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288A -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288A
KR20040047288A KR1020020075443A KR20020075443A KR20040047288A KR 20040047288 A KR20040047288 A KR 20040047288A KR 1020020075443 A KR1020020075443 A KR 1020020075443A KR 20020075443 A KR20020075443 A KR 20020075443A KR 20040047288 A KR20040047288 A KR 2004004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rame
moving
ladle
spat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완
장광일
정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288A/ko
Publication of KR2004004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2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동장치와 오픈 래들의 경동고리와의 미결합에 의한 작업지연 방지하고, 오픈 래들 대차와 경동 호이스트와의 충돌로 설비 변형 및 파손을 차단하기 위한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후크가 달린 호이스트를 안착 시켜주는 후크 보조대와, 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 보조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과, 이의 하부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후크보조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전후진 되는 사이 보강대와, 상기 사이 보강대와 상기 이동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주걱받이 상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픈 래들을 경동시키는데 자동 장착 상승시킴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슬래그 배재 시간이 확보되어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자동으로 작업을 처리하므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상당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APPARATUS WITH MEANS FOR INSERTING THE HOOK INTO THE LOOP OF LADL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 래들 경동작업시 발생되는 경동장치와 오픈 래들의 경동고리와의 미결합에 의한 작업지연 방지하고, 오픈 래들 대차와 경동 호이스트와의 충돌로 설비 변형 및 파손을 차단하기 위한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선 오픈 래들(1) 내에는 고로에서 출선 작업중에 형성된 슬래그(2)나 예비처리 작업후 발생된 슬래그(2)가 용선(1) 표층에 존재하게 되며 각각의 슬래그(2)는 배재 장치에 의하여 용선 오픈 래들(1)에서 경동되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슬래그 제거 작업은 상기 용선 오픈 래들(1)의 일측에 구비된호이스트(7)에 부착된 후크(6)가 경동고리(5)에 장착이 되고, 그 다음 상기 호이스트(7)를 상승하여 상기 용선 오픈 래들(1)을 들어올리게 된다.
그런데, 용선 오픈 래들 경동을 위해 보조후크를 오픈 래들 경동고리에 맞추는 과정에서 예비처리 작업중 발생된 분출 슬래그가 오픈 래들 대차에 응착되어 경동고리와 보조 후크의 장착을 방해하고 작업자가 현장에 비치된 지레대등을 이용하여 후크에 부착된 지금제거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 작업시간 지연되고 용선온도 하락은 물론 용선래들 상부에 부착된 슬래그와 지금이 낙하하여 하부 작업자의 안전 재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성 향상과 용선 온도 하락 방지 및 작업자 안전향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호이스트와 경동고리 장착시 자동으로 안전하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용선 래들 경동고리를 장착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의 상,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의 이동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중 주걱받이 상승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중 주걱받이 상승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중 주걱받이 상승부가 상승완료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중 주걱받이 상승부재의 승하강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용선 오픈 래들 7:호이스트
5:경동고리 6:후크
9:롤러 10:좌우이동 실린더
13:회전 로드바 15:전후진 실린더
17:후크보조대 19:사이 보강대
30:이동 프레임 22:주걱받이 상승부재
23,24:상,하부 프레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후크가 달린 호이스트를 안착 시켜주는 후크 보조대와, 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 보조대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이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후크 보조대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실린더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과, 이의 하부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과, 이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좌우이동 실린더와, 상기 후크보조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전후진 되는 사이 보강대와, 상기 사이 보강대와 상기 이동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주걱받이 상승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의 일측에는 좌우 양쪽으로 구비된 상기 이동프레임과, 이의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회전로드바와, 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 보강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의 타측은 후크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걱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후크보조대와, 이동프레임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는 용선 오픈 래들(1)의 경동고리(5) 일측 상부에 위치하여 후크(6)가 부착된 호이스트(7)를 안착시키는 후크 보조대(17)로 구비되고, 상기 후크 보조대(17)는 상기 호이스트(7)가 하강될 때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마름모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후크 보조대(17)의 하부에는 상기 후크 보조대(17)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23)이 구비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23)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 보조대(17)를 이동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5)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3)의 양측 내부에는 상기 후크 보조대(17)를 원활히 이동시키는 이동롤러(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3)의 하부에는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30)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30)의 양측에는 하부 프레임(23)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30)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3)의 양측 내부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30)의 이동을 원할히 하는 이동롤러(9)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후크 보조대(17)의 하부에는 전후진 이동 가능한 사이 보강대(19)가 구비되고, 상기 사이 보강대(19)이 일측에는 한쌍의 연결부재(40)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40)와 상기 사이 보강대(19)가 겹치는 부분은 경동 베어링(2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40)의 상부에는 한쌍의 회전로드바(13)가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로드바(13)의 양측에는 이동 프레임(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사이 보강대(19)의 이동으로 승하강 되는 주걱받이 상승부재(22)가 구비되고,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22)의 일측은 상기 후크(6)가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걱모양으로 되어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에서 상기 호이스트(7)를 경동고리(5) 자동 장착 장치에 있는 후크 보조대(17)에 내려 놓는다.
