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789B1 - 하물 상차장치 - Google Patents

하물 상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789B1
KR100591789B1 KR1020040074115A KR20040074115A KR100591789B1 KR 100591789 B1 KR100591789 B1 KR 100591789B1 KR 1020040074115 A KR1020040074115 A KR 1020040074115A KR 20040074115 A KR20040074115 A KR 20040074115A KR 100591789 B1 KR100591789 B1 KR 100591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rolling
frame
plate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352A (ko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102004007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78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7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크고 무거운 물품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재되는 위치에서의 수평적인 하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최 상단 높이가 적재대의 상단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로 조성 구비되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치부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하는 승강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내재되는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되, 그 최상측의 것으로부터 연쇄적인 상승 이송이 가능하게 적층된 다수 구름판 적층부와; 상기 구름판 적층부를 연쇄적으로 인장, 위치 이동시키는 인장 동력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물의 탑재정렬이 손쉽고 원만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인력에 의한 작업 정도를 줄여 인력수급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신속한 작업의 진행으로 생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차, 승강, 이송, 하물, 하역, 상승, 하강

Description

하물 상차장치{equipment for loa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 선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적용되는 구름판 적층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의 구름판 적층부 작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Ⅰ- Ⅰ선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의 승강장치부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 2의 Ⅰ- Ⅰ선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베이스플레이트 4 : 베이스프레임
6 : 크로스바아 10, 12 : 가이드레일부재
14 : 링크절 부재 16 : 승강플레이트
18 : 제1 구동모터 30 : 제1기어박스
32 : 제1구동축 34 : 와이어린치
38 : 방향절환롤러 20, 22 : 구름판
9 : 탄지부재 R : 구름롤러
Fr, Fr′: 롤러프레임 50 : T홈레일
54 : 링크 52, 21a - 21e′: 롤러
24 : 제2 구동모터 62 : 구동풀리
64 : 피동풀리 66 : 벨트부재
26 : 풀리축부재 62a, 62b : 롤러스프라켓
본 발명은 하물 상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물을 상승/탑재시킬 뿐 아니라, 하강/하역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원하는 위치로하물을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물 상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량물을 차량 등의 운송수단 또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적재대에 탑재하기 위하여는 대개, 지게차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왔으며, 탑재/하역물의 종류에 따라 각기 적합한 상차장치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공개번호 89-736호로 공개된 ‘쓰레기 상차장치’는, 본체에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무한궤도를 구비히고, 이 무한궤도의 등간격 위치에 다수 수거함체를 결착하여 이에 담겨지는 하물의 상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에 공고번호 실1991-0007461호로 공고된 ‘하물 상차장치’는, 이송가능한 기틀의 상측에 회전이송판을 착설하고, 그 하부 일측에는 모우터를 착설한 중량부를 구성하고, 이송콘베이어를 가진 이송대로 하여금 회전지지대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에 공고번호 실1997-0003791호로 공고된 ‘상차대와 크레인 겸용하는 물품 적재장치’는, 기대와 승강장치부를 연결간으로 연결시키고, 승강장치부의 하부에 연결대 및 연결구를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 적재대를 승,하강시키어 상차장치로 사용하거나, 기대의 상부에 권양기를 설치하여 크레인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상차장치들은 크고 무거운 물품을 들어올리는데 적합하지만 적재되는 위치에서의 수평적인 하물의 이동을 위한 별다른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사람이 하물을 일일이 운반하여야 하며, 따라서 임력수급에 대한 비용이 상승될 뿐 아니라, 작업이 매우 느려 생산성이 극히 조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고 무거운 물품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재되는 위치에서의 수평적인 하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하물의 탑재정렬이 손쉽고 원만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함은 물론, 인력에 의한 작업 정도를 줄여 인력수급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신속한 작업의 진행으로 생산성 또한 높일 수 있다는 하물 상차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최 상단 높이가 적재대의 상단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로 조성 구비되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치부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하는 승강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내재되는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되, 다수 층으로 적층되어 그 최상측의 것으로부터 연쇄적인 상승 이송이 이루어지며 위치 고정된 상태하에서 구름작용되는 다수 롤러들을 갖도록 이루어져 구비되는 구름판 적층부와; 상기 구름판 적층부를 연쇄적으로 인장, 위치 이동시키는 인장 동력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긴 판재의 양단을 절곡시켜, 그 상부와 양측부가 개구된 형태의 것으로 형성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교차되게 겹쳐 각 단부들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부에 고정되어지는 한 쌍의 크로스바아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부재 선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직립하여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승강장치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에서 승강되며 구름작용하는 승강롤러가 그 내측단의 단부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물을 탑재할 수 있는 평면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적어도 4개 지점을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의 