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086B1 -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086B1
KR101983086B1 KR1020190024422A KR20190024422A KR101983086B1 KR 101983086 B1 KR101983086 B1 KR 101983086B1 KR 1020190024422 A KR1020190024422 A KR 1020190024422A KR 20190024422 A KR20190024422 A KR 20190024422A KR 101983086 B1 KR101983086 B1 KR 101983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ember
vertical
upper support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남
Original Assignee
박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남 filed Critical 박영남
Priority to KR102019002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3/00Means or arrangements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e.g. folding frames to reduce overall wid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6Sheaf shockers or stookers
    • A01D75/065Sheaf shockers or stookers hand-oper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논이나 밭에서 트랙터를 이용하여 경작할 때 방향 전환시 작물의 뭉개짐을 방지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논/밭에서 작물이 어느 정도 자란 이후부터 열매가 매달리기 전까지의 작물 생육 기간 동안 그 논/밭에 투입하여 농작업(예: 풀 뽑기, 비료 주기)할 때 그 작물에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트랙터의 주행이나 트랙터의 방향 회전시 몸체 부분이 공중에 충분히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가이드 유닛을 기준으로 바퀴(전륜, 후륜)까지 상방향으로 들뜬 상태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방향 전환 과정에서 주변 작물의 뭉개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farm machine which is movable in rotation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논이나 밭에서 트랙터를 이용하여 경작할 때 방향 전환시 작물의 뭉개짐을 방지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논/밭에서 작물이 어느 정도 자란 이후부터 열매가 매달리기 전까지의 작물 생육 기간 동안 그 논/밭에 투입하여 농작업(예: 풀 뽑기, 비료 주기)할 때 그 작물에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트랙터의 주행이나 트랙터의 방향 회전시 몸체 부분이 공중에 충분히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통 논/밭에 투입되는 트랙터는 그 논/밭의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일렬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하고 그 한줄에 대한 작업이 끝나면 방향을 전환한 후 다시 다음열로 이동하여 반대방향으로 일렬로 주행하면서 작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트랙터는 작물을 땅에 심기 전에 토양을 정돈하는 일(예: 고랑 만들기)을 하거나 작물이 다 자란 다음에 그 작물을 베어내는 일을 하게 된다.
그런데, 논/밭의 끝부분에서 트랙터가 방향 전환을 하게 되면 그 트랙터의 몸체나 바퀴에 의해 그 주변 작물이 뭉개지면서 해당 위치의 작물이 모두 쓸모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논/밭에서 작물이 어느 정도 자란 후에 트랙터나 기타 농기계를 논/밭에 투입하게 되면 그 작물이 망가지기 때문에 보통은 작업자가 직접 도구를 활용하여 농작업(예: 제초 작업, 비료 작업)을 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작물이 어느 정도 자란 논/밭에 트랙터를 투입하되 그 트랙터의 바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바닥면으로부터 충분히 공중에 들뜬 상태로 배치하여 주행시키고 방향 회전시에는 바퀴까지 공중에 띄워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물이 상방향으로 길게 자란 논/밭에도 투입되어 농작업(예: 제초 작업, 비료 작업)이 가능한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논/밭에서 작업 중에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주변 작물을 뭉개지 않도록 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물이 상방향으로 길게 자란 비탈진 논/밭에 투입된 상태에서도 농작업이 가능한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는 제 1 전륜(110); 제 1 전륜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 1 전륜과 나란히 병립하는 제 2 전륜(120); 제 1 전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후륜(130); 제 1 후륜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 1 후륜과 나란히 병립하는 제 2 후륜(140); 제 1 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1 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수직바(210); 제 2 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2 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수직바(220); 제 1 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1 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3 수직바(230); 제 2 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2 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4 수직바(240);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복수의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제 1 내지 4 수직바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고정프레임의 장방형 테두리로부터 연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지지다리, 제 2 지지다리, 제 3 지지다리, 제 4 지지다리를 구비하고, 고정프레임을 지지 기반으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상방향 이동에 따라 제 1,2 전륜과 제 1,2 후륜을 공중에 들뜬 상태(이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라 함)로 유지시키고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하방향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4 지지다리를 공중에 들뜬 상태(이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라 함)로 유지시키는 고정가이드 유닛(300); 고정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회전하며 자신의 회전에 따라 제 1 내지 4 수직바를 일체로 수평방향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 유닛(400);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상부와 회전베어링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베어링 유닛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폴딩함에 따라 제 1 내지 4 수직바를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전환하고 회전베어링 유닛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확장함에 따라 제 1 내지 4 수직바를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폴딩 확장 유닛(500); 회전베어링 유닛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복수의 가로프레임 중 일부의 가로프레임(이하, '타겟프레임'이라 함)에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타겟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함에 따라 회전베어링 유닛, 제 1 내지 4 수직바, 폴딩 확장 유닛을 고정프레임의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 제 1 전륜과 제 1 후륜에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제 1 전륜과 제 1 후륜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에서 제 1,2 전륜과 제 1,2 후륜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바퀴구동 부재; 제 1 수직바를 통해 제 1 전륜에 조향동력을 전달하고 제 2 수직바를 통해 제 2 전륜에 조향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제 1,2 전륜의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구동 부재; 회전베어링 유닛, 폴딩 확장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 바퀴구동 부재, 조향구동 부재에 대한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구동 메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폴딩 확장 유닛(500)은, 제 1 수직바의 상부와 제 3 수직바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장방형의 제 1 하부프레임(511); 제 2 수직바의 상부와 제 4 수직바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장방형의 제 2 