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913B1 -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913B1
KR100798913B1 KR1020070056674A KR20070056674A KR100798913B1 KR 100798913 B1 KR100798913 B1 KR 100798913B1 KR 1020070056674 A KR1020070056674 A KR 1020070056674A KR 20070056674 A KR20070056674 A KR 20070056674A KR 100798913 B1 KR100798913 B1 KR 10079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fter
gear
lifter ar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주)그린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포닉스 filed Critical (주)그린포닉스
Priority to KR102007005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 B66C1/427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 B66C1/485Coil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A)을 운반하기 위한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11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2)을 설치하되 상부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설치된 와이어로프(B)와 연결하기 위한 로프걸이구(113)가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하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래크기어(121)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에 장착되어 미끄럼운동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12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하부에는 걸림턱(131)이 코일(A)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터암(130)과, 상기 리프터암(130)의 상단에 설치하되 외경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90°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오목홈(141)이 구비되는 브라켓(14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140)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5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되 선단에는 상기 오목홈(141)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61)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160)와, 상기 래크기어(121)와 맞물린 상태로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몸체(120)를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기어(170)로 구성되는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리프터암의 회동이 불가능하던 획일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코일의 적재공간에 따라서 리프터암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협소한 공간을 갖는 코일의 양측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코일의 운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과 리프터암의 충돌을 방지하여 코일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코일, 리프터, 운반, 회동, 회전, 리프터암, 걸림턱, 고정, 실린더

Description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Coil lifter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도 1 -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 -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 -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8 또는 도 9 -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110: 몸체 111: 장공
112: 가이드레일 113: 로프걸이구
120: 이동몸체 121: 래크기어
122: 레일지지구
130: 리프터암 131: 걸림턱
140: 브라켓 141: 오목홈
150: 유압실린더
160: 유압실린더 161: 클램프
170: 회전기어 171: 회전축
172: 연동기어
180: 구동모터 181: 구동기어
A: 코일 B: 와이어로프
본 발명은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터암을 회동시켜 협소한 장소에 적재된 코일을 효율적으로 운반시키기 위한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은 제철소의 연속 주조공정을 통해서 배출되는 슬래브, 블룸, 빌렛 등을 회전하는 압연기의 사이를 통과시켜 생산하는 제품의 일종으로, 사용목적에 따라서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가공한 후 운반 및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서 원형으로 말아서 적재하게 된다.
이렇게 적재된 코일은 공지의 코일 리프터를 이용하여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 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코일 리프터의 리프터암은 코일의 내경에 삽입하여 들어올리기 위한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이므로 코일과 충돌현상을 유발시켜 코일의 생산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즉, 코일은 적재장소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 작업자 한 명이 통과할 정도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이므로 상기 리프터암의 걸림턱이 협소한 공간을 갖는 코일의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코일과 부딪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리프터암의 걸림턱이 코일의 사이에 충돌 또는 간섭으로 삽입시킬 수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코일의 운반효율은 물론 작업성을 극히 제한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 코일 리프터의 리프터암이 삽입되어 코일을 운반할 수 있는 작업반경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코일을 일정간격을 갖도록 적재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넓은 면적의 적재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폐단을 갖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코일 리프터는 코일을 들어올려 운반하기에는 용이하나, 코일의 적재공간에 따라서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프터암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도 형성되어 있지 못하므로 코일 리프터의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 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공간이 협소한 코일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리프터암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코일을 효율적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일(A)을 운반하기 위한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11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2)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하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래크기어(121)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에 장착되어 미끄럼운동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12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하부에는 걸림턱(131)이 코일(A)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터암(130)과, 상기 리프터암(130)의 상단에 설치하되 외경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오목홈(141)이 구비되는 브라켓(14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140)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5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되 선단에는 상기 오목홈(141)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61)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160)와, 상기 래크기어(121)와 맞물린 상태로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몸체(120)를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기어(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설치된 와이어로프(B)를 연결하기 위한 로프걸이구(113)가 형성되어 운전자가 코일(A)을 운반하기 위한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장공(111)은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리프터암(130)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상기 몸체(110)와의 간섭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2)은 상기 이동몸체(120)를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위해서 상기 레일지지구(122)와 서로 맞닿아 미끄럼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몸체(120)는 상기 리프터암(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형성된다.
