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끝단이 정박된 군함으로 탄약함(1)을 공급하기 적합한 높이로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끝단에 형상되는 공급수단(70)의 공급판(71)을 군함과 수평되게 회동 위치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 공급되는 탄약함(1)의 용이한 회수를 유도하며, 동시에 상기 고정수단(9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견고히 고정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한 탄약함(1)의 적재 이송을 준비한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다수의 탄약함(1)이 적재되어 순차적으로 군함으로 공급되면 작업자는 하나씩 회수하여 간편히 군함으로 탄약함(1)의 적재를 수행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군함으로 탄약함(1)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높이 조절수단(30)을 통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원위치로 승강 복귀시키고 동시에, 상기 공급수단(70)을 통해 공급판(71) 역시 회동 복귀시켜 본 발명의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100)를 통한 탄약함(1)의 적재를 완료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탄약함
10. 본체 11, 22. 바퀴
20. 이송 컨베이어 21. 걸림바
30. 높이 조절수단 31. 조절기둥
32. 조절실린더 33. 조절와이어
34. 보강기둥 40. 무게추
50. 컨트롤러 70. 공급수단
71. 공급판 72. 공급실린더
80. 무게추 이송수단 81. 이송케이스
82. 이송가이드 83. 이송실린더
90. 고정수단 91. 회동부재
91a. 승강공 92. 고정부재
92b. 고정패드 93. 손잡이
100.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Claims (5)

  1. 다수의 바퀴(11)를 통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는 본체(10);
    일단은 상기 본체(1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의 하부에는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본체(10)와 함께 용이한 이송을 유도하는 바퀴(2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적재되는 탄약함(1)을 육상 또는 군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20);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회동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이 하강 또는 승강되게 하는 높이 조절수단(30);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에 적재되는 탄약함(1)의 무게를 보상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20)가 탄약함의 무게로 인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무게추(40); 및
    상기 본체(10)와 이송 컨베이어(20) 및 높이 조절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되는 탄약함(1)이 군함으로 수평되게 공급되게 하는 공급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급수단(7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 형상의 공급판(71)과, 일단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의 로드(72a)는 상기 공급판(7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공급판(71)의 위치를 제어하는 공급실린더(72)를 포함하며,
    상기 무게추(40)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를 통해 이송되는 탄약함(1)을 중량을 고려하여 탄약함(1)의 용이한 무게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무게추 이송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게추 이송수단(80)은 내부에 상기 무게추(40)가 내장되는 이송케이스(81)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케이스(81)의 전·후방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82)와, 상기 본체(10)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이송케이스(81)를 당겨 전방으로 이송시키거나 밀어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실린더(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73781A 2018-12-31 2018-12-31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KR102153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81A KR102153124B1 (ko) 2018-12-31 2018-12-31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81A KR102153124B1 (ko) 2018-12-31 2018-12-31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20A KR20200082820A (ko) 2020-07-08
KR102153124B1 true KR102153124B1 (ko) 2020-09-07

Family

ID=7160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81A KR102153124B1 (ko) 2018-12-31 2018-12-31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1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80Y1 (en) * 1997-01-06 2000-05-15 Dong Ah Constr Ind Co Ltd Boom stacker
KR200427979Y1 (ko) * 2006-06-28 2006-10-04 최규환 신축 가능한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운반장치
KR101036659B1 (ko) * 2008-10-23 2011-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100U (ko) * 1998-12-29 2000-07-25 추호석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80Y1 (en) * 1997-01-06 2000-05-15 Dong Ah Constr Ind Co Ltd Boom stacker
KR200427979Y1 (ko) * 2006-06-28 2006-10-04 최규환 신축 가능한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운반장치
KR101036659B1 (ko) * 2008-10-23 2011-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20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886B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US9840180B2 (en) Repositionable load carrying tray assembly for a vehicle
US9376236B2 (en) Container including object-supporting chute and pivot mechanism
US3819068A (en) Boom conveyor
US9139214B2 (en) Adjustable lift truck
JP2006523161A (ja) 貯蔵コンテナを輸送車両に対して積み降ろし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H0550981A (ja) 船舶の重量貨物搬出入装置
US20070092365A1 (en) Low approach angle cargo flatbed assembly
US20160250959A1 (en) Trolley with articulated arm
US10377614B2 (en) Container transport system and method
WO2008030785B1 (en) Tiltable loading system and extendable platform for transferring cargo
KR102153124B1 (ko)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KR102153118B1 (ko)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EP3072838B1 (en) An apparatus for unloading baggage from a baggage car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US3355037A (en) Cargo unloading device
WO2009104209A1 (en) Self-propelled vehicle for transporting materials
US3228542A (en) Apparatus for the conveyance of standard size objects
JPH10324426A (ja) バラ物の船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EP2354004A1 (en) A device for loading luggage to a container
JP6331872B2 (ja) シュート装置及びばら物充填装置
WO2021086182A1 (en) Device for unloading general cargo
US20160039620A1 (en) Unloading a Cylindrical Body from a Pallet
US4215968A (en) Container-dumping machine
US700799A (en) Apparatus for unloading ships' cargoes.
US20240132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a shipp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