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064B1 -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064B1
KR100733064B1 KR1020010048050A KR20010048050A KR100733064B1 KR 100733064 B1 KR100733064 B1 KR 100733064B1 KR 1020010048050 A KR1020010048050 A KR 1020010048050A KR 20010048050 A KR20010048050 A KR 20010048050A KR 100733064 B1 KR100733064 B1 KR 10073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coil
regenerated
rol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848A (ko
Inventor
주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0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placing protecting sheets, plugs, or wads over contents, e.g. cotton-wool in bottles of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화된 재생간지를 사용할 때에도 재생간지가 늘어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삽입을 유도하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는, 간지코일(1)로부터 재생간지(3)를 풀어서 텐션릴(5)에 권취되는 스트립(7)의 층 사이에 삽입하는 재생간지 삽입장치에, 간지코일과 텐션릴 사이의 재생간지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조절롤(9), 이 조절롤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31), 조절롤의 양측에서 재생간지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1쌍의 디프렉트롤(33,33)이 구비된 재생간지 지지부(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명은 재생간지를 조절롤과 디프렉트롤로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스트립의 층 사이로 삽입 유도함으로서, 노화된 재생간지의 늘어짐 및 찢어짐을 방지하여 작업 능률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재생간지, 디프렉트롤, 실린더, 투수광부

Description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apparatus guiding recycling paper inserted between coil lay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디프렉트롤이 장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삽입 유도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간지코일 3 : 재생간지
5 : 텐션릴 29 : 조절롤
31 : 실린더 33,33 : 디프렉트롤
35 : 로드 37 : 가이드
39 : 감지바 41 : 감지센서
43 : 투수광기 44 : 반사판
본 발명은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는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의 코일 폴리싱 라인의 출측 텐션릴에 삽입되는 재생간지를 안정되게 유도하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에서 코일 폴리싱 라인은 코일을 3~4회 그라인딩하는 장치로서, 그라인딩된 코일을 다음 공정으로 3~4회 패스하는 과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코일에 슬립이 발생되는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립 사이에 매번 간지를 넣는다. 이 때 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재생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재생간지는 타 작업에서 이미 수회 사용하여 노화된 것이므로 이 과정에서 사용 후 폐기 처분된다.
도 4는 이러한 재생간지(151)를 간지코일(153)로부터 풀어서, 디프렉트롤(155)을 경유하여 텐션릴(57)에 권취되는 스트립(159) 사이에 삽입하는 재생간지 삽입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재생간지 삽입장치는 간지코일(153)로부터 풀어지는 재생간지(151)를 직접 텐션릴(157)의 스트립(159) 사이에 삽입하므로 재생간지(151)에 큰 텐션을 작용시킨다.
따라서, 재생간지(151)의 약한 부분(161), 즉 양단이 늘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복구하기 위하여 라인을 정지시키게 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 또 간지 미삽입 시, 스트립(159)의 슬립 발생으로 스트립(159)에 결함이 발생되거나 폴리싱 불량으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노화된 재생간지를 사용할 때에도 재생간지가 늘어지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삽입을 유도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 및 제품의 품질 향상을 실현하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는, 간지코일로부터 재생간지를 풀어서 텐션릴에 권취되는 스트립의 층 사이에 삽입하는 재생간지 삽입장치에서,
상기 간지코일과 텐션릴 사이의 재생간지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조절롤이 설치되고, 이 조절롤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가 설치되며, 조절롤의 양측에서 재생간지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1쌍의 디프렉트롤이 구비되는 재생간지 지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간지코일의 양측에 슬라이드 링이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 링에서 재생간지의 폭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간지코일을 크로징 및 오프닝하는 크램프 콘이 링크 구조로 연결되며, 이 링크를 개재하여 크램프 콘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간지코일 장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지코일을 재생간지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재생간지의 폭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간지코일을 장착한 이동베이스가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어 재생간지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간지코일 이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지코일에서 텐션릴로 공급되는 재생간지를 회전하는 조절롤과 디프렉트롤에 의하여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스트립의 층 사이에 삽입 유도함으로서, 노화된 재생간지가 스트립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라인 정지 없이 연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스트립 사이에 재생간지가 미삽입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의 사시도로서, 간지코일(1)로부터 풀리어 공급되는 재생간지(3)를, 디프렉트롤(4)을 통하여 텐션릴(5)에 권취되는 스트립(7) 층 사이에 삽입하는 종래의 재생간지 삽입장치에 간지코일 이동부(a), 간지코일 장착부(b), 그리고 재생간지 지지부(c)를 더 구비하여, 재생간지(3) 삽입 과정에서, 재생간지(3)가 늘어지거나 찢어지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먼저, 이동부(a)는 가이드 레일(9)과 이동베이스(11)로 구성되어, 본 장치의 바디(13)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9)은 간지코일(1)을 재생간지(3)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디(13)의 상측에 재생간지(3)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간지코일(1)의 안정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이동베이스(11)는 이러한 가이드 레일(9)을 따라 재생간지(3) 폭 방향으 로 이동하여 직접 간지코일(1)을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9)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베이스(11)에 간지코일 장착부(b)를 개재하여 간지코일(1)이 장착되어 있다.