상기 래크기어(121)는 상기 회전기어(170)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몸체(120)와 함께 리프터암(130)을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리프터암(130)은 상기 이동몸체(120)의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회동하여 협소한 공간을 갖는 코일(A)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31)은 코일(A)의 내경에 삽입되어 들어올리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걸림턱(131)의 상부에는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실리콘, 우레탄,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갖는 보호 패드가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브라켓(140)은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작동으로 상기 리프터암(130)을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경에는 상기 클램프(161)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홈(14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오목홈(141)은 90°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리프터암(130)을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코일(A)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프터암(130)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고 반대로 협소한 공간의 코일(A)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프터암(130)을 수직상태로 회동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150)는 상기 리프터암(130)과 브라켓(140)을 한 번의 동작으로 90°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161)는 상기 유압실린더(160)의 작동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목홈(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프터암(130)의 회동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유압실린더(160)는 상기 클램프(16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161)와 오목홈(141)은 삽입과정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함은 물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기어(170)는 상기 구동부재의 작동으로 회전하면서 맞물려 있는 한 쌍의 상기 래크기어(121)를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기어(17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71)과, 상기 회전축(171)의 상단에는 설치되는 연동기어(172)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되 선단에는 상기 연동기어(172)와 맞물려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181)가 구비되는 구동모터(18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연동기어(172)와 구동기어(181)는 상기 구동모터(180)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공지의 다양한 기어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평회전을 수직회전으로 전환하여 상기 회전기어(170)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베벨기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80)는 공지의 다양한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상황에 따라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하며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기능이 포함된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100)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 또는 도 9는 본 발명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의 사용상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평소에는 상기 유압실린더(150)를 작동(후진)시켜 상기 걸림턱(131)이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리프터암(130)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60)의 작동(전진)으로 상기 클램프(161)를 상기 오목홈(141)의 내부로 삽입시켜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적재된 코일(A)의 사이에 상기 리프터암(130)을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유압실린더(160)를 작동(후진)시켜 상기 클램프(161)를 상기 오목홈(141)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작동(전진)으로 상기 리프터암(130)을 상기 몸체(110)의 직각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을 갖는 코일(A)의 사이에 직각방향으로 회동된 상기 리프터암(130)을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리프터암(130)이 코일(A)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작동(후진)으로 상기 리프터암(130)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기어(170)가 회전하면서 상기 래크기어(121)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코일(A)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리프터암의 회동이 불가능하던 획일적인 구조를 탈피하여 코일의 적재공간에 따라서 리프터암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 협소한 공간을 갖는 코일의 양측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코일의 운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과 리프터암의 충돌을 방지하여 코일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코일(A)을 운반하기 위한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111)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112)을 설치하되 상부에는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에 설치된 와이어로프(B)와 연결하기 위한 로프걸이구(113)가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하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래크기어(121)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2)에 장착되어 미끄럼운동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지지구(12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이동몸체(12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하부에는 걸림턱(131)이 코일(A)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프터암(130)과, 상기 리프터암(130)의 상단에 설치하되 