하부프레임(512);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복수의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고 제 1,2 하부프레임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 1,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베어링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520); 제 1 하부프레임과 제 1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 1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과 확장을 교번함에 따라 상부프레임과 제 1 하부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1 유압실린더(531); 제 2 하부프레임과 제 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 2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과 확장을 교번함에 따라 상부프레임과 제 2 하부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2 유압실린더(53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폴딩 확장 유닛(500)은, 제 1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제 1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히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1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1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브라켓(541); 제 1 하부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제 1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제 1 가이드 브라켓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1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가이드 브라켓과 크로스되는 위치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1 가이드 브라켓과 협동으로 제 1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브라켓(542); 제 2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제 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히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2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2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3 가이드 브라켓(545); 제 2 하부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제 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제 3 가이드 브라켓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2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가이드 브라켓과 크로스되는 위치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3 가이드 브라켓과 협동으로 제 2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4 가이드 브라켓(5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부프레임(520)은,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로프레임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일부의 가로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521);를 구비하고, 회전베어링 유닛(400)은 지지 플레이트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다리(310)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1 상부 지지부재(311); 제 1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1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1 하부 지지부재(312); 제 1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제 1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제 1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313);를 구비하고, 제 2 지지다리(320)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2 상부 지지부재(321); 제 2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2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2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2 하부 지지부재(322); 제 2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제 2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제 2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323);를 구비하고, 제 3 지지다리(330)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3 상부 지지부재(331); 제 3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3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3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3 하부 지지부재(332); 제 3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제 3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제 3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3 고정부재(333);를 구비하고, 제 4 지지다리(340)는,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4 상부 지지부재(341); 제 4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4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4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4 하부 지지부재(342); 제 4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제 4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제 4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4 고정부재(34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퀴(전륜, 후륜) 이외의 구성이 공중에 충분히 들뜬 상태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작물이 상방향으로 길게 자란 논/밭에 투입된 상태에서도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농작업(예: 제초 작업, 비료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 유닛을 기준으로 바퀴(전륜, 후륜)까지 상방향으로 들뜬 상태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방향 전환 과정에서 주변 작물의 뭉개짐을 방지하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제 1 전후륜과 제 2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제 2 전후륜의 동작이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트랙터가 비탈진 능선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정가이드 유닛, 회전베어링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서 고정가이드 유닛, 회전베어링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를 제외한 구성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정면도로서,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하방향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공중에 들뜬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정면도로서,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상방향 이동에 따라 제 1,2 전륜과 제 1,2 후륜이 공중에 들뜬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1]의 평면도로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정한 후 남쪽을 향해 주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가이드 유닛을 기준으로 폴딩 확장 유닛, 제 1 전후륜, 제 2 전후륜이 서쪽으로 수평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제 1 전후륜과 제 2 전후륜이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가이드 유닛이 서쪽으로 수평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고정가이드 유닛을 기준으로 폴딩 확장 유닛, 제 1 전후륜, 제 2 전후륜이 서쪽으로 수평이동하고, 다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로 패턴을 전환한 후 북쪽으로 주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에서 고정가이드 유닛, 회전베어링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정가이드 유닛, 회전베어링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고정가이드 유닛, 회전베어링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를 제외한 