상기 후크 보조대(17)에 상기 호이스트(7)가 내려지면 좌우이동 실린더(10)를 이용하여 용선 래들 경동고리(5)와 위치를 센터에 맞게 고정시키고 그 센터에오면 경동고리(5) 부위로 전후진 이동 장치를 전후진 실린더(23)를 이용하여 전진 하게된다.
한편, 상기 좌우이동 실린더(10)가 상기 이동 프레임(30)을 경동고리(5)에 맞추고,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보조대(17)가 상기 전후진 실린더(15)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 상기 후크보조대(17)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사이보조대(19)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어서, 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40)와 상기 회전로드바(13)가 회전하여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22)를 상승시키고, 이로인해 상기 경동고리(5)가 밖으로 밀려 나가면서 상기 호이스트 후크(6)와 상기 경동고리(5)가 자동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22) 상승하는 동안 전후진 장치를 원 상태로 후진하게 되면 관절부가 서서히 회전 하강을 시작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는 오픈 래들을 경동시키는데 자동 장착 상승시킴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슬래그 배재 시간이 확보되어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자동으로 작업을 처리하므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상당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후크(6)가 달린 호이스트(7)를 안착 시켜주는 후크 보조대(17)와, 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 보조대(17)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23)과, 이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후크 보조대(17)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실린더(15)와, 상기 상부 프레임(23)의 하부에 위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30)과, 이의 하부에 상기 이동 프레임(3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24)과, 이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24)을 이동시키는 좌우이동 실린더(10)와, 상기 후크보조대(17)의 하부에 연결되어 전후진 되는 사이 보강대(19)와, 상기 사이 보강대(19)와 상기 이동 프레임(30) 사이에 연결되어 승하강되는 한쌍의 주걱받이 상승부재(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22)의 일측에는 좌우 양쪽으로 구비된 상기 이동프레임(30)과, 이의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22)를 승하강시키는 회전로드바(13)와, 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 보강대(19)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0)로 구비되고, 상기 주걱받이 상승부재(22)의 타측은 후크(6)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주걱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프레임(23,24)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후크보조대(17)와, 이동프레임(30)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롤러(16,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장치.
KR1020020075443A 2002-11-29 2002-11-29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KR20040047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43A KR20040047288A (ko) 2002-11-29 2002-11-29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443A KR20040047288A (ko) 2002-11-29 2002-11-29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288A true KR20040047288A (ko) 2004-06-05

Family

ID=3734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443A KR20040047288A (ko) 2002-11-29 2002-11-29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2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88B1 (ko) * 2007-03-28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래들 경동고리의 위치조정장치
KR101642813B1 (ko) * 2015-05-06 2016-07-26 (주)케이원메탈 마그네슘 접종 누락 방지 시스템
KR20210041923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포스코 복귀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88B1 (ko) * 2007-03-28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래들 경동고리의 위치조정장치
KR101642813B1 (ko) * 2015-05-06 2016-07-26 (주)케이원메탈 마그네슘 접종 누락 방지 시스템
KR20210041923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포스코 복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66593B2 (ja) 鋳造装置
KR20040047288A (ko) 용선 오픈 래들 자동 장착 장치
CA1104789A (en) Dummy bar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JPH0871739A (ja) 溶融金属の滓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51876B1 (ko) 레이들의 탑렌스 투입장치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CN217044568U (zh) 一种机器人浇铸生产线
JP3784737B2 (ja) 打抜き機を有する取鍋補修台車
US3995344A (en) Low profile soaking pit machine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100825611B1 (ko) 연속주조기의 믹스드 밴드 자동 투입장치
JP2005254257A (ja) 連続鋳造機のロングノズル着脱装置
JP2000234869A (ja) 耐火物解体装置
JP2004344943A (ja) 低圧鋳造機
JPS6145974Y2 (ko)
KR100782723B1 (ko) 빌레트 제조용 더미바 헤드 크롭 자동분리장치
JP3674331B2 (ja) 加熱炉扉の取替方法および装置
KR100711491B1 (ko) 용선래들의 슬래그 배재용 경동장치
JPH089091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の熱間リサイクル使用方法および装置
JP3719034B2 (ja) 電気炉の出鋼口異物除去装置
JPS6117895A (ja) 溶滓掻出装置
KR200222938Y1 (ko) 슬래브의 회전장치
JPH06190542A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耐火物保持用ハンド
JPH05200504A (ja) 連続鋳造タンディッシュのストッパーの支持、着脱装置
KR0146801B1 (ko) 슬라브 절단설 자동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