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126B1 -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126B1
KR102037126B1 KR1020190060339A KR20190060339A KR102037126B1 KR 102037126 B1 KR102037126 B1 KR 102037126B1 KR 1020190060339 A KR1020190060339 A KR 1020190060339A KR 20190060339 A KR20190060339 A KR 20190060339A KR 102037126 B1 KR102037126 B1 KR 102037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ushroom cultivation
mushroom
couple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영
김성권
Original Assignee
김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권 filed Critical 김성권
Priority to KR102019006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육 및 재배할 수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량의 버섯 배지를 수납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와 다수의 버섯 재배용 대차를 배치 및 순환시킬 수 있는 레일부, 이송부 및 제1, 2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다수의 버섯 배지를 한번에 다량 수납하여 생육및 재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레일방식으로 벗서 재배용 대차를 가동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오작동에 따른 라인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조 이동수단 및 리프트를 통해 다량의 버섯 생육 후 재배도 한번에 다량을 실시할 수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환식 버섯재배장치{Mushroom gr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량의 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육 및 재배할 수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버섯의 일반적인 재배 방법으로는, 일정 규모의 공간상에 버섯재배에 소요되는 균상면(이하 버섯재배판이라함)을 복수의 층으로 배열시켜 재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섯 재배 방법은, 일정 크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량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각각의 버섯재배판이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써, 버섯 재배에 필요한 종균접종 및 버섯재배 후의 폐기물 처리와 같은 소정의 작업을, 작업자가 각각의 버섯재배판을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수행하여야 하는데 따른 작업시간의 과다 소요 및 이들 작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버섯재배판이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온도및 습도와 같이 버섯의 생장에 필요한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토록 하여 주는 수분공급장치및 온도가열장치로 부터 비교적 근접거리에 위치한 버섯재배판과, 그렇지 않은 버섯재배판들에 접종된 종균이 필요로 하는 생육조건이 편차지게 작용하는 등의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는 데, 이는 생산효율의 저하와 품질의 저하로 이어져 생산비가 높아지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다양항 형태의 버섯재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523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버섯재배판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0145235 B1 다단순환식 버섯재배장치
상기 특허문헌 1은 버섯재배판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버섯을 생육시킨 후 재배할 수 있어 종래의 문제점은 일부 해소하였으나 한번에 다량의 버섯을 재배하기에는 버섯재배판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버섯재배판을 배출시켜 별도로 버섯을 재배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다수의 이송부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가 잦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는 다수의 버섯 배지를 수납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를 이송수단과 레일부를 이용해 레일방식으로 버섯을 순환하는 방식을 때문에 다량의 버섯을 생육 및 재배할 수 있음은 물론, 버섯 재배용 대차의 이동시 흔들림 없이 구조적 안전성이 높아 오작동 없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섯 재배용 대차의 이동시 버섯 재배용 대차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버섯 재배용 대차간의 간격조정, 충격완화 및 이송부에서는 이웃하는 버섯 재배용 대차와의 슬라이딩 작용을 통해 벗서 재배용 대차에 충격을 주지 않고 이동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버섯 생육 이후 버섯 재배시 다량의 버섯 생육을 하더라도 버섯 재배를 위한 공간확보를 통해 버섯 재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한 승강이 가능한 리프트를 통해 버섯 재배용 대차의 높은 위치의 버섯도 재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시 구조적 안정성을 통해 승강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버섯 배지를 수납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를 이송수단과 레일부를 이용해 레일방식으로 버섯을 순환하는 방식을 때문에 다량의 버섯을 생육 및 재배할 수 있음은 물론, 버섯 재배용 대차의 이동시 흔들림 없이 구조적 안전성이 높아 오작동 없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버섯 재배용 대차의 이동시 버섯 재배용 대차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버섯 재배용 대차간의 간격조정, 충격완화 및 이송부에서는 이웃하는 버섯 재배용 대차와의 슬라이딩 작용을 통해 벗서 재배용 대차에 충격을 주지 않고 이동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버섯 생육 이후 버섯 재배시 다량의 버섯 생육을 하더라도 버섯 재배를 위한 공간확보를 통해 버섯 재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안전한 승강이 가능한 리프트를 통해 버섯 재배용 대차의 높은 위치의 버섯도 재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시 구조적 안정성을 통해 승강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버섯 재배용 대차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버섯 