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666B1 - 강판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강판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666B1
KR101119666B1 KR1020090095666A KR20090095666A KR101119666B1 KR 101119666 B1 KR101119666 B1 KR 101119666B1 KR 1020090095666 A KR1020090095666 A KR 1020090095666A KR 20090095666 A KR20090095666 A KR 20090095666A KR 101119666 B1 KR101119666 B1 KR 10111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il
buffer plate
lif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394A (ko
Inventor
이성윤
황용구
이한나
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9009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6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며 하단부에 슈(shoe)를 갖는 암(arm)과; 상기 암을 지지하는 리프터바디와; 상기 암의 내향면에 설치되며 암이 강판코일을 집기 위해 코일에 접근할 때 코일의 측면에 접하여 암에 대한 코일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판과; 상기 암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정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판과 결합하는 탄력스트링과; 상기 탄력스트링을 암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탄력스트링으로 하여금 완충판을 탄성적으로 지지케 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강판코일 리프터는, 암에 대한 강판코일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의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특히 강판코일에 접하는 완충판에 과도한 힘이 미치지 않아 그만큼 완충판의 수명이 길고, 또한 암의 정밀 위치제어 및 속도제어가 가능하므로 동작 정밀성이 좋고 민첩하며 운행 중 흔들림이 적어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다.
리프터, 코일, 완충, 암, 와이어

Description

강판코일 리프터{Coil sheet lifter}
본 발명은 강판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제철 공장내의 열간압연기 또는 냉간압연기를 통해 연속 생산되는 강판은 일정폭을 가지며 코일형태로 감겨 보관 및 이송된다. 이러한 코일형태의 강판(이하, 강판코일)의 이송은, 전용 운반장치인 강판코일 리프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강판코일 리프터는 크레인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 및 수직운동을 통해 운반할 강판코일을 집어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켜 내려놓는 운반기계로서 여러 가지 타입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종래의 강판코일 리프터를 코일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강판코일 리프터의 암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일반적인 강판코일 리프터(11)는, 크레인(미도시)에 매달려 지지되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리프터바디(13)와, 상기 리프터바디(13)에 상호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암(17)과, 상기 암(17)을 동작시키는 구동부(15)와, 상기 암(17)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강판코일(A)의 중심구멍으로 진입하여 강판코일의 중심 구멍에 걸리는 슈(shoe)(1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17)의 내향면에는 다수의 완충판(21)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판(21)은 강판코일(A)을 사이에 두고 암(17)이 상호 근접할 때, 강판코일(A)의 측면이 암(17)의 내향면에 충돌하지 않도록 마련한 완충수단이다. 상기 완충판(21)이 없을 경우, 이송작업 중 강판코일(A)의 양측면이 암(17)의 내향면에 부딪혀 강판코일이 손상된다.
여하튼, 상기 완충판(21)은 탄성력을 갖는 띠 형태의 금속판을 만곡시킨 것으로서 강판코일(A)측으로 볼록한 상태로 그 일단부가 암(17)의 내향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강판코일 리프터(11)는, 사용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완충판(21)의 기능이 서서히 저하한다는 문제를 갖는다. 즉, 상기 완충판(21)은 탄성력이 부여된 금속판으로서, 강판코일에 의한 눌림과 복원이 반복됨에 처음의 탄성력이 점차 없어져 완충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피로가 쌓여 아예 부러질 수 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완충판(21)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교체해 줘야 한다. 완충판(21)을 제때에 교체하지 않으면 강판코일(A)에 흠집이 생겨 불량을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완충판(21)에 의해 암(17)의 내측면이 복잡하고 너저분하며 청소하기가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암에 대한 강판코일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의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특히 강판코일에 접하는 완충판에 과도한 힘이 미치지 않아 그만큼 완충판의 수명이 길고, 또한 암의 정밀 위치제어 및 속도제어가 가능하므로 동작 정밀성이 좋고 민첩하며 운행 중 흔들림이 적어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한 강판코일 리프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판코일 리프터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여 상호 진퇴운동하며 각각의 하단부에 슈(shoe)를 갖는 한 쌍의 암과, 상기 암을 지지하는 리프터바디와, 상기 암에 설치되며 운반할 강판코일을 사이에 둔 상태로 암이 상호 근접할 때 강판코일의 측면과 암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강판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각 암의 