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861B1 - 복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861B1
KR102326861B1 KR1020190124738A KR20190124738A KR102326861B1 KR 102326861 B1 KR102326861 B1 KR 102326861B1 KR 1020190124738 A KR1020190124738 A KR 1020190124738A KR 20190124738 A KR20190124738 A KR 20190124738A KR 102326861 B1 KR102326861 B1 KR 10232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retractor
support rod
ro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923A (ko
Inventor
김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24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복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의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와 체결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트랙에 연결되는 트랙 지지부를 포함하여, 트랙이 설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경우, 복귀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을 정확한 위치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tur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위치를 이탈한 중량물을 정확한 위치에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 복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연주공장에서 제조되는 주편은 절단장치(Torch Cutting Machine, TCM)에서 절단된 후, 롤러 테이블(Roller table)로 인출된다. 롤러 테이블로 인출된 주편은 롤러 테이블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편을 이송할 수 있는 이송 설비에 의해 마킹 장치로 이송되고, 마킹 장치에서 고유 번호가 인쇄되면 후속 롤러 테이블을 통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 설비는 롤러 테이블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선로 테이블과, 선로 테이블 상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차(Cross transfer Car)를 포함할 수 있다. 선로 테이블은 이동차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트랙과, 트랙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트랙은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와 맞물려져 가이드 상에서 이동차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조업 시스템 에러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여, 절단장치에서 절단된 주편이 롤러 테이블로 비정상적으로 인출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 테이블로 인출된 주편이 이동차에 안착된 주편이나 트랙에 충돌하여, 트랙이 가이드에서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트랙이 가이드에서 이탈하게 되면, 주편의 이송을 중단하고 트랙을 신속하게 복귀시켜야 한다. 그러나 트랙은 길고 무거운 중량물이기 때문에 핸들링하기 어렵고, 특히 트랙을 가이드의 정확한 위치에 맞물려지게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트랙을 복귀시키는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편 이송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트랙을 복귀시키는 모든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260061 B KR 10-2004-0059199 A
본 발명은 설치 위치에서 이탈한 중량물을 정확한 위치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복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복귀 장치는, 트랙을 복귀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트랙의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와 체결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트랙에 연결되는 트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지지부는, 상기 견인기의 후크와 체결 가능한 체결구가 형성되는 트랙 지지체; 및 상기 트랙 지지체를 상기 트랙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트랙 지지체는 상기 트랙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랙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트랙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지지체는, 상기 복수의 트랙 몸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트랙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랙 지지로드; 및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트랙 지지로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상기 체결 로드는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되고, 상기 트랙 지지로드는 상기 트랙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트랙 지지로드의 연결부위에 상기 트랙 지지로드의 회전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범위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랙 지지로드는 상기 트랙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체결 로드는 상기 트랙 지지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로드와 상기 트랙 지지로드의 연결부위에 상기 체결 로드의 회전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 범위 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결 로드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한 안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기와 상기 트랙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 지지부는 상기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견인기와 하나 이상의 트랙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복귀 방법은,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트랙이 정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트랙에 연결된 복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 견인기와 상기 복귀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견인기로 상기 복귀 장치를 견인하여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 및 상기 상승된 트랙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의 복수의 지점에 복귀 장치가 미리 연결된 트랙을 마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트랙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트랙에 상기 복귀 장치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은, 상기 견인기와 복수 개의 복귀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 경로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시키는 과정은, 상기 트랙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트랙을 정위치의 상부에 배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트랙을 정위치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량물이 설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경우, 중량물에 설치된 복귀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정확한 위치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주편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의 트랙이 가이드에서 이탈하는 경우, 트랙에 설치된 복귀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을 설치 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랙을 