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061B1 - 이송 트랙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 트랙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061B1
KR101260061B1 KR1020110055135A KR20110055135A KR101260061B1 KR 101260061 B1 KR101260061 B1 KR 101260061B1 KR 1020110055135 A KR1020110055135 A KR 1020110055135A KR 20110055135 A KR20110055135 A KR 20110055135A KR 101260061 B1 KR101260061 B1 KR 101260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hook
wire rope
suppor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117A (ko
Inventor
김의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5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0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1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placing rails; Moving rails placed on sleepers in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차(Cross transfer Car)에 의한 슬라브 이송 중에 슬라브와 이송차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이송 트랙의 이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트랙 지지면이 형성된 트랙 지지 후크부;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의 중앙에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와이어 로프 체결홀이 형성된 후크 써포트부; 상기 와이어 로프 체결홀에 체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 양단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트랙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송 트랙 복구 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transfer track}
본 발명은 이송 트랙 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차(Cross transfer Car)에 의한 슬라브 이송 중에 슬라브와 이송차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이송 트랙의 이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라브는 토치 커팅 머신(Torch Cutting Machine)에서 전단된 후 연주 이송 롤러 테이블에서 인출된다. 연주 이송 롤러 테이블에서 인출 완료된 슬라브는 이송차(Cross transfer Car, 10)에 의해 후속 이송 롤러 테이블로 이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도입된 슬라브(S)는 다수개의 이송차(10) 상에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슬라브는 상방향으로 이송되어 마킹 장치(20) 전단에 위치된다. 마킹 장치(20)가 슬라브 절단면에 이송된 슬라브의 고유 번호를 마킹하면 슬라브(S)는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일반적으로,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 슬라브는 코일의 소재로 공급되거나, 반제품 슬라브로 판매된다. 이렇게 이송차(10)에 의한 슬라브 이송 작업은 조업 시스템의 에러 및 오동작이 없어야 설비 트러블없이 원활한 물류 흐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조업 시스템의 에러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면 슬라브(S)가 비정상적으로 이송 롤러 테이블에 진입하여 도 1에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와 이송차(10)가 충돌하고, 이로 인해 이송 트랙(30)이 이탈하는 트랙 이탈 사고가 발생한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가이드 롤(31)에 끼워진 이송 트랙(30)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가이드 롤(3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 가이드 롤(31)에서 이송 트랙(30)이 이탈되면 이송차(10)에 의한 슬라브(S) 이송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송 트랙(30)을 다시 원위치로 복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거운 중량의 이송 트랙 복구용 와이어 로프(40)를 이탈된 이송 트랙의 하부에 끼운 뒤, 천정 크레인(60)의 호이스트 후크(50)에 와이어 로프(40)를 체결한 다음, 상하좌우 수신호에 의해 이동하여 이탈된 이송 트랙(30)을 복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복구 방식에 의하면 복구 과정이 와이어 로프만을 이용하므로, 이탈된 이송 트랙(30)을 다시 트랙 가이드 롤(31)에 끼울 때 정확한 위치를 맞추기 어렵고, 작업판(70) 위에서 작업자(M)의 힘이나 지렛대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슬라브와 이송차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이송 트랙의 이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트랙 지지면이 형성된 트랙 지지 후크부;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의 중앙에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와이어 로프 체결홀이 형성된 후크 써포트부; 상기 와이어 로프 체결홀에 체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 양단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트랙 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가 걸려서 고정 지지되는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후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 후크를 회전시키는 체결 후크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 스토퍼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의 상면에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 스토퍼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 홈과 대응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상기 후크 써포트부 사이에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를 회전시키는 후크부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써포트부에 형성되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써포트부는 2개 이상의 이격된 파이프가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슬라브와 이송차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이송 트랙의 이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이탈된 이송 트랙을 신속하게 복구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철소 연속주조 공정에서 이송(Cross transfer Car)에서의 슬라브 이송 중 슬라브와 캐리지가 충돌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트랙 가이드 롤에서 이송 트랙이 이탈되기 전과 이탈되고 난 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로 이탈된 이송 트랙을 복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로 이탈된 이송 트랙을 복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로 이탈된 이송 트랙을 복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로 이탈된 이송 트랙을 복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송 트랙 복구 장치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만을 천정 크래인의 후크(50)에 체결하는 방식과는 달리, '┻' 형의 구조물을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천정 크래인과 체결하고, 상기 구조물에 이탈된 이송 트랙(30)이 지지된 채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고도 안전하게 이송 트랙이 복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트랙 지지면(110)이 형성된 트랙 지지 후크부(100)와,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의 중앙에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와이어 로프 체결홀(210)이 형성된 후크 써포트부(200)와, 상기 와이어 로프 체결홀(210)에 체결되는 와이어 로프(W)와,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 양단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트랙 스토퍼(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로프(W)가 걸려서 고정 