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992B1 -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992B1
KR101605992B1 KR1020150046944A KR20150046944A KR101605992B1 KR 101605992 B1 KR101605992 B1 KR 101605992B1 KR 1020150046944 A KR1020150046944 A KR 1020150046944A KR 20150046944 A KR20150046944 A KR 20150046944A KR 101605992 B1 KR101605992 B1 KR 10160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stenosis
railing
preven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삼달
고유석
Original Assignee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유체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켜서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난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상향으로 설치되는 가동부와, 상기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부에 전달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센서기둥과, 상기 가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1 이상의 수평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난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설치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향위치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된 하향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부가 설치되는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vertically movable workable for preventing crash accident}
본 발명은,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고소작업대의 협착감지기구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고소작업대의 최상단부에 화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高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소작업대가 알려져 있다. 특히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가 동력 승강기에 의하여 승강되는 형태의 고소작업대에 있어서는, 승강기를 제어하는 조작기나 제어기의 고장이나 사고,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과다 승강에 의하여 작업자가 고소와 작업대 사이에 끼여서 협착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대가 필수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협착방지를 위하여, 작업대의 최상단 난간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운동하는 상부 프레임 및 이 상대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협착 방지장치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특허공개 10-2007-0017228 공보
그런데, 고소작업대를 이용한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 덕트 등의 대형 작업재료를 함께 싣고 승강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대형 작업재료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협착 방지장치를 장착하지 않으면, 작업대의 최상단 난간의 상부에 이러한 대형 작업재료를 싣고 승강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협착 방지라는 기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협착 방지장치를 장착한 경우에는, 안전은 확보되지만, 작업대의 최상단 난간에 이미 협착 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위에 대형 작업재료를 싣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협착방지라는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대형 작업재료를 싣기 위하여 협착 방지장치의 일부의 작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는,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켜서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난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상향으로 설치되는 가동부와, 상기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부에 전달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센서기둥과, 상기 가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난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설치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향위치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된 하향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부가 설치되는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켜서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난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상향으로 설치되는 가동부와, 상기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부에 전달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센서기둥과, 상기 가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난간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따라서 승강되는 1 이상의 수직봉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상향된 상기 센서기둥에 지지된 상기 수평바의 상면보다 높은 제1 위치와, 상기 지지부의 상면이 상향된 상기 센서기둥에 지지된 상기 수평바의 상면보다 낮은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난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설치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향위치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된 하향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부가 설치되는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앙의 높이보다 높은 부분을 가지는 1 이상의 지지스토퍼를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스토퍼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출몰가능한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난간은, 난간의 높이보다 높은 부분을 가지고, 난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1 이상의 난간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바는, 중공 통형상의 대경 수평바와, 상기 대경 수평바의 중공부에 끼워져서 출몰가능한 소경 수평바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협착방지라는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대형 작업재료를 싣기 위하여 협착 방지장치의 일부의 작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의 개략사시도로서, 고소작업대에 설치된 협착방지장치가 상면 전체에 대하여 작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협착방지장치의 일부(우측부분)만 작동가능하고 나머지 일부(좌측부분)은 작동제한된 상태를 나타낸다. 협착방지장치가 작동제한된 상태인 부분에 해당되는 작업대의 최상단 난간에는, 도관이나 덕트 등의 대형 작업재료가 탑재될 수 있다.
도 3은, 협착방지장치의 접철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a)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가능 상태로 설치된 상태, (b)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제한 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 (b)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가능 상태로 설치된 경우에도, 협착방지장치의 수평바의 압착을 저지하면서 그 위에 대형 작업재료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탑재부의 다양한 구성예와 작동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도 5를 종합하여, 협착방지장치의 일부 작동가능/작동제한 상태와 함께 탑재부의 동작을 조합하여, 대형 작업재료 탑재형 고소작업대의 가능한 다양한 활용형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 7은, 작업대의 난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난간스토퍼와, 대형 작업재료의 탑재를 위하여 신축가능하게 출몰되도록 구성된 협착방지장치의 수평바의 예시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난간스토퍼와 출몰식 수평바의 동작을 조합하여, 대형 작업재료 탑재형 고소작업대의 가능한 다양한 활용형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구성에 의하여 동일기능을 나타내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의 개략사시도로서, 고소작업대에 설치된 협착방지장치가 상면 전체에 대하여 작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고소작업대(20) 자체는, 미도시된 대차(수평이동수단) 위에 설치된 승강기(수직이동수단)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는, 승강부(미도시)와, 작업대(20)와, 조작부(23)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는,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며, 전기력, 유체압 등에 의하여 작동한다. 상기 유체압은, 유압, 수압, 공기압, 가스압 등을 불문한다.
