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555A -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555A
KR20200050555A KR1020180133270A KR20180133270A KR20200050555A KR 20200050555 A KR20200050555 A KR 20200050555A KR 1020180133270 A KR1020180133270 A KR 1020180133270A KR 20180133270 A KR20180133270 A KR 20180133270A KR 20200050555 A KR20200050555 A KR 20200050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ladder
frame
pocket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우정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기업(주) filed Critical 우정기업(주)
Priority to KR102018013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555A/ko
Publication of KR2020005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사다리가 벽면에 고정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다리를 사용시에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는 엘리베이터 내벽에 설치되며, 양측면으로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 양측면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의 장공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켓에 하단부가 수용되며 상단부에는 힌지홈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상단부의 힌지홈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제거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다. 발명에 의하면, 사다리가 벽면에 고정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점검구 또는 일반건물에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점검시에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A Ladder Used I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가 벽면에 고정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다리를 사용시에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설은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승객 또는 화물을 케이지 내에 탑승시켜 층간을 운반하기 위한 이동수단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건축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의 최하단에는 엘리베이터 피트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승강로에는 사물 또는 사람이 탑승하는 케이지(Cage)와, 평형추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를 움직이는 권상기에 권취되는 로프와, 케이지나 평형추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며, 각층 개구부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설에서 승강로용 사다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10)가 승강하는 통로(11)의 하부에 위치된 점검부(12) 내에서 보수자가 출입구(13)를 통하여 왕래할 수 있는 사다리(14)가 고정되고, 상기 통로(11)의 상측에는 엘리베이터(10)를 승강시키는 기계장치들이 설치된 기계실(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0)의 고장으로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10)를 통로(11)의 하측, 즉 점검구(12)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보수자가 출입구(13)를 통하여 사다리(14)를 이용하여 점검구(12)의 내측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사다리(14)를 내측 벽면에 고정하였는데, 최근에는 점검구의 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벽면에 사다리를 고정하는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검시 엘리베이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사고예방을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661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20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다리가 벽면에 고정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사다리를 사용시에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는 엘리베이터 내벽에 설치되며, 양측면으로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 양측면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의 장공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켓에 하단부가 수용되며 상단부에는 힌지홈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상단부의 힌지홈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제거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은, 상기 내벽에 고정되는 직사각형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측벽; 및 상기 브라켓 측벽의 단부 하부에 포켓 플레이트가 절곡되어서, 고정판과 포켓플레이트 사이에 포켓이 형성되도록 하는 포켓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회전반경을 제거하는 멈춤턱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장공의 형상은 브라켓 측벽에서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며, 하단부분에서 앞부분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프레임 전면부;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서 양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양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 측벽; 상기 프레임 전면부 하단부에서 절곡된 리미트 작동부; 상기 연결프레임 측벽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브라켓의 장공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연결프레임 측벽 연결공; 상기 연결프레임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힌지 연결하기 위한 이동부재 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설치브라켓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에서 힌지가능하게 연장되는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 단부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이 장공을 따라서 포켓에 벗어나기 위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리미트 작동부가 리미트스위치의 차단봉을 위로 올려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이 정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다리가 벽면에 고정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점검구 또는 일반건물에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점검시에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시설에서 승강로용 사다리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고정되며 접혀진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이예 따른 벽면에 고정되며 펼쳐진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동작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동작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고정되며 접혀진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이예 따른 벽면에 고정되며 펼쳐진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벽(50)에 설치되며 양측면으로는 포켓(1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119) 양측면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장공(115)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110)과, 상기 설치브라켓(110)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켓(119)에 하단부가 수용되며 상단부에는 힌지홈(129)이 형성된 연결프레임(120), 상기 연결프레임(129)의 상단부의 힌지홈(129)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된 이동부재(130), 및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제거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브라켓(110)은 브라켓 베이스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내벽(50)에 고정되는 직사각형의 고정판(111)의 양단부에서 장공(115)이 형성된 브라켓 측벽(113)이 절곡되어 연장되며, 브라켓 측벽(113)의 단부 하부로는 포켓 플레이트(117)가 절곡되어서 포켓플레이트(117)와 고정판(111) 사이에 포켓(119)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플레이트(117)의 상단부는 연결프레임의 회전반경을 제거하는 멈춤턱(118)으로 작용한다.
상기 고정판(111)의 소정부위에는 내벽에 설치브라켓(110)을 고정하기 위한 설치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는 리미트스위치 설치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공(115)의 형상은 브라켓 측벽(113)에서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인데, 하단부분에서 앞부분으로 굴곡진 굴곡부(116)를 구비한다. 이는 장공(115)을 통하여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이 포켓(119)에 수용된 경우에는 포켓플레이트(117)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사다리를 펼치기 위하여 연결프레임을 슬라이딩하여 위로 이동시킬 때, 밀착된 연결프레임을 장공(115)의 중간부분으로 이동경로로 형성시켜 연결프레임을 포켓플레이트(117)의 간섭없이 위로 편리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힌지회전동작을 통해 본 발명의 사다리(100)를 접은 상태와 편 상태로 가변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프레임 베이스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프레임전면부(121) 및 프레임 전면부(121)에서 양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양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 측벽(123) 및 프레임 전면부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서 절곡된 리미트 작동부(125)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 측벽(123)의 하단부에는 상기 설치브라켓의 장공(115)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연결프레임 측벽 연결공(1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이동부재(130)와 힌지 연결하기 위한 이동부재 연결공(1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설치브라켓(110)에 이동부재(130)를 연결하며, 제한된 범위에서 이동부재(1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설치브라켓(110)의 양 측면의 포켓(119)에 연결프레임 측벽(123)이 수용되며, 연결프레임의 측벽연결공(127)과 설치브라켓의 장공(115) 사이에 나사 결합되어서, 연결프레임(120)은 장공(115)을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이 포켓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슬라이딩 이동시에는 편리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하여 장공 하단에는 굴곡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이 장공(115)을 따라서 최상단에 도달하면, 포켓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어서, 전면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의 회전범위는 연결프레임(120)의 전면부(121)가 상기 포켓플레이트(117))의 상부의 멈춤턱(118)과 접하는 부분까지이다. 연결프레임(120)의 최종 회전시에는, 상기 연결프레임(120)과 연결된 이동부재(130)가 벽면에서 전면으로 돌출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130)는 엘리베이터의 피트 공간으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이동부재(13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31) 사이에 다수의 발판(133)이 연결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32)의 소정부위가 상기 연결프레임(12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32) 간의 간격은 설치브라켓(110)의 폭 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사다리(100)를 편 상태는 상기 연결프레임(120)이 힌지회전하여 엘리베이트 피트 내벽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30)가 엘리베이터 피트 공간 측으로 돌출한 상태이며, 상기 사다리(100)를 접은 상태는 상기 연결프레임(120)이 힌지회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내벽과 평행을 이룬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50)은 엘리베이터의 점검 작업과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구성수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동작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동작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50)은 상기 설치브라켓(110) 내에 설치되며, 스위치본체(151), 스위치본체(151)에서 힌지가능하게 연장되는 차단봉(153)과 상기 차단봉(153) 단부에 설치되는 롤러(1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프레임(120)이 장공을 따라서 포켓에 벗어나기 위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연결프레임(120)의 리미트 작동부(125)가 리미트스위치(150)의 차단봉(153)을 위로 올려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봉(153)은 연결프레임(120)이 포켓을 벗어나기 위하여 위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작동하며, 포켓을 벗어난 연결프레임(120)이 전면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도 계속 작동하게 된다.
차단봉(153)의 해제는 사다리를 접는 과정에서, 연결프레임(120)이 포켓으로 장공을 따라서 이동하여 원위치할 때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정상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100: 사다리 110: 설치브라켓
111: 고정판 112: 설치공
113: 브라켓 측벽 114: 리미트스위치 설치공
115: 장공 116: 굴곡부
117: 포켓플레이트 118: 멈춤턱
119: 포켓 120: 연결프레임
121; 프레임 전면부 123: 연결프레임 측벽
125: 리미트 작동부 127: 측벽 연결공
129: 이동부재 연결공 130: 이동부재
150: 리미트 스위치 151: 스위치 본체
153: 차단봉 155: 롤러

