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16B1 -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16B1
KR102166616B1 KR1020200012355A KR20200012355A KR102166616B1 KR 102166616 B1 KR102166616 B1 KR 102166616B1 KR 1020200012355 A KR1020200012355 A KR 1020200012355A KR 20200012355 A KR20200012355 A KR 20200012355A KR 102166616 B1 KR102166616 B1 KR 10216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elevator
entrance
button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원
Original Assignee
윤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원 filed Critical 윤대원
Priority to KR102020001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케이지,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케이지이송부, 케이지를 호출하는 호출버튼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점검신호를 출력하는 점검스위치와; 점검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하고, 작업자가 상승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장치와; 승강로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되는 발판장치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은, 작업자가 원하는 층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관리할 케이지를 호출하여 출입구 전방에 정지시킨 상태로 케이지에 대한 필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하다. 특히, 케이지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개폐기나 조작반 또는 스위치함이나 시브, 케이지의 바닥판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중량센서부나 비상브레이크 등이, 출입구를 통해 정면으로 노출되므로 작업자의 눈높이와 맞아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승강로 내부에 접이식 발판장치가 층별로 설치되어 있어, 케이지를 고층으로 불러 작업하더라도, 케이지 하부에 발판을 펼쳐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Elevato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엘리베이터를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점검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피스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쇼핑센터나 공공기관 등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이용자의 층간 이동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해주는 이동수단이다.
엘리베이터를 운용하기 위해, 건물의 내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며 케이지가 승강하는 승강로가 확보되어 있고, 건물 내 각 층에는 승강로와 연결되는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승강로와 승강장의 사이에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용자는 도어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호출버튼을 눌러 케이지를 승강장으로 불러 이용할 수 있다. 케이지는 이용자가 탑승하는 박스형 컨테이너이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균형추, 권상로프, 완충기둥과,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권상로프를 감아 이동시키는 모터와 제어반 등을 포함한다. 모터는 제어반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받아 권상로프를 필요한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즉 케이지를, 입력된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케이지는, 밀폐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된 승강로 내에서 권상로프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동작하는 것이니 만큼 엘리베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가령, 케이지가 추락하거나 중간에 멈추거나 또는 부정확한 위치에 정차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엘리베이터에 대한 주기적 유지보수 및 점검을 해야 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72814호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에는, 엘리베이터에 사용된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여 관리하는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관제장치는, 구동점검부, 전류감지부, 제어상황검출부, 마스터제어부, 전송부, 인터페이스카드부로 이루어지며, 엘리베이터의 운전상태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원격에서 분석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부품의 교체시기를 파악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관제장치는, 부품의 교체시기를 원격에서 파악하는 것으로서, 해당 부품의 교체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는 다면, 교체시기의 파악 자체에 의미가 없어진다. 말하자면, 관리자에 의해 승강기의 점검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엘리베이터가 불안한 상태로 작동되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72814호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4082호 (엘리베이터의 점검 운전 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65162호 (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관리할 케이지를 호출하여 출입구에 정지시킨 상태로 필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하고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지를 고층으로 불러 작업하더라도 케이지 하부에 발판을 펼쳐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은, 천장면 상부에 도어개폐기가 설치되고 바닥판 하부에 중량센서부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케이지이송부, 건물 내 각 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되며 상승버튼과 하강버튼을 가지고 케이지를 호출하는 호출버튼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출버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점검신호를 출력하는 점검스위치와; 상기 점검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하고, 작업자가 상승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출입구보다 높게 위치시켜 상기 중량센서부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며, 작업자가 하강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보다 낮게 위치시켜 상기 도어개폐기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승강로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되며, 필요시 펼쳐져 작업자를 받쳐 지지하는 발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은, 천장면 상부에 도어개폐기가 설치되고 바닥판 하부에 중량센서부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케이지이송부, 건물 내 각 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되며 상승버튼과 하강버튼을 가지고 케이지를 호출하는 호출버튼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출버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작업자의 비밀번호 요청신호를 받아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밀번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며,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하고, 작업자가 상승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출입구보다 높게 위치시켜 상기 중량센서부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며, 작업자가 하강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보다 낮게 위치시켜 상기 도어개폐기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승강로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되며, 필요시 펼쳐져 작업자를 받쳐 지지하는 발판장치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발판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부힌지와, 연결핀을 통해 상기 상부힌지에 링크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향 회동하여 수평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회전형발판과, 상기 상부힌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힌지와, 상기 하부힌지와 회전형발판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받아 작동하여, 상기 회전형발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소스와, 상기 유압소스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형발판에는, 회전형발판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조명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하측부에는, 상기 발판장치를 작동시키는 발판작동스위치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은, 작업자가 원하는 층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관리할 케이지를 호출하여 출입구 전방에 정지시킨 상태로 케이지에 대한 필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하다.
