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391B1 -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391B1
KR102326391B1 KR1020197015501A KR20197015501A KR102326391B1 KR 102326391 B1 KR102326391 B1 KR 102326391B1 KR 1020197015501 A KR1020197015501 A KR 1020197015501A KR 20197015501 A KR20197015501 A KR 20197015501A KR 102326391 B1 KR102326391 B1 KR 10232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andrail
support element
car roof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798A (ko
Inventor
슈테판 알텐부르거
안드레아스 헴메
Original Assignee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7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110, 120) 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110, 120) 의 부분 (111, 121) 이 카 지붕 (105) 위로 돌출하고, 상기 부분 (111, 121) 은 상기 카 지붕 (105) 을 위해 난간 (railing: 140) 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본 발명은 지지 요소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수리 또는 설치 작업 중에 서비스 엔지니어 및 검사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카의 카 지붕에 난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해당 안전 지침은 EN 81-20 및 EN 81-50 표준에 설정되어 있다.
난간을 카 지붕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먼저, 예를 들어 볼트결합 또는 플랜지결합에 의해, 난간이 위에 부착될 수 있는 카 지붕에 고정 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난간의 이러한 고정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설치 복잡성 및 재료 비용과 관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에 난간을 간단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가 제안된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 및 다음 설명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의 부분은 카 지붕 위에 돌출되거나 카 지붕 위에 연장된다. 이 부분은 카 지붕을 위한 난간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요소는 특히 정적 목적 또는 안정성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지지 요소가 카 지붕을 지탱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 요소는 카 지붕을 지탱하는 지지 요소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 요소는 카 지붕에 대해 특히 수직 방향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연장된다. 적합하게는, 지지 요소는 카 벽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지지 요소는 특히 적어도 카 바닥과 카 지붕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자동차 프레임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카 지붕을 지탱하기 위해 복수의 이러한 지지 요소가 제공된다. 또한, 카의 개별 벽들을 지탱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카 벽들은 적합하게는 지지 요소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지지 요소는 또한 카 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요소로서 구성된다. 이는, 카 벽들이 지지 요소 상에 쉽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카 벽들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종래의 카에서, 이러한 지지 요소들은 특히 카 지붕과 동일 높이로 끝나고, 카 지붕 위로 돌출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거의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카의 지지 요소들이 카 지붕 위로 돌출하도록 연장되고 카 지붕을 위한 난간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상당한 이점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부분은 지지 요소의 전체 길이의 1/3 내지 1/4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 지지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난간은 특히 카 지붕에서의 유지보수, 수리 및/또는 설치 작업을 위한 안전 목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안전 난간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고정 구조체가 종종 카 지붕 상에 장착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종래의 고정 구조체는 종종 카 지붕 상에 볼트결합되거나 또는 플랜지결합된다. 이러한 고정 구조체는 수평 핸드레일에 연결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난간은 종종 카 지붕에 볼트결합되거나 또는 플랜지결합되는데, 이에 의하면 힘의 흐름이 차단되고 힘을 카 구조체에 직접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의 경우, 추가적인 고정 구조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설치의 복잡성과 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대신에, 이미 차에 있는 요소가 난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난간은 특히 차의 지지 솔리드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힘이 방해없이 카 구조체에 도입되기 때문에, 이는 난간이 카에 실질적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는 특히 엘리베이터 사용자, 서비스 엔지니어 및 검사원의 안전에 관한 EN 81-20 및 EN 81-50 표준의 안전 지침을 충족시킨다.
카는, 특히,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특히 수직으로 그리고/또는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요소들, 예를 들어 드라이브, 가이드 레일 등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난간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요소의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해제가능한 고정 요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클램프에 의해 구성된다. 적합하게는, 난간은 이러한 고정 요소들에 의한, 특히 파이프 클램프들에 의한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지지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난간과 지지 요소 간의 강제 끼워맞춤 연결은 다시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분은 난간의 높이-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해 구성된다. 특히, 카 지붕 위의 난간의 핸드레일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난간의 높이는 다른 상황이나 다른 안전 요건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보수, 수리 또는 설치 작업을 위해 상이한 난간 높이를 처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해제가능한 고정 요소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클램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높이 조정을 위해, 특히 고정 요소들이 해제되고, 난간이 원하는 높이까지 수직으로 변위된 다음, 고정 요소들이 다시 고정된다.
