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161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161B1
KR102633161B1 KR1020230027807A KR20230027807A KR102633161B1 KR 102633161 B1 KR102633161 B1 KR 102633161B1 KR 1020230027807 A KR1020230027807 A KR 1020230027807A KR 20230027807 A KR20230027807 A KR 20230027807A KR 102633161 B1 KR102633161 B1 KR 10263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nit
bogie
shaped lif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운
송영곤
Original Assignee
한성산업(주)
조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산업(주), 조상운 filed Critical 한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02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제한된 공간에서도 장치의 조작이 간편하고 안정성이 구비된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는 조작이 간단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도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Mobile vehicle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slab}
본 발명은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도 장치의 조작이 간편하고 안정성이 구비된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토공 작업을 위한 장비들은 지속적으로 개선 및 발전해 왔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 기계는 숙련자가 조종자로서 건설 기계에 탑승하여 직접 조종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숙련된 기능공의 부재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안전 관리 문제, 숙련공의 임금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다. 또한, 기능공에 개개인의 숙련도 차이에 따라 시공 품질의 균일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캐스트 공법(Precast Method, 이하 피씨 공법)은 건축물의 구조 부재를 미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이하 피씨) 부재로 공장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송하여 반입한 다음 양중을 통해 소정 위치에서 조립하는 공법이다.
피씨 공법은 건설현장에서 노동력의 부족을 해결하거나 가설자재의 사용을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주차장 구조물이나 물류센터처럼 단위 모듈을 갖는 피씨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 동일 작업의 반복적인 시공으로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장 제작한 피씨 부재를 현장으로 운반 양중하여 설치하는 건식공법의 적용에 의해 거푸집 사용 및 가설 자재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피씨 구조물은 보통 하부기둥과, 하부기둥 상부에 양 단이 올려지는 거더와, 거더 상면에 올려지는 복수개의 슬라브패널과, 슬라브패널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마감층으로 구성된다. 물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기둥 상부에 상부기둥이 더 연결된다.
최근 들어, 보와 보 사이의 거리가 큰 경우 슬라브패널과 보의 단면을 크게 제작하면 가설재 사용 및 양중에 어려움이 있어, 보의 폭을 넓게 제작하는 와이드형 피시 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피씨 보의 자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둥과의 접합부에서 보통 내부 주근에 정착되는 것과 달리, 기둥외부에 정착되어, 접합부의 보강에 따른 기계적 이음의 필요성과 이를 이용한 효율적인 대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21-0079000호(2021년06월29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574253호(2015년11월27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489814호(2023년01월13일)
본 발명자들은 종래 공법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PC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는 전용 대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대차구조가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에 있어서, 제한된 공간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PC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는 전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무한궤도(140)를 포함하는 하부주행부(100);
상기 하부 주행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X자형 리프트부(200);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세조정부(300); 및
실린더의 유압동력을 제공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전체 부품과 접속되어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앞뒤로 2개가 구비되며,
미세조정부(300)의 고정식 하판(320)에 결합되는 상부 가이드레일(280);
하부 주행부(100)의 선회부(130) 상에 결합되는 지지판(291);
상기 지지판(29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레일(290);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80)과 하부 가이드레일(290)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공통의 접동축(250)을 중심으로 2개가 X자로 배치되는 X자 리프트 본체(240);
일측은 상기 지지판(291)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일정 지점(221)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220);
상기 지지판(2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 실린더(230);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좌측 상하단에서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배치된 고정단 힌지 결합부(260);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우측 상하단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로 회동하는 가동단 듀얼캐스터(270); 및
상기 지지판(291)의 외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는 제한된 공간에서도 조작이 간단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도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 대차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 대차의 후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 대차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메인 실린더와 보조 실린더의 평면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X자 리프트의 보조실린더가 최대 신장된 상태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X자 리프트의 보조실린더가 최대 신장된 상태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X자 리프트의 보조실린더가 최대 신장된 상태의 후면 설명도이다.