특히, 케이지의 천장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개폐기나 조작반 또는 스위치함이나 시브, 케이지의 바닥판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중량센서부나 비상브레이크 등이, 출입구를 통해 정면으로 노출되므로 작업자의 눈높이와 맞아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승강로 내부에 접이식 발판장치가 층별로 설치되어 있어, 케이지를 고층으로 불러 작업하더라도, 케이지 하부에 발판을 펼쳐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상측부를 노출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점검스위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하측부를 노출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도 1에 도시한 발판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로(11) 내부에, 케이지(40), 균형추(51), 가이드레일(33), 권상로프(26), 완충기둥(35), 다수의 발판장치(60), 발판작동버튼(67)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승강로(11)는 건물의 시공 시 만들어진 수직의 통로로서, 케이지(4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통로이다.
또한, 승강로(11)의 상부에는 기계실(1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12)의 내부에는, 수평면을 제공하는 지지대(16), 지지대(16)의 상부에 설치되며 트랙션시브(23)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22), 트랙션시브(23)의 측부에 위치하는 받침시브(24), 컨트롤러(25), 제어장치(31)가 위치한다.
상기 권상로프(26)는 트랙션시브(23)와 받침시브(24)에 걸쳐진 상태로, 트랙션시브(23)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권상로프(26)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양단부가 승강로(11)의 상단부나 기계실(12) 내부에 고정되며, 트랙션시브(23)와 받침시브(24)에 걸쳐진 상태로 하부로 늘어져, 케이지의 서스펜션시브(43)와 균형추의 승강시프(53)를 감아 올린다.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권상로프(26)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케이지(40)가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균형추(51)가 상승한다. 이와 반대로 케이지(40)가 상승하면 균형추(51)는 하강한다.
컨트롤러(25)는,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호출버튼부(17)과 케이지(40) 내부의 버튼(미도시)과 접속되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터(22)을 동작시킨다. 제어장치(31)도 모터(22)를 제어하는 것이지만, 컨트롤러와 다른 방식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대한 설며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지(40)는, 이용자가 탑승하는 박스형 이동수단으로서 전방에 도어(45)를 구비한다. 도어(45)는 건물 승강장(14)의 출입구(13)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미도시)와 대응하며 동시에 열리거나 닫힌다. 사실 케이지(40) 자체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이지(40)의 각부 구성을 설명하는 이유는, 후술할 본 실시예의 관리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케이지(40)는 케이지프레임(41)으로 둘러싸여 있다. 케이지프레임(41)은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케이지(40)를 수용한다. 케이지프레임(41)의 상측부에는 서스펜션시브(4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스펜션시브(43)는 권상로프(26)를 그 하부로 통과시키며 권상로프(26)에 지지된다.
아울러 케이지 천장면의 상부, 즉 서스펜션시브(43)의 측부에는, 도어개폐기(44), 스위치함(49), 조작반(42)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어개폐기(44)는 케이지(40)가 출입구(13)에 도착한 후 도어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하고, 스위치함(49)은 케이지(40)의 작동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치를 수용하는 홈이다. 조작반(42)은 케이지(40)의 운전에 필요한 장치가 배치된 판이다.
이러한 도어개폐기(44)와 스위치함(49)과 조작반(42)은, 부식이나 먼지 등에 의한 누전이나 합선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시로 점검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도어개폐기(44)는 회전판이나 모터 등을 포함하므로 도어의 정확한 개폐 동작을 위해서 점검은 중요하다.
아울러, 케이지프레임(41)의 양측부 하단에는 비상브레이크(46)가 설치된다. 비상브레이크(46)는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이동하며 비상시 가이드레일(33)을 죄어 케이지(40)를 고정시킨다.
또한 케이지프레임(41)의 하측부에는 중량센서부(47)가 위치한다. 중량센서부(47)는 케이지(40)로부터 가해지는 중량을 측정한다. 즉 케이지(40)에 탑승한 이용자의 총 중량을 감지하는 것이다.
