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4664A - 러그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러그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664A
KR20120094664A KR1020110014062A KR20110014062A KR20120094664A KR 20120094664 A KR20120094664 A KR 20120094664A KR 1020110014062 A KR1020110014062 A KR 1020110014062A KR 20110014062 A KR20110014062 A KR 20110014062A KR 20120094664 A KR20120094664 A KR 2012009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frame
cutting device
ho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306B1 (ko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1001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3/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 B23D53/08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p saw-blades which are effectively endless in use, e.g. for contour cutting for cutting profil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or clamp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guiding 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23D55/088Devices for feeding strap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1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ap saw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볼스크류(1112, 1114)가 형성되고, 볼스크류(1112, 1114)에는 모터(1113, 1115)가 연결되어 볼스크류(1112, 1114)를 회전시키는 메인프레임(1100)과, 상기 볼스크류(1112)가 맞물리는 나사선이 형성된 일측관통공(1212)에 의해 메인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210)과, 상기 이동프레임(1210)에 결합된 휠(1260, 1262)들과 상기 휠(1260, 1262)들 사이에 연결된 띠톱(1264)을 포함하는 절단유닛(1250)으로 구성된는 이동절단부(1201, 1202)와, 상기 메인프레임(1100)을 지지하는 이동가능지지부(1300)와, 상기 러그(100)의 리브(110)를 당기도록 메인프레임(1100)에 마련되는 클램프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띠톱에 의해 블록 구조물의 도장이나 금속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러그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러그 절단장치{A Lug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러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용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러그(Lug)를 블록 구조물의 도장이나 금속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제거할 수 있는 러그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건조 과정은 여러 개의 단위 블록(block)을 미리 제작한 후 이들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쌓아가면서 상호 연결시키는 탑재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선박 건조 공법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블록은 점점 대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블록의 제조가 이루어지면 도장 공장에서 미리 도장을 한 후 탑재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탑재 공정에서 대형 블록을 들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조된 블록에는 크레인(crane)의 훅(hook)을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러그(Lug)가 설치된다.
상기 러그는 블록의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가 용접 설치되는데, 대형화되는 블록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무게가 100kg 정도까지 나가는 중량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선박의 블록에 장착되는 러그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블록에 장착된 러그를 화염 절단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러그(1)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러그본체(5)에 크레인의 훅(미도시)이 삽입되면서 걸릴 수 있도록 원형의 체결공(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의 테두리 영역에는 체결공(6)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플레이트(7)가 러그본체(5)의 양 측면에 설치되고, 러그본체(5)의 양 측면에는 블록과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다수개의 리브(4)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본체(5)와 리브(4)의 하부가 블록(B)의 표면에 용접되면서 장착된 러그(1)는 탑재 공정이 끝난 후에는 블록(B)에서 다시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러그(1)의 제거 작업에는 블록(B)에 용접된 러그(1)의 하단부로부터 높이(h1)가 15~30mm를 남겨지도록 화염(F)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러그(1)의 대부분이 절단되고 나면 블록(B)에 남은 러그(1)의 하단부(5a)를 그라인드를 통해 제거시키는 마무리 공정이 수행되며, 절단된 러그(1)는 재생 작업을 통해 다시 블록(B)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화염(F) 절단 방식을 통한 러그 제거 작업은 러그(1)의 절단부위에는 대략 5,000K?20,000K 정도의 고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블록(B)의 도장 부위가 손상되거나 블록(B) 및 러그(1)의 금속조직이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절단 후 블록(B)에 남아 있는 러그(1) 하단부(5a)를 사람이 직접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표면이 불균일하게 절삭되어 후처리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단된 러그(1)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불균일하게 절단된 절단면을 다시 잘라내야 하기 때문에 화염(F) 절단 후 남아 있는 러그(1)의 높이(h2)가 더 짧아져 재생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 구조물의 도장이나 금속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삭방식을 통해 러그(Lug)를 제거할 수 있는 러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절단된 러그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러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볼스크류(1112, 1114)가 형성되고, 볼스크류(1112, 1114)에는 모터(1113, 1115)가 연결되어 볼스크류(1112, 1114)를 회전시키는 메인프레임(1100)과,
