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920Y1 -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920Y1
KR200260920Y1 KR2019960048861U KR19960048861U KR200260920Y1 KR 200260920 Y1 KR200260920 Y1 KR 200260920Y1 KR 2019960048861 U KR2019960048861 U KR 2019960048861U KR 19960048861 U KR19960048861 U KR 19960048861U KR 200260920 Y1 KR200260920 Y1 KR 200260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tension
roll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872U (ko
Inventor
김필호
김용권
문영훈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48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9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920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간압연공정중 소재가 사상압연후 출판되는 경우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이동식 대차에 장착된 체결장치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체결하고 확실하게 그 체결상태를 풀어줌으로서 소재에 장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된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후 출판되어 권취기에 인입되기 전까지 열연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이동하는 대차에 고정함으로서 대차와 열연판의 주행속도차에 의하여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에 있어서, 평활한 하부면을 갖추고, 대차에 고정되어 열연판(13)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된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케이블(72)(73)에 의하여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위치하는 체결판(44);과, 상기 몸체(42)와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72)(73)을 그 회전에 의하여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릴수 있도록 연결한 모터를 가지는 모터구동부(48); 및, 상기 모터구동부(48)를 제어하여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6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
본 고안은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 소재가 장력 통판 시스템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주행하도록 하여 그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가 사상압연후 출판되는 경우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이동식 대차에 장착된 체결장치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체결하고 확실하게 그 체결상태를 풀어줌으로서 소재에 장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할 수있도록 된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중 열간압연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열로(Reheating Furnace)(1)-조압연(Roughing Mill)(2)-사상압연(Finishing Mill)(5)-권취(Coiling)(8)의 연속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두께의 박판을 얻는다.
통상, 상기 사상압연(5)과 권취(8)의 과정 사이에는 주행대(6)가 마련되고, 이는 고온에서 사상압연을 마친 압연판을 원하는 온도, 즉 권취온도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속으로 통판되고 또한 사상압연온도와 권취온도간의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그 주행길이는 100∼120미터에 이르는 상당히 긴 거리에 걸쳐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하부에 다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고속으로 주행하는 압연판을 무장력(tension free) 상태에서 유도한다.
압연판이 주행대(6)를 무장력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 후물재는 압연판의 자체중량이 상당히 크고 그 주행속도가 낮아 압연판의 주행저항이 크지 않으므로 통판이 양호하게 되나, 박물재는 압연판의 두께가 얇아 자체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주행속도가 크므로 진행방향에 대한 공기저항과 롤러간의 간격 등에 의해 판 선단부가 휘어 상향하는 불규칙적인 사인파형(sine wave)이라는 통판불량을 발생시켜 통판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이는 판과 롤러의 접촉면 사이의 충격으로 판의 하부에 많은 마찰흠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자체의 오동작 및 권취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극박압연에 있어서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져 압연가능한 최소두께를결정짓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다.
