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554A -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 Google Patents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554A
KR20140052554A KR1020120118734A KR20120118734A KR20140052554A KR 20140052554 A KR20140052554 A KR 20140052554A KR 1020120118734 A KR1020120118734 A KR 1020120118734A KR 20120118734 A KR20120118734 A KR 20120118734A KR 20140052554 A KR20140052554 A KR 2014005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elf
propelled
liftin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김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찬 filed Critical 김병찬
Priority to KR102012011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554A/ko
Publication of KR2014005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1/00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 B60F1/04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Conversions therefor with rail and road wheels on different axles
    • B60F1/043Vehicles comprising own propell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66F7/1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by a single central j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이나 블록 가설 등 산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중량이고 대형인 구조물을 강력한 힘으로 들어올리고 정확한 위치로 이송하여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지면(地面)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11)과, 상기 휠(1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스스로 원하는 위치로 주행 가능한 자주식 대차부(10)와;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베이스(21)와;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20)과; 상기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30)와; 상기 리프트부재(30)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Self-Propelled Lift for Transferring Heavy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을 제작 운반하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가설이나 대형블록의 이동 등 토목,건설 및 조선 등의 산업 현장에서 크고 대형인 중량구조물(heavy structure)을 인상(引上)하고 정확한 위치로 스스로 이송하는 자주식(自走式)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산업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중량 구조물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 크레인의 경우에는 장비의 규모에 비하여 인양 능력이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장 진입성과 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크레인으로는 타워 크레인과 붐대 크레인이 있다. 타워 크레인은 주로 고공 작업에 쓰이고 있는데, 작업중 크레인이 전도되는 등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 반경 또한 제한적이며, 규모에 비하여 작업 능력이 매우 낮아 중량물의 위치 이동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붐대 크레인의 경우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현장으로의 이동성은 좋으나 차량 자체의 크기가 커서 도로 여건의 제약과 현장의 전철주, 전선, 주변 건물 등으로 인하여 현장 여건이 제한되어 작업의 제약이 많다. 또한, 붐대의 각도에 따라 인양(引揚)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중량보다 훨씬 큰 용량의 크레인이 필요하다.
건설 현장의 경우 블록 단위의 조립식 시공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시공 공기의 단축을 위해 대형 건설 공사의 경우 구조물을 블록 단위의 프리케스트로 제작하여 현장으로 옮겨 조립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블록의 크기와 중량은 현장으로의 이동방법과 구조물을 옮기기 위한 크레인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도심지 공사의 경우, 차량 통행을 최소화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좁은 공간에서 최대 작업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비를 적용하여 공사를 해야하는데, 전술한 것과 같이 기존의 타워 크레인이나 붐대 크레인들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57551호(2011.06.01)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05-319789호(1993.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크기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좁은 지역에서 강력한 인상 성능과 이송 능력을 제공하여 현장 이동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작업 중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자주식(自走式)의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자주 및 선회 가능하여 좁은 지역에서 기존의 크레인에 비해 현저히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현장 이동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제어가 필요할 경우에는 레일 주행도 가능한 구조의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주행체를 제외한 리프트 부분을 별도의 크레인 없이 대차에 구비된 크레인을 통해 자체적으로 주행체 위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구조를 갖춘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콤팩트한 크기와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자주 및 선회가능하여 좁은 지역에서 강력한 인상 성능과 이송 능력을 제공하여 현장 이동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작업 중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스로 원하는 대로 주행가능하되 자주식 대차부 윗부분만 선회하거나, 반대로 상기 자주식 대차부 윗부분(즉, 리프팅부)은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하부의 대차부만 자유롭게 선회가능하여 리프트의 자유도(自由度)를 한층 향상시킨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량구조물을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송하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리프트에 있어서, 지면(地面)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과,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스스로 원하는 위치로 주행 가능한 자주식 대차부와; 상기 자주식 대차부의 상부에 선회(slewing)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베이스와; 상기 리프트 베이스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와; 상기 리프트부재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있다.