재배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레일부 및 버섯 재배용 대차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제1, 2 이동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보조 이동수단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리프트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버섯 재배용 대차(1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단 형태의 버섯 적재공간(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바퀴(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레일부(20)는 상술한 버섯 재배용 대차(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순환시켜 고르게 생육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레일부(20)는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바퀴(12)와 대응하는 제1 레일(21a)을 포함한 제1 레일부(21)와 상기 제1 레일부(2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바퀴(12)와 대응하는 제2 레일(22a)을 포함하는 제2 레일부(22)가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버섯 재배용 대차(10)는 상기 레일부(20)의 제1, 2 레일(21a, 22a)에 안착시 좌, 우 흔들림에 의한 탈선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바퀴(12)에는 홈(h)이 형성되고, 제1, 2 레일(21a, 22a)에는 홈(h)에 대응하는 삼각형상의 턱(e)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이송부(30)는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부(20)의 제1, 2 레일부(21, 22)의 양단에 형성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2 레일부(21, 22)에서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수단(31), 위치센서(32), 이송대차(33), 동력전달수단(34) 및 이송부 모터(35)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송부(30)는 상기 레일부(20)를 구성하는 제1, 2 레일부(21, 22)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2 레일부(21, 22)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수단용 레일(31a)과 상기 이송수단용 레일(31a)의 하측에 형성되는 이송수단용 프레임(31b)을 포함하는 이송수단(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31)의 이송수단용 프레임(31b)에 결합하며 이송수단(31)의 이송수단용 레일(31a)의 양 단부 위치에는 위치센서(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대차(33)는 상기 이송수단(31)의 상측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이송수단(31)의 이송수단용 레일(31a)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송대차용 바퀴(33a)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측으로는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바퀴(12)와 대응하는 제3 레일(3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이송대차(33)는 이송수단(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송부 모터(35)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기어(34a)와 체인(34b)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34)에 연결되어 이송수단(3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때에, 위치센서(32)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송부 모터(35)의 작동이 멈추게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대차(33)의 이송대차용 바퀴(33a)에는 홈(h)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이송수단용 레일(31a)에는 삼각형상의 턱(e)이 형성하여 이송대차(33)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송대차(33)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 레일(33b)도 삼각형상의 턱(e)을 형성하여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동력전달수단(34)의 체인(34b)은 이송대차(33)와의 결합시 턴버클(34c)을 더 포함함으로써 체인(34b)의 장력을 조절해 체인(34b)이 느슨해짐에 따라 동력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이동수단(40)은 레일부(20)를 구성하는 제1 레일부(21)에 배치되어 있는 버섯 재비용 대차(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일부(20)를 구성하는 제1 레일부(21)가 형성된 위치의 이송부(30)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이동수단(40)은 레일부(20)를 구성하는 제2 레일부(21)가 형성된 위치의 이송부(30)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2 이동수단(40, 50)은 설치되는 위치 및 방향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여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제1, 2 이동수단(40, 50)은 제1, 2 모터(41, 51)의 구동을 전달하는 제1, 2 동력전달수단(42, 52)과 상기 제1, 2 동력전달수단(42, 52)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체인(43a, 53a)과 체인기어(43b, 53b)로 이루어진 제1, 2 구동장치(43, 53)와 상기 제1, 2 구동장치(43, 53)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 2 이동체인(45, 55)과 상기 제1, 2 이동체인(45, 55)에 의해 이동하는 제1, 2 푸쉬축(44a, 54a)과 제1, 2 밀대(44b, 54b)으로 이루어진 제1, 2 푸쉬부(44, 5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이동체인(45, 55)에는 제1, 2 푸쉬부(44, 54)의 제1, 2 푸쉬축(44a, 54a)과의 결합시 제1,2 이동체인(45, 55)의 장력 조절을 위한 턴버클(46, 5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2 이동수단(40, 50)은 제1, 2 모터(41, 51)의 구동에 의해 제1, 2 푸쉬부(44, 54)가 이동하여 이송부(30)에 배치되어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레일부(20)를 구성하는 제1, 2 레일부(21, 22)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양 측에서 버섯의 재배를 실시할 수 있도록 레일부(20)를 구성하는 제2 레일부(22) 중 제2 이동수단(50)이 