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830B1 -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830B1
KR101894830B1 KR1020170067113A KR20170067113A KR101894830B1 KR 101894830 B1 KR101894830 B1 KR 101894830B1 KR 1020170067113 A KR1020170067113 A KR 1020170067113A KR 20170067113 A KR20170067113 A KR 20170067113A KR 101894830 B1 KR101894830 B1 KR 10189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rotating body
hoistway
fixing bolt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756A (ko
Inventor
임정환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승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승강기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승강기
Publication of KR2017013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085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의 하부 공간인 피트에 수직으로 사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설치되어지는 사다리는 평소에는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어 승강기의 운행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승강기의 유지보수 및 점검작업시에는 사다리를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피트 내부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승강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Safety equipment for installing at low pit of elevator way}
본 발명은 상,하로 구동되어지는 승강기의 하부에서 진행되는 유지보수 및 점검에 따른 작업시 승강기를 정지시킨 후에 보다 안전하게 작업가능하도록 실시되어지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기가 구동되는 승강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피트라 하며 상기 피트에서 다양한 작업이 진행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승강기 점검시에는 승강기를 정지시킨 후에 작업자들이 상기 피트로 이동하여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가능한 것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승강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공간부인 승강로를 형성하여 층간이동을 편리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지는 승강기는 승강로와 연결되어지도록 각층에 승강장을 형성하되, 상기 승강로와 승강장을 분리하는 승강장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기 내부의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탑승하기 위하여 각층에 설치되어진 승강장 및 승강장도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승강기는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유지보수 및 점검을 실시하게 되는 것으로서 주로 승강로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는 피트를 형성하여 상기 피트에서 작업자가 승강기 점검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승강로 최하부에 형성되는 피트의 경우 승강기의 전원을 차단한 후에 약 2m가량의 높이에 작업자가 진입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바 상기 승강기의 하중이나 오작동에 의하여 상기 승강기가 피트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생명에 위험을 갖게 되는 바 별도의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5047143(2016.02.24.) 0002)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6-146760호(1994.05.27.)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승강로의 하부 공간인 피트에 수직으로 사다리를 설치하되, 상기 설치되어지는 사다리는 평소에는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어 승강기의 운행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승강기의 유지보수 및 점검작업시에는 사다리를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이격되게 함으로써, 상기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피트 내부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승강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인 피트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내벽면에 "ㄷ"형상으로 설치되어지며 양측 중간부분에는 회동축이 각각 수평으로 축설되며, 양측 상부에는 각각 고정볼트가 일정 길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감지봉을 갖는 감지센서가 장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며, 후단에는 스톱퍼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후방 양측에는 각각 고정볼트가 일정 길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봉과 접지되는 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지지부의 고정볼트에 상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의 고정볼트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승강로 하부 피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로부터 회전체를 직각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지지부의 고정볼트와 회전체의 고정볼트에 고정된 탄성스프링이 상기 회동축을 지나가도록 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의 인장력에 사점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고정하는 수단이 없이도 상기 회전체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사다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로의 하부 피트에 사다리가 결합되어진 안전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간편하게 펼쳐 승강로 피트에 용이하게 진입하여 유지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중에도 승강기의 오작동에 대한 염려가 없어 작업능률을 효율적으로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으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고 높은 생산성을 유발함은 물론 간편한 원터치 개념의 사다리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가 없이도 승강기의 유지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사다리가 복원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체를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체를 펼쳐진 상태의 측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의 접이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측면 예시도
도 8은 도 3의 측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로 하부 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는 승강로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인 피트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103)의 내벽면(102)에 "ㄷ"형상으로 설치되어지며 양측 중간부분에는 회동축(12)이 각각 수평으로 축설되며, 양측 상부에는 각각 고정볼트(14)가 일정 길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감지봉(18)을 갖는 감지센서(16)가 장착된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회동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며, 후단에는 스톱퍼(22)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후방 양측에는 각각 고정볼트(24)가 일정 길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감지센서(16)의 감지봉(18)과 접지되는 브라켓(26)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20)와; 상기 지지부(10)의 고정볼트(14)에 상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20)의 고정볼트(24)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30)과; 상기 회전체(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승강로(103) 하부 피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4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로부터 회전체(20)를 직각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지지부(10)의 고정볼트(14)와 회전체(20)의 고정볼트(24)에 고정된 탄성스프링(30)이 상기 회동축(12)을 지나도록 하여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인장력에 사점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고정하는 수단이 없이도 상기 회전체(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사다리(40)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구성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승강로(103) 피트(101)의 내벽면(102)에 고정, 결합 가능한 지지부(1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10)의 양측 상부에는 탄성스프링(30)의 상단이 고정되는 고정볼트(13)가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2')에는 회동축(12)이 결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축(12)에 의해 상기 회전체(20)가 상기 지지부(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10)의 상부 일측으로 감지봉(18)을 갖는 감지센서(16)가 결합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회전체(20)를 회전시켜 상기 사다리(40)를 내벽면(102) 측으로 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체(20)의 하부에 결합되어진 브라켓(26)이 상기 감지센서(16)의 감지봉(18)과 접지되면서 승강로(103) 피트(101)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이 종료됐음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승강기의 정상운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지지부(10)와 회전체(20)는 사다리(40)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다수가 설치되어져 사다리(40)를 슬라이드 이동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사다리(40)와 내벽면(102) 사이의 엇갈리는 유격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사다리(40)가 복원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20)와 사다리(40)가 긴밀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사다리(3)의 일측에 별도의 패널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체(20)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사다리(40)와 회전체(20) 사이의 단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사다리(40)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체(20)를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및 측면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잡고 밑으로 내리게 되면 상기 회전체(20)가 90도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체(20)의 후단에 형성된 스톱퍼(22)가 지지부(10)의 전면에 맞닿아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20)가 회동하면서 상기 감지봉과 접지되어 있던 브라켓(26)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16)에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신호를 전달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승강기의 운행이 중지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10)의 고정볼트(14)와 회전체(20)의 고정볼트(24)에 고정된 탄성스프링(30)은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지지부(10)와 회전체(20)를 일체로 연결하는 회동축(12)을 지나기 때문에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인장력에 사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30)이 지지부(10)의 고정볼트(14)와 회동축(12) 및 회전체(20)의 고정볼트(24)에 걸쳐 일직선으로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탄성스프링(30)의 인장력이 작용을 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회전체(20)가 직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회전체(20)가 접이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40)를 잡고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회전체(20)가 회동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회전체(20)의 회동이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2의 측면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체(20)를 펼쳐 사다리(40)를 내벽면(10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하여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40)를 이용하여 피트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3의 측면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체(20)를 탄성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편리하게 회동시켜 상기 사다리(40)를 내벽면(102)과 가깝게 밀착시켜 줌으로써, 작업이 마무리 된 상태임을 감지센서(16)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정지되어 있던 승강기의 운행을 다시 재게하는 동시에 승강기 운행에 상기 사다리(40)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지지부 12 : 회동축
14 : 고정볼트 16 : 감지센서
20 : 회전체 22 : 스톱퍼
24 : 고정볼트 26 : 브라켓
30 : 탄성스프링 40 : 사다리