상기 볼스크류(1112)가 맞물리는 나사선이 형성된 일측관통공(1212)에 의해 메인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210)과, 상기 이동프레임(1210)에 결합된 휠(1260, 1262)들과 상기 휠(1260, 1262)들 사이에 연결된 띠톱(1264)을 포함하는 절단유닛(1250)으로 구성된는 이동절단부(1201, 1202)와,
상기 메인프레임(1100)을 지지하는 이동가능지지부(1300)와,
상기 러그(100)의 리브(110)를 당기도록 메인프레임(1100)에 마련되는 클램프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유닛(1250)은 구동모터(125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휠(1260)과, 조절휠(1262) 및, 상기 구동휠(1260)과 조절휠(1262) 사이를 감는 벨트 형상의 띠톱(126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210)에는 조절휠(1262)이 결합되는 고정축(1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측면둘레에는 구면베어링(1232)이 형성되며, 상기 구면베어링(1232)의 둘레에는 구면베어링(1232)과 접하는 조절하우징(123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전면에는 선단플레이트(1238)가 고정축(1222)의 전단부(1224)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플레이트(1238)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볼트공(1239)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1239)에는 틸팅볼트(1241)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축(1222)의 후단부(1226)의 둘레에는 상부에 가이드 돌기(1244)가 형성된 텐션하우징(1242)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하우징(1242)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44)와 맞물리는 가이드 홈(1248)이 형성된 텐션가이드부분(1246)이 마련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210)의 외측면에는 외측면프레임(11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프레임(1123)에는 나선공(1125)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공(1125)에는 텐션하우징(1242)이 상기 가이드 홈(1248)을 따라 이동되도록 외측텐션조절볼트(1127)가 연결된다.
상기 이동가능지지부(1300)에는 지지기둥(1320)과 이동유닛(135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닛(1350)은 실린더(1360)와, 상기 실린더(136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구동바퀴프레임(1370) 및, 구동바퀴(1372)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구동모터(1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개의 이동절단부(1201, 1202)는 동일한 형상이며, 메인프레임(1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부(1400)는 유압실린더(1420)와, 상기 유압실린더(1420)에 마련된 피스톤(144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복수개의 다리(1444, 1445, 1446, 1447)가 형성된 클램프몸체(1440)와, 걸이부재(1442, 1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몸체(1440)의 머리부분(1451)의 중앙에는 관통공(1453)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442)의 하방에는 몸통(1468)은 상기 관통공(145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1470)는 관통공(145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1470)에는 걸림홈(1476)이 둘레에 형성되는 피스톤하우징(1464)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476)에 체결되는 쐐기부재(1482, 1484)가 별도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띠톱에 의해 블록 구조물의 도장이나 금속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러그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동가능지지부가 마련되어 러그 절단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클램프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러그를 당길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이동절단부의 텐션조절 구조와 틸팅 구조에 의하여 띠톱의 장력 조절 및 이탈 방지가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선박의 블록에 장착되는 러그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블록에 장착된 러그를 화염 절단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러그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이동절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이동절단부의 측면도.
도 8은 도 3 중 이동가능지지부(1300)를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3의 클램프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클램프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러그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메인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이동절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이동절단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러그 절단장치(10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스크류(1112, 1114)가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0)에 장착되어 이동되면서 러그(100)를 절단하는 2개의 이동절단부(1201, 1202)와, 상기 이동절단부(1201, 1202)의 이동경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메인프레임(1100)의 양측에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100)을 지지하는 이동가능지지부(1300)와, 상기 러그(100)의 리브(110)를 메인프레임(1100) 방향으로 당기도록 메인프레임(1100)에 마련되는 클램프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0)은 러그(100)의 길이보다 긴 형태의 장축프레임(1120) 형태이며 장축을 따라서 나사선이 형성된 2개의 볼스크류(1112, 1114)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볼스크류(1112, 1114)에는 각각 별도의 모터(1113, 1115)가 연결되어 볼스크류(1112, 1114)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모터(1113, 1115)들과 볼스크류(1112, 1114)들 사이에는 타이밍벨트(1114)가 형성되어 모터의 동력을 볼스크류(1112, 1114)에 전달한다.