형성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제2 레일부(22)에서 이송부(30)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 이동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 이동수단(60)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보조 브라켓(61)에 유압실린더(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브라켓(61)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64)과 상기 보조 브라켓(61)에 고정결합하되 내측이 슬라이딩 베어링(6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샤프트(65)와 상기 보조 브라켓(61)에 결합하는 걸림부 브라켓(66a)과 외력 발생시 상기 걸림부 브라켓(66a)에 힌지(H)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턱(66b) 및 상기 걸림턱(66b)에 가한 외력이 없어졌을 때에 걸림턱(66b)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프링(66c)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리프트(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70)는 도 12에서와 같이 레일부(2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2 레일부(21, 22) 중 제1, 2 이동수단(40, 50)이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생육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리프트(70)는 상, 하측 프레임(71a , 71b) 및 측면 프레임(71c)으로 이루어진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이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제작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7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72)에는 사람이 탈수 있는 승강기(73)가 형성되고, 프레임(71)의 측면 프레임(71c)에 결합하는 가이드바(74a)와 승강기(73)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바(74a)에 대응하여 승강기(73)의 승강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승강기(73)를 지지하기위한 가이드롤러(74b)로 이루어진 가이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73)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기 구동부(75) 및 승강기 구동부(75)를 작동시키는 리프트 구동용 모터(76)가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 구동부(75)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부(75)는 승강기(73)의 내측 하면의 중앙의 위치에 스크류 너트(75a)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은 프레임(71)을 구성하는 상측 프레임(7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은 프레임(71)을 구성하는 하측 프레임(7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측으로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류 샤프트(7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75b)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스크류 샤프트 커버(75c)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75c)를 통해 감싸지지 않은 스크류 샤프트(75b) 상단을 감싸되 승강기(73)의 구동시 늘어나거나 오므라드는 벨로우즈(75d)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술한 리프트 구동용 모트(76)는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승강기 구동부(75)의 스크류 샤프트(75c)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100)는 다량의 버섯 배지를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버섯 적재공간에 수납한 후 통상의 공기조화기를 통해 온도, 습도 조건을 부여하여 생육한 후 생육이 완료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100)를 통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구성하는 버섯 적재공간(11)에 버섯 배지를 수납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경우 하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에 다단 형태로 다수의 버섯 배지를 수납할 수 있어 한번에 다량의 버섯 재배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버섯 재배용 대차(10)는 레일부(10)를 구성하는 제1, 2 레일부(21, 22)에서 순환하여 생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순환식 버섯재배장치(100)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통해 고르게 습도 및 온도가 전달되기는 하지만 특정 구역에서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습도가 일정치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일정시간이 지나면 순환시킬 수 있도록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는 레일부(20)의 제1 레일부(21)에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제2 레일부(22)로 이동시키고, 다시 제2 레일부(22)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제1 레일부(21)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3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30)는 바닥면에 형성되되 상측으로 이송수단용 레일(31a)이 포함된 이송수단(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수단(31)의 이송수단용 레일(31a)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대차용 바퀴(33a)를 포함하되 상측으로 버섯 재배용 대차(10)가 배치되어 있는 이송대차(33)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흐른뒤에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신호가 송신되면 이송부 모터(35)가 작동하여 동력전달수단(34)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체인기어(34a)를 구동시키고 상기 체인기어(34a)에 의해 이송대차(33)에 결합되어 있는 체인(34b)이 작동하여 이송대차(33)를 제1 레일부(21)에서 제2 레일부(22)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2 레일부(22)에서 제1 레일부(21)로 이동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31)을 구성하는 이송수단용 프레임(31b)에는 