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220B1 - 크레인 리프트 - Google Patents

크레인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220B1
KR101328220B1 KR1020120019992A KR20120019992A KR101328220B1 KR 101328220 B1 KR101328220 B1 KR 101328220B1 KR 1020120019992 A KR1020120019992 A KR 1020120019992A KR 20120019992 A KR20120019992 A KR 20120019992A KR 101328220 B1 KR101328220 B1 KR 10132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oil
touch
crane
lif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453A (ko
Inventor
송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1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2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는, 한 쌍의 리프트암이 코일을 파지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가 회동하여 내려감으로써 코일의 내권부에 삽입된 배치구조를 이루지만, 한 쌍의 리프트암이 코일을 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부재가 회동하여 올라감으로써 한 쌍의 리프트암 사이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코일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리프트암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재가 코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돌에 의한 코일 및 걸림부재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한 쌍의 리프트암 사이에 코일을 배치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도 단축될 수 있음으로써, 생산적인 측면에서 생산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생산력 또한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된 걸림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동구조가 간단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크레인 리프트를 많이 개조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리프트{Lift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 리프트로서,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코일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리프트암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재가 코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공정의 최종 제품인 코일이 생산되면 리프트를 구비한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코일을 리프팅 한 후 이송하여 창고에 적치하거나 적치된 코일을 대차나 차량에 적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가 코일을 리프팅한 후 이송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레인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2의 크레인 리프트가 작업 중 코일과 충돌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천정크레인(1)은 와이어에 연결된 후크(2)를 통해 리프트(10)와 결합됨으로써 코일(9)을 이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에 리프트(10)가 결합되어 있으며, 리프트(10)는 리프트암(4)의 하단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4a)를 구비한다.
또한, 리프트(10)의 중앙부에 스크류축(6) 및 모터(5)를 구비하여 코일(9)을 리프팅할 때 모터(5)의 동력으로 스크류축(6)을 회전시켜 리프트암(4)을 좌,우로 오픈 및 크로스함으로써 상기 코일(9)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 3에서와 같이, 크레인(1)이 레일을 따라 주행 및 횡행하면서 이동되어 코일(9) 상부에 위치한 후 리프트(10)를 하강시킬 때 리프트(10)의 걸림부(4a)가 코일(9)의 상측 에지부와 충돌되면서 코일(9)에 불량부를 생성시켜 제품하자를 유발시키게 된다.
더구나, 이러한 코일(9)은 이미 출하를 목전에 둔 완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불량 때문에 출하되지 못하는 엄청난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를 교정하기 위해 다시 생산라인으로 투입한다고 하여도 그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며 심할 경우에는 완전히 불량처리 하여 스크랩화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리프트암이 코일을 파지 시 코일의 내권부에 회동 삽입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크레인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는, 크레인과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하방연장되며 모터에 의해 서로에 대한 거리가 조절되는 한 쌍의 리프트암을 구비하는 리프트본체;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 내측부에 각각 설치된 터치수단; 및 상기 터치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코일의 내권부에 회동 삽입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수단은,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이 코일을 파지 시 상기 코일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 측으로 압박되어 횡방향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리프트암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걸림부재; 및 압박되는 상기 터치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터치수단과 상기 걸림부재를 연계시키는 연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치수단은, 상기 리프트암 내측부에 배치된 터치바; 및 터치바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연계부는, 상기 랙기어와 기어체결된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기어체결되는 방향전환기어; 상기 걸림부재의 회동축을 감싸는 종동기어; 및 상기 방향전환기어와 종동기어에 감겨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본체는, 압박되는 상기 터치바가 횡방향 이동되어 접촉 시, 상기 리프트암의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리프트암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터치수단은, 상기 터치바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를 감싸고 일단이 상기 리프트암에 형성된 고정턱에 고정되며, 상기 터치바가 상기 리프트암 측으로 이동 시 타단이 밀려서 압박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터치수단은, 상기 터치바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가이드 