지지되는 체결 후크(400)와, 상기 체결 후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 후크를 회전시키는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10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상면에는 편평한 트랙 지지면(110)이 형성되어, 이탈된 이송 트랙의 하면이 트랙 지지면(110)에 의해 기밀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양단 상면에는 트랙 스토퍼(30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트랙 스토퍼(300)는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양단 상면에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랙 스토퍼(300)는 트랙 지지면(110) 위에 놓이는 이송 트랙이 트랙 지지 후크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상면에는 스토퍼 홈(310)이 형성되고, 트랙 스토퍼(300)의 하면에는 이 스토퍼 홈(310)과 대응하는 스토퍼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랙 스토퍼 홈(310)은 트랙 지지면의 양측부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트랙 스토퍼(3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트랙 지지면(110)에 안착되는 이송 트랙(30)의 크기가 크면 트랙 스토퍼(300)를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양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송 트랙의 크기가 작으면 트랙 스토퍼(300)를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중앙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이송 트랙의 크기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후크 써포트부(200)는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100)의 중앙에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와이어 로프 체결홀(21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100)와 후크 써포트부(20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100)와 후크 써포트부(200)가 이루는 형상은 '┻'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 로프 체결홀(210)에는 와이어 로프(W)가 체결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체결 후크(40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후크(400)는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는 체결 후크(400)의 중심축(높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 후크(400)를 360도 축회전시킨다.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를 회전시키면 체결 후크(400)와 와이어 로프(W)에 의해 연결된 후크 써포트부(200) 및 트랙 지지 후크부(100)가 회전되어 이탈된 이송 트랙(30) 복구시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100)와 상기 후크 써포트부(200) 사이에는 트랙 지지 후크부(100)를 회전시키는 후크부 회전 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 회전 부재(120)는, 예를 들어, 베어링과 같이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軸)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 써포트부(200)에 형성되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 써포트부(200)는 2개 이상의 이격된 파이프가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이송 트랙 복구 장치는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후크부 회전 부재(120) 또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220)를 회전시켜서 트랙 지지 후크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이탈된 이송 트랙(30) 복구시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가 형성된 경우, 후크부 회전 부재(120) 또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220)는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에 의한 회전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이송 트랙(30) 복구시 공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로 이탈된 이송 트랙을 복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로 이탈된 이송 트랙을 복구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와 이송차의 충돌에 의해 이송 트랙이 이탈된 경우(도 1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크레인, 예를 들어 천정 크레인(600)에 체결한 후, 천정 크레인을 조종하여 이탈된 이송 트랙이 있는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 또는 후크부 회전 부재(120) 또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220)를 회전하여 트랙 지지 후크부(100)가 이송 트랙 사이의 하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 부재들은 기계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으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후크 회전 부재(500) 또는 후크부 회전 부재(120) 또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220)를 이송 트랙 사이의 하부에서 다시 회전하여 이송 트랙이 트랙 지지면(110)에 안착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그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크레인(600)을 조정하여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당겨서 이송 트랙의 하면이 트랙 지지면(110)에 밀착된 채로 상승되게 한 후, 작업자의 수신호 등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이탈된 이송 트랙을 원래의 위치로 복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이송 트랙 복구 장치는,와이어만을 사용하는 종래 방식과는 달리 이송 트랙 복구시, '┻' 형의 구조물에 의해 이송 트랙의 하면이 지지되고, 회전 부재들에 의해 이탈된 이송 트랙의 하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트랙 스토퍼(300)에 의해 장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방식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 트랙을 복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트랙 복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트랙 지지 후크부 110 : 트랙 지지면
200 : 후크 써포트부 210 : 와이어 로프 체결홀
300 : 트랙 스토퍼 W : 와이어 로프

Claims (7)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면에 트랙 지지면이 형성된 트랙 지지 후크부;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의 중앙에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단에 와이어 로프 체결홀이 형성된 후크 써포트부;
    상기 와이어 로프 체결홀에 체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 양단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트랙 지지면에 안착되는 이송 트랙의 크기에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이송 트랙이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트랙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가 걸려서 고정 지지되는 체결 후크와, 상기 체결 후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 후크를 회전시키는 체결 후크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의 상면에는 스토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 스토퍼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 홈과 대응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이송 트랙 복구 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와 상기 후크 써포트부 사이에 상기 트랙 지지 후크부를 회전시키는 후크부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써포트부에 형성되는 후크 써포트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송 트랙 복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후크 써포트부는 2개 이상의 이격된 파이프가 베어링에 의해 연결된 이송 트랙 복구 장치.