내향면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암이 강판코일을 집기 위해 강판코일에 접근할 때 강판코일의 측면에 접하여 암에 대한 강판코일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판과; 상기 암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정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판과 결합하는 탄력스트링과; 상기 탄력스트링을 암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탄력스트링으로 하여금 완충판을 탄성적으로 지지케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암의 양측면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탄력스트링은 하나의 루프 형태를 취하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탄력스트링에는 상기 완충판보다 무거운 중량을 가지며 상부롤러를 사이에 두고 완충판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완충판을 인상(引上) 시키는 무게추가 더 연결되고, 상기 무게추의 하부에는 암에 고정되며 무게추의 하강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완충판은 상기 강판코일의 측면에 대향하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결합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슈에는, 암이 강판코일로 근접하여 슈가 강판코일의 중심구멍으로 진입한 후 진입신호를 발생하는 제 1신호발생부와, 슈의 진입이 완료된 순간 진입완료신호를 발생하는 제 2신호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주변에는, 상기 제 1,2신호발생부와 접속되며 제 1,2신호발생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기초로 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강판코일 리프터는, 암에 대한 강판코일 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의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특히 강판코일에 접하는 완충판에 과도한 힘이 미치지 않아 그만큼 완충판의 수명이 길고, 또한 암의 정밀 위치제어 및 속도제어가 가능하므로 동작 정밀성이 좋고 민첩하며 운행 중 흔들림이 적어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리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리프터(31)는, 구동부(37) 및 제어부(35)가 구비되어 있는 리프터바디(33)와, 상기 리프터바디(33)에 지지되며 서로에 대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운동 하는 한 쌍의 암(39)과, 상기 암(39)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제 1,2센서(61,63)를 가지고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판코일(A)의 중앙 구멍에 진입하는 슈(41)와, 상기 암(39)에 설치되며 강판코일(A)과 암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바디(33)는 크레인(미도시)에 수평으로 매달리며, 구동부(37) 및 제어부(35)와 함께 수평 및 수직 운동한다. 상기 구동부(37)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암(39)을 진퇴운동 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2센서(61,6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37)의 동작을 제어하여, 암(39)의 근접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완충수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판코일(A)을 사이에 두고 암(39)이 근접할 때, 강판코일(A)의 측면이 암(39)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완충수단의 목적이 강판코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완충수단은, 각 암(39)의 양측면에 위 아래로 구비되는 상부롤러(43a) 및 하부롤러(43b)와, 상기 상하부롤러(43a,43b)에 걸리는 것으로서 하나의 루프를 이루며 와이어(51)와 인장스프링(47)과 무게추(49)로 구성되는 탄력스트링(string)(65)과, 상기 와이어(51)에 고정되되 암(39)의 내향면에 위치하는 완충판(4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롤러(43a) 및 하부롤러(43b)는 연직 방향에 위치하며 암(39)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리프터(31)에는 네 개의 상부롤러(43a)와 네 개의 하부롤러(43b) 및 네 개의 탄력스트링(65)이 구비된다. 상기 암 및 완충수단에 대한 설명을 도 4를 통해 보다 자세히 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강판코일 리프터의 일측 암을 별도로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암(39)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한 쪽 암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암(39)의 양측면에 상부롤러(43a)와 하부롤러(43b)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43a) 및 하부롤러(43b)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43a) 및 하부롤러(43b)에는 상기한 탄력스트링(65)이 채 워져 지지된다. 상기 탄력스트링(65)은 상기 상하부롤러(43a,43b)에 감겨 지지되는 와이어(51)와, 상기 와이어(51)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47)과, 상기 인장스프링(47)과 와이어(51)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무게추(49)로 구성된다. 상기 탄력스트링(65)은 상하부롤러(43a,43b)에 걸린 상태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인장스프링(47)이 약간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유지시킬 수 도 있다.
상기 무게추(49)는 후술할 완충판(45)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와이어(51)를 화살표 w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추(49)는 완충판(45)보다 무거우며 무게추(49)의 하부에 스토퍼(57)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57)는 무게추(49)가 그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출부로서 관통구멍(57a)을 가져 와이어(51)를 통과시킨다.