구성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로서,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하방향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공중에 들뜬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정면도로서,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상방향 이동에 따라 제 1,2 전륜과 제 1,2 후륜이 공중에 들뜬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는 제 1 전륜(110), 제 2 전륜(120), 제 1 후륜(130), 제 2 후륜(140), 제 1 수직바(210), 제 2 수직바(220), 제 3 수직바(230), 제 4 수직바(240), 고정가이드 유닛(300), 회전베어링 유닛(400), 폴딩 확장 유닛(500),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 바퀴구동 부재(미도시), 조향구동 부재(미도시), 구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륜(110)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 수직바(210)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수직바(21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전륜(110)은 제 1 수직바(210)와 연결된 상태로 제 1 수직바(21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은 예컨대 베벨기어를 통해 제 1 수직바(210)의 회전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환하여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제 1 전륜(110)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전륜(120)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 전륜(110)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 1 전륜(110)과 나란히 병립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전륜(120)은 제 2 수직바(220)에 연결된 상태로 제 2 수직바(22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전륜(120)은 제 2 수직바(220)와 연결된 상태로 제 2 수직바(22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은 예컨대 베벨기어를 통해 제 2 수직바(220)의 회전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환하여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제 2 전륜(120)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후륜(130)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 전륜(1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 3 수직바(230)에 연결된 상태로 제 3 수직바(23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후륜(130)은 제 3 수직바(230)와 연결된 상태로 제 3 수직바(23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은 예컨대 베벨기어를 통해 제 3 수직바(230)의 회전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환하여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제 1 후륜(130)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후륜(140)은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 후륜(130)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 1 후륜(130)과 나란히 병립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후륜(140)은 제 4 수직바(240)에 연결된 상태로 제 4 수직바(24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제 2 후륜(140)은 제 4 수직바(240)와 연결된 상태로 제 4 수직바(240)를 통해 바퀴구동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중앙부에 회전축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은 예컨대 베벨기어를 통해 제 4 수직바(240)의 회전동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환하여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제 2 후륜(140)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수직바(21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 전륜(110)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연장 형성되며 제 1 전륜(110)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수직바(22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2 전륜(120)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2 전륜(120)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수직바(23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1 후륜(130)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1 후륜(130)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4 수직바(24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 2 후륜(140)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 2 후륜(140)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수직바(210,220,230,240)에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바퀴구동 부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되고 제 1 내지 제 4 수직바(210,220,230,240)에 전달되는 조향동력은 조향구동 부재(미도시)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퀴구동 부재는 제 1 전륜(110)과 제 1 후륜(130)에 체인 스프라켓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바퀴구동 부재가 체인 스프라켓을 구동시키면 제 1 전륜(110)과 제 1 후륜(130)에 회전동력을 전달되어 제 1 전륜(110)과 제 1 후륜(130)을 회전시킴에 따라 폴딩 확장 유닛(50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의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이 [도 4]에서와 같이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향구동 부재는 체인 스프라켓과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에 조향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조향구동 부재가 그 별도의 연결수단을 구동시키면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에 조향동력이 전달되어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폴딩 확장 유닛(50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의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이 [도 4]에서와 같이 조작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가이드 유닛(30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350), 제 1 지지다리(310), 제 2 지지다리(320), 제 3 지지다리(330), 제 4 지지다리(34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고정프레임(35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가로프레임(351,352,353,354)과 복수의 세로프레임(356,357)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며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고정프레임(350)의 장방형 테두리로부터 연직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35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폴딩 확장 유닛(5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폴딩 확장 유닛(500)은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상부에 배치되며, 고정프레임(350)은 회전베어링 유닛(400)을 통해 폴딩 확장 유닛(500)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폴딩 확장 유닛(500)의 동작에 따른 고정가이드 유닛(300)과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상대적인 상하방향 위치 관계에 따라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와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는 고정프레임(350)을 지지 기반으로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연직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폴딩 확장 유닛(500)의 상하방향 폴딩 동작으로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연직 상방향 이동에 따라 제 1,2 전륜(110,120)과 제 1,2 후륜(130,140)가 공중에 들뜬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는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폴딩 확장 유닛(500)의 상하방향 확장 동작으로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연직 하방향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가 공중에 들뜬 상태를 나타낸다.
