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814B1 - 제품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814B1
KR102390814B1 KR1020200027273A KR20200027273A KR102390814B1 KR 102390814 B1 KR102390814 B1 KR 102390814B1 KR 1020200027273 A KR1020200027273 A KR 1020200027273A KR 20200027273 A KR20200027273 A KR 20200027273A KR 102390814 B1 KR102390814 B1 KR 10239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evice body
fixed
position fix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115A (ko
Inventor
이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2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8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제품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품이송장치{PRODUCT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킨 제품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열연 제품과 냉연 제품은 창고 내에 보관되고, 원하는 시기에 육상운송, 해상운송 등의 방식을 통하여 적절한 시기에 공급된다. 여기서, 특히 가장 많이 적용되는 운송방식이 해상운송 방식이고, 해상운송 방식이 전체 운송방식의 70 ~ 80% 정도를 차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창고 등에서 운송된 제품(C)을 작업자가 거치선재(3)로 줄걸이하여 선적기(1)에 의해 선박 내에 진입하여 선박 바닥에 제품(C)을 내려 안착하면 지게차를 이용하여 선박 내에 적치할 수 있다.
이때, 거치선재(3)는 제품(C)의 내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선적기(1)와 연결되면서 제품(C)을 거치할 수 있고, 줄걸이취구(5)는 제품(C)을 내경을 관통한 양측의 거치선재(3)를 제품(C)의 폭 이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다만, 선적기(1)를 이용하여 선박 내에 제품(C)을 내려놓으면 지게차가 다시 선박 내에 적치하는 작업을 할 때, 선박의 바닥이 선박의 기울기, 조수 간만의 차, 선박의 유동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수평하게 형성되지 않아 선박내에서 지게차 선적작업시 제품(C)이 굴러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제품(C)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C)에 고임목(7)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제품(C)에 고임목(7)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품(C)에 작업자의 발 등의 신체부위가 협착되는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작업 인원의 과다투입으로 선적 작업능률 저하가 발생하고, 물류운송 효율이 떨어지면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19666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물류운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킨 제품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하측에 이동레일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부가 연결되는 이동프레임;을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품거치부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제품의 양측을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고정부는, 제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품고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품고정부재는,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서포트부재; 및, 상기 고정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부재를 상기 제품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고정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제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품고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품고정부재는,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서포트부재; 및, 상기 고정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부재를 상기 제품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고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본체는 다단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복수 개가 제공되는 슬라이드암을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본체는, 상기 슬라이드암과 상기 제품고정부재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품을 고정시 제품의 대경부가 배치되도록 내입된 내입공간이 형성되는 내입암;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부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동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는 회동모터; 상기 회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회전슬리브에 권취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고정부에 연결되는 회동선재;를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의 회동각도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류운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품을 이송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품이송장치의 위치고정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품이송장치의 위치고정부의 회동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C)이송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C)이송장치는 장치본체부(100), 제품거치부(200) 및, 위치고정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회동구동부(400) 및, 스토퍼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품(C)이송장치는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100)와,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제품(C)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200) 및,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C)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크레인, 호이스트 등에 이동장치(T)에 연결되어 이동할 수 있고,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된 제품거치부(200)에 코일이 거치된 상태에서 원하는 이송지점까지 이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품거치부(20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제품(C)이 거치되는 부분이다.
일례로, 제품(C)은 제철공장 내의 열간 압연기 또는 냉간 압연기 등을 통해 연속 생산되는 강판이 일정 폭을 가지도록 권취된 코일일 수 있다.
제품거치부(200)에 제품(C)이 거치된 상태에서 장치본체부(100)가 이동하면서 제품(C)은 원하는 이송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품거치부(200)는 거치선재(210)와 줄걸이취구(230)를 구비할 수 있다.
거치선재(210)는 제품(C)의 내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된 거치후크(250)에 연결되면서 제품(C)을 거치할 수 있다.