이 간지코일 장착부(b)는 슬라이드 링(15)과 크램프 콘(17), 그리고 실린더(19)를 포함하여, 간지코일(1)을 오프닝 또는 크로징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지코일 장착부(b)는 간지코일(1)을 교체할 때 오프닝되고, 재생간지(3)를 공급할 때 크로징 제어된다.
이 간지코일 장착부(b)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간지코일(1)의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는 편의상 그 일측에 대한 것만 설명한다. 간지코일 장착부(b)가 간지코일(1)의 양측에 형성되면 간지코일(1)의 오프닝 및 크로징 제어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링(15)은 브래킷(21)을 개재하여 이동베이스(1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양측은 간지코일(1)의 양단, 즉 재생간지(3)의 폭 방향을 향하고 있다.
크램프 콘(17)은 그 일측이 간지코일(1)에 직접 접촉하여 간지코일(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다른 일측이 링크(23)를 개재하여 실린더(19)의 직선 왕복 작동을 받을 수 있도록 실린더(19)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린더(19)는 직선 왕복 작동하면서 링크(23)를 작동시켜서 이 링크(23)에 연결된 크램프 콘(17)으로 간지코일(1)을 오프닝 또는 크로징 하게 된 다.
또한, 이 간지코일 장착부(b)의 일측에는 실린더(19)에 의하여 링크(23, 감지바)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5,27)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감지센서(23,27)는 그 감지신호를 제어반(미도시, 이하 생략)에 인가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한편, 재생간지 지지부(c)는 조절롤(29), 실린더(31), 그리고 디프렉트롤(33,33)을 포함하여, 간지코일(1)에서 텐션릴(5)로 공급되는 재생간지(3)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절롤(29)은 그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로드(35)에 지지되고, 이 로드(35)가 바디(13)에 높이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37)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조절롤(29)은 실린더(31)에 의하여 승강력을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실린더(31)에 의하여 조절롤(29)이 승강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조절롤(29)을 지지하는 로드(35)의 일측에는 감지바(39)가, 이 감지바(39)의 대향측에는 감지센서(4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 감지센서(41) 또한 제어반에 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감지센서(41)와 연동하는 투수광기(43)와 반사판(45)이 조절롤(29)과 텐션릴(5) 사이의 재생간지(3)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어반에 그 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투수광기(43)와 반사판(45)은 조절롤(29)이 내려와 감지센서(41)가 감지바(39)를 감지할 때 실린더(31)를 축소된 상태로 멈추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반하여 상기 감지센서(25,27)는 실린더(19)의 작동을 감지하여, 실린더(31)가 확장되어 감지센서(41)가 감지바(39)를 감지할 때까지, 실린더(19)가 계속 작동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조절롤(29)의 양측(재생간지의 삽입 방향의 전후임)에는 1쌍의 디프렉트롤(33,33)이 구비되어 있다.
이 디프렉트롤(33,33)은 승강하는 조절롤(29)과 함께 재생간지(3)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즉, 디프렉트롤(33)은 그 축(47)이 베어링 블럭(4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축(47)의 선단에는 어뎁터(51)를 개재한 펄스제너레이터(53)가 볼트(57)로 체결되어 있다. 이 펄스제너레이터(53)는 디프렉트롤(33)의 회전에 펄스를 발생시켜 제어반에 인가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재생간지(3) 삽입을 시작하면, 실린더(31)가 축소된다.
이 실린더(31)의 축소로 조절롤(29)이 하강한다. 이때 조절롤(29)의 그 하측이 구비된 로드(35)가 가이드(37)의 안내를 받으므로 조절롤(29)이 안정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재생간지(3)가 디프렉트롤(33,33)과 곡면 접촉하게 되므로 디프렉트롤(33,33)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디프렉트롤(33,33)의 축(47)에 설치된 펄스제너레이터(53)가 회전하면서 발생된 펄스를 제어반에 인가시킨다.
이와 함께, 감지센서(41)가 감지바(39)를 감지한 신호에 의하여 제어반이 조절롤(29)이 내려왔다고 판단할 때, 투수광기(43)와 반사판(45)이 실린더(31)를 축소된 상태로 멈추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를 받은 제어반의 제어에 의하여 실린더(31)가 축소된 상태로 멈추게 된다.
따라서, 간지코일(1)로부터 공급되는 재생간지(3)는 조절롤(29)과 디프렉트롤(33,33)에 의하여 넓은 곡면으로 접촉한 상태로 지지 안내되면서, 늘어나거나 찢어짐 없이, 리프렉트롤(4)을 통과하여 텐션릴(5)에 권취되는 스트립(7) 층 사이에 안정된 상태로 삽입된다.
그리고, 간지코일(1)을 교체하기 위하여, 제어반을 오프닝 제어하면 실린더(19)가 확장된다.
따라서, 실린더(9)에 링크(23)로 연결된 크램프 콘(17)이 슬라이드 링(15)의 안내를 받으면서 확장된다. 이때 감지센서(25,27)가 링크(23, 감지바)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반에 인가시킨다.