종래의 카에서는, 종종, 불변 높이를 갖는 고정 난간이 카 지붕에 배열된다. 필요한 경우, 제 2 난간이 연장부로서 이 고정 난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당히 복잡하게 연관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난간의 높이는 구조적인 복잡성없이 유연하게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 지붕 위의 난간의 핸드레일의 높이가 500 mm 내지 1500 mm 에서, 특히 600 mm 내지 1200 mm 에서, 특히 700 mm 내지 1100 mm 에서 조절가능하도록, 부분은 난간의 높이-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카 지붕의 검사 작업에는 700 mm 의 높이가, 설치 작업에는 1100 mm 의 높이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2 개의 카 벽들을 특히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지지 요소로서 구성된다.
적합하게는, 모서리 지지 요소는 2 개의 인접한 카 벽들, 예를 들어 카의 전방 또는 후방 벽 및 측벽이 인접하는 사이드 에지에 배치된다. 이러한 모서리 지지 요소는 카의 안정성을 높이고, 카 지붕을 지탱하고, 카 벽들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는 제 1 지지 요소 및 제 2 지지 요소를 갖는다. 제 1 지지 요소의 부분은 난간의 제 1 단부 영역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지지 요소의 부분은 난간의 제 2 단부 영역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난간의 2 개의 단부 영역들은 지지 요소들에 부착되도록 구부러지거나 그에 따라 형성되는 핸드레일의 단부 영역들로서 적합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난간의 단부 영역들은 파이프 클램프들에 의해 지지 요소들에 부착된다.
유리하게는, 제 1 지지 요소는 제 1 모서리 지지 요소로서 구성되고, 제 2 지지 요소는 제 2 모서리 지지 요소로서 구성된다. 적합하게는, 2 개의 모서리 지지 요소들은 동일한 카 벽의 2 개의 대향 측면 상에 배열된다. 특히, 2 개의 모서리 지지 요소들은 카 벽을 그 2 개의 인접한 카 벽들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의 부분은 2 개의 구부러진 단부 영역들을 갖는 핸드레일로서 형성된 난간의 고정을 위해 구성된다. 이들 2 개의 단부 영역들 사이의 핸드레일의 영역은 난간의 핸드레일을 적절하게 구성한다. 2 개의 단부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핸드레일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구부러지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전술한 설명과 유사하게, 핸드레일의 제 1 단부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지지 요소에의 고정을 위해 구성되고, 제 2 단부 영역은 제 2 지지 요소에의 고정을 위해 구성된다.
난간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해제가능한 고정 요소들의 사용으로 인해, 난간의 특히 간단한 높이 조정이, 특히 지지 요소 상에서의 고정 요소의 특별한 위치 및 단부 영역들의 특별한 길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단부 영역들의 단부 지점 및 따라서 핸드레일의 단부 지점이 차에 직접 위치할 때에 핸드레일의 소정의 최소 높이가 예를 들어 700 mm 로 설정되도록, 단부 영역들이 구성된다. 단부 영역들의 단부 지점 또는 핸드레일의 단부 지점이 해제가능한 고정 요소를 사용하여 지지 요소 상에 바로 부착될 수 있을 때에는, 특히 핸드레일의 최대 높이가 예를 들어 1100 mm 로 설정된다.
핸드레일은, 상응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핸드레일과 파괴적인 윤곽 사이의 분쇄를 회피하기 위해,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거나 또는 디플렉터를 가질 수 있다. 핸드레일의 형태는, 특히, 카 지붕 상에 작업 영역을 가능한 크게 허용하도록, 동시에 규정된 안전 거리를 보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실시형태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발생한다.