또한, 메인프레임(1100)의 장축을 따라서 2개 이상의 리니어모터레일(LM Rail: Linear Motor Rail)(11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2개의 이동절단부(1201, 1202)는 동일한 형상이며, 메인프레임(1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절단부(1201, 1202) 중 일측이동절단부(1201)는 하방에 위치된 러그를 도과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이동프레임(1210)과, 상기 이동프레임(1210)의 전방에 결합된 휠(1260, 1262)들과 상기 휠(1260, 1262)들 사이에 연결된 무한궤도 형상의 띠톱(1264)을 포함하는 절단유닛(1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210)은 2개의 볼스크류(1112, 1114)가 관통되도록 2개의 관통공(1212, 1216)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212, 1216) 중 일측관통공(1212)은 일측볼스크류(1112)가 맞물리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212, 1216) 중 타측관통공(1216)은 타측볼스크류(1114)가 접촉되지 않도록 타측볼스크류(1114)보다 관통공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이동절단부(1201)는 일측볼스크류(1112)를 따라서 메인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절단부(1201, 1202) 중 타측이동절단부(1202)는 타측볼스크류(1114)를 따라서 메인프레임(1100)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이동절단부(1201, 1202)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이동절단부(1201)는 메인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중앙까지 이동되고, 타측이동절단부(1202)는 메인프레임(1100)의 타측에서 중앙까지 이동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이동절단부(1201, 1202)를 하나만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프레임(1210)에는 상기 2개 이상의 리니어모터레일(1130)과 접촉되는 2개 이상의 리니어모터브럭(1290)이 형성되어 이동프레임(1210)의 이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된다.
상기 절단유닛(1250)은 이동프레임(1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25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휠(1260)과, 이동프레임(12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조절휠(1262) 및, 상기 구동휠(1260)의 원주둘레와 조절휠(1262)의 원주둘레 사이를 감는 벨트 형상의 띠톱(12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휠(1262)이 장착된 부분에는 본원발명의 특징인 틸팅 구조와 텐션(Tention)조절 구조가 아래와 같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이동프레임(1210) 중 조절휠(1262)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고정축(1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222)은 전단부(1224)와 후단부(1226)로 구분되며, 상기 전단부(1224)는 이동프레임(1210)의 전방에서 조절휠(1262)이 외각에 장착된 부분이고, 고정축(1222)의 후단부(1226)는 이동프레임(12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측면둘레에는 구면베어링(1232)이 형성되고, 상기 구면베어링(1232)의 둘레에는 구면베어링(1232)과 접하는 조절하우징(1234)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하우징(1234)의 둘레에는 연결베어링(123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베어링(1236)의 둘레에는 상기 조절휠(1262)이 형성된다.
상기 구면베어링(1232), 조절하우징(1234), 연결베어링(1236) 및 조절휠(1262)은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측면둘레에서 외측방향으로 순서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전면에는 선단플레이트(1238)가 고정축(1222)의 전단부(1224)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플레이트(1238)에는 상기 조절하우징(1234)이 형성된 위치와 인접한 부분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볼트공(1239)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1239)에는 틸팅볼트(1241)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볼트(1241)를 나사 형상의 볼트공(1239)에 결합시켜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틸팅볼트(1241)에 접하는 조절하우징(1234)은 구면베어링(1232)의 둘레에서 전후방으로 회동된다.