도 8은 X자 리프트의 최대 상승 상태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X자 리프트의 최대 상승 상태의 정면(A) 및 후면(B) 설명도이다.
도 10은 듀얼 캐스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미세조정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양로드 실린더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미세조정부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은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세조정부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는 메인실린더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및 19는 X자 리프트와 미세조정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가설 대차를 이용한 시공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어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무한궤도(140)를 포함하는 하부주행부(100);
상기 하부 주행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X자형 리프트부(200);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세조정부(300); 및
실린더의 유압동력을 제공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전체 부품과 접속되어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앞뒤로 2개가 구비되며,
미세조정부(300)의 고정식 하판(320)에 결합되는 상부 가이드레일(280);
하부 주행부(100)의 선회부(130) 상에 결합되는 지지판(291);
상기 지지판(29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레일(290);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80)과 하부 가이드레일(290)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공통의 접동축(250)을 중심으로 2개가 X자로 배치되는 X자 리프트 본체(240);
일측은 상기 지지판(291)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일정 지점(221)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220);
상기 지지판(2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 실린더(230);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좌측 상하단에서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배치된 고정단 힌지 결합부(260);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우측 상하단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로 회동하는 가동단 듀얼캐스터(270); 및
상기 지지판(291)의 외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달리 언급하지 않더라도 통상의 대차에서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나 전기적 접속을 위한 구성 요소들이 당연히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계적 장치나 전기적 접속을 위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제어부(400)를 언급하더라도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그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도 필연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필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재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 대차의 정면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 대차의 후면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 대차의 측면 설명도이고, 도 4는 메인 실린더와 보조 실린더의 평면 배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X자 리프트의 보조실린더가 최대 신장된 상태의 측면 설명도이고, 도 6은 X자 리프트의 보조실린더가 최대 신장된 상태의 정면 설명도이며, 도 7은 X자 리프트의 보조실린더가 최대 신장된 상태의 후면 설명도이고, 도 8은 X자 리프트의 최대 상승 상태의 측면 설명도이며, 도 9는 X자 리프트의 최대 상승 상태의 정면(A) 및 후면(B) 설명도이고, 도 10은 듀얼 캐스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미세조정부의 측면 설명도이고, 도 12는 양로드 실린더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미세조정부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 내지 16은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른 세조정부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7는 메인실린더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8 및 19는 X자 리프트와 미세조정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가설 대차를 이용한 시공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제어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는 크게 무한궤도(130)를 포함하는 하부주행부(100); 상기 하부 주행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X자형 리프트부(200);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세조정부(300); 및 실린더의 유압동력을 제공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전체 부품과 접속되어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지며, 천장이 막혀 가설물이 상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환경(암거, 터널 등)이나 여건상 크레인 접근이 안해한 현장에 더욱 유용하다.
상기 하부주행부(100)는 전후방의 이동을 담당하며 무한궤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며, 대차 장치의 전체 중량을 지탱하고, 동력을 무한궤도(140)로 전달하는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 상의 고정식 마운트(120),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 기능을 수행하는 선회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쉽게 설명하자면, 하부 주행부(100)는 무한궤도식 포크레인의 하부 구조와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주행부(100)은 통상의 포크레인 구조를 채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변속기(Transmission), 주행모터, 그리고 롤러(Roller), 아이들러(Idler), 스프로켓(Sprocket) 등으로 구성된 주행체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부품은 독립적인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각 부품 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는 특정 부품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하부 주행부와 선회부는 스윙드라이브 모터로 연결되며, 상부 선회부와 전부 작업 장치는 푸트 핀이라는 부품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펌프(210)의 주위에 조정실(제어부 포함)과 펌프(210)를 제어하는 밸브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주행부(100)는 예로, 전기모터, 유압모터의 동력을 감속기를 통해 감속되어 정역회전으로 구동될 수 있다.
