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59B1 -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59B1
KR102088959B1 KR1020190143864A KR20190143864A KR102088959B1 KR 102088959 B1 KR102088959 B1 KR 102088959B1 KR 1020190143864 A KR1020190143864 A KR 1020190143864A KR 20190143864 A KR20190143864 A KR 20190143864A KR 102088959 B1 KR102088959 B1 KR 10208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transfer plate
plate
whe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시에이치제이산업
Priority to KR102019014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가 높이의 영역에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LIFT FOR MOUNTING OF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의 T-BLOCK은,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러한 T-BLOCK CELL GUIDE 설치는 상하부 있어서 하부작업 리프트로 상하를 맞추고 체인으로 전, 후, 좌 및 우를 맞추면서 작업을 한다.
그러나 위의 하부작업과 전, 후, 좌 및 우를 맞추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함에 따라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품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 하, 좌, 우, 전 및 후 방향을 한번에 맞추도록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리프트는, 고가의 높이에 위치한 설치 영역에 소정의 구조물을 설치하려는 경우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리프트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높이 조절되어 구조물을 인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리프트는 일예로서,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4694호에는, 자동차 정비점검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아암(30)의 끝단부 중간에 절취홈(31)을 형성하고, 그 절취홈(31)의 전, 후방에 한쌍의 각도조절바(50a)(50b), (50c)(50d)의 하단을 축핀(51a)(51b)으로 각각 굴대설치하여 각도변위되게 하며, 전방측에 설치된 한쌍의 각도조절바(50a)(50b)사이에 굴대설치되게 측핀(51a)에 체인기어(52)를 일체로 고정설치하고, 그 체인기어(52)의 상부에 위치되게 래칫(53)의 상단을 굴대설치하되 손잡이축봉(54)과 일체로 형성하여 회동되게 하며, 래칫(53)의 상단을 연장한 연결편(55)과 후방측에 설치된 한쌍의 각도조절바(50c)(50d)사이에 고정된 고정핀(56)사이를 탄력부재(57)로 연결하여 외부충격에 의하여 래칫(53)과 에친기어(5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저면이 개방되게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절취홈(59a)(59b)이 형성된 수평유지판(58)에 전, 후방측 한쌍의 각도조절바(50a)(50b), (50c)(50d)을 축핀(60a)(60b)으로 각각 굴대설치하여 각도변위에 따라 수평으로 높이조절되게 하는, 자동차용 리프트의 높이 조절식 차체 받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750호에는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적재 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 적재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로서 산업현장에서 컨베이어 라인이나 가공라인 등.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앉은 위치나 서서 작업할 경우, 상부 적재높이를 설정할 수 있고, 부품박스에 쌓이는 하중을 설정하여 상부적재 높이에서 레일을 타고 하부로 이동하는 간격을 일정하게 하므로써 작업자가 작업환경조건에 따라 몸의 움직임의 반경을 줄여 작업자 피로를 들어주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리프트를 제공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6250호에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작업대 위에서 부품 조립 시 작업대가 있는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올려주는 기능을 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대의 높이까지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의 승강 시, 모터와 볼스크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동 방식과 포스트의 전후 및 좌우 4개소를 지지점으로 하는 승강 가이드 방식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리프트 승강 작동 시 전체적인 균형의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등 작동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사이즈가 작고 구조 및 조작이 간단하여 취급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는 등 소형의 작업장에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리프트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 하 높이 조절만 가능할 뿐, 전, 후, 좌 및 우 방향으로의 조절은 불가능하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762570호에는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및 하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리프트부와, 상기 리프트부의 상부에 안착 구비되어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상부에 탑승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 외측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작업자 또는 적재물이 승강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전바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하부에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한 쌍씩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바퀴 및 제1피동바퀴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바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이격된 하부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 모서리에 각각의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부는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며, 각각은 LM가이드에 의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 중앙에 