또한 상기 무게추(49)의 측부에는 지지부(49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9a)는 무게추(49)의 측부에 고정된 돌출부재로서 가이드로드(53)를 통과시켜 무게추(49)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로드(53)는 수직으로 연장된 일정단면의 봉형 부재로서 상기 지지부(49a)를 통과하여 지지부(49a)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49a)가 가이드로드(53)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무게추(49)는 승강 운동만 가능할 뿐 측방향으로 움직일 염려가 없다.
상기 암(39)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브라켓(5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55)은 암나사구(55a)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으로서 커버플레이트(59)가 결합하는 결합부이다. 상기 브라켓(55)에 커버플레이트(59)를 맞추고 볼트(67)를 이용해 커버플레이트(59)를 브라켓(55)에 결합시킴으로써 암(39)에 대한 커버플레이트(59) 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9)는 일정두께를 갖는 강판으로서 상기 상하부롤러(43a,43b)와 탄력스트링(65)을 부분적으로 덮어 보호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9)를 암(39)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탄력스트링(65)과 상하부롤러(43a,43b)가 커버플레이트(59)에 은폐된다.
한편, 상기 암(39)의 내향면측에는 사각판 형태의 완충판(45)이 위치한다. 상기 완충판(45)은 강판코일(A)의 양측면과 암(39)의 사이에 개재되어, 강판코일(A)이 암(39)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5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완충판(45)이 와이어(5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완충판(45)은 탄력스트링(65)이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 완충판(45)은, 사각의 고무패드(45a)와, 상기 고무패드(45a)의 배면에 밀착 결합하며 와이어(51)를 수직으로 관통시키는 지지플레이트(45)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5)에 대해 와이어(51)를 고정시키는 고정구(45c)를 포함한다.
도 5에 상기 완충판(45)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51)가 지지플레이트(45b)를 수직으로 통과한 상태로, 고정구(45c)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구(45c)는 지지플레이트(45b)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51)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고정하는 것으로서, 와이어(51)를 죄어 고정하는 방식은 공지의 임의의 방식을 따른다. 아울러 수직의 와이어(51)에 완충판(45)을 위치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방식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슈(41)의 상부에는 두 개의 센서(61,63)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61,63)는 코일지지판(41a)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1센서(61)와 완충판(45)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센서(63)이다. 상기 코일지지판(41a)은 강판코일(A)의 내주면부(A2)를 받쳐 올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 1센서(61) 및 제 2센서(63)는 제어부(3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는 센서로서, 제 1센서(61)는 슈(41)가 강판코일(A)의 중심구멍(도 6의 A3)으로 진입한 후 신호를 발생하고, 제 2센서(63)는 슈(41)의 진입이 완료된 순간의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 1,2센서(61,63)의 세부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종류로는 포토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제 1센서(61)로부터 신호를 받는 순간 구동부(37)의 동작을 제어하여 암(39)의 속도를 낮추고, 제 2센서(63)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암(39)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리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동작이 개시될 때의 모습이고, 도 7은 슈(41)가 강판코일(A)의 중심구멍(A3)에 진입한 직후의 모습이다. 또한 도 8은 중심구멍에 대한 슈(41)의 진입이 완료된 상태이고, 도 9는 리프터를 들어올린 상태의 모습이다. 아울러 도면에서 상기한 커버플레이트(59)는 생략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강판코일 리프터(31)가 암(39)이 벌어진 상태로 하강하여 운반할 강판코일(A)의 좌우에 암(39)이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암(39) 하단의 슈(41)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강판코일(A)의 중심구멍(A3)을 통과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무게추(49)는 최대한 하강하여 스토퍼(57)에 올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무게추(49)는 완충판(45) 보다 무거우므로, 무게추(49)가 상기 스토퍼(57)에 안착된 상태로 완충판(45)을 최상점에 대기시키는 것이다. 상기 완충판(45)은 와이어(51)에 고정된 상태로 공중에 매달려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완충판(45)을 인위적으로 아래로 내리면 상기 인장스프링(47)이 늘어나며 무게추(49)가 상부로 들어 올려진다.
