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82U -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82U
KR20170002082U KR2020150007936U KR20150007936U KR20170002082U KR 20170002082 U KR20170002082 U KR 20170002082U KR 2020150007936 U KR2020150007936 U KR 2020150007936U KR 20150007936 U KR20150007936 U KR 20150007936U KR 20170002082 U KR20170002082 U KR 20170002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ladder
wire rope
rail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철
Original Assignee
이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철 filed Critical 이효철
Priority to KR2020150007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082U/ko
Publication of KR20170002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52Ladders in general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1/56Rope or chai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로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리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사다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발판을 고정 설치한 와이어로프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상부 끝단에는 도어실체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실체결부가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상면에 얹혀지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와이어로프 사다리를 엘리베이터 도어실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는 빠른 시간에 간편하게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a ladder of wire lop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포르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로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리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로프 사다리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 주로 설치되어 수직 승하강하는 엘리베이터는 중앙개폐방식을 취하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도어슈의 이동을 안내하고, 복도의 물 청소시 물이 승강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실(Sill)이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작은 고장이나 일부 부품 손상으로도 반복되는 승강 운전으로 인해 추락 위험이 큰 경향이 있어 각종 안전장치에 의하여 보호될 필요가 있고, 엄격한 기준에 의하여 시설되어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설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등의 고장 시 또는 정기점검을 위해 승강로 측에 설치하여 보수작업 또는 수리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사다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가 승강하는 통로(11)의 하부에 위치된 점검구(12) 내에 고정 설치되며, 엘리베이터(10)의 고장으로 보수를 행할 경우에는 보수자가 출입구(13)를 통하여 사다리(14)를 이용하여 점검구(12)의 내측에서 보수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 사다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14)의 양측 지지대(14a)에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20)을 용접으로 고정하고, 이 브래킷(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에 볼트(22)를 이용하여 점검구(12)의 벽면에 고정된 앵커 등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브래킷을 용접으로 고정함에 따라 앵커와의 체결시 간격 등을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점검구의 내측 벽면에 철제 비임 등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브래킷을 사다리의 지지대로부터 분리한 후 다른 크기를 갖는 브래킷을 제작하여 다시 용접으로 고정해야 함으로써 사다리의 고정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점검구의 공간이 매우 협소해지는 추세에 따라 점검구의 벽면에 사다리를 고정할 때 거리의 조절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종래의 브래킷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문헌 1 : 등록실용 20-037661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발판을 고정 설치한 와이어로프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상부 끝단에는 도어실체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실체결부가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상면에 얹혀지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와이어로프 사다리를 엘리베이터 도어실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실체결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되는 지지판체; 상기 지지판체의 상단이 측면으로 절곡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전면레일을 덮는 레일덮개판체; 상기 레일덮개판체의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레일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레일홈체결판체; 및 상기 레일홈체결판체의 끝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레일홈의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체결되는 절곡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전면레일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지지볼트가 나사결합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는 빠른 시간에 간편하게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다리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사다리의 고정 구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다리(100)는 공지의 엘리베이터 도어실(3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실(30)은 전면레일(31)과 후면레일(32) 및 그 사이의 레일홈(33)으로 형성된다.
사다리(100)는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11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발판(120)이 다수단 연결된다. 그리고, 와이어로프(110)의 상부 끝단에는 고리부(112)가 형성되고 고리부(112)에는 도어실체결부(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도어실체결부(200)는 엘리베이터 도어실(30)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지지판체(210)와 레일덮개판체(220) 및 레일홈체결판체(230)와 절곡판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체(210)는 대략 사각 판체로 이루어지며, 와이어로프(110)의 끝단 고리부(112)가 끼움 결합 될 수 있도록 끼움공(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볼트(214)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공(216)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레일덮개판체(220)는 지지판체(210)의 상단이 측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도어실(30)의 전면레일(31)을 덮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레일홈체결판체(230)는 레일덮개판체(220)의 끝단이 지지판체(210)와 나란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도어실(30)의 레일홈(33)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판체(210)와 레일홈체결판체(230) 사이에는 전면레일삽입부(235)가 형성된다.
절곡판체(240)는 레일홈체결판체(230)의 끝단이 도어실(30)의 레일홈(33)의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다리(100)를 엘리베이터 도어실(30)에 체결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다리(100)가 하단에 체결된 상태의 도어실체결부(200)를 엘리베이터 도어실(30) 위에 올린다. 따라서, 도어실체결부(200)의 레일덮개판체(220)가 도어실(30)의 전면레일(31) 상면을 덮게 되고, 지지판체(210)와 레일홈체결판체(230)가 도어실(30)의 전면레일(31)을 감싸게 된다.
또한, 절곡판체(240)가 도어실(30)의 레일홈(33)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볼트(214)를 지지판체(210)에 형성된 볼트공(216)에 나사 결합하여 도어실(30)과 견고히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다리(100)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사다리(100)의 와이어로프(110) 사이에 구비된 발판(120)을 작업자가 밟는 경우에도 도어실체결부(200)의 절곡판체(240)가 레일홈(3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이 되지 않게 되고, 도어실(30)의 전면레일(31)을 감싸고 있는 지지판체(210)와 레일홈체결판체(230)에 의해 지지가 되면서 설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사다리(100)는 간단한 구조의 도어실체결부(200)에 의해 간편하게 엘리베이터 도어실(30)에 체결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수리 및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사다리 110 : 와이어로프
120 : 발판 200 : 도어실체결부
210 : 지지판체 220 : 레일덮개판체
230 :

