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756Y1 -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756Y1
KR200301756Y1 KR20-2002-0031418U KR20020031418U KR200301756Y1 KR 200301756 Y1 KR200301756 Y1 KR 200301756Y1 KR 20020031418 U KR20020031418 U KR 20020031418U KR 200301756 Y1 KR200301756 Y1 KR 200301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oe
coil lifter
arm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Priority to KR20-2002-0031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을 말아 놓은 코일을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장치인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코일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을 걸어 주는 슈가 코일 리프터를 구성하고 있는 암 내부에 장착된 지렛대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무동력을 사용하면서도 자동으로 슬라이드 방식의 슈가 작동되도록 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A Coil lifter by shoe operated without power supplying}
본 고안은 열간압연으로 생산된 강판을 두루마리 휴지 형태로 말은 코일을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코일의 내경 양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코일을 걸어서 들어 올려주는 슈가 지렛대 원리에 의해 무동력으로 작동되도록 장착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제철·제강산업의 현장에서 열간압연에 의해 생산되는 강판은 보통 두루마리 휴지 모양으로 둘둘 말은 코일의 형태로 만든 상태에서 상기 강판이 필요한 제조업의 전 분야에 공급하고 있는데, 상기한 코일은 강판이 여러겹으로 둘둘 말려 있기 때문에 크기와 중량이 상당하므로 이를 들어 올려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 현장의 천정에 설치해 놓은 코일 리프터라는 기계의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이와 같이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는 상기 코일의 내경 양측에서 삽입되어 걸쳐지는 슈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슈의 장착형태를 보면 상기 슈가 코일 리프터를 구성하고 있는 암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슈와, 평상시에는 암의 안쪽에 들어 있다가 코일을 들어 올릴 때에는 기계적인 구동방식에 의해 상기 암의 바깥쪽으로 회전하면서 빠지도록 작동하는 회전형 슈의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이중에서 회전형 슈를 사용하는 작동식 코일 리프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면에 푸쉬 플레이트(60)가 부착되어 아래로 길게 늘어뜨린 암(10)이 있고, 상기 암(10) 내부에는 축 상에 스프로킷(70)이 장착된 전동모터(20)가 상부에 있으며, 축 상에 일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슈(40)가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50)이 하부에 있고, 상기 전동모터(20)의 스프로킷(70)과 슈(40)의 회전축(50) 사이는 전동용 체인(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암(10)은 코일(9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암(10)은 각 구성요소들이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코일 리프터를 사용하여 코일(90)을 이동시키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90)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전동모터(20)의 구동에 의해 모터 축 상에 장착된 스프로킷(7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로킷(70)과 서로 연결시켜 놓은 전동용 체인(30)에 의해 슈(40)의 회전축(50)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50)에 장착된 슈(40)가 코일(90)의 내경방향을 향하여 직각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코일(90)의 외측면에 암(10)의 푸쉬 플레이트(60)를 밀착시켜 슈(40)를 상기 코일(90)의 내경 안쪽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암(10)을 동시에 들어 올리면, 상기 슈(40)가 코일(90)의 내경 상면에 걸리게 되고, 상기 슈(40)에 코일(90)을 건 상태에서 암(10)을 조작하여 상기 코일(90)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회전형 슈를 이용한 코일 리프터는 2개의 감속기를 포함한 전동모터가 필요하고, 동력전달을 위해서 스프로킷, 전동용 체인, 회전축 등의 부품들이 필요하며, 더욱이 슈의 회전각도를 90도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및 각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배선도 필요하게 되는 등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회전형 슈에 의한 작동식 코일 리프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모터에 의한 동력의 사용으로 슈가 작동되는 종래의 코일 리프터와는 달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기구적인 방식을 적용하여 무동력으로 슈가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코일 리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슈가 장착된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 직전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전동식 슈가 장착된 코일 리프터일의 작동상태 중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슈가 장착된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 직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슈가 장착된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 중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암(Arm), 20...전동모터.
30...전동용 체인, 40...회전방식의 슈(Shoe),
50...슈(Shoe)의 회전축, 60...푸쉬 플레이트(Push Plate),
70...스프로킷(Sproket), 90...코일,
110,111...스프링, 120...제1 가이드 핀,
121...제2 가이드 핀 130...지렛대,
140...지렛대의 힌지핀, 150...슬라이드 방식의 슈(Shoe),
160,160'...핀, 170...푸쉬 바((Push Ba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일 리프터의 암 내측면에 부착된 푸쉬 플레이트가 코일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밀리면, 상기 암 내부에 서 상기 푸쉬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장착된 지렛대의 상부는 일측으로 밀리고, 지렛대의 하부는 타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렛대 하부와 결합된 슈가 암의 바깥쪽으로 밀려나오도록 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 리프터를 구성하고 있는 암의 내측면과 마주보고 있는 푸쉬 플레이트의 중심에 연결된 푸쉬 바와, 상기 푸쉬 바 하측의 암 내부에 장착된 슈가 지렛대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와 연동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한 지렛대의 작용으로 슈가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푸쉬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암 내부에 장착된 가이드 핀을 더 구비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 핀의 외측에는 압축 및 복원수단이 끼워져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코일 리프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리프터를 구성하고 있는 암(10)의 내측면과 마주보고 있는 푸쉬 플레이트(60)에 상기 암(10)의 내부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리프터 기구를 장착하되, 상기 푸쉬 플레이트(6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복원용 스프링(110)(111)이 외측부에 각각 끼워진 제1 및 제 2 가이드 핀(120)(121)을, 중심부에는 푸쉬 바(170)를 장착하고, 제2 가이드 핀(121) 하측의 암(10) 내부에는 슬라이드 방식의 슈(150)를 장착하며, 상기 푸쉬 바(170)와 슈(150) 사이는 지렛대(130)로 연결되어 각각 핀(160)(160')으로 고정되고, 상기 푸쉬 바(170)와 제2 가이드 핀(121) 사이의 지렛대 중심부에는 힌지핀(140)이 연결된 리프트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원용 스프링(110)(111)은 코일(90)을 옮긴 후, 암(10)을 벌려서 상기 코일(90)을 내려놓을 때에 슈(150)를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장착된 것이지만, 압축 및 복원이 되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고, 가이드 핀들(120)(121)은 푸쉬 플레이트(60)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푸쉬 플레이트(60)에 고정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일(90)을 들어 올리기 위하여 상기 코일(90)을 사이에 두고 암(10)을 벌린 상태에서 오므릴 때에, 코일(90)의 외측면 양쪽이 푸쉬 플레이트(60)를 양쪽으로 밀어내면, 제1 및 제2 가이드 핀(120)(121)의 복원용 스프링(110)(111)이 압축되면서, 상기 푸쉬 플레이트(60)의 중심부에 고정된 푸쉬 바(170)가 지렛대(130)의 상부를 바깥쪽을 밀어내고, 지렛대의 하부(130)는 힌지핀(140)을 중심으로 하여 안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렛대(130)의 하부에 연결된 슈(150)가 코일(90) 내경의 안쪽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코일(90)을 건 후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암(10)을 이동시키면 상기 암(10)과 함께 코일(9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코일(90)을 원하는 위치에 내려 놓고자 할 때에는 상기 코일(90)을 걸고 있는 암(10)을 약간 하강시킨 후 양쪽으로 벌리게 되면, 압축되었던 제1 및 제2 가이드 핀(120)(121)의 복원용 스프링(110)(111)이 복원되면서, 코일(90)을 들어 올릴 때와는 반대로 지렛대(130)의 상부를 안쪽으로 밀어내고, 지렛대(130)의 하부는 힌지핀(140)을 중심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렛대(130)의 하부에 연결된 슈(150)가 코일(90) 내경의 바깥쪽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코일(90)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실시예들의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본 고안의 권리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다양한 수정, 치환 또는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무동력 슈가 장착된 코일 리프터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복잡한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동력으로 슈를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코일 리프터에서와는 달리 2개의 감속기를 포함하는 전기모터와 리미트 스위치 등 전기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결함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발생한다 하더라도 복잡한 수리를 요하는 전기적인 고장이 아닌 기계적인 고장이므로 고장 진단 및 수리가 용이하며, 보수 시간도 단축된다. 따라서, 유지보수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유지보수 비용을 포함한 제품의 전체적인 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3)