지지하도록 상기 리프트암에 장착된 가이드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는, 한 쌍의 리프트암이 코일을 파지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가 회동하여 내려감으로써 코일의 내권부에 삽입된 배치구조를 이루지만, 한 쌍의 리프트암이 코일을 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부재가 회동하여 올라감으로써 한 쌍의 리프트암 사이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코일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리프트암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재가 코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돌에 의한 코일 및 걸림부재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한 쌍의 리프트암 사이에 코일을 배치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도 단축될 수 있음으로써, 생산적인 측면에서 생산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생산력 또한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된 걸림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동구조가 간단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크레인 리프트를 많이 개조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가 코일을 리프팅한 후 이송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레인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2의 크레인 리프트가 작업 중 코일과 충돌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크레인 리프트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크레인 리프트에서 터치바가 내측으로 이동시 걸림부재가 하방회동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의 크레인 리프트가 코일을 들어올리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크레인 리프트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크레인 리프트에서 터치바가 내측으로 이동시 걸림부재가 하방회동된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도 6의 크레인 리프트가 코일을 들어올리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레인 리프트(100)는 한 쌍의 리프트암(24)을 구비하는 리프트본체(20), 및 상기 리프트암(24)에 구성되는 터치수단(30)과 걸림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본체(20)는 크레인(도 1의 1)과 연결된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로부터 하방연장된 한 쌍의 리프트암(24)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21)는 상측에는 수평방향 이동을 하면서 하측의 코일(9)을 들어올리기 위해 수직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크레인의 하부에 연결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크레인의 하부에 배치된 후크(도 1의 2)에 의해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프트암(24)은 연결부(21)로부터 하방연장된 배치구조를 이루는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코일(9)의 양측에 배치되어 코일(9)을 리프팅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암(24)은 복수 개의 바가 서로 링크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구비된 모터(22)에 의해 스크류축(23)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축(23)과 연결된 서로 마주보는 바가 회동됨에 따라 서로에 대한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리프트본체(20)는 코일(9)에 의해 압박되는 터치바(31)가 횡방향 이동되어 접촉되도록 리프트암(24)에 장착되는 리미트 스위치(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26)는, 상기 터치바(31)가 이동되어 접촉 시 리프트암(24)의 모터(22)를 정지시키도록 모터(22)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상기 터치수단(30)은 한 쌍의 리프트암(24)이 코일(9)을 파지 시 코일(9)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24) 측으로 압박되어 횡방향 이동되도록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 내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수단(30)은 리프트암(24) 내측부에 배치된 터치바(31)와, 상기 터치바(31)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3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터치바(31)는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 내측부에 각각 배치되는데, 리프트암(24)의 내측부에 상하방향 길게 형성된며, 코일(9)을 들어올릴 때 코일(9)의 측면에 접하는 부위이다.
아울러, 상기 랙기어(32)는 후술되는 연계부(50)의 피니언기어(51)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수단(30)은 터치바(31)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33)와, 상기 지지바(33)를 감싸는 탄성부재(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4)는 지지바(33)를 감싸고 일단이 상기 리프트암(24)에 형성된 고정턱(25)에 고정되며, 상기 터치바(31)가 리프트암(24) 측으로 이동 시 타단이 밀려서 압박되는 구조를 이룬다.
일례로서, 코일(9)이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에 배치된 후,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이 모터(22)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면, 코일(9)에 의해 압박되어 터치바(31)가 리프트암(24) 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34)를 압박한다.
이와 반대로, 한 쌍의 상기 리프팅 암이 모터(22)에 의해 서로 멀어지면, 터치바(31)에 대한 코일(9)의 압박력이 사라짐에 따라, 탄성부재(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터치바(31)는 리프트암(24)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다.
또한, 상기 터치수단(30)은 터치바(31)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35)와, 상기 가이드바(35)를 가이드 지지하도록 리프트암(24)에 장착된 가이드롤러(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35)는 터치바(31)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리프트암(24) 측으로 횡방향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롤러(36)는 이러한 가이드바(35)가 횡방향 이동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횡방향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지지한다.