상기 작업대(20)는,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의 기계적 힘에 의하여 상기 작업대(20)는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다. 상기 작업대(20)는, 도 1, 도 2,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25)의 주위로 가로로 난간(21)과 세로로 기둥(22)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 형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직사각형상의 작업대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조작부(23)는,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켜서 상기 작업대(20)를 승강시킨다. 상기 조작부(23)는, 수동으로 승강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종간 형태나 자동으로 다양한 조건이 고려되어 조작되는 컨트롤박스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3)는 작업대(20)에 탑재된 예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고소작업대는 협착방지장치로서, 1 이상의 센서기둥(50)과, 1 이상의 수평바(60)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기둥(50)은, 고정부(51~54)와, 가동부(55)와, 센서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 센서기둥(50)은, 상기 수평바(60)의 지지기능과 함께 상기 수평바(60)에 걸리는 외력을 검출하여 상기 조작부(23)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부(51~54)는, 상기 작업대(20)의 난간(21)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최상단 난간(21)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설치의 방식은, 용접이나 리벳을 이용한 완전고정식 설치도 가능하지만, 볼트너트나 클램프 등에 의한 착탈식 설치도 가능하다.
상기 가동부(55)는, 상기 고정부(51~54)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상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동부(55)의 하측은 상기 고정부(51~54)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55)의 상측은 상기 수평바(6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변위를 검출하여 상기 조작부(23)에 전달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센서부가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하지만, 예컨대 상기 가동부(55)의 기둥부분의 중공부에, 상기 고정부(51~54) 중의 제2 고정부(53, 54)의 상향 기둥부분의 선단부가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대운동 가능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대운동에 의하여 가압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 예컨대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상대운동의 경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가동부 상측의 수평바(60)에 생긴 변위에 의하여 가동부(55)와 고정부(51~54) 사이에 생긴 상대운동의 정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가 가압되어 미리 정해진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가 상기 조작부(23)에 전달되어, 상기 승강부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만 센서부는 상기 구체적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대운동하는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의 변위를 검지할 수 있는 모든 기술, 예컨대 레이저변위계, 자계센서 등을 활용해서 구현되어도 좋다.
상기 수평바(60)는, 상기 가동부(55)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바(60)는 상기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좋고, 반드시 수평이 아니라 비스듬한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좋으며, 하나의 센서기둥(50)에 대하여 하나가 아니라 다수개 설치되어도 좋고, 다수개의 센서기둥(50)에 대하여 하나가 공유되어 설치되어도 좋다.
그런데, 작업대(20)의 상단 난간(21) 위에 대형 작업재료(L)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협착방지장치(50~80)를 제거하면 되지만, 이처럼 협착방지장치(50~80)를 제거하면 안전의 문제가 대두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협착방지장치(50~80)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일부만 무력화시켜서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의 일부영역, 예컨대 조작부(23)가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가동되게 하고, 되도록 그 일부 가동되는 부분에 작업자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협착방지장치의 일부(우측부분)만 작동가능하고 나머지 일부(좌측부분)은 작동제한된 상태를 나타낸다. 협착방지장치가 작동제한된 상태인 부분에 해당되는 작업대(20)의 최상단 난간(21)에는, 도관이나 덕트 등의 대형 작업재료(L)가 탑재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다수개로 나눠진 협착방지장치(50~80)의 부분 중에서 좌측부분의 협착방지장치(50~80)가 무력화(작동제한)되고, 우측부분의 협착방지장치(50~80)는 작동가능 상태임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반대로 우측부분의 협착방지장치(50~80)가 무력화되고, 좌측부분의 협착방지장치(50~80)는 작동가능 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측, 중앙, 우측으로 세 부분으로 나눠진 경우에는, 어느 한 부분 이상이 작동가능하고, 나머지 부분이 작동제한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3은, 협착방지장치의 접철구조를 나타내는 구체적 예시도로서, (a)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가능 상태로 설치된 상태, (b)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제한 상태로 회동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a), (b)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부(51~54)는,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51)와, 힌지(52)와, 제2 고정부(53, 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51)는, 상기 난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착탈가능한 고정의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볼트너트 조합, 끼워맞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힌지(52)는, 상기 제1 고정부(51)에 설치된다. 힌지(52)는 제1 고정부(51)와 제2 고정부(53, 54) 사이의 상대회동의 중심이 된다.
