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963B1 -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 Google Patents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963B1
KR101007963B1 KR1020100066252A KR20100066252A KR101007963B1 KR 101007963 B1 KR101007963 B1 KR 101007963B1 KR 1020100066252 A KR1020100066252 A KR 1020100066252A KR 20100066252 A KR20100066252 A KR 20100066252A KR 101007963 B1 KR101007963 B1 KR 10100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guide bar
mounting piece
ba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렌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렌탈 filed Critical (주)에이원렌탈
Priority to KR102010006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이나 파이프 등 길이가 긴 건축용 자재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외측을 둘러싸는 난간대와, 상기 작업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되 절첩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작업대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로서, 상기 난간대에 구비되고, 내측에 건축용 자재가 수용 거치되며, 상기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측면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는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AERIAL WORKING PLATFORM WITH MATERIALS SUPPORT MEANS}
본 발명은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이나 파이프 등 길이가 긴 건축용 자재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대는 별도의 장비없이 건물이나 주택의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하여 배관 공사, 덕트 공사, 미장 공사, 건물 외벽 공사 등을 진행할 때 폭넓게 사용되는 장비이다. 일 예로써, 이러한 종래의 고소 작업대가 도 1 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대차부(5)와, 상기 대차부(5)의 하측부에 장착되어 고소 작업대를 작업할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0)로 구성되는 이동수단(20)과,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30)와, 상기 작업대의 외측을 둘러싸는 난간대(35)와, 상기 작업대(3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되 절첩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30)를 승하강시키는 작업대승강수단(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상기 이동수단(20)에 의해 작업할 위치까지 이동한 다음,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30)에 작업에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탑승한 후, 상기 작업대승강수단(50)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30)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작업대승강수단(50)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30)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소 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 철근이나 파이프 등 비교적 길이가 긴 건축 자재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거치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작업대(30)의 외측을 둘러싸는 단간대(40) 상에 자재를 올려놓게 되는데, 난간대(40)의 상부면이 대체로 수평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철근이나 파이프 등을 올려놓게 되면 적재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롤링 또는 미끄러짐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므로, 작업자가 항시 손으로 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고소 작업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철근 또는 파이프와 같은 비교적 길이가 긴 건축용 자재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외측을 둘러싸는 난간대와, 상기 작업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되 절첩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작업대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로서, 상기 난간대에 구비되고, 내측에 건축용 자재가 수용 거치되며, 상기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측면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는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건축용 자재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의 상부 표면이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거치돌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상기 난간대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부에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며, 난간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장착편과; 건축용 자재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편의 상부 표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거치바 및 제2거치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편은 단면이 '
Figure 112010044410907-pat00001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편의 장착홈 내측 양단에는 장착편이 장착된 난간대의 하부 표면과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롤러는 중앙에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에는 롤러축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롤러축의 양단은 상기 장착편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너트에 의해 장착편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거치바와 제2거치바 중 최소한 어느 하나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이를 위해, 상기 장착편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장착편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장착편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거치바가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제2거치바가 결합되는 이동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거치바와 이동편을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이동편에 구비되는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조여져 상기 이동편을 가이드바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이거나, 상기 제2거치바와 이동편에 각각 구비되는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조여져 상기 제2거치바와 이동편을 가이드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와 장착편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장착편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바를 장착편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바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바고정수단은 장착편에 구비되는 후크와, 상기 가이드바에 천공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대의 외측을 둘러싸는 난간대 상부 표면에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자재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자재를 파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의 분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의 사용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의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대는, 이동수단(20), 작업대(30), 난간대(40)를 포함하며, 자재거치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20), 작업대(30), 난간대(40), 작업대승강수단(50)은 종래 고소 작업대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작업대(30)의 외측을 둘러싸는 난간대(4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건축용 자재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고, 상기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측면에서 가로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자재거치수단의 특이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4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거치홈(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홈(60)은 상기 난간대(40)의 서로 마주보는 변의 상부 중앙이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내부에 철근이나 파이프와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건축용 자재의 양단이 수용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형상은 'V'자, 'U'자, 사각형상, 반원형, 상광 하협의 사다리꼴 형상 등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동 및 이탈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건축용 자재는 양단이 상기 거치홈(60) 내부에 수용되어 작업대(30)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거치 적재되며, 거치홈(60) 내측면이 좌우 양측에서 상기 건축용 자재를 가로막아 지지하므로 건축용 자재가 롤링 또는 미끄러짐 현상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 또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40)의 서로 마주보는 변의 상부 중앙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거치돌기(7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돌기(70)는 난간대(40)의 상부 중앙에 서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됨으로써 그 사이에 건축용 자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각 거치돌기(70)가 내측에 수용된 건축용 자재를 외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함으로써,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거치돌기(70)는 대체로 난간대(40)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재로 구성되어 난간대(40)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돌기(70)의 형상 또한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다수의 건축용 자재를 수용 거치할 수 있도록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 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6 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은 고소 작업대의 난간대(40)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편(100), 제1거치바(110) 그리고 제2거치바(120)를 포함한다.