위에 설명한 도어개폐기(44), 스위치함(49), 조작반(42), 서스펜션시브(43) 및 이에 걸려 있는 권상로프(26), 비상브레이크(46), 중량센서부(47)는 본 실시예의 관리시스템을 이용해 관리할 대상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은, 케이지(40) 자체는 물론 케이지(4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을 점검 하고 유지 보수하기 위한 것이다.
각 층에 마련되어 있는 승강장(14)의 출입구(13) 측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버튼부(17)와 점검스위치(18)와 통신모듈(19)이 배치된다. 승강장(14)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이용자가 케이지(40)를 기다리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출입구(13)는 케이지(40)의 도어가 오픈 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케이지(40)에 오르거나 케이지(40)에서 내리는 통로이다.
한편, 상기 발판장치(60)는 승강로(11)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되며, 필요시 펼쳐져 작업자를 받쳐 지지하는 발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7a 및 7b의 구성을 가지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은, 상기한 케이지(40) 자체는 물론 케이지(40)의 상하부 및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요소(위에 언급함)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리시스템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점검스위치(18), 상기 점검스위치(18) 및 호출버튼부(17)와 접속되며 후술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31)를 포함한다.
점검스위치(18)는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회사의 작업자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홈(18a) 내에 점검스위치(18)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점검스위치(18)는 열쇠를 끼워 돌리는 자물쇠방식 스위치로서 평상시에는 커버(18c)에 의해 닫혀 있다. 필요에 따라 커버(18c) 자체에 잠금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커버(18c)를 강제로 개방하였다 하더라도, 열쇠 없이 점검스위치(18)를 동작시킬 수는 없다.
제어장치(31)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실(도 1의 12)에 설치되며 모터(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모터(22)는, 평상시에는 컨트롤러(25)의 제어신호를 받으며, 점검시에는 제어장치(31)의 제어신호를 받는다. 또한, 제어장치(31)는 외부의 관제실(30)과 원격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점검 중 발생하는 정보나 특이사항 등은 관제실(30)로 실시간 전달된다.
제어장치(31)는, 점검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한다. 엘리베이터가 점검모드로 전환되는 순간 출입구(13)의 층수표시부(13a)에는 점검중 사인이 표시된다.
상기 제어장치(31)는, 점검모드 환경에서, 작업자가 상승버튼(도 4의 17a)을 눌렀을 때, 케이지(13)를 작업자가 위치한 출입구(13) 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출입구(13)보다 높게 위치시켜 도 1에 도시한 B부분이 출입구(13)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중량센서부(47)를, 출입구(13)에 서서 관찰할 수 있다. 작업자는, 출입구(13) 외부에서, 빛을 비추어 중량센서부(47)와 그 외 다른 부분의 이상 유무나 청소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점검모드 환경에서, 작업자가 하강버튼(도 4의 17b)을 누르면, 제어장치(31)는 케이지(40)를 출입구(13)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13)보다 낮게 위치시켜, 도 1에 도시한 A부분이 출입구(13) 전방으로 노출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지(40)의 상측부에 위치한 구성 요소들을 출입구에 서 있는 상태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작업자는 출입구(13) 외부에서 빛을 비추어, 서스펜션시브(43)나 권상로프(26)의 마모 상태를 확인하거나, 스위치함(49)이나 조작반(42)을 점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된 예에 따른 관리시스템은, 단말기(55)와 통신모듈(19)을 포함한다. 단말기(55)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 일 수 있다.
통신모듈(19)은, 호출버튼부(17)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근거리 통신방식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기(55)와 무선 접속됨과 아울러 제어장치(31)와도 접속된다. 통신모듈(19)과 제어장치(31)의 접속방식은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이다.
통신모듈(19)은, 작업자가 단말기(55)를 이용해 요청한 비밀번호 요청 신호를 받아 제어장치(31)로 전송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비밀번호이다. 즉, 작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엘리베이터가 정상모드에서 점검모드로 바뀌는 것이다.