판 선단부의 주행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지기술로서 일본국 특허 제 95-251203호, 제 95-16611호, 제 95-155175호 및 제 93-168950호에 제시된 연연속압연(Endless Rolling)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바, 이는 인접하는 압연소재의 후단부를 사상압연 전에 용접한 후 사상압연과 권취과정을 거치게 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주행대를 통과하여 통판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연속압연기술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압연을 거친 바(Bar)상태의 압연소재를 이송중에 용접할 수 있는 용접장치(4)가 필요함은 물론, 연속적인 압연을 위한 대기재의 보열장치(Coil Box)(3), 용접 접합부를 권취직전에 고속으로 절달하여 제거하기 위한 고속절단기(7)등 고가의 설비가 별도로 갖추어져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인접소재를 빠른 시간내에 용접하고 고속으로 통판중인 소재를 그에 부합하는 고속으로 절단하여야 하는 기술적인 난점이 산재해 있고 오동작시에는 조업에 큰 차질을 미치게 되어 그 적용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압연재를 용접해야 하므로 인접압연재의 두께 및 폭이 동일해야 하는 제한사항이 있게 되어 다양한 강종과 치수를 압연해야 하는 일반 열간압연공정에서는 그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와는 별도로 보다 간편한 방법에 의해 압연판이 무장력상태로 주행하는데 따른 통판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바,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열연소재가 사상 압연 후 주행대(16)로 출판될 때 소재의 선단부를, 모터(12)와 휠 및 로프에 의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이동식 대차에 장착된, 체결장치(14)로 잡은 다음 그 이동식 대차를 소재의 주행방향으로 선행(先行)시켜 줌으로써 압연판(13)이 장력이 부여된 상태를 유지하여 핀치롤(17)과 권취기에 도달하게 하는 버클의 원리를 이용한 주행대 전장 장력 통판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행대 전장 장력 통판 시스템의 체결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일정정도 상하로 떨어진 상부클램프(22)와 하부클램프(23)를 갖추고, 상기 상부클램프(22)에는 소재주행에 대한 폭방향으로 고정롤(Buckle Roll)(21)을 설치하여 그가 상하로 경사를 형성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정롤(21)과, 압연판(13) 및, 하부클램프(23)의 마찰에 의한 접촉력으로 체결하는 방법이지만, 이는 소재와 체결장치간의 속도차에 의한 마찰력으로 그들을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속도차가 작을 경우에는 체결력도 작게 되는 것이어서 안정적인 체결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반면에 그 속도차가 클 경우에는 체결력이 과다하게 커서 그 체결을 풀게되는 경우에는 버클력을 가하기위한 고정롤(21)이 압연판(1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압연판 및 설비의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등이 있었던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 소재가 장력 통판 시스템에 의하여 주행되면서 냉각되어지는 경우 소재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이동식 대차에 장착된 기계적 체결장치에 의하여 일정시기에 견고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또한 그 제거를 일정시기에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소재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장력을 안정적으로 부여하고,따라서 불안정한 주행으로 인하여 소재의 표면에 발생하는 마찰흠을 방지하며, 오작발생으로 인한 조업중단 및 권취불량 등의 요인을 미리 제거하여 열연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열간 압연 공정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주행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연연속 압연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열연장력통판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열연장력통판방법의 버클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치의 평면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장치의 체인블럭과 그에 연결된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장치의 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장치의 하부 체결판과 그에 연결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의 장치의 모터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주요부의 전기적인 회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의 작용설명도로서,
(a)는 압연판을 고정하고 있지 않은 상태
(b)는 압연판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 ... 압연판 42 ... 몸체
44 ... 체결판 46 ... 워엄기어상자
48 ... 모터구동부 54 ... 나사축
56 ... 이동블럭 62,63 ... 근접센서
66 ... 제어부 70 ... 체인블럭
72,73 ... 케이블 82,83 ... 연결막대
84,85 ... 지지막대 86 ... 지지롤
88 ... 다이오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후 출판되어 권취기에 인입되기 전까지 열연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이동하는 대차에 고정함으로서 대차와 열연판의 주행속도차에 의하여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에 있어서, 평활한 하부면을 갖추고, 대차에 고정되어 열연판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케이블에 의하여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위치하는 체결판;과, 상기 몸체와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을 그 회전에 의하여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릴수 있도록 연결한 모터를 가지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모터구동부를 제어하여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 소재가 장력 통판 시스템에 의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상압연 출측의 주행대를 따라 권취기 입측까지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대략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대차에 고정되어 사상압연 출측으로부터 권취기 입측, 보다 엄밀하게는 핀치롤 입측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체결장치(40)를 제안하는바,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차에 고정되어 압연판의 상부측에서 그 압연판의 주행방향으로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된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하부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체결판(44)을 가진다.
상기 몸체(42)에는 워엄기어상자(46)와 모터구동부(48)를 갖추는바, 상기 워엄기어상자(4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연판의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워엄기어상자(46)의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나사축(54)을 설치하여 그 양단부를 베어링블럭(5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나사축(54)에는 이동블럭(56)이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그 나사축(54)이 회전하면 상기 이동블럭(56)은 나사축(5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나사축(54)의 일단은 워엄기어상자(46)를 관통하여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그 연장된 단부에는 워엄기어(60)를 장착한다.