Claims (1)

  1. 승강로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인 피트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103)의 내벽면(102)에 "ㄷ"형상으로 설치되어지며 양측 중간부분에는 회동축(12)이 각각 수평으로 축설되며, 양측 상부에는 각각 고정볼트(14)가 일정 길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일측 상부에 감지봉(18)을 갖는 감지센서(16)가 장착된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의 회동축(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며, 후단에는 스톱퍼(22)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후방 양측에는 각각 고정볼트(24)가 일정 길이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감지센서(16)의 감지봉(18)과 접지되는 브라켓(26)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체(20)와;
    상기 지지부(10)의 고정볼트(14)에 상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20)의 고정볼트(24)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30)과;
    상기 회전체(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승강로(103) 하부 피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4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로부터 회전체(20)를 직각으로 펼쳐질 경우 상기 지지부(10)의 고정볼트(14)와 회전체(20)의 고정볼트(24)에 고정된 탄성스프링(30)이 상기 회동축(12)을 지나도록 하여 상기 탄성스프링(30)의 인장력에 사점이 생기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고정하는 수단이 없이도 상기 회전체(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사다리(40)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로 하부 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KR1020170067113A 2016-05-30 2017-05-30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KR101894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6186 2016-05-30
KR1020160066186 201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56A KR20170135756A (ko) 2017-12-08
KR101894830B1 true KR101894830B1 (ko) 2018-09-04

Family

ID=6092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13A KR101894830B1 (ko) 2016-05-30 2017-05-30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474B1 (ko) * 2018-02-28 2019-08-28 주식회사 지에스이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보수 및 점검용 사다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047143U (zh) 2015-10-09 2016-02-24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电梯底坑爬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760A (ja) 1992-11-02 1994-05-2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折り畳み式梯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047143U (zh) 2015-10-09 2016-02-24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改进的电梯底坑爬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756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751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JP6389788B2 (ja) 乗客コンベア
EP3459893B1 (en) Elevator sensor array system
JP2008230724A (ja) かご上安全手摺装置
CN107938725B (zh) 一种地下综合管廊巡检机器人升降平台及其控制方法
CN101525102A (zh) 用于在升降机中限制水平运动的系统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1894830B1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JP623827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45325B1 (ko) 비계용 화물 승강기
US20210229957A1 (en) Elevator cars with camera mount
JP5572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18229905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JP2015000798A (ja) エレベータ据付用作業床装置
KR101541044B1 (ko)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
JP5169604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6648247B2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6528746B2 (ja) マンコンベア
JP6055502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98247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보수 및 점검용 사다리
JP580500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JP657075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