이 신호를 받은 제어반은 실린더(31)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조절롤(29)이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감지센서(41)가 감지바(39)를 감지하면, 제어반은 실린더(31)의 확장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조절롤(29)은 초기 상태(도 1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는 간지코일에서 텐션릴로 공급되는 재생간지를 회전하는 조절롤의 높이를 조절하여 디프렉트롤과 함께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스트립의 층 사이에 삽입 유도함으로서, 간지코일에서 텐션릴로 직접 공급하던 종래기술과는 달리, 노화된 재생간지가 스트립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라인 정지 없이 연속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스트립 사이에 재생간지가 미삽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간지코일로부터 재생간지를 풀어서 텐션릴에 권취되는 스트립의 층 사이에 삽입하는 재생간지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지코일과 상기 텐션릴 사이의 상기 재생간지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조절롤, 상기 조절롤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의하여 높이 조절되는 상기 조절롤의 양측에서 상기 재생간지를 곡면으로 접촉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1쌍의 디프렉트롤로 구성되는 재생간지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지 코일의 양측에 제공되는 슬라이드 링, 상기 슬라이드 링에서 재생간지 폭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간지코일의 양측을 크로징 및 오프닝하는 크램프 콘, 상기 크램프 콘에 링크로 연결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간지코일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1020010048050A 2001-08-09 2001-08-09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10073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050A KR100733064B1 (ko) 2001-08-09 2001-08-09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050A KR100733064B1 (ko) 2001-08-09 2001-08-09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848A KR20030013848A (ko) 2003-02-15
KR100733064B1 true KR100733064B1 (ko) 2007-06-27

Family

ID=2771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050A KR100733064B1 (ko) 2001-08-09 2001-08-09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47B1 (ko) * 2007-06-07 2013-10-1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절단 안내장치
CN108637035A (zh) * 2018-05-14 2018-10-12 震雄铜业集团有限公司 一种并式收线机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41A (ja) * 1991-10-17 1993-04-27 Nippon Yakin Kogyo Co Ltd ストリツプおよび合紙の2重巻取り方法
KR0107862Y1 (en) * 1994-09-16 1996-04-12 Posco Insertion device of distance paper
KR20000012955A (ko) * 1998-08-03 2000-03-06 이구택 자동간지 공급장치
KR20000033585A (ko) * 1998-11-24 2000-06-15 이구택 코일삽입 간지의 재생장치
JP2000246336A (ja) * 1999-02-25 2000-09-12 Kawasaki Steel Corp 間紙挿入装置
KR20010045549A (ko) * 1999-11-05 2001-06-05 이구택 코일 삽입 간지의 연속 공급 장치
KR20010045548A (ko) * 1999-11-05 2001-06-05 이구택 간지 와인더의 간지 인출 장치
KR20010047741A (ko) * 1999-11-23 2001-06-15 서평원 사설교환기의 국선 도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20046333A (ko) * 2000-12-12 2002-06-21 이구택 간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41A (ja) * 1991-10-17 1993-04-27 Nippon Yakin Kogyo Co Ltd ストリツプおよび合紙の2重巻取り方法
KR0107862Y1 (en) * 1994-09-16 1996-04-12 Posco Insertion device of distance paper
KR20000012955A (ko) * 1998-08-03 2000-03-06 이구택 자동간지 공급장치
KR20000033585A (ko) * 1998-11-24 2000-06-15 이구택 코일삽입 간지의 재생장치
JP2000246336A (ja) * 1999-02-25 2000-09-12 Kawasaki Steel Corp 間紙挿入装置
KR20010045549A (ko) * 1999-11-05 2001-06-05 이구택 코일 삽입 간지의 연속 공급 장치
KR20010045548A (ko) * 1999-11-05 2001-06-05 이구택 간지 와인더의 간지 인출 장치
KR20010047741A (ko) * 1999-11-23 2001-06-15 서평원 사설교환기의 국선 도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20046333A (ko) * 2000-12-12 2002-06-21 이구택 간지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848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0276B2 (ja) ペーパーウェブをペーパーロール体に巻上げる方法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200201122Y1 (ko) 광휘소둔로의 댄스롤 상하 유동장치
KR100475535B1 (ko) 코일형 냉연제품의 엔드마크 방지용 페이퍼심블자동취부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KR100829961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KR100506410B1 (ko)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JPH0532135B2 (ko)
KR20020026032A (ko) 간지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20020048156A (ko) 강판 스트립의 센터링 유도장치
KR100478724B1 (ko) 수직 루퍼의 판쏠림 교정장치
KR100712598B1 (ko) 스트립 결함 방지용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정렬장치
CN113348042B (zh) 转向绞盘以及用于运行转向绞盘的方法
KR20020047458A (ko) 루퍼카 스트립 사행 조정 장치
CN218144912U (zh) 一种高弹性复合无纺布卷绕装置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100939264B1 (ko) 냉연코일 초박판 스트립의 버클 방지장치
KR100876169B1 (ko) 밴딩 슬래브 감지 및 유도장치
KR200260920Y1 (ko)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JP2676129B2 (ja) 延反機に於ける解反装置
JP2610570B2 (ja) 延反機
KR100840227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삽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