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346B1 -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346B1
KR101053346B1 KR1020030079709A KR20030079709A KR101053346B1 KR 101053346 B1 KR101053346 B1 KR 101053346B1 KR 1020030079709 A KR1020030079709 A KR 1020030079709A KR 20030079709 A KR20030079709 A KR 20030079709A KR 101053346 B1 KR101053346 B1 KR 10105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fter
body member
contac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578A (ko
Inventor
장신익
최판수
유관종
이정도
이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7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3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압연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가 제공된다.
상기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는,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서 모터로서 수축 및 확장되고 크레인이 연결되는 작동아암의 하부에 힌지형태로 수직하게 연결된 리프터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어 코일과 접촉하는 코일 접촉부재;와, 상기 코일 접촉부재의 바디부재 접촉에 따른 후방이동시 상기 접촉부재와 바디부재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 및 이를 따라 연계 하강토록 설치된 이동랙부를 포함한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랙부로서 회전 구동토록 바디부재 내부 하측에 설치된 기어를 갖추어 바디부재의 하측에서 선회되어 코일 내권부에 삽입되는 코일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인으로 이동하는 코일 리프터의 상승 및 하강시 코일 리프터가 코일의 측면부에 접촉하여도 코일을 손상시키지 않아 코일의 제품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키어 제품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손상된 코일발생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방지되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열연코일, 코일 리프터, 코일손상, 텃치가변형 리프터, 코일이동

Description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A COIL LIFTER}
도 1은 종래 코일 리프터의 가동시 코일 손상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하강시 발생되는 코일 손상을 도시한 개략도
(b)는 상승시 발생되는 코일 손상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분해도
도 6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코일 접촉부재의 접촉돌기를 도시한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이동수단의 제 1 이동판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이동수단의 이동랙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접촉돌기의 위치를 도시한 요부도
도 10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하강시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b)는 상승시 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 리프터 10.... 바디부재
12,14.... 바디부재 개구 30.... 코일 접촉부재
32.... 접촉돌기 50.... 이동수단
52.... 가이드 54...,. 이동랙부
56,58.... 이동판 60,62.... 작동링크
61.... 스프링 64,66.... 기어
68,70.... 랙부 80.... 코일 걸이부재
82,84.... 기어 110.... 크레인 훅크
120.... 걸이부 122.... 작동아암
본 발명은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압연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크레인으로 이동하는 코일 리프터의 상승 및 하강시 코일 리프터가 코일의 측면부에 접촉하여도 코일을 손상시키지 않아 코일의 제품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키어 제품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손상된 코일 발생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의 열간압연공정에서 사상압연공정(Fishing Mill)은 다수개의 압연기로 구성되어져 고속으로 구동되는 압연롤과 압연롤 사이로 소재를 진입시키면서 압하를 가하여 수요가가 요구하는 조건에 만족스러운 제품으로 최종 두께 두께압연을 실시하여 이를 권취 완료 후 코일 야드에 적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열연코일은 천정 크레인으로 이동하는 코일 리프터로서 이동시키고, 도 1에서는 종래 코일 리프터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훅크(110)가 상부 고리(120)에 연결되어 그 하측의 코일 리프터(100)는 이동하는데, 코일 리프터(100)의 하단부 걸이부(102)가 모터 구동에 따라 확장 및 수축되는 작동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야드에 적치된 코일(130)의 내권부(132)에 끼워져 리프터(100)가 크레인의 작동으로 상승하면 코일의 이동이 수행되게 된다.