하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가 베이스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지지판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전방 양측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후방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피동바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 제2바퀴 사이에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기어와 이격되어 기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기어케이스와, 상기 제2바퀴와 각각 마주하는 기어와 각각 연결되어 회전력을 각각 전달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한 쌍이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은 한 쌍의 기어에 각각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승강판 및 안전바에 연결 고정되며,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승강실린더 및 리프트부를 컨트롤하도록 구비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은, 전후좌우 그리고 높이 조절에 대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부분에서 유사점이 있지만, 컨테이너선의 T-BLOCK CELL GUIDE를 설치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구성이 반영되어 설계된 것이 아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4694호(1995.06.1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2750호(2011.08.18.) 등록특허공보 제10-1926250호(2019.02.26.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62570호(2017.07.2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가 높이의 영역에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형성되되, 그의 내측에 유압으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되는 샤프트(20a)가 구성되고, 그의 상면에 상기 샤프트(20a)를 가이드하는 보강판(21)이 구성된 기둥(20);
상기 샤프트(20a)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1 이송판(30); 및
상기 제1 이송판(3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2 이송판(40);을 포함하되,
- 상기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 복수 개의 휠박스(22)가 구비되고, 상기 휠박스(22)에서부터 기둥(20)의 일측까지 브라켓(23)이 구성되며,
- 상기 제1 이송판(30)과 제2 이송판(40)은 상호 수직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휠박스(22)가 구비된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휠박스(22)는 내부가 중공인 상태로, 상기 베이스(10)의 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휠박스(22)의 내부가 베이스(10)의 하면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휠박스(22)의 내측으로 휠(224)이 구성되되,
상기 휠(224)은, 리프트의 상측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발생되면 휠박스(22)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리프트의 상방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리프트 하측의 휠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리프트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리프트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휠박스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가 높이의 영역에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은 물론, 전, 후, 좌 및 우 방향의 조절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를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 각각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첨부된 도면의 도 1의 기둥(20) 하측에 도시된 유압제어용 패널은 도 2에서 생략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구동을 위한 유압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는, 주요하게 베이스(10); 기둥(20); 제1 이송판(30); 및 제2 이송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가장 기본이 되는 판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베이스(10)의 상측으로 내부가 중공인 기둥(20)이 형성되고, 이러한 기둥(20)은 유압 실린더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압 실린더는 이미 다양한 기술을 통해 공지 공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다만, 도 1과 같이 기둥(20)의 일측으로 유압 제어용 패널이 구성되어 외부의 유압을 공급받고 리프트의 구동을 위한 유압이 유입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패널은 기둥(20)의 유압 작용과, 후술되는 제1 및 제2 이송판의 이송을 위한 유압 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이송판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유압 작용을 위한 유압 구성이 결여되어 설명되더라도, 출원시점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유압 작용을 위한 구성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둥(20)의 내부에는 기둥(20)으로부터 유압 작용으로 인출되어 상, 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는 샤프트(20a)가 포함되고, 상기 기둥(20)의 상면에는 보강판(21)이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20a)가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각 모서리 영역으로는 4개의 휠박스(22)가 구비되는데, 상기 휠박스(22)가 구비된 베이스(10)의 일측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휠박스(22)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10)의 관통된 홀과 휠박스(22) 내부에는 휠(224)이 위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휠박스(22)에서부터 기둥(20) 일측까지는 브라켓(23)이 구성되어 기둥(20) 상측으로 하중이 강하게 작용하여도 기둥이 버틸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샤프트(20a)의 상측으로 제1 이송판(30)이 결합되는데, 도 2의 좌-우 방향을 너비로 지칭하고, 도 3의 좌-우 방향을 