회전베어링 유닛(400)은 고정프레임(350)에 거치된 상태로 고정프레임(35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자신의 회전에 따라 자신의 하부에 연결되는 폴딩 확장 유닛(5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베어링 유닛(400)의 회전으로 폴딩 확장 유닛(50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 폴딩 확장 유닛(50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의 제 1 내지 4 수직바(210, 220,230,240)도 폴딩 확장 유닛(500)과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폴딩 확장 유닛(500)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의 상부와 회전베어링 유닛(400)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베어링 유닛(400)의 하부에 매달린 상태에서 회전베어링 유닛(40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폴딩함에 따라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를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폴딩 확장 유닛(500)은 회전베어링 유닛(40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확장함에 따라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를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폴딩 확장 유닛(500)은 제 1 하부프레임(511), 제 2 하부프레임(512), 상부프레임(520), 제 1 유압실린더(531), 제 2 유압실린더(532), 제 1 가이드 브라켓(541), 제 2 가이드 브라켓(542), 제 1 슬라이드 가이드 브라켓(543), 제 3 가이드 브라켓(545), 제 4 가이드 브라켓(546), 제 2 슬라이드 가이드 브라켓(547)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하부프레임(511)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며 제 1 수직바(210)의 상부와 제 3 수직바(230)의 상부를 상호 연결한다.
제 2 하부프레임(512)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며 제 2 수직바(220)의 상부와 제 4 수직바(240)의 상부를 상호 연결한다.
상부프레임(520)은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복수의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고 제 1,2 하부프레임(511,512)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 1,2 하부프레임(511,512)의 연직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회전베어링 유닛(400)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520)은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로프레임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일부의 가로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5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베어링 유닛(400)은 지지 플레이트(521)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521)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 1 유압실린더(531)는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제 1 하부프레임(511)과 제 1 하부프레임(511)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5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 1 하부프레임(511)과 상부프레임(520)을 상호 연결하고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과 확장을 교번함에 따라 상부프레임(520)과 제 1 하부프레임(511)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한다.
그리고, 제 1 유압실린더(531)의 확장과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제 1 전후륜(110,13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이루어진다.
제 2 유압실린더(532)는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제 2 하부프레임(512)과 제 2 하부프레임(512)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5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 2 하부프레임(512)과 상부프레임(520)을 상호 연결하고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과 확장을 교번함에 따라 상부프레임(520)과 제 2 하부프레임(512)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한다.