  1.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코일 리프터를 구성하고 있는 암(10)의 내측면과 마주보고 있는 푸쉬 플레이트(60)의 중심에 연결된 푸쉬 바(170)와, 상기 푸쉬 바(170) 하측의 암(10) 내부에 장착된 슈(150)가 지렛대(130)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푸쉬 플레이트(60)와 연동되는 힌지핀(140)을 중심으로 한 지렛대(130)의 작용으로 슈(170)가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레이트(6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암(10) 내부에 장착된 가이드 핀(120)(12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120)(121)의 외측에는 압축 및 복원수단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KR20-2002-0031418U 2002-10-22 2002-10-22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KR200301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18U KR200301756Y1 (ko) 2002-10-22 2002-10-22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18U KR200301756Y1 (ko) 2002-10-22 2002-10-22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756Y1 true KR200301756Y1 (ko) 2003-01-24

Family

ID=4939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18U KR200301756Y1 (ko) 2002-10-22 2002-10-22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7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67B1 (ko) 2003-07-19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 리프트의 후크 압출장치
KR101053346B1 (ko) * 2003-11-12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KR101328220B1 (ko) 2012-02-28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 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67B1 (ko) 2003-07-19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 리프트의 후크 압출장치
KR101053346B1 (ko) * 2003-11-12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KR101328220B1 (ko) 2012-02-28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5942A (zh) 电机凸轮操作机构及其传动机构
KR950031394A (ko) 소형 기어암에 의해서 동력이 공급되며 유동성 앤빌을 갖춘 스테이플러
CN108010768B (zh) 一种转换开关的操作机构
KR200301756Y1 (ko)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CN1248779A (zh) 用于弹簧供能的电开关设备的可拆卸的加载机构
CN204243583U (zh) 一种用于中压双电源切换的真空断路器手车
CN101244796A (zh) 压轮锁紧机电联动装置
CN214848453U (zh) 一种开关的操作机构
CN115148558A (zh) 一种开关的操作机构
KR100551508B1 (ko) 라미네이터
ES2190972T3 (es) Dispositivo para la generacion de un movimiento de elevacion y descenso.
CN101996789B (zh) 弹簧操作装置及其安装方法与开关装置
CN107833769A (zh) 联锁机构以及联锁装置
CN214848438U (zh) 一种开关操作机构的输出系统
JP4190147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ための運搬装置と運搬アセンブリ
CN220042800U (zh) 手车活门联动机构及具有其的开关柜
KR100959148B1 (ko) 너클 프레스의 구동장치
CN216213208U (zh) 一种开关操作机构的拨动系统
CN101283425A (zh) 压紧装置
US3006062A (en) Machine for assembling laminated stator assemblies
JPH0417952Y2 (ko)
KR20020016085A (ko) 무파레트식 주차설비용 슬라이더 장치
CN218274305U (zh) 一种应用于弹簧机构的防止预动作防治装置
KR100289410B1 (ko) 공기스프링 구동식 다단 승강장치
CN116000947B (zh) 间隔棒安装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