폭으로 지칭하였을 때, 상기 샤프트(20a)는 상측단부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凸'의 2단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샤프트(20a)의 상측단부에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제1 이송판(30)의 레일(31)이 결합되어 안착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실린더를 포함하여, 레일(31)이 샤프트(20a)의 상측단부 상에서 샤프트(20a)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이송판(30)의 최대 이송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스토퍼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이송판(40)은, 제1 이송판(30)의 수직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2를 참조하면 제2 이송판(40)은 ㅜ자레일(41)을 포함하여 제1 이송판(3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이송판(30)의 상면에는 'ㅜ'자 형상으로 오목한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ㅜ자레일(41)은 레일홈에 삽입되어 레일홈을 따라 구동됨에 따라 제2 이송판(40)이 제1 이송판(30)으로부터 수직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ㅜ자레일(41)은 제2 이송판(4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제1 이송판(30)에 대하여 수직된 방향을 가지는 단속판(41a)이 ㅜ자레일(41)의 양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판(40)은 대칭되는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된 2개의 벌림판(42)이 제1 이송판(30)의 상측으로 안착되며, 상기 벌림판(42) 각각은 상기 단속판(41a)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벌림판(42)의 하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홈은 단속판(41a)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벌림판(42)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지면서 제1 이송판 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2개의 벌림판(42)의 상측으로는 하강판(43)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강판(43)은 2개의 벌림판(42)과 조합되어 최종적으로 사각 등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2개의 벌림판(42)은 맞닿지 않는 정도의 간격을 가지며, 이로 인해 하강판(43)의 하측은 도 2의 ㅜ자레일(41)의 상면과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하강판(43)이 하강에 대한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링은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판(40)의 상측으로 소정의 구조물이 안착되어 리프트가 작용할 때, 만약 제2 이송판(40)이 감당하기 어려운 크기나 폭 또는 무게를 가지는 구조물이 안착된 경우에, 제2 이송판(40)의 2개의 벌림판(42)이 약간 벌어지면서 제2 이송판(40)이 하중을 더욱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이송판(40)의 벌림판(42) 각각은, 하면에 형성된 홈의 외측에 해당하는 하면에 요철(凹凸)이 구성되고, 이러한 벌림판(42)과 맞닿는 제1 이송판(30)의 상면에도 그에 상응하는 요철(凹凸)이 암/수 방향으로 구성되어, 제2 이송판의 벌림판(42)의 벌림작용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이송판(40)의 하강판(43)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상기 제2 이송판(40) 상측으로 하중이 제거되면, 다시 하강판(43)이 상승되면서, 벌림판(42)이 제자리로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벌림판(42)의 복귀를 위하여 하면에 구성됨 홈에 스프링을 추가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통해 휠박스(22)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휠박스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른 휠박스(22)는, 일측에 하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되, 그에 수직되게 2개 이상 연장홀(2211)을 포함하는 측홀(221)과,
상기 측홀(2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유압 등을 통해 작용하고, 상기 연장홀(221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된 실린더홈(2221)을 포함하는 실린더(222)와,
상기 실린더(222)로부터 인출되고, 실린더(222)의 하방으로 작용하며, 실린더(222) 내부로 함께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홈(2221)을 통해 실린더(222) 내부에서도 외측으로 노출되는 발신부(2231)을 포함하는 실린더샤프트(223)와,
상기 실린더샤프트(223)의 단부에 축으로 결합되어 휠박스(22) 또는 베이스(10)의 연통된 홀 상에서 회전하여, 리프트의 이동을 당담하는 휠(224)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휠박스(22)는 다른 일측에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신부(2231)은 레이저 등의 소스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초음파, 적외선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방사되는 형태의 소스가 아닌 일직선으로 쏘아지는 소스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발신부(2231)로부터 발신된 소스는 인접한 다른 휠박스(22)의 수신부로 수신되어진다.
즉, 상기 수신부의 구비된 위치는 인접한 다른 휠박스(22)로부터 발신된 소스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면 충분하다.
이러한 휠박스(22)의 휠(224)은 실린더(222)에 의해 유압이 걸림에 의해, 리프트 상측에 소정의 하중이 초과되어 걸리면, 실린더(222)가 눌리면서 실린더샤프트(223)가 실린더(222)로 삽입되어 휠(224)이 휠박스(2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즉, 리프트가 휠에 의한 이동이 불가능해지도록 베이스(10)가 바닥면에 닿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걸린 하중이 제거되면 휠(224)이 본래 위치로 원상복귀되어야 하는데, 4개의 휠박스(22)를 적용함에 있어서 각각의 휠이 모두 동일한 높이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이는 결국 다음 차례의 하중에 리프트에 걸리는 경우, 리프트의 스트레스가 분산되지 않거나, 쓰러지는 등 안전사고 혹은 큰 사고 등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 개의 휠박스(22) 상의 휠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원상태로 복귀되기 위하여, 상술된 발신부와 수신부를 두며, 휠박스(22)는 자체적으로 제어부를 두어 소스의 수신값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한다.