상기 제2 고정부(53, 54)는, 상기 힌지(5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51)에 대하여 상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향위치와, 상기 제1 고정부(51)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된 하향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다. 상기 제2 고정부(53, 54)에는 상기 가동부(55)가 설치된다. 특히 도면부호 53은 제2 고정부의 바닥부이고, 도면부호 54는 상기 바닥부(53)에 고정된 제2 고정부의 봉이고, 이 봉(54)에 상기 가동부(55)가 설치된다.
도 5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가능 상태로 설치된 경우에도, 협착방지장치의 수평바의 압착을 저지하면서 그 위에 대형 작업재료를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탑재부의 다양한 구성예와 작동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고소작업대는,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는 1 이상의 탑재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탑재부(70)는, 상기 난간(21)에 설치되는 가이드(73)를 따라서 승강되는 1 이상의 수직봉(72)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부(71)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73)는 상기 수직봉(72)의 수만큼 설치되면 된다. 상기 수직봉(72) 및 지지부(71)의 승강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탑재부(70)는, 대형 작업재료(L)가 탑재되는 부분으로서, 도 5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71)의 상면이 협착방지장치의 상향된 상기 센서기둥에 지지된 상기 수평바(60)의 상면보다 높은 제1 위치와, 상기 지지부(71)의 상면이 협착방지장치의 상향된 상기 센서기둥에 지지된 상기 수평바(60)의 상면보다 낮은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다. 즉, 상기 탑재부(70)가 제1 위치에 있는 동안은, 대형 작업재료(L)가 탑재되더라도 상기 수평바(60)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을 무력화(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71)는, 중앙의 높이보다 높은 부분을 가지는 1 이상의 지지스토퍼(74)를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스토퍼(74)로 인하여, 예컨대 파이프, 도관, 덕트 등 원형 단면을 가지는 대형 작업재료(L)가 탑재된 경우에, 옆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부(71) 및 지지스토퍼(74)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지지부(71)에 스토퍼가 없는 평평한 형태일 수도 있지만, (b) 지지스토퍼(74)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c) 지지스토퍼(74)가 상향직선형으로 형성 또는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토퍼(74)는, 도 5 (d)와 같이 상기 지지부(71)로부터 몰가능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출몰가능한 지지스토퍼(74)의 구성은, 도 5 (d)와 같이, 회동핀을 중심으로 중앙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지지부(71) 내부에 숨겨지는 홈위치(b)와 상향 외향방향으로 위치하여 외측 스토퍼에 의하여 더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면서 노출되는 작업위치(a) 사이에서 지지스토퍼(74)가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시 돌출되어 있는 지지스토퍼(74)로 인한 걸림 등의 작업방해가 해소될 수 있다.
도 6은, 도 1~도 5를 종합하여, 협착방지장치의 일부 작동가능/작동제한 상태와 함께 탑재부의 동작을 조합하여, 대형 작업재료 탑재형 고소작업대의 가능한 다양한 활용형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 중 부호 L은 대형 작업재료를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협착방지장치가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으로 나뉘어서 개별적으로 작동가능 및 작동제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도 6 (b)에서,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은 하향절곡되어 있고, 우측부분은 상향기립되어 있다. 또한 탑재부(70)는,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협착방지장치의 각 부분마다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지만,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부분에만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a)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우측 부분이 모두 하향위치(제2 고정부가 제1 고정부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있고, 탑재부(70)가 제2 위치(지지부 상면이 작동상태의 협착방지장치의 수평바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최상단 난간(21) 상면과 탑재부(70)의 지지부(71) 상면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지만, 협착방지장치가 모두 무력화되어 있으므로, 안전사고에 대하여 전혀 대비할 수 없다.