여기에서, 가이드롤러(36)는 가이드바(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되어 가이드바(35)를 가이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롤러(36)는 랙기어(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복수 개가 배치되어 랙기어를(32) 가이드 지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걸림수단은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에 각각 구성되며,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이 코일(9)을 파지 시, 상기 터치수단(30)과 연동되어 상기 코일(9)의 내권부에 회동 삽입되는 걸림부재(7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리프트암(24)의 하부에 구성되는 걸림부재(70), 및 상기 터치수단(30)과 상기 걸림부재(70)를 연결하는 연계부(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부재(70)는 코일(9)의 내권부에 회동 삽입되도록, 리프트암(24)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계부(50)는 상기 터치수단(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70)가 회동되도록 상기 터치수단(30)과 상기 걸림부재(70)를 연계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계부(50)는 터치수단(30)에 대해 걸림부재(70)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로서, 연동되면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피니언기어(51), 방향전환기어(52), 종동기어(54), 및 구동체인(5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1)는 랙기어(32)에 기어체결되며, 아울러 상기 방향전환기어(52)는 피니언기어(51)와 기어체결되어 회전방향을 역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랙기어(32)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치차가 형성되고, 이러한 하부의 치차에 대응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51)가 랙기어(32)의 하부에 체결되어 기어체결되는 동시에 랙기어(32)를 상방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방향전환기어(52)도 피니언기어(51)의 하부에 기어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54)는 걸림부재(70)의 회동축(70a)을 감싸는 구조를 취하는데, 즉 걸림부재(70)의 회동축(70a)이 종동기어(54)의 회전축(52a)으로서 종동기어(54)가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재(70)가 회동하는 구조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구동체인(53)은 방향전환기어(52)와 종동기어(54)에 감겨서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방향전환기어(52)의 회전에 따라 구동체인(53)이 회전되고 종동기어(54)가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걸림부재(70)가 회동하는 연동구조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전환기어(52)는 바람직하게 두 개가 동일 회전축(52a)을 가지고 구성되며, 그 중 한 개는 상측의 방향전환기어(52)에 기어체결되고 나머지 한 개는 하측의 종동기어(54)에 감긴 구동체인(53)이 감기면서 기어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크레인 리프트(100)의 작동순서에 대해,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크레인이 이동하여 이송하고자하는 코일(9)의 상측에 위치된 후, 코일(9) 측으로 하강한다. 이때, 걸림부재(70)는 리프트암(24) 측으로 이미 회동된 상태로서,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로 돌출되지 않는 배치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코일(9)에 접근 시 걸림부재(70)가 코일(9)과 충돌하지 않음으로써, 코일(9)이 손상되지 않고 아울러 걸림부재(70)도 손상되지 않는다. 나아가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에 코일(9)을 배치하는 작업이 수월하면서도 상술된 충돌도 방지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에 코일(9)이 들어오면, 모터(22)가 작동하여 한 쌍의 리프트암(24)이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9)에 의해 터치바(31)가 압박되어 리프트암(24)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계부(50)의 연동과정에 따라 걸림부재(70)가 리프트암(24)으로부터 회동하여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로 내려오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코일(9)에 의해 터치바(31)가 압박되어 리프트암(24) 측으로 횡방향 이동하면, 랙기어(32)도 리프트암(24)측으로 횡방향 이동하고, 이러한 랙기어(32)에 의해 피니언기어(51)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51)에 의해 기어체결된 방향전환기어(52)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하는 방향이 역방향으로 전환된다.
이어서, 방향전환기어(52)와 구동체인(53)으로 연결된 종동기어(54)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종동기어(54)와 동일축을 가진 걸림부재(70)가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로 회동하여 내려감으로써 코일(9)의 내권부에 삽입하게 된다.
그런 다음, 크레인이 상승하면 걸림부재(70)가 코일(9)의 내권부를 상방 지지하여, 코일(9)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한 쌍의 리프트암(24)이 코일(9)을 파지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70)가 회동하여 내려감으로써 코일(9)의 내권부에 삽입되어 배치되지만, 한 쌍의 리프트암(24)이 코일(9)을 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걸림부재(70)가 회동하여 올라감으로써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코일(9) 측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리프트암(24)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재(70)가 코일(9)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에 의한 코일(9) 및 걸림부재(70)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크레인이 하강하면서 한 쌍의 리프트암(24) 사이에 코일(9)을 배치하는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도 단축될 수 있음으로써, 생산적인 측면에서 생산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생산력 또한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된 걸림부재(7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동구조가 간단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크레인 리프트를 많이 개조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리프트본체 21 : 연결부
22 : 모터 23 : 스크류축
24 : 리프트암 25 : 고정턱
26 : 리미트 스위치 30 : 터치수단
31 : 터치바 32 : 랙기어
33 : 지지바 34 : 탄성부재
35 : 가이드바 36 : 가이드롤러