제어장치(31)는 통신모듈(19)을 통한 작업자의 비밀번호 요청신호를 받아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밀번호를 통신모듈(19)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작업자는 비밀번호를 전달받아 저장한 후 자신의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통신모듈(19)을 작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 사실을 제어장치(31)로 전달한다. 제어장치(31)는 자신이 생성한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점검모드 환경에서, 작업자가 하강버튼(도 4의 17b)을 누르면, 케이지의 A부분이, 상승버튼(17a)을 누르면 케이지의 B부분이 출입구(13)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점검모드 환경에서의 프로세스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엘리베이터 케이지(40)의 상측부(도 1의 A부분)를 출입구(13) 외부로 노출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하측부(도 1의 B부분)를 노출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지(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요소, 즉, 서스펜션시브(43), 케이지지지프레임(41), 권상로프(26)의 일부, 스위치함(49), 조작반(42), 도어개폐기(44)가 출입구(13)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케이지(40) 상부에 빛을 조사하여 육안검사나 필요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40)의 하측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중량센서부(47)나 케이지(40)의 하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특히 케이지(40)의 하측부를 점검하는 동안, 필요하다면 발판장치(60)를 작동시켜 케이지(40) 하부에 다수의 회전형발판(6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도 1에 도시한 발판장치(60)의 세부 구조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발판장치(60)는 승강로(11)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된다. 도 7a은 발판장치(60)의 대기 상태이고, 도 7b는 사용상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장치(60)는, 상부힌지(62), 회전형발판(61), 액츄에이터(63), 유압소스(65), 제어부(66)를 포함한다.
상부힌지(62)는 승강로(11)의 내벽면에 고정된 부속으로서, 연결핀(61a)을 통해 회전형발판(61)의 일단부와 링크된다. 회전형발판(61)은 만곡된 형태의 판상부재로서, 연결핀(61a)을 회전축으로 삼아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형발판(61)은 다수 개가 권상로프(26)를 피해 적절히 배치된다. 회전형발판(61)은, 필요에 따라 작업자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강력한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회전형발판(61)의 상면에는 엘이디조명(61c)이 고정된다. 엘이디조명(61c)은 회전형발판(61)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엘이디조명(61c)은 회전형발판(61)을 수평으로 펼칠 때 자동으로 점등되고, 하부로 접을 때 자동 소등된다.
또한 상부힌지(62)의 연직 하부에는 하부힌지(64)가 고정된다. 하부힌지(64)는 액츄에이터(63)의 실린더(63a) 하단부와 연결핀(63d)을 통해 링크된다. 액츄에이터(63)가 연결핀(63d)을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액츄에이터(63)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로서, 하부힌지(64)에 연결되는 실린더(63a)와, 실린더(63a)에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는 피스톤로드(63b)를 갖는다. 또한 실린더로드(63b)의 연장 단부는 다른 연결핀(63c)을 통해 회전형발판(61)에 링크된다. 회전형발판(61)은 액츄에이터(63)의 동작에 의해 도 7a와 같이 하부로 접히거나, 도 7b처럼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압소스(65)는 유압탱크(미도시) 및 유압펌프(미도시)를 포함하며, 액츄에이터(63)에 유압을 제공하여 회전형발판(61)을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어부(66)는 유압펌프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66)는 발판작동버튼(67)과 접속된다.
발판작동버튼(67)은 제어부(66)과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며 제어부(66)를 작동시켜, 제어부로 하여금 액츄에이터(63)를 동작시키게 한다. 발판작동버튼(67)을 이용해 회전형발판(61)을 접어놓거나, 도 7b처럼 수평으로 펼칠 수 있는 것이다.