외경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90°를 갖도록 방사상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오목홈(141)이 구비되는 브라켓(140)과,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140)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50)와, 상기 이동몸체(12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되 선단에는 상기 오목홈(141)에 삽입되어 고정시키기 위해서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줄어드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클램프(161)가 구비되는 유압실린더(160)와, 상기 래크기어(121)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몸체(120)를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기어(170)와, 상기 회전기어(17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71)과, 상기 회전축(171)의 상단에는 설치되는 연동기어(172)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되 선단에는 상기 연동기어(172)와 맞물려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어(181)가 구비되는 구동모터(180)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56674A 2007-06-11 2007-06-11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KR10079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74A KR100798913B1 (ko) 2007-06-11 2007-06-11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674A KR100798913B1 (ko) 2007-06-11 2007-06-11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913B1 true KR100798913B1 (ko) 2008-01-29

Family

ID=3921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674A KR100798913B1 (ko) 2007-06-11 2007-06-11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91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361B1 (ko) 2008-12-30 2011-10-07 주식회사 효성 연속주조설비의 세그먼트용 호이스팅 어셈블리
KR200460743Y1 (ko) 2011-08-22 2012-06-08 김호천 4포크 리프터
CN103395624A (zh) * 2013-07-29 2013-11-20 江阴市锦明玻璃技术有限公司 机器人自动装卸用复合夹取系统
CN103466320A (zh) * 2013-09-23 2013-12-25 无锡市威海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卷运送机械爪
CN104355112A (zh) * 2014-11-25 2015-02-18 青岛恒基泰机电科技有限公司 空调换热器移载机
CN104908008A (zh) * 2015-06-23 2015-09-16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散管作正装置
CN108098201A (zh) * 2017-12-26 2018-06-01 保定向阳航空精密机械有限公司 动力位置转换及行程倍增机构
CN116101690A (zh) * 2022-08-24 2023-05-12 浙江欧特立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用消音器的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3342A2 (en) 1999-03-04 2000-09-06 Makron Oy Gripping lifter for transferring metal coils
JP2002029686A (ja) 2000-07-13 2002-01-29 Nkk Corp コイルリフタ−
KR20040087130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KR20050045578A (ko) * 2003-11-12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3342A2 (en) 1999-03-04 2000-09-06 Makron Oy Gripping lifter for transferring metal coils
JP2002029686A (ja) 2000-07-13 2002-01-29 Nkk Corp コイルリフタ−
KR20040087130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트의 코일 편 겹침 교정장치
KR20050045578A (ko) * 2003-11-12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361B1 (ko) 2008-12-30 2011-10-07 주식회사 효성 연속주조설비의 세그먼트용 호이스팅 어셈블리
KR200460743Y1 (ko) 2011-08-22 2012-06-08 김호천 4포크 리프터
CN103395624A (zh) * 2013-07-29 2013-11-20 江阴市锦明玻璃技术有限公司 机器人自动装卸用复合夹取系统
CN103395624B (zh) * 2013-07-29 2015-06-03 江苏锦明工业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机器人自动装卸用复合夹取系统
CN103466320A (zh) * 2013-09-23 2013-12-25 无锡市威海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卷运送机械爪
CN104355112A (zh) * 2014-11-25 2015-02-18 青岛恒基泰机电科技有限公司 空调换热器移载机
CN104908008A (zh) * 2015-06-23 2015-09-16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散管作正装置
CN108098201A (zh) * 2017-12-26 2018-06-01 保定向阳航空精密机械有限公司 动力位置转换及行程倍增机构
CN116101690A (zh) * 2022-08-24 2023-05-12 浙江欧特立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用消音器的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913B1 (ko) 작업성이 우수한 코일 리프터
KR101048971B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0888879B1 (ko) 롤 쵸크 턴 오버 장치
KR102128328B1 (ko) 파이프 가공 캐리지
JP6125882B2 (ja) エレクタ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セグメント組立装置
JPH09207042A (ja) 金型反転装置
AU2004276114B2 (en) Cab slide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CN203738611U (zh) 较大厢形工件喷丸移动回转装置及含有该装置的喷丸机
KR100912499B1 (ko) 롤 쵸크 선회장치
CN215659071U (zh) 一种钢管切割用定位装置
CN208906903U (zh) 一种间歇输送装置及电石运输线
CN210915080U (zh) 一种矿用绞车排绳装置
US6032998A (en) Power assisted roll handling apparatus
KR20120094664A (ko) 러그 절단장치
JP5174767B2 (ja) リクレーマ
KR200275343Y1 (ko) 압연로울러 교체용 로울러 체인징 장치
KR100751088B1 (ko) 턴 오버장치용 슬래브 위치정렬장치
CN219924359U (zh) 一种大型折弯机成型板料侧出料机构
KR20160027321A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KR101990937B1 (ko) 압연기 롤 교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롤 교체방법
KR20040020382A (ko) 압연스탠드의 소경롤 교환장치
KR101839836B1 (ko) 피처리물 이송장치
CN219703919U (zh) 旋转体工件的堆焊装置
JP2854565B2 (ja) ミルロール用ウェブガイド組替装置
CN216970989U (zh) 一种用于小车的接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