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130B1 - 중신조립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중신조립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130B1
KR102155130B1 KR1020200043829A KR20200043829A KR102155130B1 KR 102155130 B1 KR102155130 B1 KR 102155130B1 KR 1020200043829 A KR1020200043829 A KR 1020200043829A KR 20200043829 A KR20200043829 A KR 20200043829A KR 102155130 B1 KR102155130 B1 KR 10215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r
along
disposed
suppor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파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파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파우어
Priority to KR102020004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중신과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작업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승강유닛의 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승강유닛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는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는 대형변압기의 중신 조립 작업을 위한 중신조립용 작업대로서, 중신을 중심으로 중신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제1 작업부를 포함하고, 제1 작업부는, 중신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작업공간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중신조립용 작업대{Working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active part structure of power transformer}
본 발명은 중신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변압기의 중신 부분의 조립 작업을 위한 중신조립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변압기는 큰 사이즈로 인하여 철심과 권선을 조립하는 중신 조립 작업 시 고소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술한 고소작업을 위하여 사다리를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사다리는 별도의 안전장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다리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높고, 작업위치를 변경해야 할 경우 작업자가 사다리에서 내려와 사다리의 위치를 옮긴 후 다시 사다리로 올라가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승강 및 이동 가능한 고소작업대가 개발되었다.
고소작업대는 바퀴를 구비하여 지면상에서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와,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가 설치되는 탑승부 및 탑승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소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는 고소작업 시 추락의 위험이 적고, 승강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위치의 변경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작업 대상으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일 측 또는 타 측으로만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작업 중 작업 대상과 고소작업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대에 마련된 승강부는 다수의 바가 링크를 통해 서로 엇갈린 구조로 결합되어 폭이 좁아지면서 신장되거나, 폭이 넓어지면서 수축되어 상부에 결합된 탑승부를 승강시키는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 구조로 마련되기 때문에, 큰 하중을 감당하기 어렵고, 이에 승강부가 지지할 수 있는 무게를 고려하여 탑승부는 1 ~ 2 명의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소형 구조로 제작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탑승부가 소형 구조로 마련됨에 따라, 작업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작업 중 본체를 이동시키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시저 리프트 구조의 승강부가 탑승부의 저면만을 지지한 상태에서 탑승부를 승강시킴에 따라, 탑승부가 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승강부의 폭이 좁아져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에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탑승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승차 및 하차가 불가능하고, 이에 장비의 교체 또는 다른 이유로 탑승부가 하강된 경우 다시 이전 작업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탑승부를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75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신과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작업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승강유닛의 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승강유닛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는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는 대형변압기의 중신 조립 작업을 위한 중신조립용 작업대로서, 상기 중신을 중심으로 상기 중신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제1 작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업부는, 상기 중신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공간으로 상기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작업부는, 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유닛; 내부에 상기 작업공간이 마련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이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유닛; 및 일 측은 상기 승강유닛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이송유닛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타 측이 상기 이송유닛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승강유닛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중신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바텀 프레임; 및 상기 바텀 프레임에 결합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바텀 프레임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유닛의 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마련되는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승강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이송블록; 단부가 상기 이송블록 및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이송블록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안전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승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유닛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는 상기 승강유닛의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휠은 상기 이송유닛의 일면 상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업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의 상단이 상기 이송유닛에 고정된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의 하단과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강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업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중신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제2 작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작업부는, 상기 중신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공간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작업 중 중신과 중신조립용 작업대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유닛의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승강유닛의 길이방향 측 양 단부와 결합되어 승강유닛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을 마련하여, 승강유닛이 최고점에 배치될 경우에도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고, 승강유닛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승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유닛은 5 ~ 10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 가능하고, 중신의 전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마련되므로, 작업대를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승강유닛 내에서 직접 작업위치를 변경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계단형상의 연결유닛을 구비하여 승강유닛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승강유닛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이에 승강유닛을 항상 설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여 승강유닛에서 하차한 작업자가 승강유닛에 다시 승차할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가 중신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의 연결유닛이 변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가 중신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100)(이하 '중신조립용 작업대(100)'라 함)는 고소작업이 필요한 대형변압기의 중신(T) 조립 작업을 위한 것으로, 중신(T)을 중심으로 중신(T)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작업부(100A)를 포함한다.