대차에 의하여 몸체(42)가 이동하는 경우에 워엄기어(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워엄기어(60)를 압연판의 주행방향으로 설치된 톱니형 레일(미도시)에 결합시키고, 상기 워엄기어상자(46)의 길이방향 단부측에는 이동블럭(56)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62)(63)가 각각 설치되는바, 이러한 근접센서(62)(63)의 위치는 대차가 사상압연의 출측의 적정지점(압연판을 체결장치(40)에 의하여 체결하는 시점)에 있게 되는 경우와, 권취기 입측의 적정지점(체결장치(40)에 고정되어 있던 압연판을 풀어주게 되는 시점)에 있게 되는 경우에 이동블럭(56)이 감지될 수 있도록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62)(63)는 각각 모터구동부(48)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66)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구동부(48)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부(66)에 의하여 그 구동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되며, 이러한 모터에는 체인블럭(Chain Block)(70)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블럭(70)에는 다수개(적어도 압연판의 진행방향에 대한 전후측에 각각 1개씩 2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압연판의 진행방향에 대한 전후측에 각각 2개씩 4개)의 케이블(72)(74)이 연결되어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된다. 물론, 상기 체인블럭(70)은 산업계의 전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지듯이 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에 전기가 공급되는 때에만 회전하며 그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회전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적은 힘으로 큰 힘을 발생시키며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는 일정 부하 이상이 걸릴 경우에는 그 힘을 계속 유지하면서 모터 자체에는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모델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72)(74)은 각각 몸체(42)의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늘어뜨려져, 압연판에 접촉하지 않도록 그 양단부측을 벗어나서 하부측 적정길이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판(44)은 전후방측 단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핀(80)을 형성하며, 이러한 돌출핀(80)의 각각에는 연결막대(82)(83)의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체결판(44)의 전방측으로 장착된 연결막대(82)는 그 체결판(44)보다 더 전방측으로 위치된 지지막대(84)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체결판(44)의 후방측으로 장착된 연결막대(83)는 그 체결판(44)보다 더 후방측으로 위치된 지지막대(85)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막대(84)(85)는 그 상단부가 몸체(4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체결판(44)이 케이블(72)(73)에 의해 지지롤(86)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할 때, 비록 처음의 지지막대(84)(85)간의 거리가 연결막대(83)와 체결판(44)이 연결된 길이보다 작다고 할지라도, 지지막대(84)(85)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연결막대(83)와 체결판(44)이 연결된 길이만큼 벌어지게 되고, 이어서 지지막대(84)(85)는 계속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체결판(44)은 계속 상승하여 압연판(13)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도 12(a) 참조). 그 후 체결판(44)이 케이블에(72)(73)에 의해 압연판(13)에서 떨어져 하강하면, 지지막대(84)(85)는 다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연결막대(83)와 체결판(44)이 연결된 길이만큼 벌어지게 되고, 이어서 지지막대(84)(85)는 계속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체결판(44)은 계속 하강하여 지지막대(84)(85)가 서로 평행한 위치에 도달한다(도 12(b) 참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체결판(44)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롤(86)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는 지지롤(86)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막대(82)(83)와 지지막대((84)(85)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압연판의 폭방향으로 그 압연판에 접촉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된지지롤(86)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체결판(44)의 돌출핀(80)에는 케이블(72)(73)이 연결되며,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압연판 진행방향에 대한 전방측 돌출핀(80)에는 케이블(72)이 연결되고, 후방측 돌출핀(80)에는 케이블(73)이 연결됨으로서, 그 케이블(73)이 모터의 체인블럭(70)에 의하여 감겨지거나 풀려짐에 따라서 체결판(44)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체결장치(40)에 갖추어진 모터구동부(48)를 구동하는 전기적인 회로에 있어서는, 근접센서(62)(63)가 이동블럭(56)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RC필터로 된 저대역필터링에 의하여 급작스런 접촉시에도 안정적으로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며, 또한 다이오드(88)를 사용하여 대차가 사상압연 출측에서 권취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본 회로가 작동되도록(즉, 모터가 가동되도록) 한다.