1. 제어부는 복수 개의 휠박스 각각이, 각각의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횟수가 모두 동일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A, B, C 및 D의 휠박스의 수신부에 대하여 A, B, D는 2번의 수신정보가 있었지만, C의 경우 1번위 수신정보가 있었다면, C는 높이가 동일하게 복구되지 않은 것이다.
2. 1의 결과 동일하지 않은 휠박스가 존재하면, 제어부는 해당 휠박스를 보정하여 실린더(222) 제어를 통해 휠박스의 상승을 제어하도록 한다.
3. 1의 결과 모두 동일하다면, 4개의 휠박스에 대한 수신정보에 대하여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소스의 수신양을 판단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발신부(2231)가 실린더홈(2221)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되었다면, 인접한 다른 휠박스의 수신부로 수신되는 수신양이 100%일 것이지만, 만약 조금이라도 가려졌다면,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소스의 수신양이 100%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판단은 복수 개의 각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수신정보를 비교하면 수신양이 부족한 특정의 수신정보가 분석될 것이므로, 이를 기인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4. 3의 결과 복수 개의 휠박스에 구비된 수신부의 수신정보 상에 수신양이 모두 동일하다면 제어를 종료하도록 한다.
5. 4의 결과 복수 개의 휠박스에 구비된 수신부의 수신정보 상에서 수신양이 다른 것이 존재하면다면, 해당 휠박스에 소스를 발신하는 휠박스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6. 5의 과정을 통해 높이가 조절되면서, 지속적으로 해당 발신부의 소스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소스의 수신양이 계속 감소한다면 제어부는 해당 휠박스의 높이를 반대방향으로 제어하고, 계속 감소하지 않는다면 다른 휠박스의 수신정보 상의 수신양 만큼 수신될 때까지 계속 제어하도록 하고, 제어를 종료하도록 한다.
또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전술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는, 하면에 바퀴 대신에 무한궤도 등의 이송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참조할 수 있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무한궤도의 적용은 통상의 무한궤도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예상할 수 있는 모든 이송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베이스
20 : 기둥
20a : 샤프트
21 : 보강판
22 : 휠박스
23 : 브라켓
30 : 제1 이송판
31 : 레일
40 : 제2 이송판
41 : ㅜ자레일
41a : 단속판
42 : 벌림판
42a : 단속홈
43 : 하강판

Claims (5)

  1.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형성되되, 그의 내측에 유압으로 인출되어 높이 조절되는 샤프트(20a)가 구성되고, 그의 상면에 상기 샤프트(20a)를 가이드하는 보강판(21)이 구성된 기둥(20);
    상기 샤프트(20a)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1 이송판(30); 및
    상기 제1 이송판(3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2 이송판(40);을 포함하되,
    - 상기 베이스(10)의 다른 일측으로 복수 개의 휠박스(22)가 구비되고, 상기 휠박스(22)에서부터 기둥(20)의 일측까지 브라켓(23)이 구성되며,
    - 상기 제1 이송판(30)과 제2 이송판(40)은 상호 수직된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샤프트(20a)의 상측단부는 '凸'의 2단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고,
    'ㄷ'자 형상을 가지는 제1 이송판(30)의 레일(31)이 상기 샤프트(20a)의 상측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31)이 샤프트(20a)의 상측단부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휠박스(22)가 구비된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휠박스(22)는 내부가 중공인 상태로, 상기 베이스(10)의 관통홀과 연통되어, 상기 휠박스(22)의 내부가 베이스(10)의 하면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박스(22)의 내측으로 휠(224)이 구성되되,
    상기 휠(224)은, 리프트의 상측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발생되면 휠박스(22)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판(40)은,
    상기 제1 이송판(3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ㅜ자레일(41);
    2개가 대칭되는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되되, 대칭된 각각은 마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지면서 제1 이송판 방향으로 오목한 만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하면에 홈이 형성된 2개의 벌림판(42); 및
    2개의 벌림판(42)의 상측에 위치된 하강판(43);을 포함하되,
    - 상기 ㅜ자레일(41)의 양 단부에 상방으로는 단속판(41a)이 연장되어 돌출되고,
    - 2개의 벌림판(42) 각각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는 상기 ㅜ자레일(41)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단속판(41a)이 각각 삽입되고,
    - 2개의 벌림판(42)은 마주하는 단부가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며,
    - 2개의 벌림판(42) 사이 영역 중, 상기 하강판(43)의 하면과 ㅜ자레일(41)의 상면은 다수 개 배열된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5. 삭제
