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100U -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100U
KR20000014100U KR2019980027376U KR19980027376U KR20000014100U KR 20000014100 U KR20000014100 U KR 20000014100U KR 2019980027376 U KR2019980027376 U KR 2019980027376U KR 19980027376 U KR19980027376 U KR 19980027376U KR 20000014100 U KR20000014100 U KR 200000141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conveyor system
driven
end plat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수
정성식
박규환
고영진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80027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100U/ko
Publication of KR20000014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100U/ko

Links

Landscapes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포스트의 내부에 유압실린더를 내장시켜 컨베이어 시스템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엔드 플레이트가 가지는 굴절각도를 유지하게 하고, 동시에 컨베이어 시스템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미세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엔드 플레이트에 체인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운반물의 이송을 신속 편리하게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장비차량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시스템을 바닥에 고정하고 동시에 컨베이어 시스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압실린더가 내장된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힌지 연결되는 구동측 프레임 및 이 구동측 프레임과 접절부 프레임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피동측 프레임, 상기 구동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측 프레임에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체인이송장치, 상기 포스트의 일 측에 설치되고 구동측 프레임과 힌지 설치되어 상기 구동측 프레임과 피동측 프레임이 접절부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접힘 및 펼침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 상기 피동측 프레임의 일 측과 힌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게 되고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에 설치된 체인이송장치에 의해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피동측 프레임과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엔드 플레이트의 굴절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시스템
본 고안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 시스템을 차량장비에 설치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장비에서 다른 차량장비로 운반물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 정확하게 운반하여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비1(200) 내에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100)이 설치되어 차량장비1(200)에 있는 운반물(중량물)(P)을 상대편 차량장비2(300) 내에 다단으로 배치된 적재대(302)로 적재하게 되고, 반대로 차량장비2(300)의 적재대(302)에 있는 운반물(P)을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통해 차량장비1(200)로 하역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02는 포스트로서 컨베이어 시스템(100) 전체를 차량장비1(200)의 바닥(202)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포스트(102)에는 구동측 프레임(106)이 힌지(105) 연결되고, 이 구동측 프레임(106)의 단부에는 접절부 프레임(108)을 매개로 피동측 프레임(110)이 힌지(112) 연결되어 상기 구동측 프레임(106)과 피동측 프레임(110)이 접절부 프레임(108)의 힌지(112)를 중심으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접힘 및 펼침을 자동으로 행하기 위하여 상기 포스트(102)의 일 측에는 유압실린더(114)가 설치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14)는 상기 기능 외에 구동측 프레임(106)의 각도를 조절하여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구동측 프레임(106)에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15)이 설치되고, 상기 피동측 프레임(110)에는 피동스프로킷(116)이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 운반물(P)을 이송시키는 체인이송장치(1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측 프레임(110)의 단부에는 엔드 플레이트(120)가 설치되며, 이 엔드 플레이트(120)는 각도조절핸들(122)에 의해 피동측 프레임(110)에서 수동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중 설명부호 124와 126은 구동측 프레임(106)과 피동측 프레임(110)에 설치된 손잡이이고, 204는 차량장비1(200)의 천장이며, 206은 차량장비1(200)의 천장(204)과 힌지 연결된 백 도어이고, 208은 상기 백 도어(206)를 자동으로 열고 닫는 도어 실린더이고, 210은 상기 백 도어(206)와 피동측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펼침된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도 1과 같이 차량장비1(200)에 설치되며, 차량장비2(300)에 배치된 적재대(302)가 차량장비1(200)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기울기(경사도)를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유압실린더(114)를 작동시킴에 따라 구동측 프레임(106)이 힌지(105)를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각도조절핸들(122)을 조작하여 엔드 플레이트(120)를 적재대(302)의 입구에 맞춘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세팅시킨 후 운반물(P)을 체인이송장치(118)에 올려놓게 되면, 운반물(P)이 엔드 플레이트(120) 직전까지 자동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운반물(P)이 엔드 플레이트(120) 직전까지 이송되어 오면, 작업자가 이를 엔드 플레이트(120)를 통해 적재대(302)로 밀어 넣게 된다.