PC 슬라브 시공을 위한 타이어 바퀴는 이동성이 떨어지나 위와 같은 무한궤도형 대차는 비포장면에서 장거리 이동이 가능하며 타이어 바퀴 보다 전도 위험성이 적다.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터널 내 또는 입구에서 PC 슬라브를 운반하여 작업할 수 있고, 또한, 바퀴형에 비하여 PC 슬라브의 하중을 전체가 받으므로 아우트리거가 필요없으며, 무게 중심이 상승하더라도 안정적이다.
한편, X자형 리프트부(200)는 상기 하부 주행부(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승하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앞뒤로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레일(280)은 미세조정부(300)의 고정식 하판(320)에 용접이나 볼트 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지지판(291)은 하부 주행부(100)의 선회부(130) 상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291)의 상부에는 하부 가이드레일(290)이 부착되고, X자 리프트 본체(240)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80)과 하부 가이드레일(290)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공통의 접동축(250)을 중심으로 2개가 X자 형태로 배치된다.
메인 실린더(220)는 나란히 2개조가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지지판(291)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일정 지점(221)에 힌지 결합된다.
복수(4개)의 보조 실린더(230)는 상기 지지판(2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실리더(230)의 외측이나 주면은 별도의 지지체로 보강할 수도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전면부의 보조 실린더(230)는 고정단 힌지 결합부(260)의 내측에 위치하고, 후면부의 보조 실린더(230)는 가동단 듀얼 캐스터(27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작동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서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PC 슬라브를 상부로 인상할 때 보조 실린더(230)를 가동시켜 초기하중을 분산시켜 지탱할 수 있다.
X자 리프트의 단점은 초기 상승시 리프트본체(240)와 메인 실린더(220)에 많은 힘을 받는다는 점이다. 메인 실린더(220)의 각도가 어느 정도 완만해 질 때까지 보조 실린더(230)가 상승력을 더해 메인 실린더(220)와 리프트 본체(240)의 부하를 줄이고, 기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서 메인실린더(220)는 로드가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30.4°의 각도로 배치되고, 도 5에서 보조실린더(230)가 최대 신장한 상태에서 40.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보조실린더(230)는 초기 하중을 지탱하고 보조적으로 상승시켜 주면 되므로 X자 리프트부(200)가 최대 신장한 길이까지는 연장될 필요는 없다.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좌측 상하단에서 가이드레일의 단부에는 고정단 힌지 결합부(260)가 배치되고,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우측 상하단에는 가동단 듀얼캐스터(270)가 부착되어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로 회동한다.
X자 리프트는 고정단과 가동단으로 나뉘어 가동단은 캐스터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X자 링크의 간섭으로 캐스터를 외부에 하나만 설치하는데, 캐스터를 도 10의 (B)와 같이 레일의 양쪽에 걸치게 설치하여 안정성을 극대화하여 중량물 작업에 적합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실린더(220)는 유압호스(212)를 통하여 밸브(211) 및 펌프(210)에 연결된다. 메인 실린더(22) 입구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낙하방지 밸브(213)를 삽입하여 유압 호스(212)나 밸브(211)가 단락 또는 손상되었을 때 지중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펌프(210)는 상기 지지판(291)의 외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여기에 제어부(400), 조정실, 엔진룸 등이 적절히 배치될 수도 있다.