KR1020110055135A 2011-06-08 2011-06-08 이송 트랙 복구 장치 KR101260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35A KR101260061B1 (ko) 2011-06-08 2011-06-08 이송 트랙 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135A KR101260061B1 (ko) 2011-06-08 2011-06-08 이송 트랙 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17A KR20120136117A (ko) 2012-12-18
KR101260061B1 true KR101260061B1 (ko) 2013-04-30

Family

ID=4790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135A KR101260061B1 (ko) 2011-06-08 2011-06-08 이송 트랙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23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포스코 복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599A (zh) * 2017-06-27 2017-09-22 天津银龙高科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轨道板吊装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753A (ja) * 1994-05-31 1995-12-05 Maeda Corp 長尺状物用吊治具
JPH0986862A (ja) * 1995-09-20 1997-03-31 Hitoshi Mori Pc板の移動と据付け工法
JPH09156861A (ja) * 1995-12-06 1997-06-17 Chiyouriyou Hightech Kk 配材装置
KR200273445Y1 (ko) * 2001-12-24 2002-05-03 궤도공영 주식회사 침목 하화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753A (ja) * 1994-05-31 1995-12-05 Maeda Corp 長尺状物用吊治具
JPH0986862A (ja) * 1995-09-20 1997-03-31 Hitoshi Mori Pc板の移動と据付け工法
JPH09156861A (ja) * 1995-12-06 1997-06-17 Chiyouriyou Hightech Kk 配材装置
KR200273445Y1 (ko) * 2001-12-24 2002-05-03 궤도공영 주식회사 침목 하화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23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포스코 복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117A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93622A (ja) 航空機の垂直尾翼取付装置および垂直尾翼取付方法
KR101260061B1 (ko) 이송 트랙 복구 장치
JP4405958B2 (ja) 橋桁の架設および撤去方法と橋桁工事用装置
JP2018065168A (ja) 注湯装置
JP5733735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21178710A (ja) 連続シートの加工処理装置
JP2015160219A (ja) 枠付き上下鋳型の枠合せ装置及び枠合せ方法
KR101958002B1 (ko) 픽업 크레인 오작동 방지 장치
JP4626417B2 (ja) 部品供給台車および部品供給方法
EP3260348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equipment under floor of rail vehicle
KR20140023496A (ko)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JP7305147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JPH082637A (ja) ストレージコンベヤのストレージ装置
KR102326861B1 (ko) 복귀 장치 및 방법
KR200183939Y1 (ko) 벨트 컨베어 텐션대차 이탈방지 장치
KR101518548B1 (ko)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JPH08295482A (ja) 船殻ブロックにおけるロンジ材仮付装置
KR102575335B1 (ko) 코일 이동 방지 장치
KR102294759B1 (ko)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JP6268411B2 (ja) レール交換機
KR101614030B1 (ko) 소재 이송 장치
US5452790A (en) Mounting system for a roller table
JPWO2013105211A1 (ja) 自動搬送機の非常停止方法、搬送作業システム、及び搬送作業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搬送機の非常停止方法
US10766214B2 (en) Device and transport device for handling tyre blanks
KR100776038B1 (ko) 슬래브 이송용 수평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