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637B1 - 다차종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다차종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637B1
KR101363637B1 KR1020130142921A KR20130142921A KR101363637B1 KR 101363637 B1 KR101363637 B1 KR 101363637B1 KR 1020130142921 A KR1020130142921 A KR 1020130142921A KR 20130142921 A KR20130142921 A KR 20130142921A KR 101363637 B1 KR101363637 B1 KR 10136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ase
frame
transfer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열
Original Assignee
신한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테크(주) filed Critical 신한테크(주)
Priority to KR102013014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차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워크를 제1, 2, 3 캐리어에 안착하여 상승 후, 타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차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2, 3 캐리어를 구비하여 워크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하강시에도 구동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에 워크의 파손없이 안착하여 즉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며 과부하 발생시 타측단의 예비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작업시간이 늦춰지지 않도록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를 제공하며 제1, 2, 3 캐리어를 구비하여 워크를 안착하여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무거운 중량의 워크를 안정감 있게 이송시키고, 주행부에 각가의 이송모터를 구비하여 속도를 동일하게 하며 랙기어를 통해 이동하여 속도제어 및 흔들림이 없으며 스윙유닛이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워크를 별도의 부품 교체없이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차종 이송장치 {A MOVING CART SYSTEM}
본 발명은 다차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워크를 제1, 2, 3 캐리어에 안착하여 상승 후, 타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차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조립공장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만들어진 자동차의 각 부분의 패널들을 조립, 용접하여 자동차의 모양을 만들어 내는 곳이다.
차체조립은 공정 면에서 보면 자동차 조립공장에서 가장 정밀도가 요구되는 공정으로 주요 설비의 대부분이 전용기이기 때문에 모델 변경시 설비의 대부분은 새로운 설비로 바뀌게 된다.
설비로써는 메인 라인과 부속되는 수십 개의 서브라인으로 세분화되며, 로봇 자동 용접 자동 실러 도포 장치, 이송장치의 자동공정을 대폭 설치하여 공장 자동화효율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의 이송장치는 차체 또는 부품을 클램핑 또는 체결, 안착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여 차체나 부품을 들어올려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30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되고 상하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수직이송 샤프트와, 상기 복수개의 수직이송 샤프트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직이송 샤프트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고, 차체가 놓여지는 트랜스 프레임상기 트랜스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트랜스 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수평이송 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이송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수직이송 샤프트를 동시에 상하 이동시키는 동기 유닛을 포함하여, 대차 제작이 불필요함으로 제작에 따른 대기 공간 및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하나의 구동력으로 상하 및 전후로 이동이 동시에 가능함으로 동일 라인에서 동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무거운 중량의 부품을 이송할 시에는 부품이 추락할 경우가 있으며 모터의 과열이나 과부하가 발생하면 작동이 멈추게 되어 타 공정에 작업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6687(2004.12.18)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2, 3 캐리어를 구비하여 워크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주행부가 일정구간을 통과하면 리프트가 하강하여 대각 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에 워크의 파손없이 안착하여 즉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며, 과부하 발생시 타측단의 예비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작업시간이 늦춰지지 않도록 하며 타공정에서 작업이 완료된 워크를 단차가 형성되어도 별도의 추가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타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다차종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제1, 2 베이스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 베이스 스토퍼 사이에 제1, 2 베이스 가이드레일이 위치하며 상단부에 제1, 2 베이스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사각기둥형상의 제1, 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베이스 플레이트와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에 구비된 제1, 2 프레임 연결홀에 각각 볼트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베이스 고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에 리프트 프레임이 고정되며 리프트 가이드가 부착되어 워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2, 3 캐리어가 고정되어 있고,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의 하단에 체인으로 연결된 웨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 하단에 웨이트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 양측에 제1, 2 체인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인 연결부에 양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보모터와 예비서보모터로 구성되는 리프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결합되는 제1, 2 프레임 결합부가 위치하며, 하단에 제1, 2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제1, 2 이송모터가 구비되고, 양측에 제1, 2 롤러가 구비되는 주행부와;