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차량장비1(200)에 있는 운반물(P)을 차량장비2(300)의 적재대(302)로 운반 적재가 이루어지게 되며, 반대로 적재대(302)에 적재된 운반물(P)을 하역시에는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역구동시켜 차량장비1(200)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운반물(P)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시에는 도 3a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0)이 접혀진 상태에서 도어 실린더(208)를 작동시켜 백 도어(206)를 열면 와이어 로프(210)에 의해 피동측 프레임(110)이 도 3b와 같이 구동측 프레임(106)에서 일정 각도만큼 펼쳐지게 되며, 이후 유압실린더(114)를 작동(유압실린더(114)의 로드가 수축됨)시키면 도 3c와 같이 구동측 프레임(106)과 피동측 프레임(110)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운반물(P)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의 완료후에는 도 3c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14)를 작동(유압실린더(114)의 로드가 확장됨)시킴에 따라 도 3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 실린더(208)를 작동시켜 백 도어(206)를 닫으면 와이어 로프(210)가 느슨해지면서 피동측 프레임(110)은 자중에 의하여 도 3a와 같이 수직되게 세워져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차량장비2(300)에 배치된 적재대(302)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피동측 프레임(110)과 엔드 플레이트(120) 사이의 굴절각도가 증가하여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피동측 프레임(110)에 있는 피동스프로킷(116)에서 엔드 플레이트(120)까지의 운반물(P)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적재대(302)의 입구 높이가 높아지게 될 경우에 작업자가 엔드 플레이트(120)에 도착된 운반물(P)을 적재대(302)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없게 되어 적재 및 하역작업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둘째, 장비차량2(300)에 배치된 적재대(302)가 다단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재 및 하역작업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유압실린더(114)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서 그 결과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길이에 비하여 유압실린더(114)의 작용 힌지(117)와 포스트(102)의 힌지(105)의 거리가 매우 짧게 이루어져 유압실린더(114)의 미세한 움직임에도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끝부분(즉, 엔드 플레이트)은 매우 많은 움직임이 발생하여 신속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 또한 매우 불안정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포스트의 내부에 유압실린더를 내장시켜 컨베이어 시스템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엔드 플레이트가 가지는 굴절각도를 유지하게 하고, 동시에 컨베이어 시스템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미세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엔드 플레이트에 체인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운반물의 이송을 신속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비차량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시스템을 바닥에 고정하고 동시에 컨베이어 시스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압실린더가 내장된 포스트,
상기 포스트와 힌지 연결되는 구동측 프레임 및 이 구동측 프레임과 접절부 프레임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는 피동측 프레임,
상기 구동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측 프레임에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연결되어 운반물을 이송시키는 체인이송장치,
상기 포스트의 일 측에 설치되고 구동측 프레임과 힌지 설치되어 상기 구동측 프레임과 피동측 프레임이 접절부 프레임을 매개로 하여 접힘 및 펼침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
상기 피동측 프레임의 일 측과 힌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게 되고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에 설치된 체인이송장치에 의해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피동측 프레임과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엔드 플레이트의 굴절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 3b, 3c는 종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a, 7b, 7c는 본 고안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용상 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베이어 시스템 12 : 포스트
14, 30, 48 : 유압실린더 16 : 구동측 프레임
20 : 접절부 프레임 22 : 피동측 프레임
24, 42 : 구동스프로킷 26, 44 : 피동스프로킷
28, 46 : 체인이송장치 36 : 엔드 플레이트
40 : 유압모터 200 : 차량장비1
300 : 차량장비2 302 : 적재대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a, 7b, 7c는 본 고안의 차량장비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비1(200) 내에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10)이 설치되어 차량장비1(200)에 있는 운반물(중량물)(P)을 상대편 차량장비2(300) 내에 다단으로 배치된 적재대(302)로 적재하게 되고, 반대로 차량장비2(300)에 있는 운반물(P)을 컨베이어 시스템(10)을 통해 차량장비1(200)로 하역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도 5 내지 도 7c와 같다.
도면부호 12는 포스트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포스트(12)는 내부에 유압실린더(14)가 내장되어 이 유압실린더(14)측이 장비차량1(200)의 바닥(202)에 고정되어 상기 포스트(12)는 유압실린더(14)의 압유에 의해 상,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포스트(12)의 상부는 구동측 프레임(16)과 힌지(18) 연결되며, 이 구동측 프레임(16)은 접절부 프레임(20)을 매개로 피동측 프레임(22)과 힌지(23)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측 프레임(16)에는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24)이 설치되고, 피동측 프레임(22)에는 피동스프로킷(26)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운반물(P)을 이송시키는 체인이송장치(28)가 연결된다.