거치선재(210)는 와이어, 로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줄걸이취구(230)는 제품(C)을 내경을 관통한 양측의 거치선재(210)를 제품(C)의 폭 이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줄걸이취구(230)가 양측의 거치선재(210)를 제품(C)의 폭 이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제품(C)의 내경의 폭방향 단부부분이 거치선재(210)와 마찰되면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거치선재(210) 및, 거치선재(210)를 이격시키는 줄걸이취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고정부(30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제품거치부(200)에 거치된 제품(C)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품(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는 코일 등의 제품(C)이 바닥에 내려진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하여 제품(C)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는 일측이 바닥 및 제품(C)의 하측과 접하면서 제품(C)이 바닥의 경사 등으로 인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에 의해 바닥에 내려진 제품(C)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품거치부(200)에 거치된 제품(C)의 거치가 해제될 수 있다.
이후, 위치고정부(300)에 의해 제품(C)이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이 제품(C)의 내경부를 거치하여 선박 내에 적치할 수 있다.
이후, 제품(C)이송장치는 다른 제품(C)의 이송을 위해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이동장치(T)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300)에 의해 제품(C)이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제품(C)을 지지하는 서포트(미도시)를 설치하여 제품(C)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제품(C)이송장치는 다른 제품(C)의 이송을 위해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이동장치(T)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가 조절되면서 제품(C)과 접하는 접촉지점은 종방향(높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위치고정부(300)는 일부구간에서 종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면서 위치고정부(300)의 접촉지점의 위치가 제품(C)의 높이에 맞게 종방향(높이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위치고정부(300)는 일부구간에서 횡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면서 위치고정부(300)의 접촉지점의 위치가 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품(C)이송장치는 위치고정부(300)가 바닥에 내려진 제품(C)을 임시로 고정한 상태에서 지게차 등에 의해 제품(C)을 이동시킬 수 있어 제품(C)이 굴러가면서 작업자 등이 제품(C)에 협착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는, 하측에 이동레일(111)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110) 및, 상기 이동레일(11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부(300)가 연결되는 이동프레임(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30)은 하측에 위치고정부(300)가 설치되는 이동프레임본체(131)와, 이동프레임본체(131)에 설치되고, 이동모터(135)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본체(131)를 상기 이동레일(111)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휠(13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30)에는 이동프레임본체(131)의 하측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30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이링크(137)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의 상단부분은 이동프레임본체(131)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이링크(13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는 장치본체부(100)의 이동프레임(130)에 설치되고, 이동프레임(130)이 이동레일(111) 상에서 이동하면서 이동프레임(130)에 설치된 위치고정부(300)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고정부(300)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는 제품(C)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제품(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는 제품(C)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부(300)의 서포트부재(331)가 제품(C)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300)는 제품(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위치고정부(300)가 장치본체부(100)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품(C)이송장치는 다른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고정부(300)는 상기 제품거치부(200)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제품(C)의 양측을 고정 가능할 수 있다.
제품거치부(200)를 사이에 두고 좌측에 제1 위치고정부(300)가 설치되고 우측에 제2 위치고정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품거치부(200)에 거치된 코일 등의 제품(C)이 바닥에 내려진 상태에서, 제1 위치고정부(300)가 코일의 좌측 하부를 지지하고, 제2 위치고정부(300)가 코일의 우측 하부를 지지하면서 제품(C)은 바닥에 내려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이 제1 위치고정부(300) 및 제2 위치고정부(300)에 의해 양측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지게차 등이 코일의 내 경부를 거치하여 선박 내부 등의 최종목표지점에 적치할 수 있다.