첫째, 전동리프트가 자주식(自走式)으로서, 전후진 및 좌우 이동을 통해 원하는 임의의 위치로 자주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리프트부재가 승강구동유닛에 의해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중량구조물을 상승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좁은 지역에서 강력한 인상 성능과 이송 능력을 제공하여 현장 이동성 및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작업 중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전동리프트의 휠이 무한궤도 혹은 바퀴로 되면서, 자동차와 같이 엔진부, 발전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향기가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와 같이 속도 제어 및 이동방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 크레인의 주행을 위한 구동 엔진과 발전기가 대차부에 일체로 되어 있어, 별도의 발전기 및 연결선 제어장치가 불필요하며, 이동속도의 증감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선회베어링에 의해 자주식 대차부는 가만히 있고 리프팅부만 선회하거나, 리프팅부는 가만히 있고 자주식 대차부만 선회할 수 있어, 전동리프트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일반 도로에서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레일바퀴를 장착할 경우 레일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동리프트의 주행 범위가 도로에 한정되지 않고 레일 위에까지 확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그만큼 작업 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리프트부재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회전유닛이 구성될 경우, 리프트부재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중량구조물을 이송할 때 중량구조물의 유동에 의한 변위가 바로 전동리프트의 지지빔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빔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리프트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량구조물의 하부면 중 시트블록과 접촉하는 부위에 돌출부 등의 불안정 요소가 있을 경우, 상기 회전유닛을 회전시켜 시트블록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시트블록이 중량구조물의 불안정 요소를 피하여 중량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여섯째, 리프트부재의 시트블록이 수평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 중량구조물의 하부면이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시트블록이 중량구조물의 경사진 면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면서 중량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일곱째, 하나의 대용량 스크류잭으로서 원하는 하중용량을 지지할 수도 있으나, 전동리프트를 구성하는 스크류잭을 하중용량이 작은 스크류잭을 2개 혹은 4개 등 복수 개를 조합하여 각 단위 스크류잭의 하중용량의 합에 의해서 원하는 하중용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대용량 스크류잭을 대체함으로써, 큰 하중용량의 감속기 및 기어부의 제작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 및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극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리미트센서, 높이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감지시스템을 통해 전동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리프트의 오작동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원활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형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요부 측면도로서, 리프팅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평면도로서, 운전석 및 엔진실을 생략하고 나타낸 리프팅부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롤러가 적용된 타이어형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붐대가 적용된 타이어형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무한궤도형의 자주식 대차부를 갖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형의 스페이드 장착형 자주식 대차부를 갖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형의 롤러가 적용된 자주식 대차부를 갖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붐대가 적용된 무한궤도형의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요부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지면(地面)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11)과, 상기 휠(1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스스로 원하는 위치로 주행 가능한 자주식 대차부(10)와,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의 상부에 선회(旋回 :slewing)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베이스(21)와,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20)과, 상기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30)와, 상기 리프트부재(30)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에 구성되는 휠(11)은 2개 1조로 총 4개가 자주식 대차부(10)의 네 모서리 부분 각각에 회전이 자유로움과 동시에 조향이 자유로운 우레탄 또는 타이어 바퀴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2개 1조의 휠(11)은 회전축(1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2조의 휠(11) 중 1조는 상기 휠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한다.
상기에서 '선회'는 위치의 변화없이 방향을 바꾸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와 리프트 베이스(21) 사이에 공지(公知)의 선회베어링(slewing ring bearing )이 설치되어서 상기 선회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선회베어링(SLEWING RING BEARING)은 탱크와 굴삭기 등에 사용되는 공지의 베어링 장치로서, 굴삭기의 붐대는 움직이지 않고 굴삭기 하부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탱크에서는 포탑은 움직이지 않고 하부만 회전하는 기능을 한다. 즉, 선회베어링은 굴삭기나 탱크 등에서 상부 혹은 하부가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 그 반대편이 360°선회가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베어링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의 상부에 리프트 베이스(21)가 선회(旋回 :slewing)가능하게 설치된다는 것은, 상기 자주식 대차부가 제자리에 머문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베이스(21)가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트 베이스(21)는 위치 변화없이 제자리에 머문 상태로 상기 자주식 대차부만 360°선회하면서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휠 구동유닛은 통상의 차량 혹은 중기처럼 구동원인 엔진(engine)과 트랜스미션, 조향장치, 제동장치, 발전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는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상측에 설치되는 운전석과 더불어 상기 휠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엔진(engine)과 트랜스미션, 조향장치, 제동장치, 발전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주행을 위한 구동원인 엔진과 발전기 등이 대차부에 일체로 되어 있어, 별도의 발전기 및 연결선 제어장치가 불필요하고, 휠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엔진 구동시 조향장치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가속 및 감속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빔(20)은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베이스(21)의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빔(20)은 