그런데, 코일(130)의 이동 및 야드 적치시 코일 리프터(100)의 흔들림이나 또는 센터링 불량으로 코일 리프터(100)의 걸이부(102)와 코일(130)이 접촉하여 코일의 표면에 심한 흠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터(100)의 하강시 그 하단 걸이부(102)가 코일(130)의 모서리부분에 충돌하기 쉽고, 또한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터(100)의 상승시 걸이부(102)가 코일(130)의 내권부(132)에 정확 하게 삽입 안착되지 않고 코일의 측면부에 충돌 또는 슬라이딩되면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코일 리프터(100)에 의하여 코일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표면에 흠이 발생된 코일(100)은 후 처리작업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흠이 발생된 부분을 절단하여 스크랩 처리하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레인으로 이동하는 코일 리프터의 상승 및 하강시 코일 리프터가 코일의 측면부에 접촉하여도 코일을 손상시키지 않아 코일의 제품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키어 제품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손상된 코일발생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발생이 방지되고 전체적으로 코일 이동조업성을 향상시키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크레인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수축 및 확장되면서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모터로서 수축 및 확장되고 크레인이 연결되는 작동아암의 하부에 힌지형태로 수직하게 연결된 리프터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어 코일과 접촉하는 코일 접촉부재;
상기 코일 접촉부재의 바디부재 접촉에 따른 후방이동시 상기 접촉부재와 바디부재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 및 이를 따라 연계 하강토록 설치된 이동랙부를 포함한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랙부로서 회전 구동토록 바디부재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기어를 갖추어 바디부재의 하측에서 선회되어 코일 내권부에 삽입되는 코일 걸이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코일 접촉부재의 접촉돌기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이동수단의 제 1 이동판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이동랙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에서 접촉돌기의 위치를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 리프터(1)는, 크게 바디부재 (10)와 접촉부재(30)와 이동수단(50) 및 코일 걸이부재(8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 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10)(30)(50)(8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 리프터(1)는 크레인 훅크 (110)가 끼워져 연결되는 걸이부(120)의 하측으로 모터(122a)의 구동시 일체로 회전 구동하는 스크류부재(122b)에 의하여 서로 좁혀지는 수축 및 서로 멀어지는 확장 작동하는 작동아암(122)이 연결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 본 발명의 리프터(1)중 바디부재(10)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2a)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작동아암(122)과 일체로 상기 바디부재(10)는 수축 및 확장되고, 결국 상기 바디부재(10)의 하측으로 선회하면서 돌출되는 코일 걸이부재(80)가 코일(130)의 내권부(132)에 끼워져 코일 (130)의 상승,하강 및, 이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1)의 상기 바디부재 (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디부재(10)는, 모터(122a)로서 수축 및 확장되고 크레인이 연결되는 작동아암(122)의 하부에 힌지형태로 수직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바디부재(10)와 작동아암(122)은 힌지핀(122c)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리프터 바디부재(10)는 항상 작동아암(122)의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디부재(10)는 크레인 (110)의 이동과 모터(122a)구동에 따른 작동아암(122)의 작동에 따라 코일에 밀착되거나 이탈되면서 코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바디부재(10)는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일체로 견고하게 구성되면서 그 전면에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코일 접촉부재(30)와 코일 걸이부재(80)가 돌출되는 상,하부 개구(12)(14)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1)의 상기 코일 접촉부재(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 접촉부재(30)는, 상기 바디부재(10)의 전면측 상부 개구(12)를 통하여 돌출되어 코일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일 접촉부재(30)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재(10)의 