물론, 코일이 제1 위치고정부(300) 및 제2 위치고정부(300)에 의해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추가적으로 제품(C)을 지지하는 서포트(미도시)를 설치한 후, 이후 지게차 등이 코일의 내 경부를 거치하여 선박 내부 등의 최종목표지점에 적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고정부(300)는, 제품(C)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품(C)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품(C)고정 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C)고정부 재가 고정되는 고정본체(31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본체(310)는 상측이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에 제품(C)고정부 재가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본체(310)는 길이가 조절되면서 고정본체(310)에 고정된 제품(C)고정부 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고정본체(310)는 일측이 장치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는 일측이 장치본체부(100)의 이동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는 제품고정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고정본체(310)는 길이가 조절되면서 고정본체(310)에 고정된 제품(C)고정부 재의 높이가 조절되고, 고정본체(310)는 일측이 장치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품고정부재(330)는 고정본체(31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선박 등의 이송지역에 제품(C)이 내려지면 제품(C)의 하측을 지지하여 제품(C)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본체(310)의 상단은 이동프레임(130)의 접이링크(137)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본체(310)의 하단은 제품고정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본체(310)는 일측이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는 제품고정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품고정부재(330)는, 제품(C)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서포트부재(331) 및, 상기 고정본체(3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부재(331)를 상기 제품(C)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고정실린더(333)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트부재(331)는 고정실린더(333)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고정실린더(333)에 의해 제품(C) 방향으로 전진되어 제품(C)의 하부를 지지하여 제품(C)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서포트부재(331)는 하부가 제품(C)이 내려진 선박 내부 등의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 등의 제품(C)의 하부를 지지하여 제품(C)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실린더(333)는 고정본체(31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유압 또는 공압을 매개로 서포트부재(331)를 제품(C)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제품고정부재(330)는 서포트부재(331)에 설치되고, 서포트부재(331)가 제품(C)에 근접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3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품(C)이 바닥에 내려지면 근접센서(335)가 제품(C)을 감지하고, 근접센서(335)는 서포트부재(331)가 제품(C)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실린더(333)에 동작신호를 보내면서 서포트부재(331)가 제품(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실린더(333)에 의해 서포트부재(331)가 제품(C)에 근접하여 제품(C)의 위치를 고정시, 근접센서(335)는 고정실린더(333)에 정지신호를 보내면서 고정실린더(333)의 동작은 정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본체(310)는 다단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복수 개가 제공되는 슬라이드암(311)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본체(310)는 다단으로 슬라이드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고정본체(310)는 다단으로 슬라이드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으로 구성됨에 따라, 고정본체(3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품고정부재(330)가 배치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고정본체(310)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으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길이가 길어지거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이러한 방식 이외에 기존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본체(310)는 3개의 슬라이드암(311)이 다단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암(311)의 상단은 접이링크(137)를 매개로 장치본체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의 상단부분은 접이링크(13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드암(311)의 하단부분에는 제품고정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암(311)에는 회동축(312)이 일체로 고정되고, 회동축(312)은 접이링크(13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동축(312)에는 후술할 스토퍼부(500)가 설치되고, 스토퍼부(500)는 접이링크(137)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축(312)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가 회동축(312)을 고정할 경우, 슬라이드암(311)의 회동각도는 고정될 수 있고, 스토퍼부(500)가 회동축(312)의 고정을 해제할 경우, 슬라이드암(311)은 접이링크(137)에서 회동되면서 회동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본체(310)는, 상기 슬라이드암(311)과 상기 제품고정부재(330)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위치고정부(300)가 상기 제품(C)을 고정시 제품(C)의 대경부가 배치되도록 내입된 내입공간(D)이 형성되는 내입암(3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내입암(315)은 슬라이드암(311)과 상기 제품고정부재(330)의 사이를 높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내입암(315)은 높이방향 중앙영역이 제품(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입된 C 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내입암(315)의 상단은 슬라이드암(311)의 상단에 고정되고, 내입암(315)의 하단에는 제품고정부재(330)가 고정될 수 있다.
제품고정부재(330)의 고정실린더(333)가 내입암(315)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품고정부재(330)의 서포트부재(331)가 고정실린더(333)에 의해 제품(C)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품(C)은 고정될 수 있다.