이송수단용 레일(31a)의 양 단부에 위치센서(32)가 구성되어 있어 이송대차(33)가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송부 모터(35)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어 정확한 위치에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동력전달수단(34)을 구성하는 체인(34b)은 이송대차(33)에 결합시 턴버클(34c)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 시공시 및 사용 중 체인(34b)이 느슨해질 경우 턴버클(34c)을 이용해 장력을 형성함으로써 체인(34b)이 느슨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이송대차(33)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31)의 이송수단용 레일(31a)에는 삼각형상의 턱(e)이 형성되어 있고, 이송대차(33)의 이송대차용 바퀴(33a)에는 턱(e)에 대응하는 홈(h)이 형성되어 있어, 이송대차(33)의 이동시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탈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버섯 재배용 대차(10)에는 다수의 롤러(13)가 형성되어 있어 이송부(30)를 통한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이동시 맞닿아 있는 이웃하는 버섯 재배용 대차(10)와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원활한 이동이 이루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일부(1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2 레일부(21, 22) 내에서 다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레일부(21)의 일측에 형성된 이송부(30)의 일측으로 제1 레일부(21) 내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이동수단(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수단(40)이 형성된 타단 측의 제2 레일부(22) 위치의 이송부(30) 일측으로는 제2 이동수단(50)이 형성되어 각각 제1, 2 레일부(21, 22)에 배치된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1, 2 이동수단(40, 50)은 제1, 2 모터(41, 51)에 의해 제1, 2 체인(42, 52) 및 제1, 2 구동장치(43, 53)가 작동하면 제1, 2 푸쉬부(44, 54)가 제1, 2 이동체인(45, 55)에 의해 이동하여 이송부(30)에 배치되어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각각 제1 레일부(21) 및 제2 레일부(22)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2 이동수단(40, 50)에 의해 이동하는 버섯 재배용 대차(10)에는 롤러(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13)는 이송부(30)를 통한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이동시 이웃하는 버섯 재배용 대차(13)와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용이 있었는데, 제1, 2 레일부(21, 22)에서는 각각의 버섯 재배용 대차(10) 간의 간격조절은 물론, 합성수지 재질의 롤러(13)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이동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 2 이동수단(50)은 이송부(30)와 함께 연동하여 다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에 많은 양의 버섯 재배가 가능하면서 버섯 배지를 순환시켜 고르게 양질의 버섯을 생육할 수 있으며, 특히, 버섯 순환시 안전성 및 안정성을 높여 오작동 없이 버섯의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벗서 재배용 대차(10)에서 생육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 리프트(7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70)는 승강 가능한 승강기(73)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낮은 위치 뿐만 아니라 높은 위치의 버섯도 재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리프트(70)는 가이드부(74)가 형성되어 있어 승강기(73)의 승강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승강기 구동부(75)는 스크류 너트(75a)에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 샤프트(75b)가 회전하여 승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 높이에 도달한 상태에서 멈추었을 때에 승강기(73)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부드럽게 멈추거나 출발이 가능하여 승강자의 편의성 및 심리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승강기(73)의 중앙에 승강기 구동부(75)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스크류 샤프트(75b)에는 스크류 샤프트 커버(75c) 및 벨로우즈(75d)가 외측을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승강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작용하게 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보조 이동수단(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 이동수단(60)은 버섯 생육 이후 버섯을 재배할 때에 양 측면에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레일부(22) 중 제2 이동수단(50)이 형성된 반대편에 설치되어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제2 레일부(22)에서 이송부(30)로 이동시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버섯 생육을 할 수 있도록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구조를 제작하였으며, 더욱이, 다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데 반해, 생육 이후 이를 재배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부족한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보조 이송수단(60)을 구비함으로써 여러 위치에서 버섯 재배용 대차(10) 내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섯 재배용 대차(10)가 1번 위치에 있을 경우 리프트(70)를 이용해 작업자가 1번 위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버섯 재배가 가능한 위치인 31번으로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1번 위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 16번으로 이동시킨 후 제1 이동수단(40)을 통해 16번 위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 방향으로 밀어야만 31번의 위치에 버섯 재배용 대차(1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할 