리프트베이스(21)에 완전히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리프트베이스(21)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빔(20)은 고중량의 중량구조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단단한 강재로서, 원형 단면 혹은 H형 단면을 이루거나 I형 단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빔(20)은 수평한 보강프레임(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빔(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프트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2)은 공지의 엘엠가이드(LM Guide)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재(30)는 양단이 상기 지지빔(20)의 가이드레일(22)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블록(31)과,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상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유닛(32)과, 상기 회전유닛(32) 상에 설치되어 중량구조물(C)을 지지하는 시트블록(seat block)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블록(36)은 2개가 1조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유닛(32)의 상부에 서로 일정 거리 대향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시트블록(36)은 회전유닛(32) 상에서 수평한 힌지축(37)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유닛(32)은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중앙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33)과, 상기 고정블록(33)의 상측에 회전베어링(34)을 매개로 결합되어 고정블록(33)에 대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블록(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블록(36)은 상기 회전블록(35)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블록(36)이 리프트블록(3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회전유닛(32) 상에 결합되면, 복수의 전동리프트를 사용하여 교량 등의 대형 중량구조물(C)을 이송하는 도중 어떤 요인에 의해 중량구조물(C)의 위치가 틀어지는 힘을 받더라도 중량구조물(C)에 가해지는 하중이 바로 전동리프트의 지지빔(20)에 전달되지 않고 중량구조물(C)이 회전유닛(32)에 의해 일정 정도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빔(2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고, 전동리프트가 전도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량구조물(C)의 하부면 중 시트블록(36)과 접촉하는 부위에 돌출부 등의 불안정 요소가 있을 경우, 상기 회전유닛(32)을 회전시켜 시트블록(36)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시트블록(36)이 중량구조물(C)의 불안정 요소를 피하여 중량구조물(C)을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상기 시트블록(36)이 회전유닛(32) 상에서 수평한 힌지축(37)을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중량구조물(C)의 하부면이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시트블록(36)이 중량구조물(C)의 경사진 면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면서 중량구조물(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리프트베이스(21)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잭(41)과, 상기 스크류잭(41)을 회전시키는 리프트모터(43)와, 상기 스크류잭(4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4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부재(30)와 결합된 너트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모터(43)와 스크류잭(41) 사이에는 리프트모터(43)의 회전력을 스크류잭(41)에 전달하는 기어박스(44)가 배치된다. 상기 기어박스(44)는 감속 기능과 함께 운행 중 정지 기능을 갖도록 브레이크가 내장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용량 스크류잭(41)이 하나로서 원하는 하중용량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동리프트를 구성하는 스크류잭(41)은 하중용량이 작은 스크류잭을 2개 혹은 4개 등 복수 개를 조합하여 각 단위 스크류잭의 하중용량의 합에 의해서 비로소 원하는 하중용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하중용량이 대용량 스크류잭(41) 하나만을 적용시, 감속기나 기어부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으로, 큰 하중용량의 스크류, 감속기 및 기어부는 제작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고 유지보수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해야만 하는 경우라면 작은 용량의 스크류잭을 여러 개 조합하여 큰 스크류잭 하나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설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리프트부재(30)의 승강 높이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스크류잭(41)을 이용하여 승강구동유닛을 구성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유압젝과 이 유압젝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사용하여 리프트부재(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에 각각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전도를 방지하는 스페이드(60)(Spade)를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드(60)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지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상기 스페이드(60)가 지면에 닿게 되어 상기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동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감지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감지시스템으로는 상기 지지빔(2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리미트센서(51)와, 정지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30)의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높이감지센서(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들(51,5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전동리프트의 임의의 구성부에 CCTV 카메라와 같은 감시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시스템 중 높이감지센서(52)는 중량구조물 가설 위치의 설정 높이에 표시된 정렬용 마크(또는 특별히 설정된 구조물)를 인식하고, 이때의 높이를 리프트부재(30)의 상승 높이로 설정하여 이 높이에서 중량구조물(C)을 가설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동리프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리프트부재(30)의 시트블록(36) 상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을 안착시켜 고정한 상태에서 휠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엔진이 구동하면, 자주식 대차부(10)는 조향장치의 조작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이동하게 된다.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운전하여 중량구조물(C)을 가지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중량구조물(C)이 가설될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승강구동유닛의 리프트모터(43)에 전원이 인가되면 리프트모터(4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리프트모터(43)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41)이 회전하여 너트부(42) 및 이에 결합된 리프트부재(30)가 가이드레일(22)의 안내를 받아 상승하여 중량구조물(C)이 가설될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를 소정 거리 이동시키면서 중량구조물(C)을 가설 위치의 고정 구조물 상에 안착시킨다.