그리고, 제 2 유압실린더(532)의 확장과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제 2 전후륜(120,14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 메인제어부(미도시)는 제 1 유압실린더(531)와 제 2 유압실린더(532)의 동작을 제어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유압실린더(531)와 제 2 유압실린더(532)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이 상이한 높이차를 구현함에 따라 트랙터는 비탈진 논/밭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 가이드 브라켓(541)은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제 1 하부프레임(511)의 전단부로부터 제 1 하부프레임(511)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520)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히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1 하부프레임(511)과 상부프레임(5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유압실린더(531)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1 하부프레임(511)과 상부프레임(520)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제 2 가이드 브라켓(542)은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제 1 하부프레임(511)의 후단부로부터 제 1 하부프레임(511)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520)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제 1 가이드 브라켓(541)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1 하부프레임(511)과 상부프레임(5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가이드 브라켓(541)과 크로스되는 위치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유압실린더(531)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1 가이드 브라켓(541)과 협동으로 제 1 하부프레임(511)과 상부프레임(520)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제 3 가이드 브라켓(545)은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제 2 하부프레임(512)의 전단부로부터 제 2 하부프레임(512)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520)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히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2 하부프레임(512)과 상부프레임(5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유압실린더(532)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2 하부프레임(512)과 상부프레임(520)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제 4 가이드 브라켓(546)은 [도 1], [도 3], [도 4]에서와 같이 제 2 하부프레임(512)의 후단부로부터 제 2 하부프레임(512)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520)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제 3 가이드 브라켓(545)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제 2 하부프레임(512)과 상부프레임(5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가이드 브라켓(545)과 크로스되는 위치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 유압실린더(532)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제 3 가이드 브라켓(545)과 협동으로 제 2 하부프레임(512)과 상부프레임(520)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다른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회전베어링 유닛(40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고정프레임(350)을 이루는 복수의 가로프레임(351,352,353,354) 중 일부의 가로프레임(타겟프레임; 352,353)에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은 타겟프레임(352,3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함에 따라 회전베어링 유닛(400), 제 1 내지 4 수직바(210,220,230,240), 폴딩 확장 유닛(500)을 고정프레임(350)의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퀴구동 부재(미도시)는 예컨대, 제 1 수직바(210)와 제 3 수직바(230)를 경유하는 체인 스프라켓을 통해 제 1 전륜(110)과 제 1 후륜(130)과 연결된 상태로 그 체인 스프라켓을 통해 제 1 전륜(110)과 제 1 후륜(130)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바퀴구동 부재가 제 1 전륜(110)과 제 1 후륜(130)을 회전시킴에 따라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에서 제 1,2 전륜(110,120)과 제 1,2 후륜(130,14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향구동 부재(미도시)는 예컨대, 제 1 수직바(210)와 제 2 수직바(220)를 경유하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에 연결된 상태로 그 연결수단을 통해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에 조향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조향구동 부재가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에 조향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에서 제 1 전륜(110)과 제 2 전륜(120)의 방향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구동 메인제어부(미도시)는 회전베어링 유닛(400), 폴딩 확장 유닛(500),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 바퀴구동 부재, 조향구동 부재에 대한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평면도로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정한 후 남쪽을 향해 주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가이드 유닛을 기준으로 폴딩 확장 유닛, 제 1 전후륜, 제 2 전후륜이 서쪽으로 수평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제 1 전후륜과 제 2 전후륜이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가이드 유닛이 서쪽으로 수평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고정가이드 유닛을 기준으로 폴딩 확장 유닛, 제 1 전후륜, 제 2 전후륜이 서쪽으로 수평이동하고, 다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로 패턴을 전환한 후 북쪽으로 주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 메인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정한 후 [도 7]의 남쪽으로 주행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트랙터의 몸체는 상방향으로 충분히 들뜬 상태이고 고정가이드 유닛(300)도 공중에 들뜬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를 제외한 트랙터의 나머지 구성은 논/밭의 지면에서 상방향으로 어느 정도 자란 작물의 상부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트랙터가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논/밭을 주행할 때 바람직하게는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은 각각 작물과 작물 사이에 대응하는 고랑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트랙터가 [도 7]의 남쪽으로 주행을 계속하여 남쪽 끝에 다다른 경우 구동 메인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회전베어링 유닛(400)의 180도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면 [도 7]에서와 같이 폴딩 확장 유닛(500)의 전방에 장착된 상태로 남쪽을 향하고 있던 작업부재(W)는 [도 8]에서와 같이 북쪽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트랙터가 [도 7]의 주행 노선에 인접하는 노선으로 이동하여 [도 11]과 같이 북쪽으로 주행하기 위해서는 그 인접하는 노선으로 작업부재(W)가 이동하여야 한다.