여하튼 상기 상태에서 구동부(37)를 동작시켜 암(39)을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슈(41)에 구비되어 있는 제 1센서(61)가 중심구멍(A3)의 바깥쪽 모서리부(A1)를 지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중심구멍(A3)의 양단부 모서리부(A1)의 하부에 제 1센서(61)가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센서(61)는 모서리부(A1)를 감지하여, 슈(41)가 강판코일(A)의 중심구멍(A3) 내부로 진입하였다는 내용의 신호를 제어부(35)로 전달한다.
상기 제 1센서(6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35)는 상기 구동부(37)의 동작을 조절하여 암(39)의 이동속도를 늦춘다. 결국 상기 암(39)은 슈(41)가 중심구멍(A3)으로 진입한 후 상대적으로 느려지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완충판(45)이 강판코일(A)의 양측면에 대향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슈(41)의 중심구멍(A3) 내부로의 진입이 계속됨에 따라, 마침내 제 2센 서(63)가 상기 모서리부(A1)를 감지하게 되면 암(39)이 정지된다. 상기 제 2센서(63)는 모서리부(A1)를 지나는 순간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35)로 보내어, 제어부(35)로 하여금 강판코일(A)에 대한 암(39)의 근접 이동을 멈추게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슈(41)가 중심구멍(A3)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상태로 정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서리부(A1)의 하부에 제 2센서(63)가 위치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강판코일(A)의 양측면은 완충판(45)과 접하며 완충판(45)을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상기 완충판(45)이 강판코일(A)에 의해 밀림에 따라 상기 와이어(51) 및 인장스프링(47)에 인장력이 발생하고 무게추(49)가 상부로 들어올려진다. 이는 상기 강판코일(A)이 인장스프링(47)의 인장력에 해당하는 힘으로 (화살표 F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력 지지됨을 의미한다. 상기 강판코일(A)은 그 양측면이 완충판(45)과 접함으로써 암(39)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는다.
상기 상태에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해 리프터(31)를 화살표 z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슈(41)가 상승하여 강판코일(A)의 내주면부(A2)에 접하고 그 다음부터는 강판코일(A)이 슈(41)에 걸려 상부로 들어올려 진다.
특히 상기 슈(41)가 상승하여 내주면부(A2)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완충판(45)은 강판코일(A)과 함께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 이는 완충판(45)이 강판코일(A)과의 마찰력에 의해 화살표 p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판(45)이 강판코일(A)의 측면에 밀착되어 구속된 상태로 슈(41)가 상승하므로, 와이어(51)는 화살표 d방향으로 당겨져 인장스프링(47)이 인장되고 무게추(49)가 상승한다.
상기 강판코일 리프터(31)가 목표지점에 도달하여 강판코일(A)을 내려놓기 위해 암(39)을 벌리면, 강판코일(A)의 측면으로부터 완충판(45)이 이격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7)의 탄성복원력과 무게추(49)의 하강에 의해 완충판(45)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강판코일 리프터를 코일과 함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강판코일 리프터의 암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리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강판코일 리프터의 암을 별도로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완충판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리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강판코일 리프터 13:리프터바디 15:구동부
17:암(arm) 19:슈(shoe) 21:완충판
31:강판코일 리프터 33:리프터바디 35:제어부
37:구동부 39:암(arm) 41:슈
41a:코일지지판 43a:상부롤러 43b:하부롤러
45:완충판 45a:고무패드 45b:지지플레이트
45c:조임판 45d:홈 47:인장스프링
49:무게추 49a:지지부 51:와이어
53:가이드로드 55:브라켓 55a:암나사구
57:스토퍼 57a:관통구멍 59:커버플레이트
61:제 1센서 63:제 2센서 65:탄력스트링(string)
67:볼트
A:강판코일 A1:모서리부 A2:내주면부
A3:중심구멍

Claims (5)

  1.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여 상호 진퇴운동하며 각각의 하단부에 슈(shoe)를 갖는 한 쌍의 암(arm)과, 상기 암을 지지하는 리프터바디와, 상기 암에 설치되며 운반할 강판코일을 사이에 둔 상태로 암이 상호 근접할 때 강판코일의 측면과 암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강판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각 암의 내향면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암이 강판코일을 집기 위해 강판코일에 접근할 때 강판코일의 측면에 접하여 암에 대한 강판코일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판과;
    상기 암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정길이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판과 결합하는 탄력스트링과;
    상기 탄력스트링을 암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탄력스트링으로 하여금 완충판을 탄성적으로 지지케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암의 양측면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탄력스트링은 하나의 루프 형태를 취하여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리프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스트링에는 상기 완충판보다 무거운 중량을 가지며 상부롤러를 사이에 두고 완충판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완충판을 인상(引上) 시키는 무게추가 더 연결되고,
    상기 무게추의 하부에는 암에 고정되며 무게추의 하강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리프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은,
    상기 강판코일의 측면에 대향하는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에 결합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리프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슈에는, 암이 강판코일로 근접하여 슈가 강판코일의 중심구멍으로 진입한 후 진입신호를 발생하는 제 1신호발생부와, 슈의 진입이 완료된 순간 진입완료신호를 발생하는 제 2신호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주변에는, 상기 제 1,2신호발생부와 접속되며 제 1,2신호발생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기초로 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리프터.