상기 제1, 2 롤러가 안착되며 상기 제1, 2 이송모터 방향으로 제1, 2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양측에 제1, 2 지지부 스토퍼가 결합되는 제1, 2 지지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주행부가 전/후진시 선을 정리하는 제1, 2 케이블 베어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은 상단부에 제1, 2 체인 연결 홈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1, 2 리프트 이송 롤러와 제1, 2 리프트 이송 스토퍼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리프트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2, 3 캐리어를 구비하여 워크를 안착하여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무거운 중량의 워크를 안정감 있게 이송시키고, 주행부에 각가의 이송모터를 구비하여 속도를 동일하게 하며 랙기어를 통해 이동하여 속도제어 및 흔들림이 없으며 스윙유닛이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워크를 별도의 부품 교체없이 이송시킬 수 있고, 타공정으로 워크를 이송시켜야 하는 구간마다 설치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에 핀을 구비하여 워크를 안착시 정확한 위치에 안착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의 단차가 형성되어도 추가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워크를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차종 부품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가 생략된 다차종 이송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지지부와 주행부 및 컨베이어 벨트가 생략된 배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베이스 가이드프레임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2 리프트 연결 프레임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리프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2 캐리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3 캐리어 사시도.
도 9a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스윙유닛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스윙유닛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2 주행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2 롤러 사시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주행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주행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베이스 프레임과 리프트가 결합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핀이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타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가 생략된 다차종 이송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베이스 가이드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2 리프트 연결 프레임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리프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2 캐리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3 캐리어 사시도이고, 도 9a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스윙유닛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스윙유닛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주행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제1, 2 롤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주행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주행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베이스 프레임과 리프트가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차종 이송장치의 핀이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의 타 실시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펜스(200a)가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00) 양측면에 베이스 프레임(10)에 리프트(20)와 주행부(30) 및 지지부(40)가 결합하여 이루어져 있다.
세부적으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을 이어주는 베이스 고정 프레임(15)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하는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과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에 결합하는 리프트 프레임(2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4a,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1)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제1, 2 베이스 스토퍼(11a)(12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 베이스 스토퍼(11a)(12a) 사이에 제1, 2 베이스 가이드레일(11b)(12b)이 부착되며 상단에 제1, 2 베이스 플레이트(11c)(12c)가 부착되는 사각기둥형상의 제1, 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1)(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베이스 플레이트(11c)(12c)의 상단에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13)(14)이 부착되며 상기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13)(14)의 제1, 2 프레임 연결홀(13a)(14a)에 베이스 고정 프레임(15)이 볼트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고정 프레임(15)은 상단에 체인(27)을 가이드하는 체인 가이드 프레임(15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21)은 상기 제1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1)에 결합되며 제1 리프트 이송 롤러(21a)와 제1 리프트 이송 스토퍼(21b) 및 제1 체인 연결홈(2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리프트 연결 프레임(22)은 상기 제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2)에 결합되며 제2 리프트 이송 롤러(22a)와 제2 리프트 이송 스토퍼(22b) 및 제2 체인 연결홈(22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트(20)는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과 리프트 프레임(23)이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프레임(23) 하단에 리프트 가이드(23a)가 부착되며 워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2, 3 캐리어(24)(25)(2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20)와 연결되어 있는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은 상기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13)(14)에 고정되어 있는 제1, 2 체인 연결부(28b)(28c)에 체인(28)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베이스 연결 프레임(13) 하단에는 웨이트(28a)가 구비되고, 상기 웨이트(28a) 하단에 웨이트 스토퍼(28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연결 프레임(13)에는 상기 제1 체인 연결부(28b)가 구비되어 있으며 양측에 서보모터(100)와 예비서보모터(100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제1, 2 캐리어(24)(25)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제1, 2 캐리어(24)(25)는 제1, 2 캐리어 프레임(24a)(25a)과 상기 제1, 2 캐리어 프레임(24a)(25a) 말단부에 제1, 2 안착부(24b)(25b)가 형성되고, 측면에 제1, 2 리미트 스위치(24c)(25c)가 구비되어 제1, 2 캐리어 서보모터(24d)(25d)로 구동된다.