상기 포스트(12)의 일 측에는 유압실린더(30)가 힌지(31) 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30)의 로드(32)가 구동측 프레임(16)에 힌지(34)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30)의 구동력(즉, 로드(32)의 수축 및 확장)에 의해 상기 구동측 프레임(16)과 피동측 프레임(22)이 접절부 프레임(20)을 매개로 하여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피동측 프레임(22)의 일 측에는 엔드 플레이트(36)가 힌지(38)로 연결되어 이 엔드 플레이트(36)가 힌지(38)를 중심으로 피동측 프레임(22)에 접힘 가능하게 되며, 이 엔드 플레이트(36)에는 유압모터(40)와 연결된 구동스프로킷(42)과 그 반대편에 피동스프로킷(44)이 설치되고 이에 운반물(P)을 이송시키는 체인이송장치(4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측 프레임(22)과 엔드 플레이트(36) 사이에는 유압실린더(48)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8)는 피동측 프레임(22)에 설치된 힌지연결편(50)을 통해 고정되고. 유압실린더(48)의 로드(52)가 엔드 플레이트(36)에 설치된 힌지연결편(54)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48)의 작동에 따라 엔드 플레이트(36)가 피동측 프레임(22)으로부터 굴절각도를 갖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8)의 로드(52)는 힌지연결편(54)에서 탈거시켜 피동측 프레임(22)에 설치된 위치고정용 힌지연결편(56)에 핀으로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36)를 힌지(38)를 통하여 피동측 프레임(22)에 접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10)에 의하면 도 4와 같이 차량장비1(200)에 설치되며, 차량장비2(300)에 배치된 적재대(302)가 차량장비1(200)에 비하여 높게 위치되어 컨베이어 시스템(10)을 기울기(경사도)를 갖도록 설치하며, 이를 위해 포스트(12)에 내장된 유압실린더(14)를 작동시킴에 따라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도 4의 가상선까지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유압실린더(48)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36)의 굴절각도를 조절하여 적재대(302)의 입구 위치에 맞춘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을 세팅시킨 후 운반물(P)을 안내 플레이트(58)를 통해 체인이송장치(28)에 올려놓게 되면, 운반물(P)이 자동으로 이송되며, 이송되는 운반물(P)이 엔드 플레이트(36)에 이르게 되면 엔드 플레이트(36)의 체인이송장치(46)가 이를 넘겨받아 이송이 계속 이루어져 운반물(P)은 적재대(302) 안쪽으로 자동으로 넣어지게 된다.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차량장비1(200)에 있는 운반물(P)을 차량장비2(300)의 적재대(302)로 운반 적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반대로 적재대(302)에 적재된 운반물(P)을 하역시에는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10)을 역구동시켜 차량장비1(200)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운반물(P)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시에는 도 7a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이 접혀진 상태에서 도어 실린더(208)를 작동시켜 백 도어(206)를 열면 와이어 로프(210)에 의해 피동측 프레임(22)이 도 7b와 같이 구동측 프레임(16)에서 일정 각도만큼 펼쳐지게 되며, 이후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켜 로드(32)가 수축되면 도 7c와 같이 구동측 프레임(16)과 피동측 프레임(22)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컨베이어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운반물(P)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의 완료후에는 도 7c와 같이 컨베이어 시스템(10)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0)를 작동시켜 로드(32)를 확장시킴에 따라 도 7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 실린더(208)를 작동시켜 백 도어(206)를 닫으면 와이어 로프(210)가 느슨해지면서 피동측 프레임(22)은 자중에 의하여 도 7a와 같이 수직되게 세워져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가 있다.