위에 열거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특징들은 주어진 조합형태 뿐만아니라 다른 조합형태로 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은 100 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카 (100)는 후방 벽 (101), 좌측 벽 (102), 우측 벽 (103), 전방 벽 (104) 및 카 지붕 (105) 을 갖는다. 도 1 에 도시되지 않은 카의 전방 벽 (104) 은 카 도어를 갖는다.
카 (100) 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카 (100) 는 명료함을 위해 도 1 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요소들, 예를 들어 가이드 롤러, 캐리어 케이블을 위한 고정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 지붕 (105) 을 지지 또는 지탱하기 위해, 모서리 지지 요소들로서 구성되는 지지 요소들 (110, 120) 이 제공된다. 지지 요소들 (110, 120) 은 적어도 카 바닥 (150) 과 카 지붕 (105)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지지 요소들 (110, 120) 은 카 벽들 (101, 102, 103 및 104) 을 지지 또는 지탱하기 위해 제공된다. 후방 벽 (101) 은 그 좌측 에지가 제 1 지지 요소 (110) 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좌측 벽 (102) 은 이 제 1 지지 요소 (110) 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후방 벽 (101) 은 그 우측 에지가 제 2 지지 요소 (120) 에 배치되고, 여기에는 우측 벽 (103) 이 또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들 (110, 120) 각각은 금속 지지체로서 구성되고, 카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각 지지 요소 (110, 120) 의 부분 (111, 121) 은 카 지붕 (105) 위로 돌출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들 (110, 120) 은 후방 벽 (101) 의 전체 길이 l1 에 걸쳐 연장될 수 있고, 길이 l2 만큼 카 지붕 (105)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l1 은 2.3 m 이고, 길이 l2 는 0.7 m 일 수 있다.
부분들 (111 및 121) 각각은 카 지붕 (105) 을 위한 난간 (140) 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난간 (140) 은 해제가능한 고정 요소들, 예컨대 파이프 클램프들 (130) 에 의해 지지 요소들 (110 및 120) 의 부분들 (111 및 121) 에 부착될 수 있다. 각 지지 요소 (110, 120) 에는 상부 파이프 클램프 (131) 와 하부 파이프 클램프 (132) 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140) 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도 2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난간 (140) 은 구부러진 핸드레일로서 구성된다. 이 핸드레일의 2 개의 단부 영역들 (142 및 143) 각각은 그 사이에 놓인 영역 (141) 에 대해 90° 만큼 구부러진다. 영역 (141) 은 난간의 핸드레일을 형성한다.
단부 영역들 (142 및 143) 의 단부 지점들, 따라서 난간 (140) 의 단부들은 도 2 에서 144 및 145 로 표시되어 있다.
난간 (140) 의 단부 영역 (142) 은 파이프 클램프 (130) 를 통해 제 1 지지 요소 (110) 에 부착될 수 있고, 난간 (140) 의 단부 영역 (143) 은 파이프 클램프 (130) 를 통해 제 2 지지 요소 (120) 에 부착될 수 있다.
파이프 클램프 (132)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 (111 또는 121) 및 각각의 단부 영역 (142 또는 143) 을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파이프 클램프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이프 클램프는 예를 들어 부분들 및 단부 영역들을 부분적으로만 둘러쌀 수 있고, 예를 들어 U 자형일 수 있다. 이러한 U 자형 파이프 클램프는 예를 들어 그의 평행한 다리들에 의해 각각의 부분 (111 또는 121) 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난간 (140) 은 카 (100) 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어서, 카 지붕 (105) 위의 핸드레일 (141) 의 높이가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이프 클램프 (130) 는 해제될 수 있고, 난간 (140) 은 원하는 높이까지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고, 파이프 클램프 (130) 는 다시 고정된다.