제1 작업부(100A)는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WS)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작업부(100A)는 중신(T)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작업부(100A)는 상하 방향으로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작업공간(WS)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작업부(100A)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작업공간(WS)이 어느 위치에 있든 작업공간(WS)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작업부(100A)는 이송유닛(110), 한 쌍의 지지유닛(120), 승강유닛(130) 및 연결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110)은 지면(G)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제1 작업부(100A)는 중신(T)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유닛(110)은 승강유닛(130)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만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이라 함은 제1 작업부(100A)가 중신(T)을 향해 이동하거나, 중신(T)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송유닛(110)은 바텀 프레임(111) 및 이동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11)은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11)의 하부에는 지면(G)에 지지되는 이동부(11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텀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한 쌍의 지지유닛(12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바텀 프레임(111)은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텀 프레임(111)의 상부면에는 승강유닛(130)에 결합된 연결유닛(140)의 타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111)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 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신(T)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S)이 마련되는 'U'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에는 한 쌍의 지지유닛(120)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복수의 프레임 사이에서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나의 프레임에는 승강유닛(130)에 결합된 연결유닛(140)의 타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이동부(112)는 바텀 프레임(1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G)에 지지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바텀 프레임(111)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12)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바텀 프레임(111)의 일 측과 타 측에 마련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휠과, 복수의 구동휠에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드모터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바텀 프레임(111)의 일 측과 타 측에 마련되어 복수의 구동휠을 통해 회전되는 복수의 종동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평면상에서 전후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휠과 기어드모터는 체인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휠과 복수의 종동휠이 지지될 지면(G)의 보호를 위하여, 복수의 구동휠과 복수의 종동휠의 표면은 우레탄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송유닛(110)은 바텀 프레임(111)에 복수로 배치되는 낙하협착 방지용 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하협착 방지용 범퍼는 바텀 프레임(111)에 적어도 4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유닛(120)은 이송유닛(110)에 결합되어 이송유닛(110)의 길이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유닛(110)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유닛(120)은 각각 사이드 프레임(121), 스크류 샤프트(122) 및 가이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21)은 이송유닛(110)의 상부면, 즉, 이송유닛(1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이송유닛(11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프레임(121)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이드 프레임(121)의 내부에는 스크류 샤프트(122)와 가이드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샤프트(122)는 사이드 프레임(121)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승강유닛(130)에 마련된 이송블록(131)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 샤프트(122)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샤프트(122)에 결합된 이송블록(131)은 스크류 샤프트(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블록(131)은 스크류 샤프트(122)에 마련된 나사산에 체결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23)는 사이드 프레임(121)에 배치되고, 승강유닛(130)과 결합되어 승강유닛(130)을 상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3)는, 스크류 샤프트(122)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사이드 프레임(121)의 내부에 배치되고, 승강유닛(130)과 결합되어 승강유닛(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바(1231) 및 승강유닛(130)을 향하는 사이드 프레임(121)의 일면에 배치되고, 승강유닛(130)과 결합되어 승강유닛(1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레일(12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 쌍의 지지유닛(120)은 각각 승강유닛(130)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도록 스크류 샤프트(122) 또는 가이드바(1231)에 설치되어 승강유닛(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추락방지용 더블 너트와, 상하 방향을 따라 사이드 프레임(121)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승강유닛(13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승강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유닛(120)은 각각 승강유닛(130)의 과상승 시 타 부품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상승 충돌방지 범퍼와, 사이드 프레임(121)의 외면에 설치되어 사이드 프레임(121)의 내부에 수용된 스크류 샤프트(122)와 복수의 가이드바(123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보호 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유닛(120)에는 각각 작업용 에어 라인과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승강유닛(130)은 내부에 작업공간(WS)이 마련되고, 일 측에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출입구(E)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유닛(130)은 길이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이 한 쌍의 지지유닛(12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길이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유닛(130)은 500 mm 이상 5500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유닛(130)은 이송블록(131), 테이블(132) 및 안전펜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블록(131)은 좌우 방향을 따라 테이블(132)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결합되고, 한 쌍의 지지유닛(120)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스크류 샤프트(1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크류 샤프트(122)에 결합된 이송블록(131)은 회전력을 발생시켜 스크류 샤프트(122)의 외면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블록(131)의 내부에는 스크류 샤프트(122)의 외면에 마련된 나사산과 체결 가능한 나사산(미도시)이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블록(131)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어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승강유닛(130)은 이송블록(13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유닛은 테이블(132)의 저면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4), 구동모터(13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복수로 분기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기어박스(135) 및 기어박스(135)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결합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된 복수의 이송블록(131)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동력전달 샤프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32)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132)은 전후 방향을 따라 1미터의 폭을 갖고, 좌우 방향을 따라 9미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132)은 최대 1.5 ton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32)에는 적어도 5 ~ 10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32)의 상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피로방지매트가 배치되고, 테이블(132)의 하부에는 지상(G) 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조명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32)에는 작업용 공구를 위한 복수의 에어 라인과 복수의 콘센트가 마련될 수 있다.