상부 개구(12)를 통하여 돌출되어 코일에 접촉하는 접촉돌기(32)들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접촉부재(30)는 실제로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 1 이동판(56)이 안착되는 가이드홈(30a)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돌기(32)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30)에 경사지게 엇갈려 배치되어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30)의 측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돌기(32)는 접촉부재(30)의 구멍을 통하여 스크류몸체(32a)가 너트(32b)로서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몸체(32a)의 전방으로 스프링(32c)을 개재하여 고무로 되어 코일의 표면에 홈을 발생시키지 않는 원뿔의 접촉돌기(32d)가 연결 되어 있는데, 상기 접촉돌기(32d)의 후단부는 스크류몸체(32a)의 내측에 걸리어 지지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아암(122)의 작동으로 바디부재(10)가 코일(130)의 양측부에 상기 접촉돌기(32)가 접촉하면 다음에 설명하는 이동수단(50)이 작동되게 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1)의 상기 이동수단 (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수단(50)은, 상기 코일 접촉부재(30)의 바디부재 접촉에 따른 후방이동시 상기 접촉부재(30)와 바디부재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52) 및 이를 따라 연계 하강토록 설치된 이동랙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접촉부재(30)의 내측에 안착된 제 1 이동판(56)과 상기 가이드(52)의 내측에 안착된 제 2 이동판(58)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52)에 일단이 피봇된 제 1 작동링크 (60)의 타단은 상기 제 1 이동판(56)에 피봇되고 이에 일단이 피봇된 제 2 작동링크(62)는 상기 제 2 이동판(58)에 타단이 피봇되면서 제 1,2 작동링크는 스프링 (61)이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이동판(56)(58)에는 바디부재 내측에 설치된 제 1,2 기어(64)(66)와 맞물리는 랙부(68)(70)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이동랙부(54)는 상기 제 2 이동판(58)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30)의 가이드홈(30a)에 상기 판상의 제 1 이동판(56)이 삽입 안착되고, 상기 제 1 이동판(56)의 중앙측에는 상기 랙부(68)가 다수개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판상의 제 2 이동판(58)은 상기 바디부재(10)의 내측벽에 고정된 상기 가이드(52)의 가이드홈(52a)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58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른 랙부(70)도 상기 제 2 이동판(58)의 전면부 중앙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작동링크(60)는 2중으로 구성되어 그 일단들이 상기 가이드 (52)에 고정된 피봇블록(52b)에 핀(60a)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작동링크(60)의 타단과 상기 제 2 이동판(58)의 피봇블록(58a)에 핀(58b)으로 피봇된 제 2 작동링크(62)의 타단이 상기 제 1 이동판(58)상의 피봇블록(56a)에 일체로 핀(56b)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2 작동링크(60)(62)의 중앙측에 코일스프링(61)이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도 2, 도 5 및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재(30)의 접촉돌기(32)가 작동아암(22)의 수축 작동으로 바디부재(10)가 코일(130)의 측부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접촉부재(30)는 바디부재(10)의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상기 접촉부재(30)의 내측 제 1 이동판(56)과 제 2 이동판(58)은 제 1 작동링크(60)가 고정체인 가이드(52)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촉부재(30)가 바디부재(10) 내측으로 이동한 만큼, 작동링크(60)(62)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 2 이동판(58)의 하강시 그 하부에 일체로 된 다음에 설명하는 이동랙부(54)가 일체로 하강하면서 구동기어(84)와 기어(82)를 회전시키면서 걸이부재(80)를 바디부재(10)의 하부 개구(14)를 통과하여 돌출되게 하여 코일(130)의 내권부(132)에 삽입되면서 코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코일 리프터(1)에서는 종래 걸이부가 직접 코일 측면에 접촉하는 대신에, 고무재의 접촉돌기(32)가 코일 측면에 접촉하면서 코일(130)의 표면에 홈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코일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코일(130)의 측면에서 부터 바디부재(10)가 이탈되면 접촉부재(30)를 누르는 힘이 없어져 상기 제 1,2 작동링크(60)(62)사이에 체결된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2 작동링크(60)(62)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면서 제 1,2 이동판(56)(58)도 초기 위치로 상승되게 된다.