2개 지점으로부터 평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 도록, 승강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절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승강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와, 이 제1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승강장치부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그 회전축이 교차하는 복수개의 베벨기어를 내장한 제1기어박스와; 상기 제1기어박스의 출력축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 구간이 워엄부로 형성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의 워엄부에 교합되는 워엄휠부와 와이어를 갖는 드럼부를 동축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린치와; 그 단부가 상기 승강장치부의 승강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린치의 와이어를 방향 절환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향절환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구름판 적층부는 인장동력에 의해 적층상태로부터, 동일 평면상에서 길게 연쇄적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지는 다수 구름판과, 적층 상태에서의 최 하층의 구름판 하측을 탄지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탄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 구름판 각각은 공히, 각기 별도의 구름작용이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구름롤러와; 상기 다수 구름롤러들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한 쌍의 롤러프레임과; 이웃하는 상기 롤러프레임들이 동일 평면상에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때 롤러프레임간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후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후킹수단은 구름판의 롤러프레임들 각 측면에 고정되는 연장되는 다 수 쌍의 T홈레일과; 선발 전진되는 구름판의 T홈레일에 구름 가능하게 내재되는 롤러와, 후발 전진되는 구름판의 롤러프레임 전방단부 측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들에 그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지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인장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부재에 결합 형성된 브라켓상에 장착되어지는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지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상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한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부재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동풀리와; 상기한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에 감겨져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벨트부재와; 상기 구동풀리가 동축 장착되어지는 풀리축부재와; 상기한 구름판적층부의 최 상층 롤러들에 교합되도록 상기 풀리축부재에 동축으로 장착되어지는 복수개의 롤러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도 2의 - 선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물 상차장치에 대한 일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2)와, 프레임부(8)와, 상기 프레임부(8)의 일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장치부(14)(16) 및 승강 동력발생수단과, 구름판 적층부(20)(22), 그리고 인장 동력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에 관련된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하부에는 적어도 4개의 캐스터(C)가 장착되어 있어 장치 전체의 위치 이동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8)는 그 최 상단 높이가 적재대(도시생략)의 상단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2) 상부로 조성 구비되어지는데, 이와 같은 프레임부(8)는 베이스프레임(4)과 한 쌍의 크로스바아(6) 및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0)(12)로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은 긴 판재의 양단을 절곡시켜, 그 상부와 양측부가 개구된 형태의 것으로 형성 구비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한 쌍의 크로스바아(6)는 서로 교차되게 겹쳐 각 단부들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의 양측부에 고정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0)(12)는 상기한 베이스프레임(4)의 일측면부재 선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직립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장치부(14)(16)는, 상기 프레임부(8)의 일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승강플레이트(16)와, 한 쌍의 링크절 부재(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0)(12)에서 승강되며 구름작용하는 승강롤러가 그 내측단의 단부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물을 탑재할 수 있는 평면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16)의 적어도 4개 지점을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2개 지점으로부터 평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16)와 베이스플레이트(2)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절 부재(14)는 적어도 4절링크로서, 접히거나 펴지면서 그 상측의 승강플레이트(16)로 하여금 평면 상태로만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10)(12)에서 승강되며 구름작용하는 승강롤러가 그 내측단의 단부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물을 탑재할 수 있는 평면 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어진다.
상기한 승강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18)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승강장치부(14)(16)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그 회전축이 교차하는 복수개의 베벨기어를 내장한 제1기어박스(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기어박스(30)의 출력축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 구간이 워엄부로 형성되는 제1구동축(3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1구동축(32)의 워엄부에 교합되는 워엄휠부와 와이어를 갖는 드럼부를 동축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린치(34)를 더 구비하여 이러한 와이어린치(34) 드럼부의 와이어로 하여금 프레임부(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향절환롤러(38)를 경유하도록 감겨진 후 그 단부를 상기 승강플레이트(16)와 연결시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름판 적층부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8)에 내재되는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되, 다수 층으로 적층되어 그 최상측의 것으로부터 연쇄적인 상승 이송이 이루어지며 위치 고정된 상태하에서 구름 작용되는 다수 롤러(R)들을 갖도록 이루어져 구비되는 것이다.