또한, 케이블(72)(73)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체결판(44)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에 있어서, 우선 상승하는 경우에는 체결판(44)이 지지롤(86)보다는 더 상부측으로 위치하여 몸체(42)의 하부면과의 사이에 압연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판(44)이 지지롤(86)보다는 더 하부측으로 위치하여 압연판의 하부면이 지지롤(86)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사상압연을 종료하고 출판되는 압연판에 장력을 부여하여 권취기로 주행시키기 위하여는, 체결장치(40)가 도 1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체결판(44)이압연판(13)의 하부표면으로부터 떨어지고 따라서 지지롤(86)에 의하여 압연판(13)이 지지되고 있는 상태로 사상압연의 출측에 대기하고 있게 된다. 물론, 이때에는 워엄기어상자(46)에 장착된 이동블럭(56)이 근접센서(62)(63)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또한 압연판 체결용 근접센서(62)에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압연판(13)이 사상압연을 종료하고 출판되면 본 체결장치(40)는 대차에 의하여 압연판(13)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여 가속하고, 따라서 워엄기어(60)와 그에 연결된 나사축(5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블럭(56)이 근접센서(62)측으로 이동한다.
적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몸체(42)의 이동속도는 압연판(13)의 주행속도에 비하여 0.1∼0.2% 정도 크게되고, 이때 이동블럭(56)이 근접센서(62)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도록 미리 그 위치를 설정하면, 근접센서(62)는 제어부(66)에 신호를 보내 모터구동부(48)의 모터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의 구동은 그에 연결된 체인블럭(70)을 회전시켜 케이블(72)(73)을 감아올리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72)(73)에 연결된 체결판(44)은 상승하여 압연판(13)을 몸체(42)의 하부면에 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즉, 압연판(13)은 그보다 선진(先進)하도록 된 몸체(42)에 고정됨으로서 그 속도차에 의한 장력이 압연판(13) 선단부에 부여되고, 따라서 압연판(13)의 선단부는 안정적으로 권취기측으로 주행된다.
계속 주행하다가 이동블럭(56)이 근접센서(63)에 의하여 감지되는 시점, 즉 체결장치(40)가 압연판(13)을 놓아주어야 하는 시점에 그 근접센서(63)는제어부(66)에 신호를 보내고, 따라서 제어부(66)는 모터구동부(48)의 모터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모터의 구동은 그에 연결된 체인블럭(70)을 회전시켜 케이블(72)(73)을 풀어내리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72)(73)에 연결된 체결판(44)은 하강하여 몸체(42)와 체결판(44) 사이에 고정되어 있던 압연판(13)을 놓아주게 되어, 그 압연판(13)은 권취기측으로 진입하고, 몸체(42)는 급정지를 하게 된다. 이때에는 압연판(13)의 하부면이 지지롤(86)에 의하여 지지된다.
계속하여 상기 몸체(42)는 후진하게 되고, 이때 근접센서(63)측으로 이동하여 있던 이동블럭(56)이 후진하면서 그 근접센서(63)와 또다른 근접센서(62)에 의하여 감지되고 따라서 상기 근접센서(62)(63)는 또다시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66)에 전송하게 되지만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다이오드(88)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구동부(48)의 모터구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체결장치(40)는 사상압연 출측인 최초위치에 도달하여 압연판(13)의 후단부에 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대기하게 되고, 압연판 후단부에 장력을 가하는 과정은 상기와 동일하다. 다만, 대차에 의한 몸체(42)의 이동속도가 상기와는 반대로 압연판(13)의 주행속도보다 약간 더 낮게 설정되는 것뿐이다.