이때, [도 8]의 상태는 [도 6]과 같이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서 [도 8]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이 자신의 하부에 회전베어링 유닛(400)을 매단 상태로 고정프레임(350)의 타겟프레임(352,353) 길이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9]의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9]의 상태에서 구동 메인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도 5]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고정가이드 유닛()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 구동 메인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다시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패턴을 전환한 후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이 자신의 하부에 회전베어링 유닛(400)을 매단 상태로 타겟프레임(352,3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도 1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7]의 상태에서 [도 11]의 상태로 위치가 변경되면 작업부재(W)는 [도 7]의 작업 라인에서 우측에 바로 인접하는 [도 11]의 작업 라인으로 이동한 것이 된다.
한편, [도 7]에서 작업부재(W)가 논/밭의 남쪽 끝 부분에 도달한 후 상부프레임(520)의 전후방 폭만큼 후진한 후 앞서 살펴 본 과정에 따라 [도 11]의 패턴으로 본 발명의 트랙터를 배치한 후 [도 11]의 남쪽으로 상부프레임(520)의 전후방 폭만큼 후진하면 [도 11]의 상태에서 논/밭의 남쪽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에서 고정가이드 유닛, 회전베어링 유닛,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가 길면 길수록 제 1 전후륜(110,130,)과 제 2 전후륜(120,14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는 더 높아지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논/밭에서 자라고 있는 작물의 키높이에 대응하여 제 1 내지 4 지지다리(310,320,330,34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지지다리(310)는 고정프레임(350)에 고정 연결되는 제 1 상부 지지부재(311)와, 제 1 상부 지지부재(311)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1 상부 지지부재(3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1 상부 지지부재(311)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1 하부 지지부재(312)와, 제 1 상부 지지부재(311)에 거치된 상태로 제 1 상부 지지부재(311)에 끼움 결합된 제 1 하부 지지부재(312)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31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다리(320)는 고정프레임(350)에 고정 연결되는 제 2 상부 지지부재(321)와, 제 2 상부 지지부재(321)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2 상부 지지부재(3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2 상부 지지부재(321)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2 하부 지지부재(322)와, 제 2 상부 지지부재(321)에 거치된 상태로 제 2 상부 지지부재(321)에 끼움 결합된 제 2 하부 지지부재(322)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3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3 지지다리(330)는 고정프레임(350)에 고정 연결되는 제 3 상부 지지부재(331)와, 제 3 상부 지지부재(331)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3 상부 지지부재(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3 상부 지지부재(331)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3 하부 지지부재(332)와, 제 3 상부 지지부재(331)에 거치된 상태로 제 3 상부 지지부재(331)에 끼움 결합된 제 3 하부 지지부재(332)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3 고정부재(3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4 지지다리(340)는 고정프레임(350)에 고정 연결되는 제 4 상부 지지부재(341)와, 제 4 상부 지지부재(341)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 4 상부 지지부재(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 4 상부 지지부재(341)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4 하부 지지부재(342)와, 제 4 상부 지지부재(341)에 거치된 상태로 제 4 상부 지지부재(341)에 끼움 결합된 제 4 하부 지지부재(342)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4 고정부재(343)를 구비할 수 있다.