경우에는 다시 1번 위치에는 버섯 재배용 대차(10)가 위치하지 않아 결국 1번 또는 31번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만 버섯 재배가 가능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30번 위치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보조 이동수단(60)을 이용해 31번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1번 위치 및 31번 위치에서 버섯 재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이동수단(60)은 유압실린더(62)에 의해 걸림부(66)가 이동하여 걸림부(66)의 걸림턱(66b)에 의해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이송부(30)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제2 이동수단(50)에 의해 보조 이동수단(60)을 통해 이동되었던 위치에 버섯 재배용 대차(10)가 이동할 경우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이동시키는 걸림부(66)의 걸림부 브라켓(66a)이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하부에 맞닿으면서 힌지(H)에 의해 회전한 상태로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고, 최초의 위치에 이동되었을 때에는 버섯 재배용 대차(10)의 하부와 맞닿지 않게 되면서 스프링(66c)에 의해 최초의 자리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 다음의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 이동수단(60)은 도 2에서 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위치인 1번, 31번에 동시에 버섯 재배용 대차(10)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버섯 재를 위한 리프트(70)도 1번, 31번의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버섯 재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0 : 버섯 재배용 대차
11 : 버섯 적재공간 12 : 바퀴 13 : 롤러 h : 홈
20 : 레일부
21 : 제1 레일부 21a : 제1 레일 22 : 제2 레일부 22a : 제2 레일
e : 홈
30 : 이송부
31 : 이송수단
31a : 이송수단용 레일 31b : 이송수단용 프레임
32 : 위치센서
33 : 이송대차
33a : 이송대차용 바퀴 33b : 제3 레일 h : 홈 e : 턱
34 : 동력전달수단 34a: 체인기어 34b : 체인 34c : 턴버클
35 : 이송부 모터
40 : 제1 이동수단
41 : 제1 모터 42 : 제1 동력전달수단
43 : 제1 구동장치
43a : 체인 43b : 체인기어
44 : 제1 푸쉬부 44a : 제1 푸쉬축 44b : 제1 밀대
45 : 제1 이동체인 46 : 턴버클
50 : 제2 이동수단
51 : 제2 모터 52 : 제2 동력전달수단
53 : 제2 구동장치
53a : 체인 53b : 체인기어
54 : 제2 푸쉬부 54a : 제2 푸쉬축 54b : 제2 밀대
55 : 제2 이동체인 56 : 턴버클
60 : 보조 이동수단
61 : 보조 브라켓 62 : 유압실린더
64 : 슬라이딩 베어링 65 : 가이드 샤프트
66 : 걸림부 66a : 걸림부 브라켓 66b : 걸림턱 66c : 스프링
67 : 위치제어센서
70 : 리프트
71 : 프레임 71a : 상측 프레임 71b : 하측 프레임 71c : 측면 프레임
72 : 공간부 73 : 승강기
74 : 가이드부
74a : 가이드바 74b : 가이드롤러
75 : 승강기 구동부
75a : 스크류 너트 75b : 스크류 샤프트
75c: 스크류 샤프트 커버 75d : 벨로우즈
76 : 리프트 구동용 모터
100 :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Claims (8)

  1. 버섯 적재공간과 바퀴를 포함하고 있는 버섯 재배용 대차;
    상기 버섯 재배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와 대응하는 제1 레일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레일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버섯 재배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와 대응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는 제1 레일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레일부로 이루어진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구성하는 제1, 2 레일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2 레일부에서 버섯 재배용 대차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1, 2 레일이 연장된 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수단용 레일과 이송수단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수단용 프레임에 결합하되, 이송수단용 레일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이송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이송수단에 형성된 이송수단용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송대차용 바퀴와 버섯 재배용 대차의 바퀴와 대응하는 제3 레일을 포함하는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수단용 프레임에 설치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에 의해 작동하되 이송대차에 결합되어 있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레일부를 구성하는 제1 레일부가 형성된 위치의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모터의 구동을 전달하는 제1 동력전달수단 및 제1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체인과 체인기어로 이루어진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1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이동체인과 상기 제1 이동체인에 의해 결합되는 제1 푸쉬축과 제1 밀대로 이루어진 제1 푸쉬부로 이루어진 제1 이동수단;
    상기 레일부를 구성하는 제2 레일부가 형성된 위치의 이송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모터의 구동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수단 및 제2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체인과 체인기어로 이루어진 제2 구동장치와 상기 제2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이동체인과, 상기 제2 이동체인에 의해 결합되는 제2 푸쉬축과 제2 밀대로 이루어진 제2 푸쉬부로 이루어진 제2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부를 구성하는 제2 레일부 중 제2 이동수단이 형성된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버섯 재배를 양 측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버섯 재배용 대차를 이송부로 이동키기 위한 보조 이동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 이동수단은 