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548B1 -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8548B1 KR101518548B1 KR1020130026130A KR20130026130A KR101518548B1 KR 101518548 B1 KR101518548 B1 KR 101518548B1 KR 1020130026130 A KR1020130026130 A KR 1020130026130A KR 20130026130 A KR20130026130 A KR 20130026130A KR 101518548 B1 KR101518548 B1 KR 1015185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roll
- fixed frame
- holder
- work
- ne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 및 원리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일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하강시 그 하단부를 통하여 워크롤 네크가 진입한 후 그 상단부에 접촉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워크롤의 네크를 고정 지지하는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일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하강시 그 하단부를 통하여 워크롤 네크가 진입한 후 그 상단부에 접촉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워크롤의 네크를 고정 지지하는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워크롤 인양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된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정비공장에서는 압연롤 체인지 카에 워크롤을 상, 하차하고, 이송 작업을 하기 위해 스틸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이러한 작업은 2인 1조로 진행된다.
종래 워크롤 이송작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냉간 압연용 워크롤(1a,1b) 한 쌍은 와이어 로프(3)에 의해 고정되어 이송된다.
워크롤(1a,1b)의 양 단에는 네크(neck)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네크에 각각 양쪽 고리형 와이어(3a)와 원형 와이어(3b)를 체결한 후, 크레인(5)을 이용하여 워크롤(1a,1b)을 이송하게 된다.
워크롤(1a,1b) 이송시 리모콘 작업자 및 보조 작업자는 워크롤(1a,1b)의 양 측에 위치하여, 와이어 로프(3)에 체결된 워크롤(1a,1b)의 위치를 수신호하게 된다.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3)가 워크롤(1a,1b)의 네크에 완전히 걸린 상태에서 워크롤(1a,1b)은 압연롤 체인지 카(7)에 실리게 되는바, 워크롤(1a,1b) 양 측단에 결합된 초크(9)가 압연롤 체인지 카(7)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레일(R)에 안착되고, 와이어 로프(3)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상차 작업이 완료된다.
상차 완료된 이후에는 압연롤 체인지 카(7)는 정비공장으로 이송되며, 상술한 작업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차 작업을 진행한 이후에, 워크롤(1a,1b) 연마 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워크롤(1a,1b) 이송 작업의 경우, 작업의 안전을 위하여 최소 2인 이상이 워크롤(1a,1b) 이송 작업에 참여해야만 하는바, 와이어 로프(3) 체결 작업 역시 반드시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수작업으로 줄걸이 작업을 하는 경우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만약의 경우라도 워크롤(1a,1b)이 이송 중 낙하하게 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바, 현재 이러한 안전 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감수하고 워크롤 이송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42963호(1998.9.25.)에는 "2단 워크롤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냉간 압연용 및 조질 압연용 워크롤 2개를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이송함으로써 대형 사고 유발 가능성을 최소화한 것이다.
이러한 '2단 워크롤 이송장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내장되는 외측대차가 모터, 베벨기어, 피니언, 랙기어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고, 이러한 외측대차에 내장되는 내측대차가 모터, 스크루에 의해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되, 외측 및 내측대차의 좌우 측단에 각각 롤초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상, 하부 롤홀더를 장착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2단 워크롤 이송장치'는 와이어 로프 체결 작업을 위해 별도의 복잡한 구성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고장 가능성이 많고, 원가가 상승되며,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 역시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줄걸이 한 후에 이송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워크롤 하중을 와이어 로프 자체에만 의지할 수밖에 없어 이송 작업시 와이어 로프에 의한 워크롤 흔들림, 와이어 로프의 파손에 의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다분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9498호(2007.11.15.)에는 "워크롤 자동운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워크롤을 운반하는 도중에 워크롤이 크레인으로부터 이탈하여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다리부재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고정, 운반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워크롤 자동운반장치' 역시 종래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워크롤을 운반하는 방식이 아닌 별개의 장치적 구성을 갖는 것이지만, 설비 도입시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고, 세부적 구성 부품 고장 가능성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구성 및 원리에 의하면서도 워크롤을 안전하게 홀딩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워크롤 이송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워크롤 이송용 지그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일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하강시 그 하단부를 통하여 워크롤 네크가 진입한 후 그 상단부에 접촉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워크롤의 네크를 고정 지지하는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워크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의 상단부 내, 외측면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가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에 의해 홀딩/홀딩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는, 크레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과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단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일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하강시 그 하단부를 통하여 워크롤 네크가 진입한 후 그 상단부에 접촉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워크롤의 네크를 고정 지지하는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를 포함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측단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워크롤 네크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워크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의 상단부 