Claims (3)

  1. 두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발판을 고정 설치한 와이어로프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상부 끝단에는 도어실체결부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실체결부가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상면에 얹혀지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와이어로프 사다리를 엘리베이터 도어실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실체결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끝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되는 지지판체;
    상기 지지판체의 상단이 측면으로 절곡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전면레일을 덮는 레일덮개판체;
    상기 레일덮개판체의 끝단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레일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레일홈체결판체; 및
    상기 레일홈체결판체의 끝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레일홈의 바닥면과 나란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체결되는 절곡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실의 전면레일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지지볼트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KR2020150007936U 2015-12-04 2015-12-04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KR201700020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36U KR20170002082U (ko) 2015-12-04 2015-12-04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936U KR20170002082U (ko) 2015-12-04 2015-12-04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82U true KR20170002082U (ko) 2017-06-14

Family

ID=5909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936U KR20170002082U (ko) 2015-12-04 2015-12-04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0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55A (ko) 2018-11-02 2020-05-12 우정기업(주)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12Y1 (ko) 2004-12-01 2005-03-11 유천종 사다리의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12Y1 (ko) 2004-12-01 2005-03-11 유천종 사다리의 고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55A (ko) 2018-11-02 2020-05-12 우정기업(주)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357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その組立方法
US10384912B2 (en) Machine base attachment device for elevator hoisting machine
US10538415B2 (en) Ceiling unit and elevator car including ceiling unit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70002082U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와이어로프 사다리
CN113795450A (zh) 电梯的层站地坎装置的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KR20160146061A (ko) 추락방지용 구조물
JP201515122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パネル締結具
KR10232639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JP6218161B2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JP2016050102A (ja) エレベータの仮設作業床装置
JP6197802B2 (ja) ロックダウン装置保持工具及び釣合車装置の位置調整方法
JP5748558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固定装置
KR200400601Y1 (ko) 전망용 승강기의 유리 고정구조
KR200376612Y1 (ko) 사다리의 고정 구조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20160142615A (ko)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용 브라켓
JP2006044843A (ja) 昇降路用作業台足場
US20240150154A1 (en) Installation device for use in an elevator shaft
JP2011084985A (ja) マンホール内の作業安全装置
JP5497700B2 (ja) 梯子保持構造体
JP2019085183A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取付け方法
JP6276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7848758B (zh) 电梯井道上部的机房中的控制盘的安装固定结构及安装固定方法
KR20160144141A (ko) 승강기의 도어 이탈 방지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