110 : 제 1 전륜
120 : 제 2 전륜
130 : 제 1 후륜
140 : 제 2 후륜
210 : 제 1 수직바
220 : 제 2 수직바
230 : 제 3 수직바
240 : 제 4 수직바
300 : 고정가이드 유닛
310 : 제 1 지지다리
311 : 제 1 상부 지지부재
312 : 제 1 하부 지지부재
313 : 제 1 고정부재
320 : 제 2 지지다리
321 : 제 2 상부 지지부재
322 : 제 2 하부 지지부재
323 : 제 2 고정부재
330 : 제 3 지지다리
331 : 제 3 상부 지지부재
332 : 제 3 하부 지지부재
333 : 제 3 고정부재
340 : 제 4 지지다리
341 : 제 4 상부 지지부재
342 : 제 4 하부 지지부재
343 : 제 4 고정부재
350 : 고정프레임
351,352,353,354 : 가로프레임
356,357 : 세로프레임
400 : 회전베어링 유닛
500 : 폴딩 확장 유닛
511 : 제 1 하부프레임
512 : 제 2 하부프레임
520 : 상부프레임
521 : 지지 플레이트
531 : 제 1 유압실린더
532 : 제 2 유압실린더
541 : 제 1 가이드 브라켓
542 : 제 2 가이드 브라켓
543 : 제 1 슬라이드 가이드 브라켓
545 : 제 3 가이드 브라켓
546 : 제 4 가이드 브라켓
547 : 제 2 슬라이드 가이드 브라켓
600 :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
W : 작업부재

Claims (5)

  1. 제 1 전륜(110);
    상기 제 1 전륜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전륜과 나란히 병립하는 제 2 전륜(120);
    상기 제 1 전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1 후륜(130);
    상기 제 1 후륜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후륜과 나란히 병립하는 제 2 후륜(140);
    상기 제 1 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1 수직바(210);
    상기 제 2 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2 수직바(220);
    상기 제 1 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3 수직바(230);
    상기 제 2 후륜으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 후륜에 회전동력과 조향동력을 전달하는 제 4 수직바(240);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복수의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며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바깥쪽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장방형 테두리로부터 연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지지다리, 제 2 지지다리, 제 3 지지다리, 제 4 지지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지 기반으로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상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2 전륜과 상기 제 1,2 후륜을 공중에 들뜬 상태(이하,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라 함)로 유지시키고 상기 제 1 내지 4 지지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연직 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4 지지다리를 공중에 들뜬 상태(이하,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라 함)로 유지시키는 고정가이드 유닛(300);
    상기 고정프레임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회전하며 자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를 일체로 수평방향 회전시키는 회전베어링 유닛(400);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의 상부와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폴딩함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를 연직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가능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확장함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를 연직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폴딩 확장 유닛(500);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가로프레임 중 일부의 가로프레임(이하, '타겟프레임'이라 함)에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거치되며 상기 타겟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함에 따라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 상기 제 1 내지 4 수직바, 상기 폴딩 확장 유닛을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600);
    상기 제 1 전륜과 상기 제 1 후륜에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 1 전륜과 상기 제 1 후륜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전후진 이동 가능 상태에서 상기 제 1,2 전륜과 상기 제 1,2 후륜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바퀴구동 부재;
    상기 제 1 수직바를 통해 상기 제 1 전륜에 조향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 2 수직바를 통해 상기 제 2 전륜에 조향동력을 전달함에 따라 상기 제 1,2 전륜의 방향을 조정하는 조향구동 부재;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 상기 폴딩 확장 유닛,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유닛, 상기 바퀴구동 부재, 상기 조향구동 부재에 대한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구동 메인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확장 유닛(500)은,
    상기 제 1 수직바의 상부와 상기 제 3 수직바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장방형의 제 1 하부프레임(511);
    상기 제 2 수직바의 상부와 상기 제 4 수직바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장방형의 제 2 하부프레임(512);
    복수의 가로프레임과 복수의 세로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장방형을 이루고 상기 제 1,2 하부프레임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 1,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520);
    상기 제 1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 1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과 확장을 교번함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 1 하부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1 유압실린더(531);
    상기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 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고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폴딩과 확장을 교번함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제 2 하부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제 2 유압실린더(53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딩 확장 유닛(500)은,
    상기 제 1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제 1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히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상기 제 1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상기 제 1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 브라켓(541);
    상기 제 1 하부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제 1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1 가이드 브라켓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상기 제 1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이드 브라켓과 크로스되는 위치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브라켓과 협동으로 상기 제 1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 브라켓(542);