내, 외측면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가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에 의해 홀딩/홀딩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편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를 감싸고 있는 쵸크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삽입홀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쵸크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상부 반원형 삽입홀과 하부 반원형 삽입홀이 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간단한 구성 및 원리에 의해 안전하게 워크롤 이송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보조 작업자를 투입할 필요없이 리모콘 조작자의 조작만으로도 워크롤을 고정, 이송시킬 수 있는바, 이송 작업의 효율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워크롤 이송 작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는 도 1을 일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1을 타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워크롤을 워크롤 체인지 카에 상차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를 해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의 일요부인 고정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하여 워크롤 네크를 홀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하여 워크롤 네크를 홀딩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을 일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1을 타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워크롤을 워크롤 체인지 카에 상차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를 해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의 일요부인 고정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하여 워크롤 네크를 홀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하여 워크롤 네크를 홀딩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50) 및 고정편(60)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줄걸이 작업이 필요없는 것은 물론, 워크롤(1a,1b)을 견인할 때 별도의 보조 작업자 투입이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는, 크레인(10), 수평 프레임(30), 고정 프레임(40)을 포함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50), 고정편(60)을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30)은 "H" 형강을 사용하되, 수평 프레임(30)과 크레인(10)은 와이어(20)를 매개로 연결된다.
수평 프레임(30)이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크레인(10)으로부터 와이어(20)가 두 방향으로 분기되어 수평 프레임(30)의 양측단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는 고정 프레임(40)을 포함하고, 고정 프레임(40)은 수평 프레임(30)의 일측단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는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를 포함한다.
즉,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가 한 쌍으로 작동하면서 워크롤 네크(N)를 홀딩하게 되는 것이다.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는 고정 프레임(40) 일측면(워크롤 네크의 일단과 마주보는 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이러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는 워크롤 네크(N)가 유입될 수 있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 프레임(40)이 워크롤 네크(N)의 상부에서 하강하면,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하단부를 통해 워크롤 네크(N)가 그 사이로 진입하고, 그 상단부 내측면에 접촉하면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가 회동하면서 그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40)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워크롤 네크(N)를 홀딩한다.
더 안정적으로 워크롤 네크(N)를 홀딩하기 위하여,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40)의 내측 방향으로 완전히 회동할 때까지 고정 프레임(40)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편(60)은 수평 프레임(30)의 타측단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워크롤 네크(N)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 프레임(40)의 일측면에는 워크롤 네크(N)의 일단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삽입홈(40a)이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삽입홈(40a)을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워크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한다면, 한꺼번에 복수 개의 워크롤을 이송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 한 쌍의 워크롤 이송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를 구성하는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를 이용하여 워크롤 네크(N)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서 고정 프레임(40)의 승강 작업이 진행되는데, 고정 프레임(40)의 승강 작업에 의하여 워크롤 네크(N) 고정 및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특정 형상으로 제조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형상은 타원형 단면을 갖는 워크롤 네크(N) 형상에 따라 결정되어져야 한다.
고정 프레임(40)이 낙하하여 타원 형상을 갖는 워크롤 네크(N)가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유입된 후,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상단부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워크롤 네크(N)의 상단부를 원활하게 밀고 올라갈 수 있도록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내측면은 고정 프레임(40)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워크롤 네크(N)가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사이로 진입되어 홀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워크롤 체인지 카에 상차하기 위해서는 홀딩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해제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외측면은 고정 프레임(40)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는 고정 프레임(40)에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프레임(40)에는 워크롤 네크(N)가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에 의해 홀딩/홀딩해제되는 과정에서 힌지축(H)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40)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장홀(52a,5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홀(52a,54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고정 프레임(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60)은 수평 프레임(30)의 저면에 체인(C)을 매개로 연결되고, 고정편(60)에는 워크롤 네크(N)를 감싸고 있는 쵸크(C)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삽입홀(62)이 마련된다.