이때, 도 8에서는 상기 랙부(66)의 구체적인 설치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체결구(66a)에 스프링(66b)을 개재하여 랙부(66)가 스크류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랙부(66)의 마모시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이동판(58)상의 다른 랙부(68)도 같은 구조로 체결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재(30)의 가이드홈(30a)의 개구부분에는 원형홈(33a)들이 수직방향으로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이동판(56)의 상,하측에는 내장된 스프링으로 양측 돌부(33b)가 탄성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형홈(33a)에 삽입되는 고정구(3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은 고정구 (33)는 제 1 이동판(56)과 이에 연계이동하는 제 2 이동판(58)의 이동을 조정하여 과다한 슬립을 방지하게 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1)의 상기 코일 걸이부재(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 걸이부재(80)는, 상기 이동랙부(54)로서 회전 구동토록 바디부재(10) 내부 하측에 설치된 기어(82)를 갖추어 바디부재(10)의 하측에서 선회되어 코일 내권부(13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코일 걸이부재(80)는 상기 바디부재(10)의 내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기어(82)가 고정되고, 상기 기어(82)에는 상기 제 2 이동판 이동랙부(54)와 맞물리도록 바디부재(10) 내부 하측에 설치된 구동기어(84)와 맞물리어 상기 코일 걸이부재(80)는 접촉부재의 코일 접촉시 선회하여 코일 내권부(132)에 삽입 이탈토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 2 이동판(58)이 하강하면 상기 이동랙부(54)는 구동기어(84)를 회전시키고, 이에 맞물린 기어(82)와 일체로 상기 코일 걸이부재(80)가 회전하여 바디부재(10)가 코일(130)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바디부재(10)의 하부 개구(14)를 통하여 돌출되면서 수평하게 되고 걸이부재(80)의 바닥은 바디부재(10)의 바닥에 지지되어 더이상 내려가지 않으면서 크레인(110)의 이동으로 코일 리프터 (1)의 양측 바디부재(10)가 상승하면 코일 걸이부재(80)가 코일 내권부(132)에 걸려서 코일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종래 코일 걸이부가 리프터의 상승이나 하강시 코일(130)에 충돌하면서 코일(130)에 홈과 같은 결함을 발생시키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코일 리프터(1)는 코일(130)에는 바디부재(10)에 돌출된 원뿔형의 접촉돌기(32)만이 접촉되어 코일의 표면 손상을 최대한 방지시키면서, 접촉돌기(32)를 갖춘 접촉부재 (30)의 밀림시 걸이부재(80)가 코일 내권부(132)에 끼워져 코일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코일의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전체적인 코일 수급도 원활하게 진행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에 의하면, 열연코일등의 코일을 야드에 적치시키거나 후 냉연공정으로의 이동을 위한 코일 리프터 작업시 코일 리프터와 코일간의 접촉시에도 코일 표면의 홈발생과 같은 코일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코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코일 손상부위를 스크랩으로 처리하는 후 처리작업이 필요없어 비용발생을 방지시키는 한편, 전체적으로 코일 리프터의 가동율을 높이는 다른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크레인에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수축 및 확장되면서 코일을 이동시키는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모터로서 수축 및 확장되고 크레인이 연결되는 작동아암의 하부에 힌지형태로 수직하게 연결된 리프터 바디부재(10);
    상기 바디부재(10)의 전면을 통하여 돌출되어 코일과 접촉하는 코일 접촉부재(30);
    상기 코일 접촉부재(30)의 바디부재 접촉에 따른 후방이동시 상기 접촉부재(30)와 바디부재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52) 및 이를 따라 연계 하강토록 설치된 이동랙부(54)를 포함한 이동수단(50); 및
    상기 이동랙부(54)로서 회전 구동토록 바디부재(10) 내부 하측에 설치된 기어(82)를 갖추어 바디부재(10)의 하측에서 선회되어 코일 내권부(132)에 삽입되는 코일 걸이부재(8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1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상기 접촉부재 (30)와 걸이부재(80)가 돌출되는 상,하부 개구(12)(14)가 각각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접촉부재(30)는, 상기 바디부재(10)의 상부 개구(12)를 통하여 돌출되어 코일에 접촉하는 접촉돌기(32)들이 다수개 설치된 판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접촉부재(30)의 내측에 안착된 제 1 이동판(56)과 상기 가이드(52)의 내측에 안착된 제 2 이동판(58)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52)에 일단이 피봇된 제 1 작동링크(60)의 타단은 상기 제 1 이동판(56)에 피봇되고 이에 일단이 피봇된 제 2 작동링크(62)는 상기 제 2 이동판(58)에 타단이 피봇되면서 제 1,2 작동링크는 스프링(61)이 탄성 연결되어 상,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제 1,2 이동판(56)(58)에는 상기 바디부재(10)의 내측에 설치된 제 1,2 기어(64)(66)와 맞물리는 랙부(68)(70)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랙부(54)는 상기 제 2 이동판(58)의 하단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걸이부재(80)는 상기 바디부재(10)의 내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기어(82)가 고정되고,