미세조정부(3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브를 기둥에 걸치는 작업 환경에서 미세한 이동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세조정부(300)는 리프트 상단(PC 거더 거치면)에 좌우측으로 일정 거리를 움질일 수 있도록 장착하여 대차의 진입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고정식 하판(320)은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 가이드레일(280)에 용접 결합 또는 볼트 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식 하판(32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32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식 하판(320)의 중앙에는 양로드 실린더(330)가 몸통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하판(320)의 중앙에서 상기 양로드 실린더(330)의 몸통은 하판 실린더 고정구(332)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가동식 상판(310)은 그의 하부 양측에 복수의 캐스터(311)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21) 상에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양로드 실린더(330)의 단부 로드(331)는 상기 가동식 상판(310)에서 상판 로드 고정구(31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가동식 상판(310)과 고정식 하판(320)의 측면(또는 정면) 형상은 양로드 실린더(330)를 탑재한 중앙 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양로드 실린더(330)를 탑재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에 2개의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정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리프트 상단(PC거더 거치면)에 좌우측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는 미세조정 장치(300)를 구비함으로써 PC 거더의 시공시 좌우 미세 조정이 리모컨 조정 등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로드 실린더(330)의 사용으로 좌우 속도를 동일하게 조정하여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실린더를 좌우 작동에 사용하면 유압실린더의 팽창과 수축시의 힘(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공성 및 정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린더 내부 면적 차이로 인해 좌우 작동시 실린더의 팽창과 수축시 유압유가 대량으로 사용되고도 속도가 느려지고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므로 수축과 팽창시 힘(속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 실린더를 좌우 미세조조정 기능에 적용하면 유압 실린더의 상승과 하강의 힘(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공성 및 정밀성이 떨어지므로 PC 거더의 미세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반하여, 양로드 실린더(330)는 실린더 내부 면적이 양방향으로 동일하므로 적은 양의 유압유를 양측으로 균일하게 사용하여 속도가 빠르고 좌우 작동시 실린더 로드의 팽창과 수축시의 좌우의 힘(속도)을 동등하게 제어함으로써 PC 거더의 미세 조정이 용이하다.
한편, PC 슬라브 가설시 PC 슬라브의 좌우 미세 조정 기능에 있어서 PC 슬라브의 고중량에 의한 가동식 상판(310)과 고정식 하판(320)의 마찰력 발생은 필연적이다.
F=μN(여기서 F는 마찰력, μ는 마찰 게수, N은 수직 항력이다.)
즉, 마찰력은 중량과 마찰 계수에 비례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프론(322)을 고정식 하판(320)의 표면에 코팅하여 마찰 계수를 줄여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테프론은 고정식 하판(32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코팅할 수도 있으나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면적에만 코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테프론 소재는 저마찰계수로 마찰계수가 낮고(0.05~0.20), 비점착성으로 거의 모든 물질이 달라붙지 않는다. 비유성으로 물이나 기름이 잘 묻지 않으며, 내열성/내한성을 가져서 고온/저온 온도 변화에도 물리적 성질을 유지한다.
넓은 면적에 균일 하중 배분에 용이하기 때문에 고중량 작업에 안전성이 높고 베어링 방식에 비해 설계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춘다. 비점착성 및 비유성으로 시공 환경에 의한 오염 최소화할 수 있고, 동절기, 하절기 악조건에서도 기능을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실린더의 유압동력을 제공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전체 부품과 접속되어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리모컨 등으로 정밀 조작이 가능하다.
제어부(400)의 작동 컨트롤은 유무선 방식을 채택하여 주행, 조향, 선회, 상승하강, 미세조정 조작을 할 수 있으며, 가변형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스피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리모컨 상의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어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펌프(210)의 엔진 rpm을 무선 조정에 의해 목적하는 속도를 안정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 모듈(401), 작업 지시를 위한 입력모듈(402), 작업자와의 정보 교환 및 가설 대차와 통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403); 작업 내용을 구현하는 출력 모듈(406);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405)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405)는 상기 가설 대차를 원격또는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명령을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가설 대차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401)은 가설 대차의 회전 또는 작동 상태, 장애물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모듈(402)은 리모컨,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예: 데스크탑, 노트북),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402)은 원격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가설 대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402)은 가설 대차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직접 또는 관제 센터를 통해 가설대차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가설 대차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3)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관제 센터 및 가설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403)에서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XBee를 통한 IEEE 802.15.4의 통신 네트워크 규격,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NN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 RTK(Real Time Kinematic) GNSS 모듈 등을 이용하여 원격 통신 모듈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404)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휘발성 메모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05)는 가설 대차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 모듈(4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405)에 연결된 구성 요소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 모듈(406)은 가설 대차의 동작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 장치,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대차에 관련하여 작동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먼저, 현장 인근에서 미리 작업한 PC 슬라브(PCS)를 본 발명의 시공 대차를 이용하여 기둥(P)이 미리 세워진 가설 위치까지 운반한다.