복수개의 틸팅볼트(1241)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조절하우징(1234)이 구면베어링(1232)의 둘레를 따라서 작은 범위 내에서 회동되면 조절휠(1262)도 조절하우징(1234)을 따라서 회동되어 조절휠(1262)의 회전각도가 고정축(1222)에 수직인 위치에서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틸팅 구조를 통하여 띠톱(1264)이 러그(100)를 절단하면서 받는 반발력에 의해서 궤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띠톱(1264)을 틸팅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즉, 상기 띠톱(1264)은 무한궤도 형태로서 제작 과정에서 톱날이 형성된 선단부분의 전체길이와 톱날이 형성되지 않은 후단부분의 전체길이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길이의 차로 인해 띠톱(1264)이 궤적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띠톱(1264) 형상에 맞춰서 복수개의 틸팅볼트(1241)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조절휠(1262)의 회전각도가 띠톱(1264)이 러그(100)를 절단하면서 궤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띠톱(1264)은 특수강 등으로 제작되며, 러그(100)를 원활하게 절삭할 수 있도록 두께는 1 내지 2mm(바람직하게는 1.6mm), 폭은 30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41mm)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띠톱(1264)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초경합금(hardmetal cemented carbide) 팁(tip)이 약 1000여개가 코팅(hard facing)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띠톱(1264)의 표면에 초경합금이 코팅되면 경도와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금속재질의 러그(100)를 절삭하는데 높은 성능을 보이며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띠톱(126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52)로는 3,000RPM 으로 회전하는 서보모터(servo mot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252)에는 감속기(미도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서보모터로부터 고속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절삭에 필요한 속도로 감속해준다.
상기 감속기는 러그(100)의 효율적인 절단을 위해 예를 들어 감속비(i)가 1/12.5로써 200 RPM과 12.5Kgf.m의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띠톱(1264)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축(1222)의 후단부(1226)의 둘레에는 상부 및 하부에 가이드 돌기(1244)가 형성된 텐션하우징(1242)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하우징(1242)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44)와 맞물리는 가이드 홈(1248)이 형성된 텐션가이드부분(1246)이 이동프레임(1210)에 마련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210)의 부분 중 조절휠(1262)이 결합되는 좌측부분의 외측면에는 외측면프레임(11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프레임(1123)에는 상기 텐션하우징(1242)과 인접한 부분에 나선공(1125)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공(1125)에는 텐션하우징(1242)이 상기 가이드 홈(1248)을 따라 이동되도록 외측텐션조절볼트(1127)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1210)의 부분 중 조절휠(1262)이 결합되는 좌측부분의 내측면에는 내측면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프레임(미도시)에는 상기 텐션하우징(1242)과 인접한 부분에 나선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공(미도시)에는 텐션하우징(1242)을 상기 가이드 홈(1248)을 따라 이동시키는 내측텐션조절볼트(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내측면프레임, 나선공 및 내측텐션조절볼트의 형상은 상기 외측면프레임(1123), 나선공(1125) 및 외측텐션조절볼트(1127)와 형상이 동일하다.
상기 외측텐션조절볼트(1127)를 감고 내측텐션조절볼트를 풀면 조절휠(1262)이 구동휠(1260) 방향으로 이동되고, 내측텐션조절볼트를 감고 외측텐션조절볼트(1127)를 풀면 조절휠(1262)이 구동휠(126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본원발명은 텐션 조절 구조를 형성하여 띠톱(1264)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절단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244)와 가이드 홈(1248)의 형성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8은 도 3 중 이동가능지지부(1300)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이동가능지지부(1300)는 4개가 마련되어 메인프레임(1100)의 4개 모서리부와 브래킷(1310)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브래킷(1310)에는 결합공(13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312)을 통하여 볼트(미도시)가 브래킷(1310)을 메인프레임(1100)과 결합시킨다.
상기 브래킷(1310)의 일측(1314)에는 지지기둥(1320)이 결합되고, 브래킷(1310)의 타측(1316)에는 이동유닛(135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기둥(1320)은 그 상부가 브래킷(1310)의 일측(1314)에 결합되며, 지지기둥(1320)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볼트(1322)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볼트(1322)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다리부분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부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러그(100)가 절단되는 과정 중에 상기 러그 절단장치(1000) 부분 중 선박 본체와 접하는 상기 지지기둥(1320)은 높이 조절볼트(1322)로 높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서, 띠톱(1264)에 의해 절단되는 러그(100)의 절단위치도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1350)은 브래킷(1310)의 타측(1316)에 장착된 실린더(1360)와, 상기 실린더(136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구동바퀴프레임(1370)과, 상기 구동바퀴프레임(137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바퀴(1372)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구동모터(1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360)에는 구동바퀴프레임(1370)의 상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이 마련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로 이동시켜 구동바퀴프레임(1370)에 장착된 구동바퀴(1372)가 상기 지지기둥(1320)의 하단보다 더 하부로 이동되도록 작용된다.