그리고, 도 8은 제3 캐리어(26)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제3 캐리어(26)는 제3 캐리어 프레임(26a)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단부에 제3 안착부(26d)가 장착되고, 측면에 제3 리미트 스위치(26c)가 부착되며 제3 캐리어 서보모터(26d)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제1, 2, 3 안착부(24b)(25b)(26b)는 선택적으로 워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합성고무재 소재를 부착 또는 상기 제1, 2, 3 안착부(24b)(25b)(26b)를 합성고무재 소재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윙유닛(27)은 상기 제1, 2 캐리어(24)(25)의 사이에 부착되며 스윙 브라켓(27a), 스윙 힌지핀(27b), 결속부(27c) 및 리미트 스위치(27d)로 구성되며 스윙 실린더(27e)를 통해 구동된다.
또한,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윙유닛(27)은 상기 스윙 힌지핀(27b)을 중심으로 약 33˚ ~ 35˚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주행부(3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주행부(30)는 제1, 2 프레임 결합부(3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제1, 2 이송모터(31a)(32a)가 부착되어 있고, 양측 말단에 제1, 2 롤러(33)(3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상기 제1, 2롤러(33)(34)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 2 롤러(33)(34)는 제1, 2 보조롤러(33b)(34b)와 제1, 2 메인롤러(33a)(34a)로 이루어지며, 제1, 2 샤프트(33e)(34e)로 고정되고, 상기 제1, 2 메인롤러(33a)(34a) 상단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2 덮개(33c)(34c)와 전면에 제1, 2 롤러 보호대(33d)(34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0)는 제1, 2 이송가이드레일(41)(42)이 형성되며 제1, 2 지지 프레임(43)(44) 양측 말단에 제1, 2 지지부 스토퍼(43a)(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제1, 2 케이블 베어(47)(4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에 상기 주행부(30)가 결합한다.
또한, 도 1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에 제1, 2 랙기어(45)(46)가 부착되고, 제1, 2 기어(35)(36)는 제1, 2 이송모터(31a)(32a)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1, 2 기어(35)(36)가 상기 제1, 2 랙기어(45)(46)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도 13은 상기 주행부(30)와 지지부(40)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1)(12)에 제 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이 결합되고, 제1, 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1)(12)에 결합된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은 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1, 2 리프트 이송 롤러(21a)(22a)가 상기 제1, 2 베이스 가이드레일(11b)(12b)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제1, 2 베이스 스토퍼(11a)(12a)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은 상기 리프트 프레임(23)과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리프트 가이드(23a)가 부착되어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가 상기 리프트 가이드(23a)를 따라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 연결 프레임(13)(14)은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 2 체인 연결부(28b)(28c)에 체인(28)이 연결되어 제1 체인 연결부(28b)는 상기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21)과 웨이트(28a)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체인 연결부(28c)는 제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과 연결되어 상기 웨이트(28a) 리프트(20)의 하강 속도를 조절한다.
세부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200)가 설치되어 후면에서 워크가 컨베이어 벨트(200)를 따라 이송되며 일정구간을 통과하면 서보모터(100)가 구동되어 상기 리프트(20)가 하강 후,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로 워크를 안착하고, 리프트(20)가 상승한다.
이때, 상기 제1, 2 캐리어(24)(25)가 워크로 먼저 진입하고, 2차적으로 제3 캐리어(26)가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는 상기 제1, 2 캐리어 서보모터(24d)(25d)와 제3 캐리어 서보모터(26)로 구동되어 볼스크류 타입으로 움직이며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의 위치결정이 완료되면 상기 리프트(20)가 상승하면서 제1, 2, 3 캐리어(24)(25)(26)에 구비된 제1, 2, 3 안착부(24b)(25b)(26b)에 워크가 안착되며 상기 제1, 2, 3 리미트 스위치(24c)(25c)(26c)가 워크의 중량과 워크의 감지여부를 확인하다.