삽입홀(62)은 쵸크(C)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상부 반원형 삽입홀(62a)과 하부 반원형 삽입홀(62b)이 조합되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를 작동시켜 한 쌍의 워크롤을 인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이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a) 과정 : 고정 프레임(40)에 결합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는 서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힌지축(H)은 고정 프레임(40)의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장홀(52a,54a)의 최하단측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 프레임(40)이 하강하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인입되며, 이 상태에서 힌지축(H)은 장홀(52a,54a)의 최하단부에 위치한다.
(b)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하강하여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내측면에 접촉하면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 사이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힌지축(H)은 장홀(52a,54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c)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더 하강하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를 향해 이동하는바,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 사이 간격은 좁아져 최소 간격에 이르게 되고, 상단부 사이 간격은 넓어져 최대 간격에 이르게 된다.
(d) 과정 :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 및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 사이에 위치하면, 상, 하부에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는 상술한 (a) 과정과 동일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즉,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힌지축(H)은 장홀(52a,54a)을 따라 하강하여 장홀의 최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e)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더 하강하여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상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 사이로 유입되고,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하단부 사이로 유입되어, 각각의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상단부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각각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때,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가 회동하여 그 상단부는 고정 프레임(4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 완전히 벌어지게 되는바, 그 하단부가 고정 프레임(40)의 내측 방향으로 완전히 좁혀질 때까지 고정 프레임(40)을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힌지축(H)은 장홀(52a,54a)을 따라 최상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f) 과정 : 고정 프레임(40)을 소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면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에 홀딩되는바, 힌지축(H)이 장홀(52a,54a)을 따라 이동하여 장홀(52a,54a)의 최하단에 걸림으로써 안정적인 홀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g) 과정 : 고정 프레임(40)을 소정 높이만큼 더 상승시키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에 홀딩되는바, 힌지축(H)이 장홀을 따라 이동하여 장홀(52a,54a)의 최하단에 걸림으로써 안정적인 홀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의 홀딩 해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a) 과정 : 홀딩 해제 과정 직전에는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는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에,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는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에 각각 홀딩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때, 힌지축(H)은 장홀(52a,54a)의 최하단부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b)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소정 높이 하강하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상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간격이 벌어지고, 하단부 간격이 좁아진다.
(c)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더 하강하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상단부 사이 간격은 최대로 벌어지고, 이와 동시에 그 하단부 사이 간격은 최소화된다.
또한,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에 의해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 상단부 사이 간격 역시 최대로 벌어지고, 이와 동시에 그 하단부 사이 간격은 최소화된다.
이때, 각각의 힌지축(H)은 장홀(52a,54a)의 최상단부에 이르게 된다.
(d)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더 하강하여 상,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와 상,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 간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 상태는 상술한 도 7의 (a) 과정 상태에 이르고, 힌지축(H)은 장홀(52a,54a)을 따라 이동하여 장홀(52a,54a)의 최하단부에 걸린 상태로 되돌아온다.
(e) 과정 : 고정 프레임(40)을 상승시키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의 하단 및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의 하단이 상,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외측면에 하중을 가하게 되고, 힌지축(H)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는 시계 방향으로, 상, 하부에 위치한 우측 홀더(5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f) 과정 : 고정 프레임(40)을 더 상승시키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를 빠져 나오면서, 상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가 거의 수평하게 회동하게 되고,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는 하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로부터 빠져나와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는 도 7의 (a) 과정과 동일 상태로 되돌아 온다.