본 발명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단독으로 사용하여 크고 고중량인 중량구조물(C)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가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리프트베이스(21)를 자주식 대차부(10)와 분리한 다음, 자주식 대차부(10)만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롤러가 적용된 타이어형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1]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대차부(10)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레일바퀴(70)가 설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레일바퀴(70)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레일(미도시)에 밀착되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레일바퀴(70)가 설치됨으로 인해, 평지에서는 타이어를 이용하여 운행하더라도 레일 위에서는 레일바퀴(70)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해 진다.
즉, [실시예2]의 스페이드(60)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하여 레일바퀴(70)를 사용하면 평지에서는 타이어를 이용하여 운행하고 레일 위에서는 레일바퀴(7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레일 위에서는 전동리프트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레일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자주식인 대차부(10)에 레일바퀴(70)를 설치한 경우에는, 전술한 리미트센서(51)와 높이감지센서(52) 이외에 전동리프트 운행 중 지반 침하 등에 의한 높이 변화를 감지하여 전동리프트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지반감지센서(미도시),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중량구조물(C)을 이송할 때 각 전동리프트 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전동리프트들의 동기 이동이 이루어지는지를 감시하는 간격측정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들중 어느 하나 이상이 고장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전동리프트의 임의의 구성부에 CCTV 카메라와 같은 감시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센서(51)와 높이감지센서(52) 및, 지반감지센서와 간격측정센서등은 하나의 컨트롤패널(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동리프트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중량구조물(C)을 이송하여 가설하는 경우, 각 전동리프트의 센서들은 하나의 컨트롤패널에 연결되어 각 전동리프트의 상태 정보를 컨트롤패널로 전달하고, 작업자는 하나의 컨트롤패널을 통해 4대의 전동리프트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전동리프트의 제어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반감지센서는 특히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를 동시에 사용하여 중량구조물(C)을 운반하는 도중 지반이 침하되어 갑작스러운 높이 변화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동리프트의 운행을 중단함으로써 중량구조물(C)의 낙하 또는 전동리프트의 구조물의 뒤틀림이나 손상 등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지반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전동리프트의 지지빔(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설 위치의 벽면에 표시된 마크 또는 특정 구조물을 인식하는 레이저 센서나 변위 센서 등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측정센서는 여러 대의 전동리프트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중량구조물(C)을 이송할 때 각각의 전동리프트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동기적으로 이동하는지를 감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전동리프트 중 어느 하나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균형이 무너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실시예3]
도 5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붐대(80)가 적용된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1] 와 [실시예2]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대차부(10) 일측에 붐대(80) 설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일측에, 상기 지지빔(20)과 리프트부재(30) 및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팅부를 별도의 외부 크레인없이 전동리프트 자체적으로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위로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붐대(80)가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82는 상기 붐대(80)를 구성하는 요소인 메인아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붐대(80)를 이용하여 리프팅부를 별도의 크레인 없이 스스로 대차부(10) 위로 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된다.
즉, 리프팅부의 교체 등 필요에 따라, 리프트 베이스(21)에 리프팅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풀어낸 다음, 붐대(80)를 이용하여 리프팅부를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대차부(10)에서 내릴 수 있으며, 내려진 리프팅부를 붐대(80)를 이용하여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대차부 위로 올릴 수도 있다.