도 6의 (b)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은 하향위치, 우측부분은 상향위치(제2 고정부가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있고, 탑재부(7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하향위치인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에 해당되는 최상단 난간(21) 상면과 탑재부(70)의 지지부(71) 상면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고, 협착방지장치의 우측부분이 작동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이 우측부분 영역에 있으면 안전사고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도 6의 (c)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은 하향위치, 우측부분은 상향위치에 있고, 수평바(60)의 대경 수평바(61)로부터 소경 수평바(62)가 돌출된 상태에 있고, 탑재부(7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하향위치인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에 해당되는 최상단 난간(21) 상면과 탑재부(70)의 지지부(71) 상면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고, 협착방지장치의 우측부분 및 소경 수평바(62)가 커버하는 영역이 작동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이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영역에 있으면 안전사고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도 6의 (d)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우측부분 모두 상향위치에 있고, 수평바(60)의 대경 수평바(61)에 소경 수평바(62)가 수용된 상태에 있고, 탑재부(7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 사이 공간에 해당되는 최상단 난간(21) 상면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고, 협착방지장치의 좌우측부분이 커버하는 영역이 작동가능하므로, 작업자가 이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영역에 있으면 안전사고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도 6의 (e)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우측부분 모두 상향위치에 있고, 수평바(60)의 대경 수평바(61)로부터 소경 수평바(62)가 돌출된 상태에 있고, 탑재부(7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모든 영역에 있어서 협착방지장치가 작동하므로,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가 없어서, 안전은 최상으로 보호되지만 작업편의성은 전혀 없다.
도 6의 (f)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우측부분 모두 상향위치에 있고, 수평바(60)의 대경 수평바(61)로부터 소경 수평바(62)가 돌출된 상태에 있고, 탑재부(70)가 제1 위치(지지부 상면이 작동상태의 협착방지장치의 수평바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의 작동이 무력화되므로, 탑재부(70)의 지지부(71) 상면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하므로, 작업자가 이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영역에 있으면 안전사고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도 6의 (g)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우측부분 모두 상향위치에 있고, 수평바(60)의 대경 수평바(61)에 소경 수평바(62)가 수용된 상태에 있고, 탑재부(7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의 작동이 무력화되므로, 탑재부(70)의 지지부(71) 상면 및 좌우측 협착방지장치 사이에 해당되는 최상단 난간(21)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고, 우측부분 영역에서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하므로, 작업자가 이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영역에 있으면 안전사고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도 6의 (h)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은 하향위치에, 우측부분은 상향위치에 있고, 수평바(60)의 대경 수평바(61)에 소경 수평바(62)가 수용된 상태에 있고, 탑재부(7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협착방지장치의 좌측부분에 해당되는 영역은, 최상단 난간(21) 및 탑재부(70)의 지지부(71) 위에 2층으로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할 수 있고, 우측부분 영역에서는 협착방지장치가 작동하므로, 작업자가 이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영역에 있으면 안전사고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도 7은, 작업대의 난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난간스토퍼와, 대형 작업재료의 탑재를 위하여 신축가능하게 출몰되도록 구성된 협착방지장치의 수평바의 예시사시도이다.