또한, 상기 제3 캐리어(26)는 제1, 2 캐리어(24)(25)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워크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캐리어(26)는 양측에 두 개의 제3 안착부(26b)가 구비되고, 중앙에 제3 리미트 스위치(26c)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28a)는 상기 체인(28)과 연결되어 리프트(20)가 하강시 웨이트(28a)가 상승하고,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이 체인(28)과 연결되어 있어 양측 동일하게 하강한다.
또한, 제1, 2, 3 캐리어(24)(25)(26)로 워크를 체결하지 못하는 구조의 워크를 작업시에는 제1, 2 캐리어(24)(25)의 사이에 구비된 상기 스윙유닛(27)으로 워크를 체결한다.
상기 스윙유닛(27)은 상기 스윙 힌지핀(27b)을 기준으로 30˚~35˚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제1, 2, 3 캐리어(24)(25)(26)가 워크를 체결시에 워크에 닿지 않도록 하여 워크의 파손을 방지한다.
그리고, 워크가 안착된 상태로 리프트(20)가 상승시에는 상승되어 있는 웨이트(28a)가 다시 하강하며 하단에 구비된 상기 웨이트 스토퍼(28b)로 1차적으로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리프트(20)는 제1, 2 베이스 스토퍼(11a)(12a)가 2차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20)가 완전히 상승하면 상기 주행부(30)에 구비되어 있는 제1, 2 이송모터(31a)(32a)가 구동됨과 동시에 제1, 2 롤러(33)(34)가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1, 2 롤러(33)(34)는 상기 지지부(40)의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을 따라 움직이며 측면에 제1, 2 이송모터(31a)(32a) 방향으로 제1, 2 랙기어(45)(46)가 형성되어 제1, 2 이송모터(31a)(32a)가 회전하면서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1, 2 이송모터(31a)(32a) 하단에는 제1, 2 기어(35)(36)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 지지 프레임(43)(44)에 결합되어 있는 제1, 2 지지부 스토퍼(43a)(44a) 또한 주행부(30)의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워크를 타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주행부(30)가 일정거리를 전진하면 상기 리프트(20)가 하강하면서 실제적으로는 대각 방향으로 하강하여 타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주행부(30)는 워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200)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며 워크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가 컨베이어 벨트(200)에 진입하면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제1, 2, 3 캐리어(24)(25)(26)가 상기 리프트 가이드(23a)를 따라 후진하며 상기 리프트(20)가 상승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30)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2 롤러(33)(34)는 상기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을 상기 제1, 2 롤러(33)(34)가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정을 완료한 워크가 타 공정으로 이송시, 상기 리프트(20)가 일정높이 하강 후, 상기 리프트 가이드(23a)를 따라 제1, 2, 3 캐리어(24)(25)(26)가 전진하여 워크를 제1, 2, 3 안착부(24b)(25b)(26b)에 안착시킨 후, 리프트(20)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리프트(20)가 상승하면 상기 주행부(30)의 제1, 2 이송모터(31a)(32a)가 구동되어 전진한다.
이때, 상기 주행부(30)는 전진하고 있으며 리프트(20)는 주행부(30)가 일정거리 전진하면 리프트(20)가 하강하기 시작하여 주행부(30)는 컨베이어 벨트(200)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 워크를 대각 방향으로 컨베이어 벨트(200)에 워크가 안착되는 동시에 제1, 2, 3 캐리어(24)(25)(26)가 후진하면서 리프트(20)가 다시 상승하고, 주행부(30)는 후진한다.