좌우 방향을 따라 테이블(132)의 일 측 및 타 측 단부는 각각 이송블록(131) 및 가이드부(123)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132)은 이송블록(131)에 의해 승강되고, 가이드부(123)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테이블(132)의 일 측에는 연결유닛(140)과 결합되어 연결유닛(140)을 지지하고, 출입구(E)를 사이에 두고 작업공간(WS)과 분리된 확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확장부를 반드시 거친 후 작업공간(WS) 혹은 연결유닛(1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안전펜스(133)는 테이블(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블(132)의 둘레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낙하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안전펜스(133)의 일 측, 즉, 테이블(132)과 확장부 사이에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E)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32)과 안전펜스(133) 사이에는 작업자의 발빠짐 또는 작업용 공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한 복수의 차폐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신조립용 작업대의 연결유닛이 변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유닛(140)은 승강유닛(130)에 결합되어 승강유닛(130)과 함께 승강되고, 승강유닛(130)의 높이에 따라 기울기가 조절되면서 절첩 또는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유닛(130)이 완전히 상승되면, 연결유닛(140)은 수직상태에 인접한 기울기를 가지고, 완전히 전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유닛(130)이 완전히 하강되면, 연결유닛(140)은 수평상태에 인접한 기울기를 가지고, 완전히 절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유닛(140)의 일 측은 승강유닛(130)에 결합되고, 연결유닛(140)의 타 측은 이송유닛(110)에 지지되어 승강유닛(130)과 이송유닛(1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유닛(140)은 연결유닛(140)의 타 측이 이송유닛(110)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유닛(130)과 함께 승강하여 기울기와 전개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연결유닛(140)은 승강유닛(130)이 어떤 높이에 있든지 항상 승강유닛(130)과 이송유닛(11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유닛(130)이 어떤 위치에 있든지 작업자는 언제든지 승강유닛(130)에 탑승하거나, 승강유닛(130)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연결유닛(140)은 한 쌍의 사이드바(141), 복수의 플레이트(142), 휠(143) 및 펜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바(141)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가 승강유닛(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바(141)의 일단부와 승강유닛(130)에는 힌지 기능을 하는 샤프트를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142)는 한 쌍의 사이드바(141) 사이에 배치되고, 사이드바(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플레이트(142)는 한 쌍의 사이드바(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유닛(140)이 절첩되거나, 전개된 경우에도 플레이트(142)는 항상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휠(143)은 한 쌍의 사이드바(141)의 타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이송유닛(110)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사이드바(141)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경우 이송유닛(110)의 일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펜스(144)는 한 쌍의 사이드바(141)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연결유닛(140)을 통과중인 사용자의 낙하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130)이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한 쌍의 사이드바(141)는 승강유닛(130)의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한 쌍의 휠(143)은 이송유닛(110)의 일면 상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사이드바(141)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운동은 수직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의미하고, 수평운동은 수평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작업부(100A)는 보강유닛(150) 및 제어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유닛(150)은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보강유닛(150)은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상단이 이송유닛(110)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하단과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한 쌍의 지지유닛(120)이 대향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유닛(150)에는 승강유닛(130)에 마련된 작업공간(WS)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유닛(160)은 이송유닛(110) 및 승강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송유닛(110) 및 승강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60)은 이송유닛(110)에 배치되어 지상(G)에 위치한 작업자가 이송유닛(110) 및 승강유닛(130)의 구동을 제어 가능한 제1 제어부 및 승강유닛(130)에 배치되어 승강유닛(130)에 위치한 작업자가 이송유닛(110) 및 승강유닛(130)의 구동을 제어 가능한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작업부(100A)는 이송유닛(110)에 배치되어 승강유닛(130)의 원점 복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원점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중신조립용 작업대(100)는 중신(T)을 중심으로 중신(T)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작업부(1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업부(100B)는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WS)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작업부(100B)는 중신(T)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작업부(100B)는 상하 방향으로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작업공간(WS)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작업부(100B)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작업공간(WS)이 어느 위치에 있든 작업공간(WS)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 작업부(100B)는 이송유닛(110), 한 쌍의 지지유닛(120), 승강유닛(130), 연결유닛(140), 보강유닛(150) 및 제어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업부(100B)의 이송유닛(110), 한 쌍의 지지유닛(120), 승강유닛(130), 연결유닛(140), 보강유닛(150) 및 제어유닛(160)은, 제1 작업부(100A)의 이송유닛(110), 한 쌍의 지지유닛(120), 승강유닛(130), 연결유닛(140), 보강유닛(150) 및 제어유닛(160)과 동일한 구조,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유닛(110)을 구비하여, 작업 중 중신(T)과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유닛(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승강유닛(130)의 길이방향 측 양 