보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에 결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보조 브라켓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과 상기 보조 브라켓에 고정결합하되 내측이 슬라이딩 베어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와 상기 보조 브라켓에 형성되는 걸림부 브라켓과 상기 걸림부 브라켓에서 힌지에 결합하되 외력 발생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일측에 결합되어 걸림턱이 외력에 의해 회전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도록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걸림부 및 위치제어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재배용 대차의 측면에는 간격유지, 완충작용 및 파손방지와 더불어 이송부에서 버섯 재배용 대차의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롤러가 상,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재배용 대차의 바퀴와 이송부의 이송대차에 형성된 이송대차용 바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레일부를 구성하는 제1, 2 레일부의 제1, 2 레일 및 이송부를 구성하는 이송대차의 제3 레일은 홈에 대응하는 삼각형상의 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동력전달수단을 구성하는 체인을 이송대차에 결합시 장력조절이 가능한 턴버클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이동수단의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체인에는 제1, 2 푸쉬부의 제1 푸쉬축에 결합시 체인의 장력조절을 위한 턴버클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를 구성하는 제1, 2 레일부 중 제1, 2 이동수단이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버섯 재배용 대차에서 생육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리프트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 하측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제작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내에 배치되되 버섯 재배자가 탑승하기 위한 승강기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와 슬라이딩되며 승강기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기의 내측에 중앙에 결합되는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너트와 연동하되, 상측은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하측은 하측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리프트 구동용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승강기를 승강시키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측을 일부만 감싸는 스크류 샤프트 커버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 커버를 통해 감싸지지 않은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승강기의 승강시 줄어들거나 오므라드는 벨로우즈로 이루어진 승강기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1020190060339A 2019-05-23 2019-05-23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10203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39A KR102037126B1 (ko) 2019-05-23 2019-05-23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339A KR102037126B1 (ko) 2019-05-23 2019-05-23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26B1 true KR102037126B1 (ko) 2019-10-29

Family

ID=6842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339A KR102037126B1 (ko) 2019-05-23 2019-05-23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514B1 (ko) * 2021-06-01 2022-02-25 주영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02A (ko) * 2001-06-18 2001-07-27 이희범 사계절용 이중 수막형 버섯재배사
KR100607375B1 (ko) * 2004-12-13 2006-08-02 서영애 더블탱크방식의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섯재배용배지의 일괄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02A (ko) * 2001-06-18 2001-07-27 이희범 사계절용 이중 수막형 버섯재배사
KR100607375B1 (ko) * 2004-12-13 2006-08-02 서영애 더블탱크방식의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섯재배용배지의 일괄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514B1 (ko) * 2021-06-01 2022-02-25 주영길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145B1 (ko)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US10618732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WO2021184670A1 (zh) 提升系统
KR101424090B1 (ko)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KR101466906B1 (ko) 무인반송대차
CN106479815B (zh) 固态白酒智能化连续发酵系统
KR101221337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102037126B1 (ko)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20210001835A (ko) 스마트팜 작물 자동화 재배 장치
CN110697393A (zh) 一种双排菌筐上架机
JP5981749B2 (ja) 車両整備システム及び車両整備方法
KR20070015742A (ko) 컨베이어 장치
KR101059887B1 (ko) 소둔로의 벙받침용 벙카
CN104477745A (zh) 高层养猪运输机
KR102494892B1 (ko) 이동형 레일리프터
JPH1171098A (ja) 鉄道車両の持ち上げ装置
JP3385378B2 (ja) 高床式運搬車のクローラベルトの張り調節装置
KR102366514B1 (ko)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200461757Y1 (ko) 시설 원예용 레일 리프터
KR100591789B1 (ko) 하물 상차장치
KR20180118900A (ko) 다단식 묘삼 재배함 자동 운송 시스템
KR20080108170A (ko) 다용도 농작업기
JP3121912B2 (ja) 育苗箱棚入れ装置
JP3802256B2 (ja) 苗箱供給装置
KR101887421B1 (ko) 체인 구동형 유기질비료 발효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