장착편(100)은 상기 난간대(40)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는 부분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체로'
Figure 112010044410907-pat00002
'형으로 구성되어, 하부에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 장착홈(112)이 구비되며, 난간대(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100)은 난간대(4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4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대(3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수나 적재되는 짐의 양에 따라 건축용 자재를 거치할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편(100)의 장착홈(112) 내측 양단에는 장착편(100)이 장착된 난간대(40)의 하부 표면과 접촉되는 롤러(116)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16)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축홈(116a)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116a)에는 롤러(116)의 회전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롤러축(118)이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축(118)의 양단은 상기 장착편(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114)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너트(119)에 의해 장착편(100)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롤러(116)에 의해, 상기 장착편(100)이 난간대(40)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착편(100)의 상부 표면에는 거치되는 건축용 자재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1거치바(110)와 제2거치바(120)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거치바(110)와 제2거치바(120)는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돌기(70)와 마찬가지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장착편(100) 상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거치바(110)와 제2거치바(120)는 거치되는 건축용 자재의 양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거치바(110)와 제2거치바(120) 중 최소한 어느 하나(여기서는 제2거치바(120)를 예로 들기로 함)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3실시예에 따른 자재거치수단은 가이드바(130), 이동편(140), 고정수단(15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130)는 상기 제2거치바(120)의 수평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장착편(100)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되어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편(100)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장착편(100)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극 이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130)의 둘레에는 가이드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편(140)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이동편(140)은 내측에 상기 가이드바(130)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구비된 납작한 블록 형상이거나, 상기 가이드바(13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금속 판 또는 스트립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편(140)은 상기 가이드바(130)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드바(130)와 장착편(10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바(1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편(140)의 상부 표면에는 제2거치바(120)가 결합된다. 상기 제2거치바(120)는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거치바(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 후 위치가 정해지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150)에 의해 이동편(140)과 함께 가이드바(130) 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고정볼트(154)와 볼트공(151,15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편(140)과 제2거치바(120)의 하부 수평 절곡 부분에 각각 볼트공(151,152)이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공(151,152)에 고정볼트(154)가 조여져, 상기 제2거치바(120)와 이동편(140)이 가이드바(130)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거치바(120)의 이동시에는 상기 고정볼트(154)를 약간 풀어 이동편(140)과 가이드바(13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 후 이동편(140)을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동후에는 다시 고정볼트(154)를 조여 이동편(140) 및 제2거치바(120)를 가이드바(130)에 고정한다.