지지 요소 (110, 120) 상에서의 파이프 클램프 (130) 의 특별한 위치 및 단부 영역 (142, 143) 의 특별한 길이로 인해, 도 3 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핸드레일 (141) 의 특히 간단한 높이 조절이 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각각 도 1 의 카 (100) 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구조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3a 는 핸드레일 (141) 의 최소 높이 h1, 예를 들어 700 mm 가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 높이는 단부 지점 (144, 145) 이 카 지붕 (105) 상에 직접 놓이는 때에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도 3b 는 단부 (144 및 145) 가 하부 파이프 클램프 (132) 에 의해 지지 요소 (110 및 120) 상에 바로 부착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난간 (141) 의 최대 높이 h2, 예를 들어 1100 mm 가 달성된다.
난간 (140), 특히 핸드 레일 (141) 은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는 핸드레일 (141) 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 는 각각 도 1 및 도 3 에 따른 카 (100) 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는 카 지붕 (105) 의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핸드레일 (141a) 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반-타원형의 형태를 갖는 핸드레일 (141b) 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가 도 4b 에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c 에 도시된 핸드레일 (141c) 은 카 지붕 (105) 의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1 영역과, 이 영역에 대해 각진 2 개의 영역을 갖는다.
도 4d 에 도시된 핸드레일 (141d) 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중앙에 사다리꼴 영역을 가지며, 그렇지 않으면 카 지붕 (105) 의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100 카
101 후방 벽
102 좌측 벽
103 우측 벽
104 전방 벽
105 카 지붕
110 제 1 지지 요소
111 제 1 지지 요소의 부분
120 제 2 지지 요소
121 제 2 지지 요소의 부분
130 파이프 클램프
131 상부 파이프 클램프
132 하부 파이프 클램프
140 난간
141 핸드레일
141a 핸드레일
141b 핸드레일
141c 핸드레일
141d 핸드레일
142 난간의 제 1 단부 영역
143 난간의 제 2 단부 영역
144 난간의 제 1 단부 영역의 단부
145 난간의 제 2 단부 영역의 단부
150 카 바닥
l1 후방 벽의 길이
l2 지지 요소의 부분의 길이
h1 카 지붕 위의 핸드레일의 최소 높이
h2 카 지붕 위의 핸드레일의 최대 높이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110, 120) 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110, 120) 의 부분 (111, 121) 이 카 지붕 (105) 위로 돌출하고,
    상기 부분 (111, 121) 은 상기 카 지붕 (105) 을 위한 난간 (railing: 140) 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요소 (110, 120) 는 카 지붕을 지탱하는 (carrying) 지지 요소 (110, 120) 로서 구성되고,
    상기 지지 요소 (110, 120) 는 적어도 카 바닥 (150) 과 상기 카 지붕 (105) 사이에서 연장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111, 121) 은 상기 난간 (140) 의 높이-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지붕 (105) 위의 상기 난간의 핸드레일 (141) 의 높이 (h1, h2) 가 500 mm 내지 1500 mm 에서, 또는 600 mm 내지 1200 mm 에서, 또는 700 mm 내지 1100 mm 에서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부분 (111, 121) 은 상기 난간 (140) 의 높이-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110, 120) 는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2 개의 카 벽들 (101, 103) 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지지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 요소 (110) 및 제 2 지지 요소 (1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 요소 (110) 의 부분 (111) 은 상기 카 지붕 (105) 을 위한 상기 난간 (140) 의 제 1 단부 영역 (142) 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지 요소 (120) 의 부분 (121) 은 상기 카 지붕 (105) 을 위한 상기 난간 (140) 의 제 2 단부 영역 (143) 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 요소 (110) 는 제 1 모서리 지지 요소로서 구성되고,
    제 2 지지 요소 (120) 는 제 2 모서리 지지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110, 120) 의 상기 부분 (111, 121) 은 2 개의 구부러진 단부 영역 (142, 143) 을 갖는 핸드레일로서 설계된 난간 (140) 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100).
