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048A - 하역이 용이한 대차 - Google Patents

하역이 용이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048A
KR20020053048A KR1020020032730A KR20020032730A KR20020053048A KR 20020053048 A KR20020053048 A KR 20020053048A KR 1020020032730 A KR1020020032730 A KR 1020020032730A KR 20020032730 A KR20020032730 A KR 20020032730A KR 20020053048 A KR20020053048 A KR 2002005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loading
loading table
elastic member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777B1 (ko
Inventor
성창제
Original Assignee
태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장이나 하치장등에서 중량의 화물을 임시적으로 운반시키기 위한 대차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대차는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손잡이를 가지며, 저면에 수개의 활차를 갖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일측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그 길이가 신장.수축되고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기둥과; 상기 대차상에 별도로 탑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와 상기 대차의 사이에는 상기 대차상에 일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에 타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며, 각기의 타단들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가위식으로 절첩.전개되는 한쌍의 링크와; 상기 승강기둥과 상기 적재대 각각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둥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적재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 및 상기 적재대의 승강구동이 부드럽게 제어되도록하는 유압식의 완속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재대는 최대부하시 하사점에 위치되고 물품이 탑재되지 않은 무부하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사점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서 적재대상에 물품을 간편히 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역이 용이한 대차{A convenient handcart for loading and unloading}
본 발명은 일반 산업장이나 하치장등에서 중량의 물을 운반시키기 위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역 작업이 간편하고도 용이한 대차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장의 조립라인들에서 반조립물품들의 운반 또는 포장라인의 말단부에서 완성되어 출하되는 완제품의 운반, 그리고 물류창고나 하치장등 장내에서 화물을 운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대차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대차는 대략 운반될 물이 탑재되는 가능한 지면에 인접되는 위치로 설치되는 평판체의 적재대를 가지며, 이 적재대의 저면에 적어도 3조이상으로 설치되는 활차를 구비하여 자유자재로 방향전환을 이루면서 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적재대의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손잡이대를 갖추어서 작업자가 손잡이대를 잡고 밀거나 끌며 장내에서 중량의 물품들을 안전하게 운반시키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대차의 적재대를 낮은 위치에 갖추어 물품의 운반에는 안전을 기하였으나, 대차의 하역은 용이하지 않는 즉, 중량의 물품을 들어 낮은 위치로 설치되는 적재대에 실거나 내리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자세를 똑바로 세웠다 허리부분을 구부려야하는데, 더 상세하게는 그 일례로 산업장의 조립 및 포장라인은 롤컨베이어로서 이러한 롤컨베이어는 작업의 편의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렇게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는 롤컨베이어를 타고 운반되오는 물품을 들어내어 지면에 인접한 위치로 놓여진 적재대상에 내려놓기 위해서는 자세를바꾸어야하는데, 이때 작업자가 부주위한 경우 허리부상등의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또 이렇게 허리를 구부렸다 폈다하는 자세를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행하기에는 매우 힘이들고 따라서, 하역 작업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물품의 하역을 작업자의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간편히 이룰 수 있는 대차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대가 부하에 따라 승강되게 하여서, 작업자의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선자세에서 하역을 이루도록한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대의 승강 구동력을 제어부재에 의해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조절되게 하여서 다양한 중량의 화물부하에 대처될 수 있도록한 하역이 용이한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대의 승강구동이 완속수단에 의해 부드럽게 구동되도록한 하역이 용이한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장이나 하치장등에서 중량의 화물을 임시적으로 운반시키기 위한 대차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대차는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손잡이를 가지며, 저면에 수개의 활차를 갖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일측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그 길이가 신장.수축되고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기둥과; 상기 대차상에 별도로 탑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와 상기 대차의 사이에는 상기 대차상에 일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에 타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며, 각기의 타단들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가위식으로 절첩.전개되는 한쌍의 링크와; 상기 승강기둥과 상기 적재대 각각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둥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적재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 및 상기 적재대의 승강구동이 부드럽게 제어되도록하는 유압식의 완속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재대는 최대부하시 하사점에 위치되고 물품이 탑재되지 않은 무부하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사점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서 적재대상에 물품을 간편히 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하역이 용이한 대차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하역이 용이한 대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하역이 용이한 대차의 작용상태를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도 3a는 화물이 탑재 되기전의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고,
도 3b는 화물이 탑재된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대차 12 :손잡이
14 :활차 16 :적재대
15 :조절요소 17 :탄성부재
18 :승강기둥 20,22 :링크
23 :보조탄성부재
24 :와이어 26 :완속수단
28 :완충부재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대차는 각종 산업장이나 물류창고등 그 장내에서 임시적으로 물품(화물)을 운반시키는 것으로, 대차(10)와 이 대차(10)의 일측에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손잡이(12)를 가지며, 저면에는 수개의 활차(14)를 갖추어서 자유로이 방향전환하면서 이동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기술은 대차(10)상에 별도로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대(16)를 부가적으로 갖추어 하역 작업시 적재대(16)가 부하에 따라 승강되게 하여서 하역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차(10)의 일측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입설되어 그 길이가 신장.수축되고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17)를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승강기둥(18)을 갖추어서 적재대(16)의 승강작용이 수행되게 하였다. 여기서, 승강기둥(18)은 내외 중첩적으로 형합되는 관형상의 고정부(18a)와 가동부(18b)로 이루어져 그 승강기둥(18)의 길이가 자유로이 신장.수축되게 함과 동시에, 이들의 내에 적당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재(17)를 내장하여 승강기둥(18)의 복원을 이루게 하였다. 이때 탄성부재(17)는 적재하중을 고려하여 탄성계수가 설정될 것이며, 이후에 설명할 적재대(16)의 적재하중 즉, 최대적재하중시 탄성부재(17)가 최대로 압축되어 적재대(16)를 하사점에 위치시키고, 부하가 제거될 시에는 최대로 신장되어 적재대(16)를 상사점에 위치시키게 될 것이다.