즉 구름판 적층부는, 다수 구름판(20)(22)과, 적층상태의 최 하층 구름판 하측을 탄지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탄지부재(9)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 구름판(20)(22) 각각은 공히, 다수의 구름롤러(R)와, 한 쌍의 롤러프레임(Fr)과, 각 롤러프레임(Fr)에 구비되는 후킹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구름롤러(R)는 각기 별도의 구름작용이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프레임(Fr)에 그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이웃하는 상기 롤러프레임(Fr)들이 동일 평면상에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때 후킹수단에 의해 롤러프레임(Fr)간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후킹수단은 구름판(20)(22)의 롤러프레임(Fr)(Fr′)들 각 측면에 고정되는 연장되는 다수 쌍의 T홈레일(50)과, 다수의 링크(54)들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다수의 링크(54)들은 선발 전진되는 구름판(20)의 T홈레일(50)에 구름 가능하게 내재되는 롤러(52)와, 후발 전진되는 구름판(22)의 롤러프레임(Fr′) 전방단부 측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21e′)들에 그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인장 동력발생수단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름판 적층부(20)(22)를 연쇄적으로 인장,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구동모터(24)와 구동풀리(62) 및 피동풀리(64) 그리고, 벨트부재(66)와 풀리축부재(26), 복수개의 롤러스프라켓(62a)(62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인장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의 타측면부재에 결합 형성된 브라켓에 제2 구동모터(24)를 장착하고, 이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진 구동풀리(6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4)의 타측면부재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동풀리(64)를 벨트부재(66)로 연결하며, 상기 구동풀리(62)가 동축 장착되어진 풀리축부재(26)에 상기한 구름판적층부(20)의 최 상층 롤러(R)들에 교합될 수 있는 복수개의 롤러스프라켓(62a)(62b)를 동축으로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구동모터(18)로부터의 회전동력으로 승강 장치부(14)(16)가 상승되며, 제2 구동모터(24)로부터의 회전 동력으로 롤러스프라켓(62a)(62b)이 회전하여 최 상층의 구름판(20)을 당겨내어 전진시킨다.
또 선발 전진되는 구름판(20) 롤러프레임(Fr)의 링크(54)가 후발 롤러프레임(22)를 당겨서 구름판(22)들이 연속으로 상승된 후 길게 연장되는 상태로 전진 배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름판(20)(22)들이 배치됨으로써, 승강장치부(16)를 통해 상승된 하물은 일렬로 길게 배치된 다수 롤러(R)들의 구름 작용에 의해 쉽게 적재 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다.
반대로 하물을 적재 위치로부터 롤러(R)들의 구름 작용에 의해 쉽게 승강장치부(16) 상으로 위치 이동시키고, 하강시켜 손쉬운 하역 작업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크고 무거운 물품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재되는 위치에서의 수평적인 하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하물의 탑재정렬이 손쉽고 원만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력에 의한 작업 정도를 줄여 인력수급에 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신속한 작업의 진행으로 생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 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8)

  1. 다수 캐스터를 갖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 최 상단 높이가 적재대의 상단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로 조성 구비되어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치부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하는 승강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내재되는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되, 다수 층으로 적층되어 그 최상측의 것으로부터 연쇄적인 상승 이송이 이루어지며 위치 고정된 상태하에서 구름작용되는 다수 롤러들을 갖도록 이루어져 구비되는 구름판 적층부와;
    상기 구름판 적층부를 연쇄적으로 인장, 위치 이동시키는 인장 동력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물 상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긴 판재의 양단을 절곡시켜, 그 상부와 양측부가 개구된 형태의 것으로 형성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교차되게 겹쳐 각 단부들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부에 고정되어지는 한 쌍의 크로스바아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부재 선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직립하여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상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장치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에서 승강되며 구름작용하는 승강롤러가 그 내측단의 단부에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물을 탑재할 수 있는 평면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적어도 4개 지점을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의 2개 지점으로부터 평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절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상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승강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1 구동모터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승강장치부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그 회전축이 교차하는 복수개의 베벨기어를 내장한 제1기어박스와;
    상기 제1기어박스의 출력축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 구간이 워엄부로 형성되는 제1구동축과;