복귀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설비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설비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설비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 설비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이송 설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의 트랙 지지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의 트랙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을 복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귀 장치는 설치 위치를 이탈한 중량물을 정확한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편을 이송하는 이송 설비의 트랙을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귀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을 설치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귀 장치를, 절단 장치에서 인출된 주편을 주편의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마킹 장치를 거쳐 후속 공정인 정정 공정으로 보내는 주편 이송 설비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설비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 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 설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A-A' 및 선B-B'에 따른 이송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설비는, 피처리물, 예컨대 주편(S)을 제1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부(100)와, 주편(S)을 제1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부(200) 및 제2이송부(200)에 구비되는 복귀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방향(X)은 주편(S)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방향(Y)은 주편(S)의 폭 방향을 의미하며, 제3방향(Z)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이송부(100)는 주편(S)을 제1방향, 즉 주편(S)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1이송부(100)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 테이블(111~118, 111a~118a, 121~12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롤러 테이블(111~118, 111a~118a, 121~128)은 복수의 행을 형성하며 복수의 롤러 테이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이송부(100)는 절단 장치의 런 아웃 롤러 테이블(10)에서 인출된 주편(S)을 이송하는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과, 마킹 장치(130)에서 주편(S)에 마킹을 수행한 다음, 후속 정정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후속 롤러 테이블(20)로 이송하는 제2롤러 테이블 그룹(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행, 예컨대 2개의 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의 일측, 예컨대 주편(S)의 이송 방향으로 최전방에는 주편(S)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119, 119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과 제2롤러 테이블 그룹(120)은 주편(S)을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할 수도 있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송할 수도 있다.
제2이송부(200)는 제1이송부(100)에서 이송되는 주편(S)을 제2방향, 즉 주편(S)의 폭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이송부(200)는 주편(S)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 테이블(210, 220, 230)과, 상부에 주편(S)을 안착시킬 수 있고 선로 테이블(210, 220, 23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차(240) 및 선로 테이블(210, 220, 230)을 제3방향(Z),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로 테이블(210, 220, 230)과, 이동차(240) 및 구동부(250)는 하나의 선로 테이블 그룹을 이루며, 이러한 선로 테이블 그룹은 제1방향으로 복수개, 예컨대 4가 구비될 수 있다. 선로 테이블 그룹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송부(1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동차(240)의 상부에 주편(S)을 안착시킨 상태로 제2방향(Y)으로 이송할 수 있다.
선로 테이블(210, 220, 230)은 주편(S)의 이동 방향, 즉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트랙(220)과, 트랙(220)의 하부에 구비되고 트랙(2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210)와, 이동차(24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트랙(220)에 구비되는 주행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10)는 트랙(220)을 지지하고, 트랙(2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210)는 가이드 롤(214)과, 가이드 롤(214)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롤(214)은 가이드 롤 몸체(214a)와, 가이드 롤 몸체(214a)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214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4b)는 트랙(220)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려지게 하기 위한 구성(도 5의 (a) 참조)으로, 여기에서는 가이드 롤 몸체(214a)에 돌기(214b)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가이드 롤 몸체(214a)에 트랙(220)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홈(미도시)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 롤(214)은 제2방향으로 트랙(22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방향(Y)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트랙(220)은 서로 마주보는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214)은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22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2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210)는 일방향 또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트랙(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2방향(Y)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트랙(220)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트랙 몸체, 예컨대 제1트랙 몸체(222)와 제1트랙 몸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는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는 연결 프레임(22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트랙 몸체(222)는 일방향, 예컨대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트랙 몸체(222)에는 가이드(210)와 접촉 가능한 제1돌출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2a)는 제1트랙 몸체(22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2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방향으로 4개의 가이드(210)가 설치된 경우, 제1트랙 몸체(222)에는 4개의 제1돌출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2a)는 제1트랙 몸체(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제1트랙 몸체(22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돌출부(222a)는 가이드 롤(214)과 접촉하는 저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돌출부(222a)에는 가이드 롤 몸체(214a)에 형성된 돌기(214b)를 삽입시키기 위한 가이드 홈(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홈(222b)은 제1돌출부(222a)가 연장되는 방향, 즉 경사면을 따라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트랙 몸체(224)는 일방향, 예컨대 제2방향(Y)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트랙 몸체(224)에는 가이드(210)와 접촉 가능한 제2돌출부(224a)가 형성되고, 제2돌출부(224a)의 저면에는 가이드 홈(224b)이형성될 수 있다. 