    상기 기어(82)에는 상기 제 2 이동판의 하단부에 설치된 이동랙부(54)와 맞물리도록 바디부재(1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구동기어(84)와 맞물리어 상기 코일 걸이부재(80)는 상기 코일 접촉부재의 코일 접촉시 선회하여 코일 내권부(132)에 삽입 이탈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KR1020030079709A 2003-11-12 2003-11-12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KR10105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709A KR101053346B1 (ko) 2003-11-12 2003-11-12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709A KR101053346B1 (ko) 2003-11-12 2003-11-12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78A KR20050045578A (ko) 2005-05-17
KR101053346B1 true KR101053346B1 (ko) 2011-08-01

Family

ID=3724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709A KR101053346B1 (ko) 2003-11-12 2003-11-12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906B1 (ko) 2020-09-04 2020-12-09 (주)드림텍 코일 리프터의 코일 찍힘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17B1 (ko) * 2006-07-10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불량부 절단이 가능한 코일 평량장치
KR100798913B1 (ko) * 2007-06-11 2008-01-29 (주)그린포닉스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KR100885871B1 (ko) * 2007-07-19 2009-02-26 메탈엔지니어링(주) 발포 스폰지 이송장치
KR101243250B1 (ko) * 2010-04-06 2013-03-25 주식회사 포스코 롤러형 코일 에지 파손 방지 장치
KR101328220B1 (ko) * 2012-02-28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크레인 리프트
KR101366176B1 (ko) * 2012-12-17 2014-02-2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코일 권취 불량 감지장치
KR101657765B1 (ko) * 2014-07-03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리프터
CN109911637B (zh) * 2019-04-23 2021-06-25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化包装码垛设备
CN112974873B (zh) * 2021-02-01 2022-02-08 河北荣泰模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控自动化车床上用夹持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680U (ja) 1983-05-06 1984-11-20 日本トング株式会社 リンク式コイルリフタ−
KR20020052732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KR200301756Y1 (ko) * 2002-10-22 2003-01-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680U (ja) 1983-05-06 1984-11-20 日本トング株式会社 リンク式コイルリフタ−
KR20020052732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KR200301756Y1 (ko) * 2002-10-22 2003-01-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슈에 의한 코일 리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906B1 (ko) 2020-09-04 2020-12-09 (주)드림텍 코일 리프터의 코일 찍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578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346B1 (ko)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KR101341667B1 (ko) 리니어 베어링 자동 볼 조립장치
CN209755893U (zh) 一种具有开模关模装置的圆盘注塑机
CN212016507U (zh) 一种气体灭火装置
GB2153753A (en) Installation for assembling different motor vehicle body models
JP2012106810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101328220B1 (ko) 크레인 리프트
KR100823588B1 (ko) 소둔로의 내부 허스롤 교체장치
KR102026908B1 (ko) 자동차 도어 인너어셈블리 홀성형용 금형
KR100931656B1 (ko) 코일 내경부의 판 처짐 복원장치
KR101023115B1 (ko) 가열로 도어장치
US5205341A (en) Low pressure double arm casting apparatus
WO2019198346A1 (ja) 鋳造装置
JP3230426U (ja) プレート反転機
CN118012236B (zh) 一种工控机电路板定位机构
CN220724268U (zh) 一种用于刀具热处理的吊挂装置
KR100797815B1 (ko) 스트립 연마캐빈의 그라인딩과 폴리싱작업 전환장치
JPS60501200A (ja) 塊状製品をひっくりかえし、ばり取りし、または研磨するための機械
KR200240683Y1 (ko) 냉간가공용 열연코일 냉각장치
KR100876169B1 (ko)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KR200177141Y1 (ko) 코일 리프터
JPS6229106Y2 (ko)
KR200332705Y1 (ko) 강판 교정기의 상, 하부 롤 조립용 롤 안내장치
KR100878643B1 (ko) 러버 슬리브 원형유지 장치
KR20050010324A (ko) 크레인 리프트의 후크 압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