또한, 상기 유압구동모터(1380)는 구동바퀴(1372)에 연결되어 구동바퀴(1372)가 구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동가능지지부(1300)가 메인프레임(1100)에 4개 장착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러그 절단장치(1000)를 러그(100)가 설치된 지점까지 이동시킬 때 상기 실린더(1360)가 작동되어 구동바퀴(1372)를 지지기둥(1320)의 하단보다 하부로 이동시켜 러그 절단장치(1000)를 구동바퀴(137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유압구동모터(1380)를 이용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러그 절단장치(1000)가 절단되어야 할 러그(100)에 위치되면 실린더(1360)가 작동되어 구동바퀴(1372)를 지지기둥(1320)의 하단보다 상부로 상승시켜 러그 절단장치(1000)가 지지기둥(1320)에 의해 선박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절단과정이 진행된다.
또한, 러그(100) 절단이 완료되면 절단된 러그(100)를 러그 절단장치(1000)에 장착한 채 구동바퀴(1372)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어서 절단된 러그(100) 및 러그 절단장치(1000)의 이동이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9는 도 3의 클램프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클램프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와 같이 상기 러그(10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러그본체(120)에 크레인의 훅(미도시)이 삽입되면서 걸릴 수 있도록 원형의 체결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러그본체(120)의 양 측면에는 선박몸체와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4개의 리브(110)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110)와 러그본체(120) 사이에는 걸이구멍(130)이 형성된다.
상기 2개의 클램프부(1400) 각각은 메인프레임(1100)의 중앙에 형성된 브래킷(1410)(도 4 참고)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1420)와, 상기 유압실린더(1420)에 마련된 피스톤(144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4개의 다리(1444, 1445, 1446, 1447)가 형성된 클램프몸체(1440)와, 상기 걸이구멍(130)에 설치되는 걸이부재(1442, 1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러그본체(120)와 리브(110)가 연결된 부분의 수평단면은 십자 형상이며, 상기 클램프몸체(1440)의 4개 다리(1444, 1445, 1446, 1447)는 상기 십자 형상의 각진 4개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되어 걸이부재(1442, 1443)와 결합된다.
즉, 상기 러그본체(120)의 전방에 위치된 클램프몸체(1440) 다리(1446, 1447) 2개는 러그본체(120)의 전방에 형성된 걸이구멍(130)에 위치된 걸이부재(1443)와 결합되고, 러그본체(120)의 후방에 위치된 클램프몸체(1440) 다리(1444, 1445) 2개는 러그본체(120)의 후방에 형성된 걸이구멍(130)에 위치된 걸이부재(1442)와 결합된다.
클램프몸체(1440) 다리(1444, 1445, 1446, 1447)와 걸이부재(1442, 1443) 사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클램프몸체(1440) 다리(1444, 1445, 1446, 1447) 2개와 걸이부재(1442, 1443)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 결합공(1448, 1449)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448, 1449)에 볼트(미도시)가 결합된다.
본 발명은 클램프몸체(1440) 다리(1444, 1445, 1446, 1447)와 걸이부재(1442, 1443)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420)로 클램프몸체(1440)를 상승시켜 선박몸체로부터 러그(100)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 10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1442)의 하방을 클램프몸체(1440)에 체결하는 구조를 설명하면, 클램프몸체(1440)의 머리부분(1451)의 중앙에는 관통공(1453)이 형성되고, 피스톤(1442)의 하방에는 피스톤(1442)이 인입되는 중간하우징(1462)과 피스톤하우징(1464)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하우징(1464)의 몸통(1468)은 상기 관통공(145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피스톤하우징(1464)의 하부(1470)는 관통공(145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하우징(1464)의 하부(1470)에는 걸림홈(1476)이 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1476)에 체결되는 쐐기부재(1482, 1484)가 별도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하우징(1464)의 하부(1470)를 관통공(1453)에 인입시킨 후에 상기 쐐기부재(1482, 1484)를 관통공(1453)의 하부(1470)에서 상기 걸림홈(1476)에 끼우면 피스톤하우징(1464)과 클램프몸체(1440)가 결합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중간하우징(1462)과 피스톤하우징(1464)을 생략하고 피스톤(1442)의 하부를 피스톤하우징(1464)의 하부(1470)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관통공(1453)과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박몸체에 부착된 러그(100)를 분리하기 위해서 러그 절단장치(1000)를 상기 이동가능지지부(1300)의 구동바퀴(1372)에 의해 러그(100)가 장착된 부분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1372)를 상승시켜 메인프레임(1100)이 4개의 지지기둥(1320)에 의해 러그(100)를 중심으로 선박몸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부(1400)의 걸이부재(1443)를 걸이구멍(130)에 위치시키고 클램프몸체(1440)와 결합시킨 후 유압실린더(1420)에 의해 클램프몸체(1440)를 상승시켜 러그(100)를 당긴다.