KR1020190143864A 2019-11-11 2019-11-11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KR10208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64A KR102088959B1 (ko) 2019-11-11 2019-11-11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64A KR102088959B1 (ko) 2019-11-11 2019-11-11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959B1 true KR102088959B1 (ko) 2020-05-26

Family

ID=7091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64A KR102088959B1 (ko) 2019-11-11 2019-11-11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849A (ko) *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청진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694A (ko) 1993-07-02 1995-02-18 정몽원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방진고정자
JPH0971396A (ja) * 1995-09-05 1997-03-18 Taiyo Seiki Kogyo Kk トレーラ用台車
JP2001277810A (ja) * 2000-04-03 2001-10-10 Taiyo Seiki Kogyo Kk トレーラー用台車
KR20050116650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출몰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용 캐스터
JP2008013305A (ja) * 2006-07-05 2008-01-24 Taiyo Seiki Kogyo Kk シャーシ用台車
KR20110006365U (ko) * 2009-12-17 2011-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스크류 잭
KR20110092750A (ko) 2010-02-10 2011-08-18 성두창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적재 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
KR20130000755U (ko) * 2011-07-22 2013-0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 중량물 곡면 취부용 핸들장치
KR101762570B1 (ko)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KR101926250B1 (ko) 2017-02-24 2019-02-26 박용오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694A (ko) 1993-07-02 1995-02-18 정몽원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방진고정자
JPH0971396A (ja) * 1995-09-05 1997-03-18 Taiyo Seiki Kogyo Kk トレーラ用台車
JP2001277810A (ja) * 2000-04-03 2001-10-10 Taiyo Seiki Kogyo Kk トレーラー用台車
KR20050116650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출몰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용 캐스터
JP2008013305A (ja) * 2006-07-05 2008-01-24 Taiyo Seiki Kogyo Kk シャーシ用台車
KR20110006365U (ko) * 2009-12-17 2011-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스크류 잭
KR20110092750A (ko) 2010-02-10 2011-08-18 성두창 실린더를 이용한 상부적재 중량 및 높이조절 리프트
KR20130000755U (ko) * 2011-07-22 2013-01-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니버셜조인트를 이용한 중량물 곡면 취부용 핸들장치
KR101762570B1 (ko) 2016-11-17 2017-07-28 근우테크 주식회사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KR101926250B1 (ko) 2017-02-24 2019-02-26 박용오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849A (ko) *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청진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KR102602013B1 (ko) * 2021-12-06 2023-11-14 주식회사 청진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JPH11322283A (ja) 移動式作業台
KR102088959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
KR101926250B1 (ko) 부품 박스 승강용 리프트
KR20090083000A (ko) 고소작업대
CN108502783A (zh) 一种无需搬运式传递货物的物流运输车
CN210212476U (zh) 一种建筑施工用运输装置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4889462B2 (ja) ケーブルドラム運搬装置
CN211818125U (zh) 一种建筑板材安装机器人
KR20090006377U (ko)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KR20120021077A (ko) 부품 공급 장치
KR102155130B1 (ko) 중신조립용 작업대
KR102389471B1 (ko) 트랙슈 챔퍼링장치
KR100954493B1 (ko) 수동 포크리프트
CN210340233U (zh) 一种工件托运装置
CN211169680U (zh) 升降机构
KR102602013B1 (ko) 구조물 취부용 리프트의 상부구조물
CN210499074U (zh) 一种凹底升降式滚轮装置
JP5305344B2 (ja) 巻上機据付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200173259Y1 (ko) 이동식 작업대
CN215206972U (zh) 一种长板材移栽装置
CN211282914U (zh) 一种隔音棉上料机构
KR101774156B1 (ko) 회전식 하물적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