제2트랙 몸체(224)는 제1트랙 몸체(222)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트랙 몸체(222)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트랙 몸체(22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는 연결 프레임(22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228)은 제2방향(Y)으로 복수의 지점에서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228)은 이동차(240)의 주행 레일(230)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228)은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의 내면에 연결될 수도 있고,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의 하부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주행 레일(230)은 연결 프레임(228) 상부에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주행 레일(230)은 연결 프레임(228)에 고정 설치되어, 트랙(220)과 주행 레일(230)은 하나의 구조체 또는 조립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차(240)는 주행 레일(230) 상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그 상부에 주편(S)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동차(240) 이동방향으로 이동차(240)의 양쪽에는 케이블(242)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케이블(242)은 이동차(240)의 이동방향으로 트랙(220)의 양쪽에 설치되는 드럼(미도시)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242)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이동차(240)가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동차(240)가 케이블(240)과 드럼에 의해 주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동차(240) 자체에 주행을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부(250)는 제2방향(Y)으로 선로 테이블(210, 220, 230)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50)는 선로 테이블(210, 220, 230)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2지지대(252)와, 트랙(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기(254)와, 구동기(254)와 트랙(220)을 연결하고 직선 운동 가능한 구동축(25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기(254)는 링크(251)을 통해 제2지지대(25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구동축(256)은 힌지 등을 통해 트랙(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구동기(254)를 동작시키면 구동축(256)이 신장 또는 수축하여 트랙(2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트랙(220)이 가이드(210) 상에서 제2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트랙(220)의 제1돌출부(222a) 및 제2돌출부(224a)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트랙(220)이 가이드 롤(214) 상에서 대각 이동 또는 비스듬하게 이동하며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즉, 트랙(220)은 구동축(256)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돌출부(222a) 및 제2돌출부(224a)의 저면에 형성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경사면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2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제1이송부(100)의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에 의해 이송된 주편(S)을 이동차(240)에 안착시키거나, 이동차(240)에 안착되어 있는 주편(S)을 제2롤러 테이블 그룹(120)의 롤러 테이블(121~128)에 안착시킬 수 있다.
제1이송부(100)의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 또는 제2롤러 테이블 그룹(120)를 통해 주편(S)을 이송하는 동안, 트랙(220)의 상부면 또는 이동차(240)의 상부면은 롤러 테이블(111~118, 111a~118a, 121~128)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에 의해 이송된 주편(S)을 이동차(240)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에는, 트랙(22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승시켜 제1롤러 테이블 그룹(110, 110a)에 안착된 주편(S)을 이동차(240) 상부로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차(240)를 이용하여 주편(S)을 이송하는 경우에도, 트랙(220)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여, 트랙(220)의 상부면 또는 이동차(240)의 상부면은 롤러 테이블(111~118, 111a~118a, 121~128)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차(240)에 의해 주편(S)의 이송이 완료되면, 트랙(220)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강시켜, 이동차(240) 상부의 주편(S)을 제2롤러 테이블 그룹(12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220)은 가이드(210) 상부에 안착되어 제2방향(Y)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220)이 상승했을 때 절단 장치에서 절단된 주편(S1)이 제1이송부(100)로 비정상적으로 진입하는 경우, 비정상적으로 진입한 주편(S1)이 이동차(240) 상부에 안착된 주편(S)이나 트랙(220)에 충돌하여 트랙(220)이 가이드(210)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복귀 장치(300)는 이와 같이 가이드(210)에서 이탈한 트랙(220)을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 설비의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500, 도 9 참조), 예컨대 크레인과 트랙(220)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의 트랙 지지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귀 장치(300)는 트랙(22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500)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트랙(220)에 연결되는 트랙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 지지부(300)는 트랙 지지체(310) 및 트랙 지지체(310)를 트랙(220)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 지지체(310)는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랙 지지로드(312)와, 트랙 지지로드(31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에 연결되는 체결로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랙 지지로드(312)는 제1트랙 몸체(222)와 제2트랙 몸체(224)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는 제1방향(X) 또는 트랙(220)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트랙(220)을 가로지르며 트랙(2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트랙 지지체(310)는 트랙(220)을 복귀시킬 때 트랙(220)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트랙 지지체(310)는 트랙(220)의 저부에서 트랙(2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트랙(220)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랙(220)에 연결되는 트랙 지지로드(312)의 길이는 적어도 트랙(220)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도 5의 (b) 참조).