KR1020090095666A 2009-10-08 2009-10-08 강판코일 리프터 KR10111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66A KR101119666B1 (ko) 2009-10-08 2009-10-08 강판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66A KR101119666B1 (ko) 2009-10-08 2009-10-08 강판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94A KR20110038394A (ko) 2011-04-14
KR101119666B1 true KR101119666B1 (ko) 2012-03-16

Family

ID=4404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66A KR101119666B1 (ko) 2009-10-08 2009-10-08 강판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15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포스코 제품이송장치
KR20240011500A (ko) 2022-07-19 2024-01-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코일 지지용 패드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928B1 (ko) * 2011-07-15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운송용 완충 장치
KR101481604B1 (ko) * 2012-12-24 2015-01-2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이송 장치
CN106672778B (zh) * 2015-11-06 2018-07-27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海轮隐舱装载的电动夹具
CN107021417B (zh) * 2016-02-01 2019-05-24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半开片叠式扇形内孔压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486A (ja) * 1999-04-23 2000-11-07 Nippon Steel Corp コイル搬送用リフタ
JP2001353522A (ja) 2000-04-11 2001-12-25 Nkk Corp コイルリフターのコイルエッジ損傷防止装置
KR20020052732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KR2003000257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용 코일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486A (ja) * 1999-04-23 2000-11-07 Nippon Steel Corp コイル搬送用リフタ
JP2001353522A (ja) 2000-04-11 2001-12-25 Nkk Corp コイルリフターのコイルエッジ損傷防止装置
KR20020052732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KR2003000257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리프터용 코일 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115A (ko)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포스코 제품이송장치
KR20240011500A (ko) 2022-07-19 2024-01-26 (주)스텝이엔지 강판 코일 지지용 패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94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66B1 (ko) 강판코일 리프터
KR101520839B1 (ko)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강 코일 그립퍼
US9340398B2 (en) Scissor lift table
CN102811936B (zh) 阻尼被固定到电梯轿厢的绳索状设备的横向摇摆的装置
JP2009132510A (ja) 荷台昇降式移載装置
CN105658562B (zh) 升降机设施
KR101773645B1 (ko) 건축자재용 윈치
KR20130013559A (ko) 천장 크레인
CN203728117U (zh) 具有减速功能的断带保护装置
CN205771506U (zh) 一种移动升降皮带机
JP614785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00128A (ko) 코일용 리프터
CN112761686B (zh) 盾构施工的新型管片运输保护装置及运输方法
CN205442564U (zh) 轨道运输通道接卷装置
CN211061354U (zh) 一种建筑模型加工用强度检测装置
CN210162336U (zh) 一种铝棒对齐及输送装置
JP6525910B2 (ja) ブレーキ装置
CN204873708U (zh) 升降机构
JP2003002558A (ja) エレベーター主索の引き止め装置
JP3246868B2 (ja) 搬送装置
CN109179136A (zh) 一种电梯停留防下落装置
JP2003166378A (ja) ドラフトチャンバー
JPH0379579A (ja) 懸垂条体の制振装置
CN217205257U (zh) 建筑用的挂篮
CN219585742U (zh) 一种防晃动的吊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