따라서, 압연판(13)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사상압연을 통과한 후 권취기에 진입할 때까지의 주행대에서 장력을 가진채로 주행하므로 통판안정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에 의하면,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 소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대차와 함께주행하면서 모터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된 체결판에 의하여 적정시점에서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적정시점에서 그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됨으로서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주행하도록 함으로서, 통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소재와 그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롤러의 접촉면 사이에서의 충격발생을 억제하여 판의 하부에 마찰흠을 발생시키지 않아 그 표면물질이 향상되고, 또한 이러한 주행안정성은 시스템 자체의 오동작 및 권취불량을 방지하게 되어 소재의 실수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소재인 압연판에 장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체결판이 압연판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압연판의 공회전되는 지지롤에 의하여 지지되게 함으로서 서로의 마찰에 의한 표면 마찰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열간압연공정중 사상압연을 마친후 출판되어 권취기에 인입되기 전까지 압연판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이동하는 대차에 고정함으로서 대차와 압연판의 주행속도차에 의하여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에 있어서,
    평활한 하부면을 갖추고, 대차에 고정되어 압연판(13)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된 몸체(42);와,
    상기 몸체(42)의 하부측에 다수개의 케이블(72)(73)에 의하여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위치하는 체결판(44);과,
    상기 몸체(42)와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72)(73)을 그 회전에 의하여 감아올리거나 풀어내릴수 있도록 연결한 모터를 가지는 모터구동부(48); 및,
    상기 모터구동부(48)를 제어하여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도록 된 제어부(6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대차가 이동하는 궤도와 나사결합하여 회전하도록 된 워엄기어(60)를 갖추고, 상기 워엄기어(60)에 연결되어 베어링블럭(5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나사축(54)을 가지며, 상기 나사축(54)에는 이동블럭(56)이 나사결합하여 그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체결판(44)의 상승시점과 하강시점에 각각 상기 이동블럭(56)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제어부(66)에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된 근접센서(62)(63)를 갖춘 워엄기어상자(6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44)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일정거리 떨어져서 압연판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지롤(86)을 설치하며, 상기 지지롤(86)은 체결판(44)의 상승과 하강 행정거리의 사이에 그 상단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몸체(42)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6)는 몸체(42)가 사상압연측으로부터 권취기측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만 모터구동부(48)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다이오드(88)를 갖춘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장력통판 시스템용 정위치 체결장치.
KR2019960048861U 1996-12-13 1996-12-13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KR200260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861U KR200260920Y1 (ko) 1996-12-13 1996-12-13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861U KR200260920Y1 (ko) 1996-12-13 1996-12-13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872U KR19980035872U (ko) 1998-09-15
KR200260920Y1 true KR200260920Y1 (ko) 2002-06-29

Family

ID=5398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861U KR200260920Y1 (ko) 1996-12-13 1996-12-13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872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16516A (ja) サイドガイド装置
KR200260920Y1 (ko)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JP3310983B2 (ja) ホットストリップ圧延設備
CN211191412U (zh) 一种带钢离线检查站
KR100293191B1 (ko) 열간압연장력통판의미끄럼방지장치
KR100301986B1 (ko) 열간압연소재의주행대통판안정방법및그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100293192B1 (ko) 열간압연주행대장력통판시스템에서의소재선후단부체결모드변환장치
KR101951945B1 (ko) 광휘 소둔 라인의 루퍼 장치
JP3451511B2 (ja) 圧延機の案内装置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200215193Y1 (ko) 강판의 흔들림 방지 및 비상 정지장치
JPH0871646A (ja) 連続鋼帯の蛇行矯正装置
CN214269798U (zh) 一种卷盘电缆保护装置
CN2071095U (zh) 卧式工字轮收线机
CA2371486A1 (en) Method and device in the process of reeling up a paper web
KR19990054136A (ko) 열간압연설비의 냉각 주행대
KR200235011Y1 (ko) 열간압연장력통판시스템용체결장치
KR20020047458A (ko) 루퍼카 스트립 사행 조정 장치
CN111050940B (zh) 横向型活套器
KR19990055348A (ko) 열간압연 소재의 무체결식 주행대 통판 안정화 장치
JPH081225A (ja) ストリップ通板装置
KR20000007684U (ko)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KR100822977B1 (ko) 스트립 루프 컨트롤 설비의 스윙롤 제어용 가이드롤 레벨측정장치
JPH06304638A (ja) 帯材貯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