적재대(16)는 중량의 물이 탑재되는 것으로 이를 대차(10)상에 가위식으로 절첩.전개되는 한쌍의 링크들(20,22)로 떠받쳐 자유로 승강되게 설치된다. 즉, 한쌍의 각 링크들(20,22)은 그 일단이 대차(10)와 적재대(16) 각각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축을 이루고 타단은 대차(10)의 상면과 적재대(16)의 저면 각각에 미끄럼접촉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링크들(20,22)들의 전개,절첩에 따라서 적재대(16)의 승강동작을 이루게 하였다. 여기서 링크들(20,22)의 사이에는 보조탄성부재(23)를 갖추어서 승강기둥(18)의 탄성부재(17)와 합산되어 링크들(20,22)의 복원작용이 원할히 이루게 하였다.
그리고 승강기둥(18)의 승강구동력을 플렉시블한 와이어(24)를 이용해 적재대(16)에 전달되게 한다. 더 상세하게는 승강기둥(18)의 가동부(18b) 상단에 회동롤(25)를 탑재시킨후 와이어(24)의 일단은 고정부(18a)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회동롤(25)을 거쳐 적재대(16)에 연결하여서 가동부(18b)의 승강작용이 와이어(24)를통하여 적재대(16)에 전달되어 가동부(18b)와 연동적으로 적재대(16)가 구동될 것이다.
이러한 승강기둥(18)의 탄성부재(17)는 조절요소(15)에 의해 탄성계수의 조절이 이루지게 하고 있다. 즉, 조절요소(15)는 승강기둥(18)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절볼트(15a)의 나사조임 또는 풀림으로 인해 높낮이 조절을 이루는 승강판(15b)에 의해서 탄성부재(17)의 탄성계수에 변화를 이루게 하였다.
또한 적재대(16)의 승강작용시 탄성부재(17)의 신장.수축작용이 일시적으로 일어나 적재대(16)의 승강동작이 급속히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완속수단(26)을 부가적으로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완속수단(26)은 유체흐름에 의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완속수단(26)은 스피드콘트롤조절밸브(26a)에 의해 유속조절을 가감케 하고 있다.
한편 대차(10)에는 링크(20,22)의 최대 절첩시 완충효과와 전개 초기시 초기 시동에 보조적으로 힘을 더 해주는 완충부재(28)를 갖추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링크(20,22)가 최대로 절첩시 적재대(16)의 부하 하중 흡수작용과 전개 초기 동작에 힘을 더 해주게 하였다.
그러면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 하역이 용이한 대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겠다. 도 3a는 대차의 적재대(16)가 부무하 상태 즉, 물품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때에는 승강기둥(18)은 최대로 신장되고 적재대(16)가 상사점에 위치된다. 이 위치는 작업자가 선자세 즉, 작업자가 똑바로 선자세에서 들은 물품의 위치와 거의 동일한 선상으로서, 적재대(16)에 물품을 들어올리는 것을 작업자의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탑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적재대(16)에 운반할 물품들을 계속하여 탑재시키면 적재대(16)는 적재되는 물품들의 탑재하중에 비례하여 점차적으로 하향하게 될 것이다.
도 3b는 적재대(16)상에 물품들이 최대로 탑재되어 최대하중이 가해진 상태로서, 이때 적재대(16)는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고 대차의 이동 무게중심을 하측에 두고 안전하게 운반작업을 이루게 하였다.