내입암(315)은 높이방향 중앙영역이 제품(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내입된 내입공간(D)이 형성될 수 있다.
제품고정부재(330)의 서포트부재(331)가 제품(C)의 하단으로 진입되어 제품(C)을 지지시, 제품(C)의 돌출된 부분은 내입암(315)의 내입공간(D)에 배치되면서 내입암(315)과 제품(C)의 돌출된 부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품(C)이송장치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부(300)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구동부(400)는 일측은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고, 타측은 위치고정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구동부(400)는 위치고정부(300)를 회동시켜 장치본체부(100) 방향으로 밀착시켜 제품(C)이송장치 전체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부(300)의 복수 개의 슬라이드암(311)은 길이가 짧아진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동구동부(400)에 의해 위치고정부(300)가 장치본체부(100) 방향으로 회동시, 위치고정부(300)가 설치된 장치본체부(100)의 이동프레임(130)은 제품거치부(2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품(C)이송장치 전체의 폭을 작게 한 상태에서 호이스트, 크레인 등의 이동장치(T)에 의해 제품(C)이송장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동구동부(400)는, 상기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는 회동모터(410)와, 상기 회동모터(4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슬리브(430) 및, 일측은 상기 회전슬리브(430)에 권취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고정부(300)에 연결되는 회동선재(450)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모터(410)는 장치본체부(100)의 사이드 측면에 설치되고, 회동모터(410)의 회전축에는 회동선재(450)를 감을 수 있는 회전슬리브(43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슬리브(430)는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되는 회동모터(410)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다.
회동선재(450)는 회동슬리브와 위치고정부(300)의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 등의 회동선재(450)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선재(450)는 일측이 장치본체부(100)에 설치된 회동모터(410)에 의해 회동슬리브에 권취되고, 타측이 위치고정부(30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회동모터(410)가 회동선재(450)를 권취하면 위치고정부(300)의 하단이 상측으로 들리면서 위치고정부(300)는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회동구동부(400)의 작동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선재(450)는 회동모터(410)에서 제공된 회전력을 매개로 회전슬리브(430)에 감기고, 회전슬리브(430)와 위치고정부(300) 사이에서 회전선재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위치고정부(300)의 하단이 상측으로 들리게 될 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부(300)는 제품(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동선재(450)는 회전슬리브(430)에서 풀리고, 회전슬리브(430)와 위치고정부(300) 사이에서 회전선재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위치고정부(300)의 하단이 하측으로 내려지게 될수 있다. 이때, 위치고정부(300)는 제품(C)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본체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300)의 회동각도를 고정하는 스토퍼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장치본체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부(300)의 회동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장치본체부(100)의 접이링크(137)에 고정된 상태에서 위치고정부(300)의 회동축(312)의 회전상태를 제어하여 위치고정부(30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접이링크(137)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축(312)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동축(312)은 스토퍼부(500)의 내부로 삽입되고, 회동축(312)의 삽입된 부분은 스토퍼부(500)의 내부와 기어결합 등을 매개로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500)가 회동축(312)의 회동축(312)의 회전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가 회동축(312)을 고정할 경우, 슬라이드암(311)의 회동각도는 고정될 수 있고, 스토퍼부(500)가 회동축(312)의 고정을 해제할 경우, 슬라이드암(311)은 접이링크(137)에서 회동되면서 회동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선적기 3: 거치선재
5: 줄걸이취구 7: 고임목
100: 장치본체부 110: 본체프레임
111: 이동레일 130: 이동프레임
131: 이동프레임본체 133: 이동휠
135: 이동모터 137: 접이링크
200: 제품거치부 210: 거치선재
230: 줄걸이취구 250: 거치후크
300: 위치고정부 310: 고정본체
311: 슬라이드암 312: 회동축
315: 내입암 330: 제품고정부재
331: 서포트부재 333: 고정실린더
335: 근접센서 400: 회동구동부
410: 회동모터 430: 회전슬리브
450: 회동선재 500: 스토퍼부
C: 제품 D: 내입공간
T: 이동장치

Claims (11)

  1.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본체부는,