50 : 연계부 51 : 피니언기어
52 : 방향전환기어 52a : 회전축
53 : 구동체인 54 : 종동기어
70 : 걸림부재 70a : 회동축
100 : 크레인 리프트

Claims (6)

  1. 크레인과 연결된 연결부(21)와, 상기 연결부(21)로부터 하방연장되며 모터(22)에 의해 서로에 대한 거리가 조절되는 한 쌍의 리프트암(24)을 구비하는 리프트본체(20);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 내측부에 각각 설치된 터치수단(30); 및 상기 터치수단(30)과 연동되어 코일(9)의 내권부에 회동 삽입되는 걸림부재(70)를 구비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수단(30)은, 한 쌍의 상기 리프트암(24)이 코일(9)을 파지 시 상기 코일(9)에 의해 상기 리프트암(24) 측으로 압박되어 횡방향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리프트암(24)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걸림부재(70); 및 압박되는 상기 터치수단(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70)가 회동되도록 상기 터치수단(30)과 상기 걸림부재(70)를 연계시키는 연계부(50);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수단(30)은, 상기 리프트암(24) 내측부에 배치된 터치바(31); 및 터치바(31)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랙기어(32);를 구비하며, 상기 연계부(50)는, 상기 랙기어(32)와 기어체결된 피니언기어(51); 상기 피니언기어(51)와 기어체결되는 방향전환기어(52); 상기 걸림부재(70)의 회동축(70a)을 감싸는 종동기어(54); 및 상기 방향전환기어(52)와 종동기어(54)에 감겨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체인(53);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수단(30)은, 상기 터치바(31)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33); 및 상기 지지바(33)를 감싸고 일단이 상기 리프트암(24)에 형성된 고정턱(25)에 고정되며, 상기 터치바(31)가 상기 리프트암(24) 측으로 이동 시 타단이 밀려서 압박되는 탄성부재(3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본체(20)는,
    압박되는 상기 터치바(31)가 횡방향 이동되어 접촉 시, 상기 리프트암(24)의 모터(22)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모터(22)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리프트암(24)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26);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10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수단(30)은,
    상기 터치바(31)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35); 및
    상기 가이드바(35)를 가이드 지지하도록 상기 리프트암(24)에 장착된 가이드롤러(36);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리프트(100).
KR1020120019992A 2012-02-28 2012-02-28 크레인 리프트 KR10132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92A KR101328220B1 (ko) 2012-02-28 2012-02-28 크레인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992A KR101328220B1 (ko) 2012-02-28 2012-02-28 크레인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453A KR20130098453A (ko) 2013-09-05
KR101328220B1 true KR101328220B1 (ko) 2013-11-20

Family

ID=4945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992A KR101328220B1 (ko) 2012-02-28 2012-02-28 크레인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4018A (zh) * 2018-12-05 2019-04-30 叶锋 用于夹取弹性金属丝的叉车属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25U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엘케이 코일리프터
CN113264445A (zh) * 2021-06-18 2021-08-17 宝武集团马钢轨交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铁车轮自动抓取吊运夹具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391A (ja) * 1997-12-25 1999-07-13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搬送用吊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01756Y1 (ko) 2002-10-22 2003-01-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KR20050045578A (ko) * 2003-11-12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KR100620600B1 (ko) 2005-09-22 2006-09-06 (주)새텍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391A (ja) * 1997-12-25 1999-07-13 Kawasaki Steel Corp コイル搬送用吊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301756Y1 (ko) 2002-10-22 2003-01-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KR20050045578A (ko) * 2003-11-12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KR100620600B1 (ko) 2005-09-22 2006-09-06 (주)새텍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4018A (zh) * 2018-12-05 2019-04-30 叶锋 用于夹取弹性金属丝的叉车属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453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43790U (zh) 一种大型浇铸模具运输吊架
CN108557653B (zh) 车身底部装配重载空中四带提升自行小车输送系统
JP3217922U (ja) 自動ヨーク給送システムを設置するヨークトリミング装置
KR101328220B1 (ko) 크레인 리프트
TW201711938A (zh) 物品收納設備
KR101355205B1 (ko) 이중적재형 무인지게차
CN201458331U (zh) 用于钢卷链式运输系统的卸卷翻卷装置
CN109081023A (zh) Agv小车及其与机台的对位方法
CN104889373A (zh) 砂型浇铸系统的分箱翻模顶出装置
CN205151689U (zh) 滑板转角升降机
CN107350699B (zh) 一种焊接转运翻转变位装置及翻转焊接箱型梁的方法
US6789659B2 (en) Stator winding system and method with pallet on pallet arrangement
CN105217538A (zh) 滑板转角升降机
CN102632006A (zh) 门页喷漆自动打翻装置
KR101503261B1 (ko) 천장 주행차와 천장 주행차로부터의 이탈 방지 방법
KR101245891B1 (ko) 1차 반제품 케이스 이송장치
CN208665028U (zh) 一种具有滚筒货架的agv小车
CN203976291U (zh) 吊挂式铜箔卷搬运车
CN207442664U (zh) 全自动转子绕线机
CN216836584U (zh) 一种双盘收线自动上盘下盘装置
CN206278870U (zh) 具有斜向提升机构的卷纸装置
KR101350463B1 (ko) 중추 리미트 장치
CN202570497U (zh) 门页喷漆自动打翻装置
CN106142603A (zh) 自动卸胎装置
CN202493064U (zh) 单升降多横移机械式立体停车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