[실시예4]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무한궤도형의 자주식 대차부를 갖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대차부(1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를 구성하는 휠(11)이 타이어형이 아닌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에 구성되는 휠(11)은 좌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무한궤도로서, 상기 무한궤도는 휠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에 구성되는 휠(11)이 무한궤도형이므로 상기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타이어형에 비해 주행속도에는 불리할 수 있으나, 전도 등에 대해서는 보다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5]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무한궤도형의 자주식 대차부(10)를 가지되,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에 스페이드(60)가 설치되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를 구성하는 휠(11)이 타이어 형이 아닌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되어, 그 자체로 전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에 지면에 닿아 상기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지지하는 스페이드(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드(60)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지면에 밀착되거나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를 구성하는 휠(11)이 타이어 형이 아닌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되어, 그 자체로 전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상기 스페이드(60)가 지면에 닿게 되어 상기 자주식 전동리프트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전도를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 구조물을 인상하는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작업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6]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무한궤도형의 자주식 대차부(10)를 가지되, 롤러가 적용된 자주식 대차부(10)를 갖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를 구성하는 휠(11)이 전도에 대해 안정적인 무한궤도형이면서,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레일바퀴(7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바퀴(70)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레일에 밀착되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리프트모터(43)와 기어박스(44) 등의 설치방향이 다른 실시예 들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자주식 대차부(10)를 구성하는 휠(11)이 타이어 형이 아닌 무한궤도형으로 설치되어 전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 좌우측에 각각 레일바퀴(70)가 설치됨으로 인해, 평지에서는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운행하더라도 레일 위에서는 레일바퀴(70)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해 진다.
즉,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예5]의 스페이드(60)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하여, 레일바퀴(70)를 사용하면 평지에서는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운행하고 레일 위에서는 레일바퀴(7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레일 위에서는 전동리프트의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7]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붐대(80)가 적용된 무한궤도형의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4] 내지 [실시예6] 중 어느 하나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대차부(10) 일측에 붐대(80)가 설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대차부(10)를 구성하는 휠(11)이 전도에 대해 안정적인 무한궤도형이며, 휠(11)과 더불어 대차부를 구성하는 리프트 베이스(21) 일측에 붐대(8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지지빔(20)과 리프트부재(30) 및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팅부를 별도의 외부 크레인없이 전동리프트 자체적으로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위로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붐대(80)가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붐대(80)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상에 설치되는 리프팅부를 별도의 크레인 없이 스스로 대차부 위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 실시예8 ]
도 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요부 정면도로서, (가)는 높이를 낮추기 전의 상태도이고, (나)는 높이를 낮춘 후의 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4] 내지 [실시예7] 중 어느 자주식 전동리프트에도 적용 가능한 구조로서, 지지빔(20)을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하고 이음부를 설치하여 높이가 낮은 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범용으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빔(20)을 적어도 2개 부분 이상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중간에 이음부를 설치하여 높이가 낮은 현장에서는 이음부를 풀어서 지지빔의 높이를 낮추고 스크류잭도 높은 것을 제거하고 높이가 낮은 스크류잭(41a)을 설치함으로써 현장의 높이에 맞추어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빔(20)이 상부측 빔(20a)과 하부측 빔(20b)으로 구성된 경우, 높이가 낮은 현장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이음부를 풀어서 상부측 빔(20a)을 제거하여 지지빔의 높이를 낮추고 또한 스크류잭(40)을 높이가 낮은 스크류잭(41a)으로 대체함으로써, 낮은 현장에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자주식 전동리프트는, 현장의 높이에 맞추어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 적용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에 대한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통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10 : 자주식 대차부 11 : 휠
12 : 회전축 20 : 지지빔
20a: 상부측 빔 20b: 하부측 빔
21 : 리프트베이스 22 : 가이드레일
30 : 리프트부재 31 : 리프트블록
32 : 회전유닛 33 : 고정블록
34 : 회전베어링 35 : 회전블록
36 : 시트블록 37 : 힌지축
41, 41a : 스크류잭 42 : 너트부
43 : 리프트모터 44 : 기어박스
51 : 리미트센서 52 : 높이감지센서
60 : 스페이드 70 : 레일바퀴
80: 붐대 82 : 메인아암