그리고 체결 로드(314)는 견인기(500)와 직접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견인기(500)와의 연결을 위해 체결 로드(314)의 단부에는 체결구(3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견인기(500)는 후크(510)가 연결된 견인기 와이어(520)를 포함할 수 있고, 체결 로드(314)는 후크(5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로드(314)는 견인기(500)를 이용하여 트랙(220)을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에 연결되는 것이 좋으며, 트랙 지지로드(312)와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로드(314)는 견인기(500)의 후크(510)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길이, 예컨대 적어도 일부가 주행 레일(230) 상부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 또는 트랙(22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트랙(2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트랙 지지로드(312)에 한 개의 체결 로드(314)를 연결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주행 레일(2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트랙 지지로드(312)에는 한 개 이상,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체결 로드(314)를 연결할 수도 있다.
트랙 지지체(310)는 고정부재(320)를 이용하여 트랙(2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트랙 지지로드(312)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323)가 형성되는 브라켓(322)과, 브라켓(322)을 트랙(2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구(323)는 트랙 지지로드(312)가 삽입구(323)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랙 지지로드(312)가 삽입구(323)에서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랙 지지로드(3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트랙 지지로드(312)의 단부에 이탈방지부재(326)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견인기(500)의 후크(510)를 트랙 지지체(310)에 연결하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또는 별도의 치구를 이용하여 트랙 지지체(310)를 회전시킴으로써 체결 로드(314)를 상승시켜 상하방향으로 배치해야 한다. 이 경우, 트랙 지지로드(312)가 고정부재(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트랙 지지체(310)가 고정부재(320)의 삽입구(323) 내에서 회전하여 체결 로드(314)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체결 로드(314)가 견인기(500)의 후크(510)와 연결하기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의 회전 범위를 조절 또는 제한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와 고정부재(3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트랙 지지로드(312)가 일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의 외주면과 브라켓(322)의 삽입구(323)에 요철 구조 등과 같은 회전 범위 조절부재(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의 트랙 지지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랙 지지부(300')는 트랙 지지로드(312')와 트랙 지지로드(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체결 로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랙 지지로드(312')는 고정부재(320)에 의해 트랙(220)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체결 로드(314')는 트랙 지지로드(3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트랙(220)이 가이드(210)에서 이탈하는 경우, 트랙 지지부(300')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체결 로드(314')만 회전시켜 견인기(500)의 후크(5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체결 로드(314')와 트랙 지지로드(312')는 체결 로드(31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로드(314')가 일정 각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트랙 지지로드(312')와 체결 로드(314')의 연결 부위에 요철 구조 등과 같은 회전 범위 조절부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체결 로드(314)를 회전시켜 견인기(500)의 후크(510)와 연결하기 위한 위치로 상승시킨 경우, 체결 로드(314)가 회전 범위 조절부재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상승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트랙 지지체(310)는 트랙(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체결 로드(314)의 하중에 의해 트랙 지지체(310)가 회전하여, 체결 로드(314)가 트랙(22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로드(314)가 다른 설비와 충돌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트랙(220)에 안착 프레임(330)을 설치하여 체결 로드(314)를 안착 프레임(33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안착 프레임(330)은 이동차(240)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 프레임(330)은 트랙 지지로드(312)와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안착 프레임(330)과 트랙 지지로드(312)의 이격 거리는 체결 로드(314)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트랙(220)이 가이드 롤(214)의 돌기(214b)에서 이탈하는 경우, 트랙 지지체(310)와 견인기(5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트랙(220)에 