또한, 상기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에 제1, 2 랙기어(45)(46)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제1, 2 이송모터(31a)(32a)의 하단에 구비된 제1, 2 기어(35)(36)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서보모터(100)의 고장이 발생하면 타측면에 구비된 예비서보모터(100a)를 연결하여 작업을 바로 실시할 수 있으며 예비서모터(100a)로 연결하여 작업하는 동안 서보모터(100)를 보수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워크를 공정과 공정간의 이송시에 어느 공정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2, 3 캐리어(24)(25)(26)로 이송이 불가능한 특수 상황의 워크는 상기 스윙유닛(27)이 진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3 안착부(24b)(25b)(26b) 및 상기 스윙유닛(27)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1, 2, 3 안착부(24b)(25b)(26b)와 결속부(27c)는 겉면에 워크에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고무재 소재를 상기 제1, 2, 3 안착부(24b)(25b)(26b)와 결속부(27c)는 표면에 부착 또는 상기 제1, 2, 3 안착부(24b)(25b)(26b)와 결속부(27c)를 합성고무재 소재로 사용하여 워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의 일정 구간별로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워크가 진입시 일정구간을 통과하면 리프트(20)가 하강하여 제1, 2, 3, 캐리어(24)(25)(26)에 워크를 안착하여 상승 후, 주행부(30)가 소정거리 전진 후, 리프트(20)가 하강하여 대각 방향으로 하강한다.
즉, 타 공정에서 진입하는 워크를 제1, 2, 3, 캐리어(24)(25)(26)에 안착하여 리프트(20) 하단에 표면이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200)에 안착시킨다.
이때, 하강된 워크는 작업자가 컨베이어 벨트(200)에 설치된 펜스(200a) 바깥면에서 워크의 배선연결 및 이물질 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부(30)가 일정거리 전진하게 되면 리프트(20)가 하강하여 대각 방향으로 하강하는데 있어서, 워크의 파손을 방지하고, 컨베이어 벨트(200)에 워크를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타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에 구비되어 있는 핀(200b)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펜스(200a)와 우레탄재질의 표면에 핀(200b)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40)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200)는 핀(200b)이 컨베이어 벨트(200)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 워크를 컨베이어 벨트(200)로 안착시 주행부(30)와 컨베이어 벨트(200)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함과 동시에 리프트(20)가 하강하면서 핀(200b)에 워크를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켜 파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프레임 11 : 제1 베이스 가이드프레임
11a : 제1 베이스 스토퍼 11b : 제1 베이스 가이드레일
11c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2 : 제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
12a : 제2 베이스 스토퍼 12b : 제2 베이스 가이드레일
12c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13 : 제1 베이스 연결 프레임
13a : 제1 프레임 연결홀 14 : 제2 베이스 연결 프레임
14a : 제2 프레임 연결홀 15 : 베이스 고정 프레임
15a : 체인 가이드 프레임 20 : 리프트
21 :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 21a : 제1 리프트 이송 롤러
21b : 제1 리프트 이송 스토퍼 21c : 제1 체인 연결 홈
22 : 제2 리프트 연결프레임 22a : 제2 리프트 이송 롤러
22b : 제2 리프트 이송 스토퍼 22c : 제2 체인 연결홈
23 : 리프트 프레임 23a : 리프트 가이드
24 : 제1 캐리어 24a : 제1 캐리어 프레임
24b : 제1 안착부 24c : 제1 리미트 스위치
24d : 제1 캐리어 서보모터 25 : 제2 캐리어
25a : 제2 캐리어 프레임 25b : 제2 안착부
25c : 제1 리미트 스위치 25d : 제2 캐리어 서보모터
26 : 제3 캐리어 26a : 제3 캐리어 프레임
26b : 제3 안착부 26c : 제3 리미트 스위치
26d : 제3 캐리어 서보모터 27 : 스윙유닛
27a : 스윙 브라켓 27b : 스윙 힌지핀
27c : 결속부 27d : 리미트 스위치
27e : 스윙 실린더 28 : 체인
28a : 웨이트 28b : 웨이트 스토퍼
28b : 제1 체인 연결부 28c : 제2 체인 연결부
30 : 주행부 31 : 제1 프레임 결합부
31a : 제1 이송모터 32 : 제2 프레임 결합부
32a : 제2 이송모터 33 : 제1 롤러
33a : 제1 메인롤러 33b : 제1 보조롤러
33c : 제1 덮개 33d : 제1 롤러 보호대
33e : 제1 샤프트 34 : 제2 롤러
34a : 제2 메인롤러 34b : 제2 보조롤러
34c : 제2 덮개 34d : 제2 롤러 보호대
34e : 제2 샤프트 35 : 제1 기어
36 : 제2 기어 40 : 지지부
41 : 제1 이송 가이드레일 42 : 제2 이송 가이드레일
43 : 제1 지지 프레임 43a : 제1 지지부 스토퍼
44 : 제2 지지 프레임 44a : 제2 지지부 스토퍼
45 : 제1 랙기어 46 : 제2 랙기어
47 : 제1 케이블 베어 48 : 제2 케이블 베어
100 : 서보모터 100a : 예비서보모터