    상기 제1구동축의 워엄부에 교합되는 워엄휠부와 와이어를 갖는 드럼부를 동축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린치와;
    그 단부가 상기 승강장치부의 승강플레이트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린치의 와 이어를 방향 절환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향절환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상차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름판 적층부는,
    인장동력에 의해 적층상태로부터, 동일 평면상에서 길게 연쇄적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지는 다수 구름판과, 적층 상태에서의 최 하층의 구름판 하측을 탄지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탄지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 구름판 각각은 공히,
    각기 별도의 구름작용이 가능하도록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구름롤러와;
    상기 다수 구름롤러들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지는 한 쌍의 롤러프레임과;
    이웃하는 상기 롤러프레임들이 동일 평면상에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때 롤러프레임간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후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상차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킹수단은,
    상기한 후킹수단은 구름판의 롤러프레임들 각 측면에 고정되는 연장되는 다수 쌍의 T홈레일과;
    선발 전진되는 구름판의 T홈레일에 구름 가능하게 내재되는 롤러와, 후발 전진되는 구름판의 롤러프레임 전방단부 측면에 구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들에 그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지는 다수의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상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장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부재에 결합 형성된 브라켓상에 장착되어지는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지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상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한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부재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동풀리와;
    상기한 구동풀리와 피동풀리에 감겨져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 벨트부재와;
    상기 구동풀리가 동축 장착되어지는 풀리축부재와;
    상기한 구름판적층부의 최 상층 롤러들에 교합되도록 상기 풀리축부재에 동축으로 장착되어지는 복수개의 롤러스프라켓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 상차장치.
KR1020040074115A 2004-09-16 2004-09-16 하물 상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91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15A KR100591789B1 (ko) 2004-09-16 2004-09-16 하물 상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15A KR100591789B1 (ko) 2004-09-16 2004-09-16 하물 상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627U Division KR200376411Y1 (ko) 2004-09-16 2004-09-16 하물 상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52A KR20060025352A (ko) 2006-03-21
KR100591789B1 true KR100591789B1 (ko) 2006-06-26

Family

ID=3713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1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1789B1 (ko) 2004-09-16 2004-09-16 하물 상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8466A (zh) * 2016-02-27 2016-06-15 柳州市够旺贸易有限公司 输送装置
CN107585579B (zh) * 2016-07-07 2019-11-01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堆垛系统
CN109573426A (zh) * 2018-10-31 2019-04-05 广东泰莱机械有限公司 一种储料设备
CN109534019B (zh) * 2018-12-19 2024-07-30 广州市意诺仕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袋装物料装车装置及使用方法
CN110104458A (zh) * 2019-05-09 2019-08-09 杨国金 可用于智能装车的分料机头
CN110467017B (zh) * 2019-09-12 2024-05-24 江苏国鼎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直角行走式卸料装车机
KR102089227B1 (ko) * 2019-12-02 2020-03-13 김재용 합성고무 구매시스템
CN113307054A (zh) * 2021-06-18 2021-08-27 金华华东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双臂装车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52A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051B2 (ja) 昇降機構付き軌道走行台車
KR102043875B1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CN112520285B (zh) 仓储系统
CN111014052A (zh) 多层格口交叉带分拣设备及其分拣方法
JP2018118855A (ja) 昇降装置及び昇降装置を備えた収納装置
KR100591789B1 (ko) 하물 상차장치
JP2009107759A (ja) 移動式リフタ−における荷物段積装置
KR200376411Y1 (ko) 하물 상차장치
CN114132669A (zh) 一种用于接驳托盘的升降机
JPS6319410B2 (ko)
KR100702220B1 (ko) 컨베이어 장치
CN113104608A (zh) 一种高效日用瓷装卸窑机
JP7217139B2 (ja) 荷物の搬送装置
CN117068612A (zh) 一种可移动集装箱式粮食储存装置
JP3942929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3121912B2 (ja) 育苗箱棚入れ装置
JP3903251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自動格納・取出し装置
CN113353580A (zh) 一种能够实现自动翻转的烘烤接驳输送线体
CN217457580U (zh) 用于库房的输送提升装置
JP3386363B2 (ja) 物品移載装置
JPH07157039A (ja) コンベヤ装置
CN217867051U (zh) 一种改进型多功能装卸车机
JP2903912B2 (ja) 入出庫用搬送装置
JP3231434B2 (ja) 物品保管装置
CN215045968U (zh) 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