설치된 트랙 지지체(310)를 회전시켜 체결 로드(314)를 상승시키고, 견인기(500)의 후크(510)를 체결 로드(314)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트랙(220)을 상승시킨 다음, 견인기(500)를 이용하여 트랙(2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랙(220)의 가이드 홈(222b, 224b)을 가이드 롤(214)의 돌기(214b)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홈(222b, 224b)과 돌기(214b)를 나란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견인기(500)를 이용하여 트랙(220)을 하강시킴으로써 가이드 홈(222b, 224b)과 돌기(214b)를 맞물려지게 하여 트랙(220)의 위치를 정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귀 장치(300)는 트랙(2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트랙(220)은 이동차(24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지점에서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복귀 장치(300)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 트랙(220)이 특정 가이드(210)에서 이탈한 경우, 해당 위치에서 트랙(220)을 정위치에 효율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동차(240)의 이동 방향으로 트랙(220)을 세 개의 구간으로 구분한 다음, 각각의 구간마다 두 개의 복귀 장치(300)를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여 총 여섯 개의 복귀 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트랙(220)을 안정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별도의 체결부(400)를 이용하여 견인기(500)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귀 장치(3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부(400)는 지그(410)와, 지그(410)와 견인기(500)를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재(420) 및 지그(410)와 트랙 지지부(300)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410)는 지그 몸체(412)와, 제1연결부재(420)룰 연결하기 위해 지그 몸체(412)에 형성되는 제1클램프(414), 제2연결부재(430)를 연결하기 위해 지그 몸체(412)에 형성되는 제2클램프(416)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 몸체(412)는 적어도 두 개의 트랙 지지체(310), 예컨대 인접하게 설치된 두 개의 트랙 지지체(3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그 몸체(412)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클램프(414)는 견인기(500)의 후크(510)와 체결하기 위한 제1연결부재(42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클램프(414)는 지그 몸체(412)의 상부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클램프(414)는 지그 몸체(412)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클램프(414)는 지그 몸체(412)의 폭방향으로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클램프(416)는 제1클램프(414)보다 낮은 위치에 지그 몸체(412)의 양쪽 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클램프(416)는 지그 몸체(412)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지그 몸체(412)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420)는 제1클램프(414)에 연결될 수 있고, 체인, 와이어, 로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430)는 제2클램프(416)에 연결될 수 있고, 제1연결부재(420)와 같이 체인, 와이어, 로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재(430)에는 체결 로드(314)의 체결구(316)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 샤클 등과 같은 체결부재(440)가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트랙(220)이 가이드(210)에서 이탈한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평상시에는 별도로 마련된 거치대(450, 도 14 참조)에 거치하였다가 트랙(220)이 가이드(210)에서 이탈하면, 견인기(500)의 후크(510)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지그 몸체(412)에는 거치대(450)에 거치를 위한 지지블록(4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귀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을 복귀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 복귀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을 복귀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귀 방법은,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트랙(220)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과, 트랙(220)이 정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트랙(220)에 연결된 복귀 장치(300)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과, 견인기(500)와 복귀 장치(300)를 연결하고, 견인기(500)로 복귀 장치(300)를 견인하여 트랙(220)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 및 상승된 트랙(220)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복귀 장치(300)는 트랙(220)이 정위치를 이탈하기 이전, 즉 트랙(220)의 가이드 홈(222b, 224b)이 가이드 롤(214)의 돌기(2 14b)에서 이탈하기 이전에 트랙(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귀 장치(300)는 트랙(220)의 저면에서 트랙(2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220)에 