제2거치바(12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1거치바(110)는 상기 가이드바(130)에 용접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도 있고, 제2거치바(120)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 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장착식 자재거치수단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4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장착되어 건축용 자재의 양단을 수용 거치하며, 장착편(100) 하부에 구비된 롤러(116)에 의해 장착편(100) 자체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거치바(120)가 가이드바(1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건축용 자재의 양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자재거치대에 의하여, 철근 또는 파이프 등과 같은 비교적 길이가 긴 건축용 자재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가이드바(130)를 장착편(100)과 고정 결합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바(130)가 장착편(1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130)와 장착편(100)을 경첩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가 가이드바(130)를 장착편(100)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이드바(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고정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바고정수단(160)은 상기 장착편(100)에 구비된 후크(162)와, 가이드바(130)에 천공된 통공(163)을 포함하여, 가이드바(130)를 장착편(100) 상에 장착하는 경우에 후크(162)가 통공(163)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고, 가이드바(130)를 회동시켜 장착편(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후크(162)를 탄성 변형시켜 통공(16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자재의 거치가 필요한 경우 자재거치수단을 직립 장착하여 사용하고, 자재 거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자재거치수단을 회동시킴으로써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상기 가이드바고정수단(160)으로 후크 결합 수단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가이드바(13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채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30 : 작업대 40 : 난간대
50 : 작업대승강수단 60 : 거치홈
70 : 거치돌기 100: 장착편
112 : 장착홈 114 : 관통공
116 : 롤러 116a : 축홈
118 : 롤러축 119 : 고정너트
110 : 제1거치바 120 : 제2거치바
130 : 가이드바 140 : 이동편
150 : 고정수단 154 : 고정볼트
151,152 : 볼트공

Claims (16)

  1.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외측을 둘러싸는 난간대와, 상기 작업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되 절첩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작업대를 승하강시키는 작업대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에 구비되고, 내측에 건축용 자재가 수용 거치되며, 상기 건축용 자재가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측면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는 자재거치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상기 난간대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부에 오목하게 만곡 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며 난간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장착편과, 건축용 자재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장착편의 상부 표면에 서로 이격되어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거치바 및 제2거치바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편의 장착홈 내측 양단에는 장착편이 장착된 난간대의 하부 표면과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재거치수단은 난간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건축용 자재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은 단면이 '
    Figure 112010071428142-pat00003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중앙에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에는 롤러축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롤러축의 양단은 상기 장착편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너트에 의해 장착편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장착편에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장착편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거치바가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제2거치바가 결합되는 이동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바와 이동편을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이동편에 구비되는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조여져 상기 이동편을 가이드바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거치바와 이동편에 각각 구비되는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조여져 상기 제2거치바와 이동편을 가이드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와 장착편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가 장착편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를 장착편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바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고정수단은, 상기 장착편에 구비되는 후크와, 상기 가이드바에 천공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
KR1020100066252A 2010-07-09 2010-07-09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10100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52A KR101007963B1 (ko) 2010-07-09 2010-07-09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252A KR101007963B1 (ko) 2010-07-09 2010-07-09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963B1 true KR101007963B1 (ko) 2011-01-14

Family

ID=4361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252A KR101007963B1 (ko) 2010-07-09 2010-07-09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9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32B1 (ko) * 2014-11-25 2015-08-26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1605992B1 (ko) * 2015-04-02 2016-03-24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20220055689A (ko) * 2020-10-27 2022-05-04 박길수 천장패널 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090U (ko) * 1990-03-23 1991-12-12
JPH0575286U (ja) * 1992-03-19 1993-10-1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並びにその作業台構造
JP2006069779A (ja) 2004-09-06 2006-03-16 Nissan Motor Co Ltd ガスボンベ脱着装置
KR20100045324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090U (ko) * 1990-03-23 1991-12-12
JPH0575286U (ja) * 1992-03-19 1993-10-1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高所作業車並びにその作業台構造
JP2006069779A (ja) 2004-09-06 2006-03-16 Nissan Motor Co Ltd ガスボンベ脱着装置
KR20100045324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432B1 (ko) * 2014-11-25 2015-08-26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1605992B1 (ko) * 2015-04-02 2016-03-24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20220055689A (ko) * 2020-10-27 2022-05-04 박길수 천장패널 부착장치
KR102452300B1 (ko) * 2020-10-27 2022-10-07 박길수 천장패널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275B2 (en) Drywall panel carrier attachable to lift platform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KR101007963B1 (ko)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KR100918170B1 (ko) 고속절단기용 거치대
US2816726A (en) Vent pipe support apparatus
KR20210003452A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US3169604A (en) Scaffold
JP2009057198A (ja) エレベータかご、エレベータかごの組立方法、および揚重治具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US10874209B1 (en) Expandable and contractable suspended storage device
JP2019128034A (ja) 作業台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JP4707466B2 (ja) 作業台着脱式昇降台及び作業台
JP6621732B2 (ja) 作業床装置
KR100397522B1 (ko)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JP2010007228A (ja) 荷吊り装置
KR200485668Y1 (ko) 조립식 리프팅 장치
JP5570925B2 (ja) 竪管施工方法
JP7048074B2 (ja) 昇降作業台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JP6388834B2 (ja) 斜壁用簡易梯子
KR101383483B1 (ko) 크레인 훅크 블록 정비 스탠드
CA2503758C (en) Drywall panel carrier
CN218862071U (zh) 电梯井施工设备及系统
KR200307815Y1 (ko) 이동식 안전 시설물 지지대
CN209737954U (zh) 移动式张拉施工操作平台
KR101401346B1 (ko) 건축물 아웃리거 작업용 승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