이어서, 리모컨으로 하부 주행부(100)의 선회부(130)를 회전시킨 다음, 메인 실린더(220)와 보조 실린더(230)을 상승시켜 X자형 리프트부(200)를 PCS를 가설 위치보다 약간 높게 상승시킨 다음, 리모컨으로 미세조절부(300)를 좌우로 움직여 거치할 정확한 위치를 설정한 다음 메인 실린더(200)을 하강시켜서 PCS를 안정되게 위치시킨 후, 후속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트 상단(PC거더 거치면)에 좌우측으로 일정 거리르 움직일 수 있는 미세조절부(300)를 이용하여 대차의 진입 위치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100: 하부주행부
130: 선회부
140: 무한궤도
200: X자형 리프트부
210: 펌프
220: 메인 실린더
230: 보조 실린더
240: X자 리프트 본체
260: 고정단 힌지 결합부
270: 가동단 듀얼캐스터
280: 상부 가이드레일
290: 하부 가이드 레일
291: 지지판
300: 미세조정부
310: 가동식 상판
320: 고정식 하판
330: 양로드 실린더
400: 제어부

Claims (6)

  1. 무한궤도(140)를 포함하는 하부주행부(100);
    상기 하부 주행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X자형 리프트부(200);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세조정부(300); 및
    실린더의 유압동력을 제공하는 펌프(210)를 포함하는 전체 부품과 접속되어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X자형 리프트부(2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앞뒤로 2개가 구비되며,
    미세조정부(300)의 고정식 하판(320)에 결합되는 상부 가이드레일(280);
    하부 주행부(100)의 선회부(130) 상에 결합되는 지지판(291);
    상기 지지판(291)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레일(290);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80)과 하부 가이드레일(290)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공통의 접동축(250)을 중심으로 2개가 X자로 배치되는 X자 리프트 본체(240);
    일측은 상기 지지판(291)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일정 지점(221)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220);
    상기 지지판(29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 실린더(230);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좌측 상하단에서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배치된 고정단 힌지 결합부(260);
    상기 X자 리프트 본체(240)의 우측 상하단에 부착되어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로 회동하는 가동단 듀얼캐스터(270); 및
    상기 지지판(291)의 외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조정부(300)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X자형 리프트부(200)의 상부 가이드레일(280)에 결합된 고정식 하판(320);
    상기 고정식 하판(32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321);
    상기 고정식 하판(320)의 중앙에 구비된 양로드 실린더(330);
    양측에 복수의 캐스터(311)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21) 상에서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동식 상판(310);
    상기 고정식 하판(320)의 중앙에서 상기 양로드 실린더(330)의 몸통을 고정하는 하판 실린더 고정구(332); 및
    상기 가동식 상판(310)에서 상기 양로드 실린더(330)의 단부 로드(331)를 고정하는 상판 로드 고정구(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400)는 작업 환경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 모듈(401), 작업 지시를 위한 입력모듈(402), 작업자와의 정보 교환 및 가설 대차와 통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403), 작업 내용을 구현하는 출력 모듈(406), 및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출력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405)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405)는 상기 가설 대차를 원격또는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업 명령을 상기 출력 모듈을 통해 출력하고,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가설 대차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400)의 작동 컨트롤은 가변형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스피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리모컨 상의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어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부(300)는 양로드 실린더(330)의 사용으로 좌우 속도를 동일하게 조정하여 작동하고, 테프론(322)을 고정식 하판(320)의 표면에 코팅하여 마찰 계수를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
  6.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실린더(220) 입구에 낙하방지 밸브(213)를 삽입하여 유압 호스(212)나 밸브(211)가 단락 또는 손상되었을 때 지중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슬라브 가설용 대차.