복귀 장치(300)에 연결해놓으면, 트랙(220)이 가이드 롤(214)의 정위치에서 이탈한 경우, 견인기(500)에 트랙(220)을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트랙(220)은 이동차(240)의 이동 경로의 복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절단 장치에서 비정상적으로 인출되는 주편(S1)이 이동차(240)에 안착된 주편(S)에 충돌하여 트랙(220)의 가이드 홈(222b, 224b)이 가이드 롤(214)의 돌기(214b)에서 이탈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트랙(220)은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22b, 224b)이 가이드 롤(214)에 형성된 돌기(214b)에 맞물려져 있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돌기(214b)에서 비교적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랙(220)은 돌기(214b)에서 이탈하여 가이드 롤 몸체(214a)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220)이 가이드(210)에서 이탈한 상태가 확인되면, 트랙(220)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견인기(500)에 연결된 후크(51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후크(510)에 체결부(400)의 제1연결부재(420)를 연결하면,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체결부(400)를 상승시킨다. 이후,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트랙(220)이 이탈한 위치로 체결부(400)를 이동시킨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별도의 치구 등의 보조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트랙(220)이 이탈한 위치에서 인접한 곳에 설치된 트랙 지지부(300)를 회전시켜 체결 로드(314)를 상승시킨다. 이때, 인접하게 설치된 두 개의 트랙 지지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두 개의 체결 로드(314)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체결부(400)를 하강시킨 다음, 체결부재(44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체결 로드(314)와 두 개의 제2연결부재(430)를 서로 연결하여 견인기(500)와 트랙 지지부(300)를 연결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체결부(400)를 상승시켜 체결부(400)와 연결된 트랙 지지부(300)와 트랙(22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트랙(220)은 트랙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승하여 가이드 롤(214) 상부에서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220)이 상승하면 견인기(500)를 동작시켜 트랙(220)의 가이드 홈(222b, 224b)이 가이드 롤(214)의 돌기(214b)에 상부에 배치되도록 트랙(22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트랙(220)의 가이드 홈(222b, 224b)이 가이드 롤(214)의 돌기(214b) 상부에 배치되면, 견인기(500)를 통해 트랙(220)을 하강시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222b, 224b)에 가이드 롤(214)의 돌기(214b)를 삽입시킴으로써 트랙(220)의 위치를 정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트랙(220)의 위치가 정위치로 복귀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로드(314)에서 제2연결부재(430)를 분리시키고, 트랙 지지부(300)를 회전시켜 안착 프레임(330)에 체결 로드(314)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체결부(400)는 견인기(500)를 이용하여 별도로 마련된 거치대(450)로 이송하여 안착시킨 다음, 체결부(400)를 견인기(500)로부터 분리한다.
여기에서는 체결부(400)를 이용하여 견인기(500)와 두 개의 트랙 지지부(3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견인기(500)의 후크(510)와 트랙 지지부(300)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견인기(500)의 후크(510)와 한 개의 트랙 지지부(3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이송부 200: 제2이송부
210: 가이드 220: 트랙
230: 주행 레일 240: 이동차
250: 구동부 300: 복귀 장치
310: 트랙 지지부 312: 트랙 지지로드
314: 체결 로드 316: 체결구
320: 고정부재 400: 체결부
410: 지그 420: 제1연결부재
430: 제2연결부재 440: 체결 부재
500: 견인기 510: 후크

Claims (16)

  1.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트랙 몸체를 포함하는 트랙을 복귀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트랙의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와 체결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트랙에 연결되는 트랙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지지부는,
    상기 트랙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랙 지지로드 및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트랙 지지로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로드를 포함하는 트랙 지지체; 및
    상기 체결 로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트랙 지지로드를 상기 트랙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복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상기 체결 로드는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되는 복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로드의 회전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트랙 지지로드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회전 범위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복귀 장치.
