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169B1 -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169B1
KR100876169B1 KR1020020049999A KR20020049999A KR100876169B1 KR 100876169 B1 KR100876169 B1 KR 100876169B1 KR 1020020049999 A KR1020020049999 A KR 1020020049999A KR 20020049999 A KR20020049999 A KR 20020049999A KR 100876169 B1 KR100876169 B1 KR 10087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bending
roll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611A (ko
Inventor
김원식
박만식
김낙균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1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 연주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가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될 때 슬래브의 밴딩여부를 검출하여 밴딩된 슬래브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원활하게 이송 가능하도록 하는 롤 테이블에 구비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중인 슬래브(101)의 밴딩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동롤(100)의 양측 베어링블록(50,50a) 하부에 장착되는 로드셀(60,60a)과, 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PLC 패널(90)로 이루어지는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과; 상기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의 PLC 패널(9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70) 및 운전패널(80)로 이루어지는 장치제어수단과; 상기 장치제어수단의 운전패널(80)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면서 롤 테이블 상에 고정된 장치 지지대(40,40a)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실린더(20a,20b)와, 이의 축에 하부가 각각 고정되는 로딩 암(30a)과, 이의 양측 상부에 베어링블록(11a,11b)으로 결합하는 가이드 롤(10)과, 이에 고정되는 롤 고정대(2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롤(12a,12b)로 이루어지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49999
롤테이블, 밴딩슬래브, 구동롤, 가이드롤, 충격흡수롤, 로드셀, PLC패널

Description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APPARATUS FOR PERCEIVING AND GUIDING THE BENDED SLAB IN THE ROLL TABLE}
도 1은 밴딩된 슬래브가 롤 테이블에 유도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밴딩된 슬래브가 롤 테이블에 유도되어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유도장치가 롤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의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양품 슬래브 101a:밴딩 슬래브 100:구동롤 60a,60b:로드셀
90:PLC 패널 70:디스플레이 패널 80:운전패널 30a:로딩 암
40a,40b:장치 지지대 20a,20b:구동실린더 10:가이드 롤
21:고정대 12a,12b:충격흡수롤
본 발명은 롤 테이블에 구비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 연주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가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다가 외부요인으로 밴딩되는 현상이 발생되면, 이러한 밴딩여부를 검출하여 밴딩된 슬래브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원활하게 이송 가능하도록 하는 롤 테이블에 구비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공정에서 슬래브(101)가 주조되어 토치커트 머신(Torch Cutter Machine; 미도시)에서 절단된 슬래브(101)는 작업스케줄에 의해 롤 테이블의 구동롤(100)에 의해서 이송되고, 이송완료된 슬래브(101)은 다시 캐리지(110)에 의해서 다른 라인으로 운반이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야드에 이적되었다 다음 공정에 투입되게 된다.
그러나, 슬래브(101)가 롤 테이블을 통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온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활 모양으로 슬래브(101)의 헤드부 또는 말단부가 휘는 하향 밴딩현상이 발생되어 구동롤(100)과 구동롤(100a) 사이에 끼여 구동롤(100,100a)이 정지(트립; Trip)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밴딩이 되지 않은 반듯한 슬래브(101)를 천정크레인(미도시)으로 밴딩된 슬래브(101)의 후단에 장입하여 강제로 구동롤(100)을 구동시키든지 또는 크레인(미도시)으로 들어내 이송대차(미도시)와 같은 기타 이송수단으로 통해 후공정에 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발생은 슬래브(101)의 이송작업이 정체되고, 롤 테이블을 구성하는 구동롤(100)이 조기 파손되어 설비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 차질을 있거 나 납기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에서는 활처럼 아래 방향으로 휘어진 밴딩된 슬래브(101a)가 구동롤(100)에 걸려서 구르지 못하는 과정을 나타낸 문제발생도로서, 천정크레인(미도시)으로 들어내거나, 또 다른 하나의 슬래브(101a)를 라인 상에 놓고 밀어내는 작업과정이 될 수밖에 없다.