200 : 컨베이어 벨트 200a : 펜스
200b : 핀

Claims (6)

  1. 워크를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다차종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제1, 2 베이스 스토퍼(11a)(12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 베이스 스토퍼(11a)(12a) 사이에 제1, 2 베이스 가이드레일(11b)(12b)이 위치하며 상단부에 제1, 2 베이스 플레이트(11c)(12c)가 부착되는 사각기둥형상의 제1, 2 베이스 가이드프레임(11)(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베이스 플레이트(11c)(12c)와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는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13)(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2 베이스 연결 프레임(13)(14)에 구비된 제1, 2 프레임 연결홀(13a)(14a)에 각각 볼트체결방식으로 고정되는 베이스 고정 프레임(15)과 상기 베이스 고정 프레임(15) 상단에 체인 가이드 프레임(15a)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에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이 부착되고,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에 리프트 프레임(23)이 고정되며 리프트 가이드(23a)가 부착되어 워크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2, 3 캐리어(24)(25)(26)가 고정되어 있고, 제1 리프트 연결 프레임(21)의 하단에 체인(28)으로 연결된 웨이트(28a)가 결합되고, 상기 웨이트(28a) 하단에 웨이트 스토퍼(28b)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3) 상단 양측에 제1, 2 체인 연결부(28c)(28d)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인 연결부(28c)에 양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보모터(100)와 예비서보모터(100a)로 구성되는 리프트(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이 결합되는 제1, 2 프레임 결합부(31)(32)가 위치하며, 하단에 제1, 2 기어(35)(36)가 구비되어 있는 제1, 2 이송모터(31a)(32a)가 구비되고, 제1, 2 보조롤러(33b)(34b)와 제1, 2 메인롤러(33a)(34a)로 이루어지는 제1, 2 롤러(33)(34)가 구비되는 주행부(30)와;
    상기 제1, 2 롤러(33)(34)가 안착되며 상기 제1, 2 이송모터(31a)(32a) 방향으로 제1, 2 랙기어(45)(46)가 형성되어 있는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이 구비되고, 양측에 제1, 2 지지부 스토퍼(43a)(44a)가 결합되는 제1, 2 지지 프레임(43)(44)이 형성되며 상기 주행부(30)가 전/후진시 선을 정리하는 제1, 2 케이블 베어(47)(48)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리프트 연결 프레임(21)(22)은 상단부에 제1, 2 체인 연결 홈(21c)(22c)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1, 2 리프트 이송 롤러(21a)(22a)와 제1, 2 리프트 이송 스토퍼(21b)(22b)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가이드레일(12)에 결합하여 리프트(2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캐리어(24)(25)는 제1, 2 캐리어(24)(25)를 구동시키는 제1, 2 캐리어 서보모터(24d)(25d), 제1, 2 캐리어 프레임(24a)(25a)과 하단에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진 제1, 2 안착부(24b)(25b)가 구비되고, 상기 제1, 2 안착부(24b)(25b) 측면에 제1, 2 리미트 스위치(24c)(25c)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캐리어(26)는 상기 제1, 2 캐리어(24)(25) 타측단에 위치하며 워크(200)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며 제3 캐리어(26)를 구동시키는 제3 캐리어 서보모터(26d)와 두 개의 제3 캐리어 프레임(26a)과 하단에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제3 안착부(26b)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26b) 측면에 제3 리미트 스위치(26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20)는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로 이송이 불가능한 타 종류의 워크 이송시 스윙 브라켓(27a), 스윙 힌지핀(27b)과 상기 스윙 힌지핀(27b)과 결합되는 스윙 프레임(78b)과 상기 스윙 프레임(27b) 하단에 표면이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진 결속부(27c)와 스윙 리미트 스위치(28d)가 결합되어 스윙 실린더(27e)로 구동하는 스윙유닛(27)이 상기 제1, 2, 3 캐리어(24)(25)(26)와 함께 워크를 이송시키는 스윙유닛(2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롤러(33)(34)는 양측에 상기 제1, 2 메인롤러(33a)(34a)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2 덮개(33c)(34c)와 상기 제1, 2 덮개(33c)(34c)와 연결되며 상기 제1, 2 이송 가이드레일(41)(42) 상에 있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제1, 2 제1, 2 롤러 보호대(33d)(34d)와 중앙에 제1, 2 샤프트(33e)(34e)로 고정하는 제1, 2 롤러(33)(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차종 이송장치.