첫째, 포스트(12)에 내장된 유압실린더(14)에 의하여 컨베이어 시스템(10)의 전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적재대(302)의 높이에 대해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컨베이어 시스템(10)의 체인이송장치(28)가 완만한 경사도를 유지하게 되어 운반물(P)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적재대(302)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 포스트(12)를 통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엔드 플레이트(36)의 높이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이 엔드 플레이트(36)를 다단으로 구성된 적재대(302)의 입구에 안전하고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엔드 플레이트(36)에 체인이송장치(46)를 설치함으로서 중량물로 이루어진 운반물(P)의 이송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적재대(302)로 운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운반물을 신속, 정확, 안전 및 편리하게 적재 및 하역을 할 수 있게 되어 장비운용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장비차량1(20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시스템(10)을 바닥)(202)에 고정하고 동시에 컨베이어 시스템(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유압실린더(14)가 내장된 포스트(12),
    상기 포스트(12)와 힌지(18) 연결되는 구동측 프레임(16) 및 이 구동측 프레임(16)과 접절부 프레임(20)을 매개로 힌지(23) 연결되는 피동측 프레임(22),
    상기 구동측 프레임(16)에 설치되어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24)과 피동측 프레임(22)에 설치된 피동스프로킷(26)과 연결되어 운반물(P)을 이송시키는 체인이송장치(28),
    상기 포스트(12)의 일 측에 설치되고 구동측 프레임(16)과 힌지(34) 설치되어 상기 구동측 프레임(16)과 피동측 프레임(22)이 접절부 프레임(20)을 매개로 하여 접힘 및 펼침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30),
    상기 피동측 프레임(22)의 일 측과 힌지(38)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게 되고 유압모터(40)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42)과 피동스프로킷(44)에 설치된 체인이송장치(46)에 의해 운반물(P)을 이동시키는 엔드 플레이트(36),
    상기 피동측 프레임(22)과 엔드 플레이트(36) 사이에 설치되어 엔드 플레이트(36)의 굴절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48)는 피동측 프레임(22)에 설치된 힌지연결편(50)을 통해 고정되고. 유압실린더(48)의 로드(52)가 엔드 플레이트(36)에 설치된 힌지연결편(54)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피동측 프레임(22)에는 탈거된 로드(52)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위치고정용 힌지연결편(5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2019980027376U 1998-12-29 1998-12-29 컨베이어 시스템 KR200000141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376U KR20000014100U (ko) 1998-12-29 1998-12-29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376U KR20000014100U (ko) 1998-12-29 1998-12-29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100U true KR20000014100U (ko) 2000-07-25

Family

ID=6971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376U KR20000014100U (ko) 1998-12-29 1998-12-29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10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37B1 (ko) * 2008-01-02 2009-1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설비 연결 장치 및 이를 갖는 인-라인 반도체 설비
KR20200082820A (ko) * 2018-12-31 2020-07-08 (주)대성티엠씨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KR20200082808A (ko) * 2018-12-31 2020-07-08 (주)대성티엠씨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637B1 (ko) * 2008-01-02 2009-1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설비 연결 장치 및 이를 갖는 인-라인 반도체 설비
KR20200082820A (ko) * 2018-12-31 2020-07-08 (주)대성티엠씨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KR20200082808A (ko) * 2018-12-31 2020-07-08 (주)대성티엠씨 군함용 탄약 이송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732A (en) Compactly foldable radial luffing stacker
US9149397B2 (en) Wheelchair lift
KR20000014100U (ko) 컨베이어 시스템
US6302265B1 (en) Fold-over conveyor assembly
JP2003341981A (ja) 折り畳み可能なカウンタージブを備えるタワークレーン
JP2000318952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内で作業を行なうための装置
RU2065397C1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башенного типа
KR20190051180A (ko) 계단설치용 접이식 컨베이어
KR0141612B1 (ko) 테이블 리프트를 이용한 열진공 챔버용 위성작업대
US4646996A (en) Jig for lifting plasterboard
US3517838A (en) Power loader for vehicles with transfer plate
US3217914A (en) Boom-type camper coach loader and unloader
JP2003175760A (ja) 床下格納式昇降装置
US6017018A (en) Lift-a-top plus
JP3131617B2 (ja) 昇降装置
GB2104867A (en) Crane
JP2864000B2 (ja) 車両運搬車における導板装置
US2830720A (en) Automatic bucket dumping hoist
KR100287993B1 (ko) 운반물 적재 및 하역 시스템
JP2889544B2 (ja) 昇降装置の作動油供給構造
JP4050165B2 (ja) ランプ装置
KR200332077Y1 (ko) 접철식 컨베이어 장치
US4892290A (en) Combination hoist and stand
JP2544252B2 (ja) 昇降装置
KR20020053048A (ko) 하역이 용이한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