단부와 결합되어 승강유닛(13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120)을 마련하여, 승강유닛(130)이 최고점에 배치될 경우에도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고, 승강유닛(130)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승강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유닛(130)은 5 ~ 10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 가능하고, 중신(T)의 전 구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마련되므로, 중신조립용 작업대(100)를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승강유닛(130) 내에서 직접 작업위치를 변경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이에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계단형상의 연결유닛(140)을 구비하여 승강유닛(13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승강유닛(130)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고, 이에 승강유닛(130)을 항상 설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 가능하여 승강유닛(130)에서 하차한 작업자가 승강유닛(130)에 다시 승차할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중신조립용 작업대 100A. 제1 작업부
100B. 제1 작업부 110. 이송유닛
111. 바텀 프레임 S. 수용공간
112. 이동부 120. 지지유닛
121. 사이드 프레임 122. 스크류 샤프트
123. 가이드부 1231. 가이드바
1232. 승강레일 130. 승강유닛
WS. 작업공간 E. 출입구
131. 이송블록 132. 테이블
133. 안전펜스 134. 구동모터
135. 기어박스 136. 동력전달 샤프트
140. 연결유닛 141. 사이드바
142. 플레이트 143. 휠
144. 펜스 150. 보강유닛
160. 제어유닛 G. 지면

Claims (8)

  1. 대형변압기의 중신(T) 조립 작업을 위한 중신조립용 작업대(100)로서,
    상기 중신(T)을 중심으로 상기 중신(T)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WS)이 마련되는 제1 작업부(10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업부(100A)는,
    상기 중신(T)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공간(WS)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작업부(100A)는,
    지면(G)에 배치되고,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이송유닛(110);
    상기 이송유닛(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110)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유닛(120);
    내부에 상기 작업공간(WS)이 마련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 측 및 타 측이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유닛(130); 및
    일 측은 상기 승강유닛(13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이송유닛(110)에 지지되어 상기 승강유닛(130)과 상기 이송유닛(11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타 측이 상기 이송유닛(11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승강유닛(130)과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연결유닛(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작업부(100A)는,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상단이 상기 이송유닛(110)에 고정된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하단과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강유닛(150); 및
    상기 이송유닛(110) 및 상기 승강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닛(110) 및 상기 승강유닛(1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유닛(160)을 더 포함하는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110)은,
    상기 지면(G)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 및 상기 연결유닛(140)을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중신(T)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S)이 마련되는 바텀 프레임(111); 및
    상기 바텀 프레임(111)에 결합되고,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바텀 프레임(111)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112)를 포함하는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20)은,
    상기 이송유닛(11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121);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유닛(130)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마련되는 스크류 샤프트(122);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121)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유닛(130)과 결합되고, 상기 승강유닛(1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123)를 포함하는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130)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122)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크류 샤프트(122)의 외면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이송블록(131);
    단부가 상기 이송블록(131) 및 상기 가이드부(123)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이송블록(131)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132); 및
    상기 테이블(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E)가 마련되는 안전펜스(133)를 포함하는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140)은,
    일단부가 상기 승강유닛(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141);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14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42);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14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유닛(110)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휠(143)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130)이 상승 또는 하강할 경우,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141)는 상기 승강유닛(130)의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휠(143)은 상기 이송유닛(110)의 일면 상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141)의 회전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는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부(100A)에 대향하도록 상기 중신(T)의 타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어도 한명 이상의 작업자를 수용 가능한 작업공간(WS)이 마련되는 제2 작업부(10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작업부(100B)는,
    상기 중신(T)과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작업공간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작업공간(WS)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공간(WS)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중신조립용 작업대(100).