상기 난간(21)은, 난간(21)의 높이보다 높은 부분을 가지고, 난간(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1 이상의 난간스토퍼(8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난간스토퍼(80)는, 상기 난간(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부(81)와, 상기 착탈부에 구비되어, 난간(21) 상부에 탑재된 대형 작업재료(L)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부(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난간스토퍼(80)는, 상기 착탈부(81)를 풀어서 평행이동시킴으로써, 그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60)는, 중공 통형상의 대경 수평바(61)와, 상기 대경 수평바(61)의 중공부에 끼워져서 출몰가능한 소경 수평바(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대경 수평바(61)가 센서기둥(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경 수평바(62)가 출몰함으로써 그 수평바(60) 전체의 감지영역을 확대축소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난간스토퍼와 출몰식 수평바의 동작을 조합하여, 대형 작업재료 탑재형 고소작업대의 가능한 다양한 활용형태를 나타내는 작동 설명도이다. 여기서 협착방지장치는 우측부분에만 설치하고, 좌측부분에는 협착방지를 위한 아무런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8 (a)와 같이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경 수평바(62)를 돌출시켜서 협착방지장치의 작동영역을 확장시킨다. 이로써 좌측부분에도 협착방지가 가능하게 되어 안전도가 높아진다.
도 8 (b)와 같이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경 수평바(62)를 대경 수평바(61) 내부로 수용시켜서 최상단 난간(21) 상부영역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이 노출된 난간(21) 위에 대형 작업재료(L)를 탑재한다. 이 경우에, 난간스토퍼(80)의 조임을 풀어서, 대형 작업재료(L)의 양단부에 배치하면, 굴러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의 수단일 뿐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개량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에 이용될 수 있다.
20: 작업대
50: 센서기둥
60: 수평바
70: 탑재부
80: 난간스토퍼
L: 대형 작업재료

Claims (3)

  1. 수직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켜서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난간에 설치되는 중공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출몰되면서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도록 상향으로 설치되는 중공의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에 의해 밀폐되는 중공의 내부공간의 상기 변위되는 상대운동 경로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물리적인 상기 변위를 받으면, 상기 조작부에 전달되는 미리 정해진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센서기둥과,
    상기 가동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1 이상의 수평바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난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 설치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상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상향위치와,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하여 하향으로 회동된 하향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부가 설치되는 제2 고정부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난간의 높이보다 높은 부분을 가지고, 난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1 이상의 난간스토퍼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중공 통형상의 대경 수평바와, 상기 대경 수평바의 중공부에 끼워져서 출몰가능한 소경 수평바로 이루어짐
    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20150046944A 2015-04-02 2015-04-02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160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44A KR101605992B1 (ko) 2015-04-02 2015-04-02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44A KR101605992B1 (ko) 2015-04-02 2015-04-02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467A Division KR101547432B1 (ko) 2014-11-25 2014-11-25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992B1 true KR101605992B1 (ko) 2016-03-24

Family

ID=5565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44A KR101605992B1 (ko) 2015-04-02 2015-04-02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16B1 (ko) *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80104412A (ko) * 2017-03-13 2018-09-21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0490977Y1 (ko) * 2018-07-30 2020-02-03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60B1 (ko) * 2006-04-06 200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101007963B1 (ko) * 2010-07-09 2011-01-14 (주)에이원렌탈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60B1 (ko) * 2006-04-06 200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101007963B1 (ko) * 2010-07-09 2011-01-14 (주)에이원렌탈 자재 거치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16B1 (ko) *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80104412A (ko) * 2017-03-13 2018-09-21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959747B1 (ko) * 2017-03-13 2019-03-20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0490977Y1 (ko) * 2018-07-30 2020-02-03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1550686B1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10160599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KR100962299B1 (ko) 고소작업대의 자동제동장치
JP2011126628A (ja) エレベータ点検台
KR20180001335U (ko) 높이 조절 가능한 레이더 마스트 및 이를 가지는 선박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101884810B1 (ko) 길이가 신축되는 가설물
KR101857116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JP3178279U (ja) スライドダウン装置
JP6594630B2 (ja) 円錐躯体用の移動昇降式足場と、その昇降を制御する昇降制御システム、及び円錐躯体に対するコンクリート打設作業における作業用可動式足場の形成方法
KR20070047071A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200077700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JP5117457B2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機器の点検台装置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JP2007182281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盤点検台装置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KR101894830B1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JP2006265911A (ja) 単純昇降式駐車装置
KR20150142909A (ko) 작업용 승강기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JP2007008603A (ja) エレベータ釣合いおもりの上部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