  10. 삭제
KR1020197015501A 2016-11-14 2017-11-14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KR102326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1742.5A DE102016121742A1 (de) 2016-11-14 2016-11-14 Fahrkorb für ein Aufzugsystem
DE102016121742.5 2016-11-14
PCT/EP2017/079144 WO2018087381A1 (de) 2016-11-14 2017-11-14 Fahrkorb für ein aufzug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798A KR20190071798A (ko) 2019-06-24
KR102326391B1 true KR102326391B1 (ko) 2021-11-16

Family

ID=6030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501A KR102326391B1 (ko) 2016-11-14 2017-11-14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38466B1 (ko)
KR (1) KR102326391B1 (ko)
CN (1) CN109963803B (ko)
DE (1) DE102016121742A1 (ko)
WO (1) WO2018087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2085B (zh) 2018-12-26 2022-12-20 奥的斯电梯公司 栏杆组件、轿厢和电梯
CN114074884A (zh) * 2020-08-13 2022-02-22 奥的斯电梯公司 顶部扩展部及其操作方法、电梯轿厢组件和电梯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790B2 (ja) * 1991-01-22 2000-10-10 富士電機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7203A1 (de) * 1975-04-18 1976-10-21 Liebherr Werk Ehingen Autokran
JPH05330752A (ja) * 1992-05-27 1993-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安全装置
JPH09110344A (ja) * 1995-10-24 1997-04-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かごの整風装置
JP4245209B2 (ja) * 1998-09-03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
JP4732577B2 (ja) * 2000-11-24 2011-07-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の救出口装置
CN1247429C (zh) * 2002-05-01 2006-03-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厢上扶手
KR20050018666A (ko) * 2002-05-09 2005-02-2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캡 상부 안전 펜스
JP2003321174A (ja) * 2002-05-09 2003-11-11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JP3095790U (ja) * 2003-02-10 2003-08-15 良玄 三好 枠組足場の先行手摺
FR2891820B1 (fr) * 2005-10-07 2008-12-05 Thyssenkrupp Elevator Mfg F Systeme d'ascenseur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CN101652307B (zh) * 2007-04-26 2012-0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上方扶手装置
JP2011037586A (ja) * 2009-08-11 2011-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EP2723669B1 (de) * 2011-06-22 2016-07-13 Inventio AG Feuerwehraufzug
DE202011051638U1 (de) * 2011-10-14 2011-11-16 Aufzugteile Bt Gmbh Absturzschutz für Aufzugsanlagen
CN104310173A (zh) * 2014-10-29 2015-01-28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梯伸缩护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790B2 (ja) * 1991-01-22 2000-10-10 富士電機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7381A1 (de) 2018-05-17
KR20190071798A (ko) 2019-06-24
CN109963803A (zh) 2019-07-02
DE102016121742A1 (de) 2018-05-17
CN109963803B (zh) 2021-03-05
EP3538466A1 (de) 2019-09-18
EP3538466B1 (de)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007B1 (ko) 교량점검용 레일형 걸이식 발판보강대
JP4574705B2 (ja) 吊足場
KR10232639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카
JP5863578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JP5773469B1 (ja) 吊足場
US6595331B2 (en) Bracket for securing elevator components
JP3454766B2 (ja) 乗客コンベアの工事方法及び乗客コンベアの養生装置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1350921B1 (ko) 거더교 가설작업용 브래킷
EP2706167A2 (en) Wall bracket
JP2007062949A (ja) 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およびガイドレール支持方法
JP6169425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7186947A (ja) 桁裏面への作業足場の形成方法及び桁裏面の作業足場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KR20150015699A (ko)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JP2006044843A (ja) 昇降路用作業台足場
KR200313636Y1 (ko) 교량 하부 점검용 난간
JP7526657B2 (ja) 高架下足場の製造方法および送出具
CN106553952B (zh) 乘客传送带及乘客传送带的改造方法
KR200222393Y1 (ko) 교량 점검대의 출입 사다리
JP5059719B2 (ja) 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パネルの取付構造
JP2018167952A (ja) 乗客コンベア
JP20050891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