    상기 제 2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제 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히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상기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상기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3 가이드 브라켓(545);
    상기 제 2 하부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제 2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3 가이드 브라켓과 대칭되도록 배치되되 자신의 각 단부는 상기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가이드 브라켓과 크로스되는 위치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상기 제 3 가이드 브라켓과 협동으로 상기 제 2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간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4 가이드 브라켓(546);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520)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로프레임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일부의 가로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521);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베어링 유닛(40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다리(310)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1 상부 지지부재(311);
    상기 제 1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 1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1 하부 지지부재(312);
    상기 제 1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상기 제 1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1 고정부재(313);
    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지지다리(320)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2 상부 지지부재(321);
    상기 제 2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 2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2 하부 지지부재(322);
    상기 제 2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제 2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상기 제 2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2 고정부재(323);
    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지지다리(330)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3 상부 지지부재(331);
    상기 제 3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 3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3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3 하부 지지부재(332);
    상기 제 3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제 3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상기 제 3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3 고정부재(333);
    를 구비하고,
    상기 제 4 지지다리(340)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연결되는 제 4 상부 지지부재(341);
    상기 제 4 상부 지지부재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 4 상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4 상부 지지부재와 함께 이루는 전체 길이를 조정하는 제 4 하부 지지부재(342);
    상기 제 4 상부 지지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제 4 상부 지지부재에 끼움 결합된 상기 제 4 하부 지지부재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 4 고정부재(34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KR1020190024422A 2019-02-28 2019-02-28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KR101983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22A KR101983086B1 (ko) 2019-02-28 2019-02-28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22A KR101983086B1 (ko) 2019-02-28 2019-02-28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086B1 true KR101983086B1 (ko) 2019-05-29

Family

ID=6667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22A KR101983086B1 (ko) 2019-02-28 2019-02-28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06A (ko) * 2019-11-27 2021-06-04 김범술 제초기
KR102412211B1 (ko) * 2020-12-31 2022-06-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식 호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780A (ja) * 1993-03-04 1994-09-13 Takeshi Yanagisawa 歩行ロボット
JPH11266609A (ja) * 1998-03-20 1999-10-05 Nichiha Bussan Kk 果樹栽培用作業台
JP2000264217A (ja) * 1999-03-18 2000-09-26 Chikusui Canycom Inc 動力運搬車及び動力運搬車用補助装置
KR101762570B1 (ko) *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780A (ja) * 1993-03-04 1994-09-13 Takeshi Yanagisawa 歩行ロボット
JPH11266609A (ja) * 1998-03-20 1999-10-05 Nichiha Bussan Kk 果樹栽培用作業台
JP2000264217A (ja) * 1999-03-18 2000-09-26 Chikusui Canycom Inc 動力運搬車及び動力運搬車用補助装置
KR101762570B1 (ko) *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06A (ko) * 2019-11-27 2021-06-04 김범술 제초기
KR102444231B1 (ko) * 2019-11-27 2022-09-19 김범술 제초기
KR102412211B1 (ko) * 2020-12-31 2022-06-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식 호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9730A1 (en) Multi-configurable tractor
KR101983086B1 (ko) 회전 및 수평 이동 가능형 농기계 장치
US3128833A (en) Planting and cultivating device
EP2482627B1 (en) Cultivator with two rows of discs in direction of travel
KR101578654B1 (ko) 로터리
KR101836302B1 (ko) 농업용 전동 작업차
KR102276962B1 (ko) 고구마 수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고구마를 수확하는 방법
JP3981122B2 (ja) 均平作業機
CN110012701B (zh) 小麦对行免耕播种机智能对行装置
EP0337533B1 (en) A power-driven soil cultivating machine
CN104322170B (zh) 具有改进的调节作业深度的调节装置的土壤作业机械
JP2013172715A (ja) 中央制御で調節されるレベリング・ボードを備えた作業機械
CN208638899U (zh) 大棚耕地机
JP3743806B2 (ja) 均平な圃場を形成する作業機
KR20200110592A (ko) 비료살포기와 배토기 및 로터베이터가 결합된 3공정 농작업기
NL9101361A (nl) Grondbewerkingsmachine.
NL2028991B1 (en) Hoeing machine
RU2110903C1 (ru) Сеялк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для посев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грядовой поверхности поля
JP2002034306A (ja) 水田除草機の水平・昇降制御装置
RU213907U1 (ru) Навесной плоскорезный рыхлитель
EP3729932B1 (en) Agricultural implement
CN114982404B (zh) 一种玉米小区播深控制装置
RU2292697C2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с изменяемой шириной захвата
JP5862239B2 (ja) 雪下野菜収穫方法及び収穫装置
JP2009159919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