이때, 밴딩된 슬래브(101a)가 구동롤(100)에 떨어져 닿으면서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구동롤(100)은 물론 이와 연결된 구동모터 및 감속기 등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조기에 설비를 수리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 하고 또, 슬래브가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슬래브 이송공정의 지연은 슬래브 생산이 중단되는 조업상의 문제점과 납기지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철소 연주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가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다가 외부요인으로 하향 밴딩현상이 발생되면 이를 검출하여 밴딩된 슬래브를 상향 이동시켜 지속인 슬래브 이송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롤 테이블에서의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롤 테이블에서 이송중인 슬래브의 밴딩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동롤의 양측 베어링블록 하부에 장착되는 로드셀과, 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PLC 패널로 이루어지는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과; 상기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의 PLC 패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운전패널로 이루어지는 장치제어수단과; 상기 장치제어수단의 운전패널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면서 롤 테이블 상에 고정된 장치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실린더와, 이의 축에 하부가 각각 고정되는 로딩 암과, 이의 양측 상부에 베어링블록으로 결합하는 가이드 롤과, 이의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롤 고정대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롤로 이루어지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이 롤 테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구동롤 사이에 대면하여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유도장치가 롤 테이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는 롤 테이블 상에서 이송중인 슬래브(101)의 밴딩 여부를 감지하는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과, 상기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화시켜 표시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제어수단과, 상기 장치제어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실린더(20a,20b)가 작동하여 가이드 롤(10)을 상향 이동시켜 밴딩된 슬래브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유도하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은 롤 테이블을 구성하는 구동롤(100)의 양측 베어링블록(50a,50b) 하부에 장착되는 로드셀(60a,60b)을 구비하며,
상기 로드셀(60a,60b)은 높이가 일정하고 내부에 저항체가 병렬로 연결되어 상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변형되어 저항체의 간격이 넓어졌다 좁아졌다 하면서 입력된 일정 전압이 출력되면서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셀(60a,60b)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는 PLC 패널(9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을 구성하는 PLC 패널(90)은 기존 데이터와 검출된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장치 제어수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제어수단은 상기 PLC 패널(9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화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70)이 마련되고,
상기 PLC 패널(90)과 연결되어 하기하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을 작동사키는 운전실의 운전패널(8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은 롤 테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구동롤(100) 사이에 대면하여 한 쌍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은 상기 장치제어수단의 운전패널(80)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면서 롤 테이블 상에 고정된 장치 지지대(40a,40b)의 하부에 구동실린더(20a,20b)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실린더(20a,20b)의 구동축은 상기 장치 지지대(40a,40b)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ㄷ형 로딩암(30a)의 양측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ㄷ형 로딩암(30a)의 양측 상부에는 베어링블록(11a,11b)으로 가이드 롤(1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롤(10)의 회전축 상에는 ㅅ형의 롤 고정대(21)가 고정되며,
상기 ㅅ형의 롤 고정대(2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롤(12a,12b)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은 롤 테이블을 구성하는 구동롤(100)의 사이공간에 상호 대응하도록 한 쌍이 1개조를 이루어 설치되며,
특히, 설치되는 높이는 밴딩 슬래브(101a)가 아니고 정상적인 슬래브(101)가 롤 테이블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롤(10)이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동롤(100)보다 낮은 위치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의 작용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된 슬래브(101)가 절단되어 롤 테이블 상을 이동하는데, 이때 외부요인에 의하여 밴딩된 슬래브(101)의 헤드부분이 구동롤(100)에 접촉하는 순간 구동롤(100)이 순간적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롤(100)의 베어링블록(50a,50b) 하단에 설치된 로드셀(60a,60b)이 변형되어 변위된 출력전압에 대한 신호를 PLC 패널(9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PLC 패널(90)은 전송된 데이터와 메모리된 기존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게 되는데, 상기 PLC 패널(90)은 슬래브의 중량, 길이 및 기타의 정보와 수평 테이블의 정지 포지션이 메모리되어 있다.(슬래브 길이에 따라 정지포지션이 상이함)
상기와 같이 기존 슬래브 데이터와 비교 분석되어 PLC 패널(9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70)에 슬래브 정지 포지션 및 현재의 슬래브 정지 포지션 상태를 램프로 점등 표시함과 동시에 정상적인 슬래브(101)가 이송되는 경우는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램프가 정상적으로 점등되고(70a),