발판작동버튼(67)은 출입구(13)의 하측부에 위치하며, 작업자는 출입구(13)에 엎드린 상태로 출입구(13) 아래로 팔을 내려 발판작동버튼(67)을 조작할 수 있다. 발판작동버튼(67)의 위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작업자는, 이를테면, 케이지(40)의 저면 뒤쪽 부분에 대한 보수 작업을 해야 할 경우, 회전형발판(61)을 펼친 후 회전형발판(61)을 밟고 케이지(40)의 하부로 진입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건물 11:승강로 12:기계실
13:출입구 13a:층수표시부 14:승강장
16:지지대 17:호출버튼부 17a:상승버튼
17b:하강버튼 18:점검스위치 18a:설치홈
18c:커버 19:통신모듈 22:모터
23:트랙션시브 24:받침시브 25:컨트롤러
26:권상로프 30:관제실 31:제어장치
33:가이드레일 35:완충기둥 40:케이지
41:케이지프레임 42:조작반 43:서스펜션시브
44:도어개폐기 45:도어 46:비상브레이크
47:중량센서부 49:스위치함 51:균형추
53:승강시브 55:단말기 60:발판장치
61:회전형발판 61a:연결핀 61c:엘이디조명
62:상부힌지 63:액츄에이터 63a:실린더
63b:피스톤로드 63c,63d:연결핀 64:하부힌지
65:유압소스 66:제어부 67:발판작동버튼

Claims (4)

  1. 천장면 상부에 도어개폐기가 설치되고 바닥판 하부에 중량센서부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케이지이송부, 건물 내 각 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되며 상승버튼과 하강버튼을 가지고 케이지를 호출하는 호출버튼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출버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점검신호를 출력하는 점검스위치와; 상기 점검스위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하고, 작업자가 상승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출입구보다 높게 위치시켜 상기 중량센서부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며, 작업자가 하강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보다 낮게 위치시켜 상기 도어개폐기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승강로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되며, 필요시 펼쳐져 작업자를 받쳐 지지하는 발판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부힌지와, 연결핀을 통해 상기 상부힌지에 링크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향 회동하여 수평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회전형발판과, 상기 상부힌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힌지와, 상기 하부힌지와 회전형발판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받아 작동하여, 상기 회전형발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소스와, 상기 유압소스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2. 천장면 상부에 도어개폐기가 설치되고 바닥판 하부에 중량센서부가 장착되어 있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로 내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케이지이송부, 건물 내 각 층의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되며 상승버튼과 하강버튼을 가지고 케이지를 호출하는 호출버튼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호출버튼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작업자의 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과 접속되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작업자의 비밀번호 요청신호를 받아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비밀번호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작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며,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 엘리베이터를 점검모드로 변경하고, 작업자가 상승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출입구보다 높게 위치시켜 상기 중량센서부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며, 작업자가 하강버튼을 누르면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측으로 이동시키되 케이지를 상기 출입구보다 낮게 위치시켜 상기 도어개폐기가 출입구 전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승강로의 내부에 층별로 이격 배치되며, 필요시 펼쳐져 작업자를 받쳐 지지하는 발판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발판장치는; 상기 승강로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부힌지와, 연결핀을 통해 상기 상부힌지에 링크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향 회동하여 수평의 작업면을 제공하는 회전형발판과, 상기 상부힌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힌지와, 상기 하부힌지와 회전형발판에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받아 작동하여, 상기 회전형발판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소스와, 상기 유압소스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형발판에는, 회전형발판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조명이 설치되고,
    상기 출입구의 하측부에는, 상기 발판장치를 작동시키는 발판작동스위치가 배치된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KR1020200012355A 2020-02-03 2020-02-03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KR10216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55A KR102166616B1 (ko) 2020-02-03 2020-02-03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55A KR102166616B1 (ko) 2020-02-03 2020-02-03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16B1 true KR102166616B1 (ko) 2020-10-16

Family

ID=7303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55A KR102166616B1 (ko) 2020-02-03 2020-02-03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202B1 (ko) * 2021-09-27 2022-08-18 문경필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 해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14B1 (ko) 2000-10-25 2003-02-1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JP2006335524A (ja) * 2005-06-02 2006-12-1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30725A (ja) * 2008-07-28 2010-02-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0965162B1 (ko) 2005-03-01 2010-06-24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KR20140060663A (ko) * 2012-11-12 2014-05-21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의 수동운전 방법
KR20180124082A (ko) 2016-04-26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점검 운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14B1 (ko) 2000-10-25 2003-02-1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원격 엘리베이터 관제장치
KR100965162B1 (ko) 2005-03-01 2010-06-24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JP2006335524A (ja) * 2005-06-02 2006-12-1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30725A (ja) * 2008-07-28 2010-02-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40060663A (ko) * 2012-11-12 2014-05-21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의 수동운전 방법
KR20180124082A (ko) 2016-04-26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점검 운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202B1 (ko) * 2021-09-27 2022-08-18 문경필 엘리베이터 도어 잠금 해제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65615A (ko) 승강기 차량에서의 검사 개구
CN109476461A (zh) 具有低净空的电梯装置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102166616B1 (ko) 엘리베이터 관리시스템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JP2002020062A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WO2001081225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en mode de maintenance pour un ascenseur
KR100616332B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JP360360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7030955A (ja) エレベータ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18879B2 (ja) エレベータ照明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2180155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H0336184A (ja) ホームエレベータ
JPH1059635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438752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0003350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WO2002030800A1 (fr) Elevateur et dispositif correspondant de confirmation de la position d'une voiture
JP200108083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JPH063015Y2 (ja) かご或いはカウンターウエートの上部確認装置
KR20220125635A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JP599568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H0849442A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