KR1020130142921A 2013-11-22 2013-11-22 다차종 이송장치 KR10136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21A KR101363637B1 (ko) 2013-11-22 2013-11-22 다차종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21A KR101363637B1 (ko) 2013-11-22 2013-11-22 다차종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637B1 true KR101363637B1 (ko) 2014-02-17

Family

ID=5027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921A KR101363637B1 (ko) 2013-11-22 2013-11-22 다차종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72A (ko) * 2019-02-22 2020-09-0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687A (ko) * 2003-06-11 2004-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부품 이송장치
KR20070014563A (ko) * 2005-07-29 2007-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롭 리프트 장치
KR20090064033A (ko) * 2007-12-14 2009-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트 컨베이어 동기 이재장치
KR20090128840A (ko) * 2008-06-11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플로어 이송용 그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687A (ko) * 2003-06-11 2004-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부품 이송장치
KR20070014563A (ko) * 2005-07-29 2007-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드롭 리프트 장치
KR20090064033A (ko) * 2007-12-14 2009-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트 컨베이어 동기 이재장치
KR20090128840A (ko) * 2008-06-11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플로어 이송용 그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72A (ko) * 2019-02-22 2020-09-0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KR102195581B1 (ko) 2019-02-22 2020-12-29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662B1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EP3508932B1 (en) Vehicle body assembly station
CN209853188U (zh) 带拐角的双层循环线系统
KR101404467B1 (ko) 자동 드릴링 머신
US20140262680A1 (en) Flexible Conveyance System
CN112041112B (zh) 汽车白车身组件的组焊或拼接生产线
JP2011000702A (ja) 工程間フレキシブル自動搬送システム
KR101850379B1 (ko) 기계식 주차 운반기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3637B1 (ko) 다차종 이송장치
JP3627970B2 (ja) ワークの加工組立ライン
JP5421172B2 (ja) 溶接ライン
KR101497030B1 (ko) 전착도장라인용 행거공급/배출장치의 대차 고정장치
KR100763550B1 (ko) 개체별 간헐 이송 및 정지 가능한 파레트 이송장치
CN108946098B (zh) 一种线边夹具工装自动切换装置
KR20150109082A (ko) 자동 리벳팅장치
KR101322487B1 (ko)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CN215035237U (zh) 门体数控加工机
KR100655983B1 (ko) 연료탱크 적재 파렛트의 자동 이송장치 및 그 방법
JP3627969B2 (ja) ワークの加工組立ライン
CN110884543A (zh) 一种周转车及周转车的运动装置
KR20140110143A (ko) 파렛트 크레인
CN219135624U (zh) 行架搬运装置
KR102326861B1 (ko) 복귀 장치 및 방법
CN218478109U (zh) 一种集装箱生产线的输送装置
CN210654960U (zh) 用于总装车的升降装置及循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