(g) 과정 : 고정 프레임(40)이 더 상승하면,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이송용 지그(50)는 도 7의 (a) 과정 상태로 회귀하고, 상부에 위치한 워크롤 네크(N)가 하부에 위치한 좌측 홀더(52) 및 우측 홀더(54)의 상단부 외측면을 밀고 나오게 됨으로써, 홀딩 해제 과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크레인 20 : 와이어
30 : 수평 프레임 40 : 고정 프레임
40a : 삽입홈 50 : 워크롤 이송용 지그
52 : 좌측 홀더 54 : 우측 홀더
52a,54a : 장홀 60 : 고정편
62 : 삽입홀 N : 워크롤 네크
H : 힌지축 C : 쵸크
30 : 수평 프레임 40 : 고정 프레임
40a : 삽입홈 50 : 워크롤 이송용 지그
52 : 좌측 홀더 54 : 우측 홀더
52a,54a : 장홀 60 : 고정편
62 : 삽입홀 N : 워크롤 네크
H : 힌지축 C : 쵸크
Claims (9)
-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 일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하강시 그 하단부를 통하여 워크롤 네크가 진입한 후 그 상단부에 접촉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워크롤의 네크를 고정 지지하는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를 포함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워크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의 상단부 내, 외측면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가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에 의해 홀딩/홀딩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 크레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크레인과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단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 일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폭 방향 양 측단에 그 일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 하강시 그 하단부를 통하여 워크롤 네크가 진입한 후 그 상단부에 접촉되면 그 하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워크롤의 네크를 고정 지지하는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를 포함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타측단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워크롤 네크를 고정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워크롤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의 상단부 내, 외측면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가 상기 좌측 홀더 및 우측 홀더에 의해 홀딩/홀딩해제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축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장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워크롤 네크를 감싸고 있는 쵸크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삽입홀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쵸크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상부 반원형 삽입홀과 하부 반원형 삽입홀이 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롤 이송용 지그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6130A KR101518548B1 (ko) | 2013-03-12 | 2013-03-12 |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6130A KR101518548B1 (ko) | 2013-03-12 | 2013-03-12 |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1791A KR20140111791A (ko) | 2014-09-22 |
KR101518548B1 true KR101518548B1 (ko) | 2015-05-07 |
Family
ID=5175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6130A KR101518548B1 (ko) | 2013-03-12 | 2013-03-12 |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85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503A (ko) | 2020-08-18 | 2022-02-28 | 우경금속주식회사 | 지그 훅킹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8609A (ja) | 2000-01-13 | 2001-07-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圧延機 |
KR100727110B1 (ko) | 2006-03-13 | 2007-06-13 | 주식회사 포스코 | 롤 스핀들 조립위치 세팅용 지그 장치 |
JP2012250254A (ja) | 2011-06-02 | 2012-12-20 | Showa Seiki Kk | 圧延機用クランプ装置 |
-
2013
- 2013-03-12 KR KR1020130026130A patent/KR1015185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8609A (ja) | 2000-01-13 | 2001-07-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圧延機 |
KR100727110B1 (ko) | 2006-03-13 | 2007-06-13 | 주식회사 포스코 | 롤 스핀들 조립위치 세팅용 지그 장치 |
JP2012250254A (ja) | 2011-06-02 | 2012-12-20 | Showa Seiki Kk | 圧延機用クランプ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503A (ko) | 2020-08-18 | 2022-02-28 | 우경금속주식회사 | 지그 훅킹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1791A (ko) | 2014-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61095B2 (en) |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 |
JP2018065168A (ja) | 注湯装置 | |
KR101518548B1 (ko) |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 |
KR101917433B1 (ko) |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 |
KR101867684B1 (ko) | 슬리브 교환에 사용되는 지그 및 이를 사용하는 슬리브 교환 장치 | |
KR101328220B1 (ko) | 크레인 리프트 | |
KR101175470B1 (ko) | 레들 이송 장치 | |
US1028709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nditioning railcar side frames | |
CN107052103B (zh) |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 |
JP5585986B2 (ja) | ワーク搬送装置 | |
KR101774921B1 (ko) | 파이프 적입 장치 | |
JP2007223741A (ja) | ワーク搬送装置 | |
KR20130007189U (ko) | 파이프 탑재용 지그 | |
KR101260061B1 (ko) | 이송 트랙 복구 장치 | |
JP5659986B2 (ja) | ループセクションのロール取替台車 | |
CN107052102A (zh) | 一种翻转卸料的卧式卷绕机 | |
CN214263226U (zh) | 用于辊轧金属条或金属线的轧机的三辊机架和三辊机架套件 | |
KR20200065967A (ko) | 페이오프릴 슬리브 인출장치 | |
KR101674753B1 (ko) | 소재 이송장치 | |
JP2016199379A (ja) | エスカレータのフレームの運搬装置 | |
KR100467039B1 (ko) | 스크랩 슬리브 코일의 슬리브 자동분리장치 | |
KR20140077341A (ko) | 챔버 내 시편 설치 기구 | |
KR20100009506U (ko) | 크레인의 마그네트팟 이송장치 | |
KR101270963B1 (ko) | 와이어피더 이송장치 | |
KR101374154B1 (ko) | 이음매가 없는 강관용 플러그 반송 설비 및 플러그 반송용 트레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