밴딩변형된 슬래브(101a)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패널(70)의 슬래브 정지 상태램프가 소등(70b)되며,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의 가이드 롤(10a,10b)이 구동실린더(20a,20b)의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는 개방되어 실린더 축을 팽창시키면, 로딩암(30a,30b)이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 롤(10a,10a)이 밴딩된 슬래브(101)의 밑면과 접촉하여 슬래브를 일정높이로 상승시키면, 구동롤(100)의 구동모터(미도시)가 힘을 받지 않게 되고,
슬래브(101a)의 밴딩현상이 심할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 롤(10a,10b)과 한 축으로 연결된 충격흡수 롤(12a,12b)이 가이드 롤(10a,10b)에서 받는 충격을 분할하 는 역할을 하여 구동롤(100)이 정상적으로 기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거쳐 밴딩변형된 슬래브(101a)는 롤 테이블의 캐리지(110)에 안착되게 되어 후공정으로의 슬래브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PLC 패널(90)에 슬래브의 길이, 중량, 기타의 정보와 롤 테이블의 정지 포지션 메모리 값이 기본값과 같은 정상적인 슬래브 일 때는 가이드 롤(10a,10b)이 작동을 하지 않고 작업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된 슬래브가 외부의 온도변화로 밴딩변형되어 롤 테이블 상에서 구동롤에 힘을 가하여 정지됨으로써 이송작업이 정체되어 조업지연 또는 납기지연, 구동롤의 파손 및 구동롤와 연결된 구동모터 및 감속기 파손 등으로 설비수리 요인이 발생생산에 차질을 초래하거나 납기지연 등 조업상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송중인 슬래브(101)의 밴딩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동롤(100)의 양측 베어링블록(50a,50b) 하부에 장착되는 로드셀(60a,60b)과, 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PLC 패널(90)로 이루어지는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과;
    상기 밴딩 슬래브 검출수단의 PLC 패널(9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70) 및 운전패널(80)로 이루어지는 장치제어수단과;
    상기 장치제어수단의 운전패널(80)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면서 롤 테이블 상에 고정된 장치 지지대(40a,40b)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동실린더(20a,20b)와, 이의 축에 하부가 각각 고정되는 로딩 암(30a)과, 이의 양측 상부에 베어링블록(11a,11b)으로 결합하는 가이드 롤(10)과, 이의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롤 고정대(2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롤(12a,12b)로 이루어지는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은 롤 테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구동롤(100) 사이에 대면하여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 슬래브 유도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롤(10)은 무게감소를 위하여 다수개의 소형 롤(10a)이 다수 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KR1020020049999A 2002-08-23 2002-08-23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KR10087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999A KR100876169B1 (ko) 2002-08-23 2002-08-23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999A KR100876169B1 (ko) 2002-08-23 2002-08-23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11A KR20040018611A (ko) 2004-03-04
KR100876169B1 true KR100876169B1 (ko) 2008-12-31

Family

ID=3732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999A KR100876169B1 (ko) 2002-08-23 2002-08-23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977B1 (ko) * 2007-08-22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벤딩 슬라브 안내장치
KR101694444B1 (ko) 2015-06-12 2017-01-09 주식회사 포스코 러그 플레이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767A (en) * 1978-12-27 1980-07-1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bnormality detection of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S5832510A (ja) * 1981-08-21 1983-02-25 Kawasaki Steel Corp インラインリダクシヨンにおけるスラブ曲り制御方法
KR20020027991A (ko) * 2000-10-06 2002-04-15 이구택 슬래브의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767A (en) * 1978-12-27 1980-07-18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bnormality detection of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S5832510A (ja) * 1981-08-21 1983-02-25 Kawasaki Steel Corp インラインリダクシヨンにおけるスラブ曲り制御方法
KR20020027991A (ko) * 2000-10-06 2002-04-15 이구택 슬래브의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11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8217A (en) Roll chucking apparatus
RU2670885C2 (ru) Способ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материнскими рулонами на установках для конвертинга бумаги
CN110103065B (zh) 一种钢管下料装置
CN112093538A (zh) 一种用于薄膜行业的智能行车上下料系统
KR100876169B1 (ko)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KR101149284B1 (ko)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KR100558052B1 (ko)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CN113003196B (zh) 一种轧制车轮自动分类筛选输送装置
JPH0815953B2 (ja) 枚葉紙給紙機
KR20040041448A (ko)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CN112517662B (zh) 一种热轧钢卷卷取卸卷位置稳定装置及其位置判断方法
KR100787589B1 (ko) 외판코일용 이동식 밴드체결장치
KR100804986B1 (ko) 파일링 롤러 테이블상의 슬라브 고정장치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200331472Y1 (ko) 장입주편 추락 방지장치
KR102390814B1 (ko) 제품이송장치
KR101504440B1 (ko) 간지 회수장치
KR20040006536A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KR100939320B1 (ko) 비상작업이 용이한 슬라브 이동머신
SU1144911A1 (ru) Съемник букс
KR100919011B1 (ko) 산세코일 녹 발생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KR200218354Y1 (ko) 박판 코일의 에지 융착부 분리장치
RU20740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рулонов с оси накопителя на ось ст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