Claims (5)

  1. 엘리베이터 내벽에 설치되며, 양측면으로는 포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 양측면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의 장공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켓에 하단부가 수용되며 상단부에는 힌지홈이 형성된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상단부의 힌지홈에 힌지결합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연결프레임과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을 제거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은,
    상기 내벽에 고정되는 직사각형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 양단부에 절곡 형성되며,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측벽; 및
    상기 브라켓 측벽의 단부 하부에 포켓 플레이트가 절곡되어서, 고정판과 포켓플레이트 사이에 포켓이 형성되도록 하는 포켓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회전반경을 제거하는 멈춤턱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형상은 브라켓 측벽에서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며, 하단부분에서 앞부분으로 굴곡진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프레임 전면부;
    상기 프레임 전면부에서 양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양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 측벽;
    상기 프레임 전면부 하단부에서 절곡된 리미트 작동부;
    상기 연결프레임 측벽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브라켓의 장공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연결프레임 측벽 연결공; 및
    상기 연결프레임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힌지 연결하기 위한 이동부재 연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설치브라켓 내에 설치되는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에서 힌지가능하게 연장되는 차단봉; 및
    상기 차단봉 단부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이 장공을 따라서 포켓에 벗어나기 위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리미트 작동부가 리미트스위치의 차단봉을 위로 올려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KR1020180133270A 2018-11-02 2018-11-02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KR20200050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70A KR20200050555A (ko) 2018-11-02 2018-11-02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70A KR20200050555A (ko) 2018-11-02 2018-11-02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555A true KR20200050555A (ko) 2020-05-12

Family

ID=7067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70A KR20200050555A (ko) 2018-11-02 2018-11-02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5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72B2 (en) * 2017-03-30 202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pit ladder apparatus
KR20220002720U (ko) 2021-05-10 2022-11-17 (주) 코엘코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20230032398A (ko) 2021-08-31 2023-03-07 (주) 코엘코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20230108004A (ko) 2022-01-10 2023-07-18 (주) 코엘코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12Y1 (ko) 2004-12-01 2005-03-11 유천종 사다리의 고정 구조
KR20170002082U (ko) 2015-12-04 2017-06-14 이효철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12Y1 (ko) 2004-12-01 2005-03-11 유천종 사다리의 고정 구조
KR20170002082U (ko) 2015-12-04 2017-06-14 이효철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72B2 (en) * 2017-03-30 202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pit ladder apparatus
KR20220002720U (ko) 2021-05-10 2022-11-17 (주) 코엘코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20230032398A (ko) 2021-08-31 2023-03-07 (주) 코엘코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20230108004A (ko) 2022-01-10 2023-07-18 (주) 코엘코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CN106414295B (zh) 设置有安全设施布置的电梯,和安全设施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CN109923056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JP62725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US20160130115A1 (en) Retractable overhead access platform for machine room less elevator systems
CN110719882B (zh) 电梯的底坑梯子装置
JP5875465B2 (ja) エレベータ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66616B1 (ko)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1702320B2 (en) Car skir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0624863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KR101548487B1 (ko)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WO2019092781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20002720U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