Claims (11)

  1. 중량구조물을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송하는 중량구조물 이송용 리프트에 있어서,
    지면(地面)을 따라 구르는 복수개의 휠(11)과, 상기 휠(11)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유닛이 설치되며, 스스로 원하는 위치로 주행 가능한 자주식 대차부(10)와;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의 상부에 선회(slewing)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베이스(21)와;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빔(20)과;
    상기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송 대상 중량구조물(C)이 안착되는 리프트부재(30)와;
    상기 리프트부재(30)를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잭(41)과;
    상기 스크류잭(41)을 회전시키는 리프트모터(43)와;
    상기 스크류잭(4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잭(4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부재(30)와 결합된 너트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자주식 대차부(10)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부가 리프트부재(30)에 연결된 유압젝과;
    상기 유압젝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재(30)는,
    양단이 상기 지지빔(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빔(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리프트블록(31)과;
    상기 리프트블록(31)의 상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유닛(32)과;
    상기 회전유닛(32) 상에 설치되어 중량구조물(C)을 지지하는 시트블록(3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블록(36)은 상기 회전유닛(32)의 상부에 수평한 힌지축(37)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2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부재(30)의 상한 위치와 하한 위치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리미트센서(51)와,
    전동리프트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부재(30)의 높이를 감지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높이감지센서(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동리프트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승강구동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에 전도 방지를 위한 스페이드(60)(spade)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식 대차부(10) 전,후방에 레일위에서 전동리프트가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일바퀴(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베이스(21) 일측에는,
    상기 지지빔(20)과 리프트부재(30) 및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팅부를 별도의 외부 크레인없이 리프트 베이스(21) 위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붐대(8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잭(41)은, 하중용량이 작은 복수 개의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 개의 스크류잭의 합에 의해 원하는 하중용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빔(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하고, 분할된 중간에 이음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KR1020120118734A 2012-10-24 2012-10-24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KR20140052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734A KR20140052554A (ko) 2012-10-24 2012-10-24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734A KR20140052554A (ko) 2012-10-24 2012-10-24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54A true KR20140052554A (ko) 2014-05-07

Family

ID=5088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734A KR20140052554A (ko) 2012-10-24 2012-10-24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5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70A (ko) 2017-03-07 2018-09-17 이일섭 구조물 이송장치
KR102054177B1 (ko) * 2018-12-05 2019-12-10 김성구 갠트리 크레인
CN112027957A (zh) * 2020-06-28 2020-12-04 杭州职业技术学院 智能化移动式千斤顶
KR102408771B1 (ko) *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270A (ko) 2017-03-07 2018-09-17 이일섭 구조물 이송장치
KR102054177B1 (ko) * 2018-12-05 2019-12-10 김성구 갠트리 크레인
CN112027957A (zh) * 2020-06-28 2020-12-04 杭州职业技术学院 智能化移动式千斤顶
CN112027957B (zh) * 2020-06-28 2023-09-22 杭州职业技术学院 智能化移动式千斤顶
KR102408771B1 (ko) * 2021-12-06 2022-06-15 양재섭 다기능 고소 작업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7756A (ko)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CN211543559U (zh) 换轮系统
JPS61150933A (ja) 長尺重量物のトラバ−ス方法及びトラバ−ス用台車
CN110655015B (zh) 一种用于地铁隧道维护的无轨自行式平台车
KR20140052554A (ko) 건설토목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자주식 전동리프트
JP2012532259A (ja) 車両の駐車場ビル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201878B1 (ko) 건설용 중량구조물 이송용 전동리프트
KR101232224B1 (ko) 고소작업용 작업차
CN111254974A (zh) 管廊施工中楼板运输安装工法
CN115783998A (zh) 一种单轨吊车起吊装置
JP2012035924A (ja) 軌道走行車両
CN112644435A (zh) 一种隧道监测设备安装台车及其使用方法
CN204435221U (zh) 一种高速铁路桥梁检查车
CN206615135U (zh) 跨越式防撞墙模板施工车
CN110356782B (zh) 一种转向架转运系统
JP2854741B2 (ja) 車体搬送用仮台車
RU46018U1 (ru) Машина для погружения свай или свайных фундаментов под опоры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мс-2) (варианты)
CN215210255U (zh) 一种运输车
JP3725860B2 (ja) ボーリング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ボーリングシステム
JP3438161B2 (ja) 軌陸両用車両
CN113005831A (zh) 一种运输车
CN213735041U (zh) 一种预制构件运输小车
CN218430742U (zh) 一种公铁两用电缆敷线车
CN219058424U (zh) 一种工程机械及其门吊搬运装置
CN219794783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辅助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