    하측에 이동레일이 형성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부가 연결되는 이동프레임;을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품거치부를 사이에 두고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제품의 양측을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제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품고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본체;를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고정부재는,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서포트부재; 및,
    상기 고정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부재를 상기 제품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고정실린더;를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
  7.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제품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품고정부재;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품고정부재는,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되는 서포트부재; 및,
    상기 고정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부재를 상기 제품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고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본체는 다단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복수 개가 제공되는 슬라이드암을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는,
    상기 슬라이드암과 상기 제품고정부재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위치고정부가 상기 제품을 고정시 제품의 대경부가 배치되도록 내입된 내입공간이 형성되는 내입암;을 더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
  9. 삭제
  10. 이동 가능한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제품이 거치되는 제품거치부;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고, 바닥에 내려진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고정부; 및,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고정부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동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는 회동모터;
    상기 회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슬리브; 및,
    일측은 상기 회전슬리브에 권취되고, 타측은 상기 위치고정부에 연결되는 회동선재;를 구비하는 제품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의 회동각도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제품이송장치.
KR1020200027273A 2020-03-04 2020-03-04 제품이송장치 KR10239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73A KR102390814B1 (ko) 2020-03-04 2020-03-04 제품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73A KR102390814B1 (ko) 2020-03-04 2020-03-04 제품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15A KR20210112115A (ko) 2021-09-14
KR102390814B1 true KR102390814B1 (ko) 2022-04-26

Family

ID=7777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73A KR102390814B1 (ko) 2020-03-04 2020-03-04 제품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8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66B1 (ko) 2009-10-08 2012-03-1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강판코일 리프터
KR20120060379A (ko) * 2010-12-02 2012-06-12 한국과학기술원 철강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크레인
KR101304038B1 (ko) * 2011-12-30 2013-09-04 이정상 요트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115A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JP4879011B2 (ja) 貨物自動車の貨物落下防止装置
US4905925A (en) Reel bar loading mechanism with outwardly pivoting guide rails
KR102390814B1 (ko) 제품이송장치
CN111618587A (zh) 球扁钢接长生产线及接长方法
CN111646269A (zh) 用于大径宽比带卷径向上卸卷的防倾翻装置及上卸卷方法
CN116573202A (zh) 用于钢卷打捆机的捆带自动上料机构及方法
KR102360149B1 (ko) 슬링 재단을 위한 이송 및 리프트장치
KR20200001195U (ko) 보일러의 코일 행거용 용접 후처리 작업라인시스템
KR100514802B1 (ko) 하역작업용 리프팅 장치
CN108455144A (zh) 靠边输送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547549A (zh) 用于大径宽比带卷轴向上卸卷的防倾翻装置及上卸卷方法
KR101775679B1 (ko) 지게차용 코일뎀핑장치
CN212424825U (zh) 用于大径宽比带卷轴向上卸卷的防倾翻装置
JP2009023811A (ja) 傾動式台車枠搬送装置
JPS6019689A (ja) 搬出装置
JPS62249816A (ja) コイル用スキツド敷込みアツプエンダ−装置
JP3361193B2 (ja) 吊り荷の吊支機構
KR100792742B1 (ko) 코일 드럼 공급장치
JP3048832B2 (ja) 2段圧延ロールチョック組立装置
CN211539035U (zh) 一种制钉钢丝拔丝用料车
JP3005827B2 (ja) 表面処理方法
KR200326518Y1 (ko) 선재코일하역리프터장치
JP4136735B2 (ja) セグメントストック装置
KR20150072753A (ko) 코일 리프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