KR1020200043829A 2020-04-10 2020-04-10 중신조립용 작업대 KR10215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29A KR102155130B1 (ko) 2020-04-10 2020-04-10 중신조립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29A KR102155130B1 (ko) 2020-04-10 2020-04-10 중신조립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130B1 true KR102155130B1 (ko) 2020-09-11

Family

ID=7247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29A KR102155130B1 (ko) 2020-04-10 2020-04-10 중신조립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707B1 (ko) * 2021-01-25 2022-05-17 이용구 철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514A (ko) * 2007-04-17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2011079613A (ja) * 2009-10-05 2011-04-21 Daifuku Co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1667569B1 (ko)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20180085639A (ko) * 2017-01-19 2018-07-27 이재성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101910289B1 (ko) * 2017-09-20 2018-10-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 변형 저감을 위한 위성체 접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514A (ko) * 2007-04-17 2008-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2011079613A (ja) * 2009-10-05 2011-04-21 Daifuku Co Ltd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1667569B1 (ko)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KR20180085639A (ko) * 2017-01-19 2018-07-27 이재성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101910289B1 (ko) * 2017-09-20 2018-10-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조 변형 저감을 위한 위성체 접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707B1 (ko) * 2021-01-25 2022-05-17 이용구 철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5313B (zh) 一种用于飞机机翼检查维修的工作平台
US11420858B2 (en) Personnel lift vehicle
KR101283432B1 (ko)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KR20110131595A (ko) 모노레일 궤도용 선로 작업차
KR20070014563A (ko) 드롭 리프트 장치
KR102155130B1 (ko) 중신조립용 작업대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KR101546352B1 (ko) 교육용 터널 내에서의 터널 작업 교육용 이동대차
KR20150111416A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0591111B1 (ko) 스태커 크레인
ES2785955T3 (es) Cruzamiento portador de cable que suministra cuatro ubicaciones no estáticas
KR100575568B1 (ko) 건설용 호이스트 시스템
KR101646057B1 (ko) 기둥형 구조물의 토치이동형 자동용접장치
KR101406018B1 (ko) 승하강 방식의 안전장치
KR101924515B1 (ko) 주차타워의 승하강장치
EP0180395A1 (en) Hoist mechanism
KR20130126561A (ko) 승하강 방식의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RU53237U1 (ru) Аварийно-техническ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онтактных сетей
JP2004224540A (ja) 乗客コンベア
NL2001408C2 (nl) Inrichting voor het door rotatie orienteren van zware lasten, in het bijzonder stalen balken.
EP1790607B1 (en) Safety device for automatically checking the weight of the load present on one or more lifting groups of an elevator, of a platform, of a lift or of other similar apparatuses
KR102676948B1 (ko) 무빙포터시스템
CN219650118U (zh) 一种检修维护方便的集装箱钻孔锁钉机器人
CN215973784U (zh) 一种多型号型材自动上料装框生产线
KR101363637B1 (ko) 다차종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