상기 러그(100)가 당겨진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100)의 모터(1113, 1115)들을 작동시켜 볼 스크류(1112, 1114)들을 회전시키면 이동절단부(1201, 1202)가 메인프레임(1100)의 중앙으로 이동되면서 구동모터(1252)에 의해 회전되는 띠톱(1264)으로 러그(100)가 절단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252)의 회전속도는 고정되며, 절삭 피딩(Feeding) 속도는 메인프레임(1100)의 모터(1113, 1115)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절삭 피딩 속도는 모터(1113, 1115)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가변된다.
그리고 상기 띠톱(1264)이 러그(100)를 절단할 때 에어와 함께 절삭유가 분사되도록 장비를 구비하여 절단 절삭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러그(100)의 절단이 완료되면 구동바퀴(1372)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기둥(1320)이 선박몸체에서 분리되도록 한 후에 필요한 장소로 러그(100)를 포함한 러그 절단장치(1000)를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띠톱(1264)에 의해 블록 구조물의 도장이나 금속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러그(Lug)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동가능지지부(1300)가 마련되어 러그 절단장치(100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클램프부(1400)에 의하여 용이하게 러그(100)를 당길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이동절단부(1201, 1202)의 텐션조절 구조와 틸팅 구조에 의하여 띠톱(1264)의 장력 조절 및 이탈 방지가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러그 절단장치 1100: 메인프레임
1112, 1114: 볼스크류 1120: 장축프레임
1130: 리니어모터레일 1201, 1202: 이동절단부
1210: 이동프레임 1222: 고정축
1232: 구면베어링 1234: 조절하우징
1236: 연결베어링 1250: 절단유닛
1260: 구동휠 1262: 조절휠
1264: 띠톱 1300: 이동가능지지부
1400: 클램프부

Claims (7)

  1. 길이방향을 따라 볼스크류(1112, 1114)가 형성되고, 볼스크류(1112, 1114)에는 모터(1113, 1115)가 연결되어 볼스크류(1112, 1114)를 회전시키는 메인프레임(1100)과,
    상기 볼스크류(1112)가 맞물리는 나사선이 형성된 일측관통공(1212)에 의해 메인프레임(11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1210)과, 상기 이동프레임(1210)에 결합된 휠(1260, 1262)들과 상기 휠(1260, 1262)들 사이에 연결된 띠톱(1264)을 포함하는 절단유닛(1250)으로 구성된는 이동절단부(1201, 1202)와,
    상기 메인프레임(1100)을 지지하는 이동가능지지부(1300)와,
    상기 러그(100)의 리브(110)를 당기도록 메인프레임(1100)에 마련되는 클램프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1250)은 구동모터(1252)에 의해 회동되는 구동휠(1260)과, 조절휠(1262) 및, 상기 구동휠(1260)과 조절휠(1262) 사이를 감는 벨트 형상의 띠톱(126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210)에는 조절휠(1262)이 결합되는 고정축(1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측면둘레에는 구면베어링(1232)이 형성되며,
    상기 구면베어링(1232)의 둘레에는 구면베어링(1232)과 접하는 조절하우징(123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222) 전단부(1224)의 전면에는 선단플레이트(1238)가 고정축(1222)의 전단부(1224) 원주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플레이트(1238)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볼트공(1239)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1239)에는 틸팅볼트(124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222)의 후단부(1226)의 둘레에는 상부에 가이드 돌기(1244)가 형성된 텐션하우징(1242)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하우징(1242)의 둘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44)와 맞물리는 가이드 홈(1248)이 형성된 텐션가이드부분(1246)이 마련되며,