그리고 운반이 완료된 상태에서 적재대(16)상에 탑재되어 있던 물품들을 상부측으로 부터 들어내면 적재하중이 가벼워짐과 동시에 적재대(16)는 상기 적재시와는 상반되게 하중이 가벼워지는 것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물품의 하역시 작업자의 허리를 구부리 않고 선자세에서 간편히 작업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 하역이 용이한 대차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물품의 하역작업을 작업자가 똑바로 선자세에서 이루게함으로서, 작업자의 허리부상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손잡이를 가지며, 저면에 수개의 활차를 갖는 대차;
    상기 대차의 일측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그 길이가 신장.수축되고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기둥;
    상기 대차상에 별도로 탑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와 상기 대차의 사이에는 상기 대차상에 일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에 타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며, 각기의 타단들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가위식으로 절첩.전개되는 한쌍의 링크; 및
    상기 승강기둥과 상기 적재대 각각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둥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적재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재대는 최대부하시 하사점에 위치되고 물품이 탑재되지 않은 무부하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사점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하역이 용이한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둥은 내외중첩적으로 형합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가동부로 구성된 하역이 용이한 대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희망하는 운반할 물품의 부하에 맞추워 그 탄성계수가 조절요소에 의해 조절되도록한 하역이 용이한 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유압식의 완속수단에 의해 승강구동이 제어되도록한 하역이 용이한 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작용에 보조적으로 복원력을 부가하는 보조탄성부재를 더 갖는 하역이 용이한 대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 상기 링크의 최대 절첩시 적재대의 부하 하중을 흡수하고, 전개시에서는 상기 링크의 절첩초기 작동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과 합산되어 적재대의 상승작용을 도우는 완충부재를 더 갖는 하역이 용이한 대차.
  7. 일측에 일정한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손잡이를 가지며, 저면에 수개의 활차를 갖는 대차;
    상기 대차의 일측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그 길이가 신장.수축되고 복원을 위한 탄성부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승강기둥;
    상기 대차상에 별도로 탑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와 상기 대차의 사이에는 상기 대차상에 일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재대에 타측의 일단이 지축으로 설치되며, 각기의 타단들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가위식으로 절첩.전개되는 한쌍의 링크;
    상기 승강기둥과 상기 적재대 각각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기둥의 신축작용에 의해 연동하며 상기 적재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 및
    상기 적재대의 승강구동이 부드럽게 제어되도록하는 유압식의 완속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재대는 최대부하시 하사점에 위치되고 물품이 탑재되지 않은 무부하시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사점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하역이 용이한 대차.
KR10-2002-0032730A 2002-06-12 2002-06-12 하역이 용이한 대차 KR10051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730A KR100512777B1 (ko) 2002-06-12 2002-06-12 하역이 용이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730A KR100512777B1 (ko) 2002-06-12 2002-06-12 하역이 용이한 대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700 Division 2002-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048A true KR20020053048A (ko) 2002-07-04
KR100512777B1 KR100512777B1 (ko) 2005-09-07

Family

ID=2772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730A KR100512777B1 (ko) 2002-06-12 2002-06-12 하역이 용이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7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44B1 (ko) * 2007-12-14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KR100938157B1 (ko) * 2007-11-16 2010-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CN108116471A (zh) * 2017-12-20 2018-06-05 芜湖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物料运输流转的料车
CN109050957A (zh) * 2018-06-08 2018-12-21 宣城艾驰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升降的直升机助降平台
CN111572611A (zh) * 2020-05-20 2020-08-25 杜继英 一种物流运输用卸货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57B1 (ko) * 2007-11-16 2010-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화물창 코너 패널부착을 위한 리프트 장치
KR100931044B1 (ko) * 2007-12-14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CN108116471A (zh) * 2017-12-20 2018-06-05 芜湖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物料运输流转的料车
CN109050957A (zh) * 2018-06-08 2018-12-21 宣城艾驰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升降的直升机助降平台
CN111572611A (zh) * 2020-05-20 2020-08-25 杜继英 一种物流运输用卸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777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5953A (en) Adaptable conveyor for man-loaded cargos
US5718325A (en) Adjustable conveyor system for man-loaded cargos
US5829948A (en)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JP2007169062A (ja) 改良されたストラドルキャリヤー
KR20180081422A (ko) 과수 작업차
US4946027A (en) Boom conveyor
JPH11199058A (ja) フォーク駆動式荷役装置及び荷役方法
KR100512777B1 (ko) 하역이 용이한 대차
US7841603B2 (en) Hand truck
JP2733012B2 (ja) トラックローダー
CN107618543A (zh) 运货推车
JPH09100011A (ja) 人が貨物を積み降ろすための調節可能型コンベア・システム
KR102236143B1 (ko)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CN210710503U (zh) 一种抬升搬运机的顶升结构
ATE459519T1 (de) Hublader zum transport von gegenständen
JP2733013B2 (ja) トラックローダー
KR100345981B1 (ko)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적재부 승강장치
JPH0357020B2 (ko)
CN215205033U (zh) 一种多功能跨层运输装置
US20230331134A1 (en) Loading/unloading device for a delivery vehicle
CN207973463U (zh) 具有自卸功能的堆高机
CA3196592A1 (en) Loading/unloading device for a delivery vehicle
US3164274A (en) High lift trailer
JPH0328004Y2 (ko)
KR20050108539A (ko) 세이프티로더의 적재함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