  4.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트랙 몸체를 포함하는 트랙을 복귀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트랙의 상부에 구비되는 견인기와 체결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트랙에 연결되는 트랙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 지지부는,
    상기 트랙 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랙 지지로드 및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트랙 지지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로드를 포함하는 트랙 지지체; 및
    상기 트랙 지지로드를 상기 트랙 몸체에 고정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복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 로드의 회전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체결 로드와 상기 트랙 지지로드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회전 범위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복귀 장치.
  6.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체결 로드는 상기 견인기의 후크와 체결 가능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복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트랙 지지체는 상기 트랙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귀 장치.
  8.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체결 로드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한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복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로드와 상기 안착 프레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체결 로드의 길이보다 짧은 복귀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견인기와 상기 트랙 지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복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부는 상기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견인기와 하나 이상의 트랙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복귀 장치.
  12.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복귀 장치가 미리 연결된 트랙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트랙이 정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복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
    견인기와 상기 복귀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견인기로 상기 복귀 장치를 견인하여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 및
    상기 상승된 트랙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은 상기 트랙에 연결된 상기 복귀 장치의 일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트랙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 경로의 복수의 지점에 복귀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귀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트랙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트랙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트랙에 상기 복귀 장치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귀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은,
    상기 견인기와 복수 개의 복귀 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 경로의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트랙의 적어도 일부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귀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귀시키는 과정은,
    상기 트랙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트랙을 정위치의 상부에 배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트랙을 정위치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복귀 방법.
KR1020190124738A 2019-10-08 2019-10-08 복귀 장치 및 방법 KR10232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738A KR102326861B1 (ko) 2019-10-08 2019-10-08 복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738A KR102326861B1 (ko) 2019-10-08 2019-10-08 복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23A KR20210041923A (ko) 2021-04-16
KR102326861B1 true KR102326861B1 (ko) 2021-11-16

Family

ID=7574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738A KR102326861B1 (ko) 2019-10-08 2019-10-08 복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288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KR100956951B1 (ko) 2002-12-28 2010-05-12 주식회사 포스코 탈선 시티카 자동복구장치
KR101260061B1 (ko) * 2011-06-08 2013-04-30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 트랙 복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23A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6352B (zh) 用于乘客传送机的桁架构造
JP5376146B2 (ja) 乗客コンベア
EP2689889B1 (en) Machine tool system
WO2010098241A1 (ja) 反転装置
JP4858822B2 (ja) 建屋の鉄骨構築方法
JP4549286B2 (ja) 搬送台車
DE60318604T2 (d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KR102326861B1 (ko) 복귀 장치 및 방법
US20190100419A1 (en) Elevator machine lifting assembly
CN108584801B (zh) 四自由度辅助安装平台
EP1559642B1 (en) Method of assembling motor vehicle body
EP0404038B1 (en) Line system for maintaining and repairing car bodies
JP6489047B2 (ja) 物品搬送装置
KR2017000139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철제 거푸집
KR20110002104U (ko)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장치
KR101770230B1 (ko) 폼 트래블러
KR102126558B1 (ko) 크레인의 새들 조립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레인 세팅 및 검사방법
CN110901849B (zh) 夹持位置可调的夹持小车、翻身设备及夹持对准方法
KR101260061B1 (ko) 이송 트랙 복구 장치
CN209737967U (zh) 一种预应力轨道板的放张装置
CN110733821A (zh) 一种堆垛机及其天轨导向装置
KR101363637B1 (ko) 다차종 이송장치
KR101910834B1 (ko) 이동식 교량 작업용 비계
KR102580297B1 (ko) 작업자의 탑승이 가능하고 교축방향의 주행이 가능한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
KR100935603B1 (ko) 프리캐스트부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부재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