    상기 이동프레임(1210)의 외측면에는 외측면프레임(112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프레임(1123)에는 나선공(1125)이 형성되며, 상기 나선공(1125)에는 텐션하우징(1242)이 상기 가이드 홈(1248)을 따라 이동되도록 외측텐션조절볼트(1127)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지지부(1300)에는 지지기둥(1320)과 이동유닛(135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유닛(1350)은 실린더(1360)와, 상기 실린더(136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구동바퀴프레임(1370) 및, 구동바퀴(1372)의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구동모터(13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이동절단부(1201, 1202)는 동일한 형상이며, 메인프레임(1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1400)는 유압실린더(1420)와, 상기 유압실린더(1420)에 마련된 피스톤(144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복수개의 다리(1444, 1445, 1446, 1447)가 형성된 클램프몸체(1440)와, 걸이부재(1442, 14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몸체(1440)의 머리부분(1451)의 중앙에는 관통공(1453)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442)의 하방에는 몸통(1468)은 상기 관통공(145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1470)는 관통공(145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1470)에는 걸림홈(1476)이 둘레에 형성되는 피스톤하우징(1464)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1476)에 체결되는 쐐기부재(1482, 1484)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절단장치.
KR1020110014062A 2011-02-17 2011-02-17 러그 절단장치 KR101310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62A KR101310306B1 (ko) 2011-02-17 2011-02-17 러그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62A KR101310306B1 (ko) 2011-02-17 2011-02-17 러그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664A true KR20120094664A (ko) 2012-08-27
KR101310306B1 KR101310306B1 (ko) 2013-09-23

Family

ID=4688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62A KR101310306B1 (ko) 2011-02-17 2011-02-17 러그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04B1 (ko) * 2013-03-20 2014-06-23 델타기계(주) 러그 절단장치
WO2016043568A1 (ko) * 2014-09-19 2016-03-24 주식회사 현성이엔지 러그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120B1 (ko) 2014-09-01 2016-04-14 주식회사 현성이엔지 러그 연마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558A (ja) * 1998-11-16 2000-05-23 Create Kyushu:Kk ブロック搭載用吊りピ―スの切断方法
KR200317671Y1 (ko) * 2003-04-09 2003-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그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04B1 (ko) * 2013-03-20 2014-06-23 델타기계(주) 러그 절단장치
WO2016043568A1 (ko) * 2014-09-19 2016-03-24 주식회사 현성이엔지 러그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306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7308B1 (en) A wire saw
CN106984419B (zh) Hp型圆锥破碎机动锥衬板拆装装置
KR101310306B1 (ko) 러그 절단장치
JP2013079515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の切断・解体工法及び鋼管切断装置
KR101035035B1 (ko) 러그 절단장치
KR101017210B1 (ko) 러그 절단장치
KR102252597B1 (ko) 이동식 리프트 상에 설치된 파이프 가장자리 내측 면취기
CN214773101U (zh) 一种多刀片龙门式石材切割机的悬臂吊
CN115625581A (zh) 一种预应力高强度混凝土管桩连接装置
KR102351727B1 (ko) 벽체를 절단하기 위한 지능형 커팅기
AU2020308915A1 (en) A rotatable cutting chain work tool, a wall saw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work tool, an annular memb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annular member
CN102039504B (zh) 自动焊接装置
KR20130051215A (ko) 무레일 용접장치
KR101224837B1 (ko)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KR100530052B1 (ko) 조정너트와 링 캐리어의 분해조립장치
CN214603937U (zh) 电主轴表面精加工用夹具
CN214724557U (zh) 一种高效机械化矿山切石机
CN219684351U (zh) 钻杆耐磨带敷焊用辅助装置及敷焊系统
CN221052592U (zh) 一种管桩截桩机
CN220790537U (zh) 一种悬挑平台
CN216179708U (zh) 一种工字梁抛丸用载具
CN207594092U (zh) 金刚石绳锯机
CN215091327U (zh) 一种金属焊接机
JP2003094429A (ja) リングソー付き切断装置
CN209811517U (zh) 一种自动焊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