KR1020230027807A 2023-03-02 2023-03-0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KR10263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807A KR102633161B1 (ko) 2023-03-02 2023-03-0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807A KR102633161B1 (ko) 2023-03-02 2023-03-0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161B1 true KR102633161B1 (ko) 2024-02-02

Family

ID=8990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7807A KR102633161B1 (ko) 2023-03-02 2023-03-0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6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746A (ko) * 2002-03-21 2003-09-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금형 리프터 작동시스템
KR20140106518A (ko) * 2011-11-30 2014-09-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붐 스윙형 굴삭기의 유압 배관 고정장치
KR101574253B1 (ko) 2015-03-05 2015-12-0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60095458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세웅 과수원용 고소작업차량의 제어장치
KR102073180B1 (ko) * 2019-04-15 2020-02-05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농업용 고소차
KR102080407B1 (ko) * 2018-09-14 2020-02-21 문홍찬 차량용 소방리프트장치
KR20210079000A (ko) 2019-12-19 2021-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CN213738463U (zh) * 2020-07-20 2021-07-20 苏州科顶升降设备有限公司 一种铝合金升降机
KR102489814B1 (ko)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746A (ko) * 2002-03-21 2003-09-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금형 리프터 작동시스템
KR20140106518A (ko) * 2011-11-30 2014-09-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붐 스윙형 굴삭기의 유압 배관 고정장치
KR20160095458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세웅 과수원용 고소작업차량의 제어장치
KR101574253B1 (ko) 2015-03-05 2015-12-0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80407B1 (ko) * 2018-09-14 2020-02-21 문홍찬 차량용 소방리프트장치
KR102073180B1 (ko) * 2019-04-15 2020-02-05 에치와이산업주식회사 농업용 고소차
KR20210079000A (ko) 2019-12-19 2021-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CN213738463U (zh) * 2020-07-20 2021-07-20 苏州科顶升降设备有限公司 一种铝合金升降机
KR102489814B1 (ko) 2022-04-18 2023-01-19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피씨 구조물용 보 및 이를 구비한 피씨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8962B2 (en) Drill rig relocation system
US103082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load transporting apparatuses
US8516680B2 (en) Grain bin lifting system and method
US7681674B1 (en) System for positioning transportable and relocatable heavy equipment
US8925658B2 (en) Drill rig moving system
US10266219B2 (en) Lifting jack assembly with rotatable hydraulic cylinder for steering and method of operation
US8051930B1 (en) Vehicle for positioning transportable and relocatable heavy equipment
US7806207B1 (en) Method for positioning transportable and relocatable heavy equipment
US201501844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 Drilling Rig
US117813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tating a modular home on a trailer
Taylor et al. Automated construction in Japan
KR1026331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라브 가설용 대차
CN201059969Y (zh) 新型定位仪
CN204834832U (zh) 一种隧道地质超前预报雷达天线自适应调位装置
CN108130864B (zh) 整体装配式桥梁整跨梁运输架设装备
CN105649659A (zh) 用于隧道浅埋暗挖施工的应急液压应力补偿支撑装置
US20180017202A1 (en) In-situ pipe carrier
CN110939156A (zh) 预制板定位机构
CN218231714U (zh) 一种架廊机转运设备
US20240141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loading a structure
CN220434760U (zh) 一种用于岩洞衬砌管片拼装的施工台车
CN214695218U (zh) 双限位限重桥梁悬臂施工用复合式智能吊机
CN210289162U (zh) 逆作法地下室的水平钢梁的运输安装系统
JP2019094150A (ja) 重量物の移送装置及び移送方法
RU2112841C1 (ru) Машина для вс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рабочий орг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