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684U -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684U
KR20000007684U KR2019980019139U KR19980019139U KR20000007684U KR 20000007684 U KR20000007684 U KR 20000007684U KR 2019980019139 U KR2019980019139 U KR 2019980019139U KR 19980019139 U KR19980019139 U KR 19980019139U KR 20000007684 U KR20000007684 U KR 200000076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ar
rope
mot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9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684U/ko
Publication of KR20000007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84U/ko

Link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립통판용 로프를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루프카(5)의 상단 일측에 제 1모터(11)를 갖추고, 상기 제 1모터(11)의 구동축(12)과 이에 마주하는 종동축(13)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14a)(14b)의 선,후단은 레일(5a)상에 올려진 드럼카(15)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드럼카(15)에는 외주면에 나선홈(16a)을 형성하여 보조로프(18)가 권선되는 제 1드럼(16)과 이를 회전시키는 제 2모터(17)를 갖추고, 단부에 무게추(18c)를 갖는 상기 보조로프(18)의 길이중간에 고정된 상,하감지링(18a)(18b)을 감지하도록 사각터치바(19a)를 갖는 리미트스위치(19)를 갖춘 이동부(10); 상기 루프카(5)에 장착된 복수개의 안내위치센서(21)(22)(23)(24)를 감지되는 위치감지판(25)을 상기 드럼카(15)의 일측에 장착하고, 상기 루프카(5)의 선단에는 수직빔(6)의 하한위치센서(26)에 감지되는 하한감지판(27)을 갖추고, 상기 제 1,2모터(11)(1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29)을 갖춘 센서부(20); 및 상기 무게추(18a)에 선단이 결속되는 일정길이의 통판용로프(32)가 권선되고, 손잡이(35)에 연결된 제 2드럼(34)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베이스(33)에는 드럼축(34a)에 장착된 원판(38)의 고정홈(38a)에 끼워지는 고정바(37)를 갖추고, 그 후방에 스토퍼(36)를 장착한 로프공급부(30);를 포함하는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본 고안은 스트립통판용 로프를 안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단독작업자가 루퍼설비의 상,하부롤사이로 스트립통판에 사용되는 로프를 오염발생없이 안전하게 통과안내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냉연공장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립이 진행되는 수직소둔로(110), 냉각대(120) 및 가열대(130)를 갖추어 진행되는 스트립을 열처리하고, 상기 수직소둔로(110)의 선,후단에는 승하강되는 루프카(5)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루프롤( 이하 상부롤이라함.)(3)과, 다수개의 하부루프롤(이하,하부롤이라함.)(4)를 갖는 입측 수직루프 스트립저장설비(8)와 출측 수직루프 스트립 저장설비(9)로 이루어진 루퍼설비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러한 루퍼설비의 입측 수직루프 스트립저장설비(8)는 용접기로 선,후행코일의 스트립을 용접하기 위해 라인스톱중에도 스트립(2)이 소둔수직로에서 멈추지 않고 진행되도록 일정량의 스트립(2)을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출측 수직루프 스트립저장설비(9)는 텐션릴에서 코일권취후 스트립(2)이 절단되어 출측라인이 정지시 수직소둔로를 통과한 일정량의 스트립(2)을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루퍼설비(8)(9)에서 초기에 스트립(2)의 통판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3인의 작업자가 1조를 구성하여 로프(7a)의 통판작업을 실시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작업자(A)가 지상에서 로프(7a)를 풀어주고, 수직빔(6)을 따라서 승하강되는 루프카(5)에 올라간 상부작업자(B)가 보조로프(7b)를 하부로 풀어주면, 하부롤(4)에 있던 중간작업자(C)가 상기 로프(7a)와 보조로프(7b)의 양단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루프카(5)의 승하강작동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개의 휠(5b)들이 상기 수직빔(6)의 일측면에 형성된 레일(6a)과 접해져 있고, 양측면에 이동체인(51)이 연결구성함에 따라, 상기 이동체인(51)을 별도의 장치로서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상기 루프카(5)를 최대높이로 올리거나, 최저높이로 내릴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상부작업자(B)가 루프카(5)상부에서 서로 결속된 로프(7a)(7b)를 당겨올려서 상기 보조로프(7b)를 분리한 다음, 올려진 상기 로프(7a)를 일측 상부롤(3)에 걸친 다음 하부로 내려 하부작업자(A)가 하부롤(4)사이로 로프(7a)를 통과시키고, 이를 내려진 보조로프(7b)의 일단에 다시 결속한 후 올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퍼설비(8)(9)의 상,하부롤(3)(4)사이로 상기 로프(7a)를 안내통과시킨 후에, 그 로프(7a)의 선,후단에 통판하고자 하는 스트립(2)을 연결시켜 라인스타트에 의한 통판작업이 이루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은, 3인의 작업자가 한조를 이루어 고소의 위치에서 로프(7a)를 안내하여 통과시키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소요인원이 과다하게 투입되고, 수작업에 의하여 작업소요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킬수 뿐만 아니라, 루프카(5)상부에서 작업하는 상부작업자(B)가 설비하부로 추락할 우려가 매우 높아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7a)의 상,하부롤(3)(4) 통과작업중 설비바닥에 자주 닿는 상기 로프(7a)가 오염되어 이를 빈번하게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소요되고, 오염된 로프(7a)와 접하는 상,하부롤(3)(4)가 스트립(2)의 통판진행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단독작업자가 루퍼설비의 상,하부롤사이로 로프를 오염발생없이 간편하게 통과안내할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는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루퍼설비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로프 안내작업을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에 채용되는 드럼카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에 채용되는 로프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제 1모터 12 ...... 구동축
15 ...... 드럼카 16 ...... 제 1드럼
17 ...... 제 2모터 18 ...... 보조로프
18a ..... 무게추 18a ..... 상한감지링
18b ..... 하한감지링 19 ...... 리미트스위치
21,22,23,24 ..... 안내위치센서 25 ...... 위치감지판
26 ...... 하한위치센서 29 ...... 제어판
32 ...... 통판용 로프 34 ...... 제 2드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복수개의 상부롤을 장착한 루프카와, 복수개의 하부롤을 장착한 수직빔으로 이루어진 루퍼설비에 있어서,
상기 루프카의 상단 일측에 제 1모터를 갖추고, 상기 제 1모터의 구동축과 이에 마주하는 종동축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의 선,후단은 레일상에 올려진 드럼카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드럼카에는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하여 보조로프가 권선되는 제 1드럼과 이를 회전시키는 제 2모터를 갖추고, 단부에 무게추를 갖는 상기 보조로프의 길이중간에 고정된 상,하감지링을 감지하도록 사각터치바를 갖는 리미트스위치를 갖춘 이동부;
상기 루프카에 장착된 복수개의 안내위치센서를 감지되는 위치감지판을 상기 드럼카의 일측에 장착하고, 상기 루프카의 선단에는 수직빔의 하한위치센서에 감지되는 하한감지판을 갖추고, 상기 제 1,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을 갖춘 센서부; 및
상기 무게추에 선단이 결속되는 일정길이의 통판용로프가 권선되고, 손잡이에 연결된 제 2드럼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베이스에는 드럼축에 장착된 원판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바를 갖추고, 그 후방에 스토퍼를 장착한 로프공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에 채용되는 드럼카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에 채용되는 로프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1)는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루퍼설비(8)(9)에 갖추어져 단독작업자가 상,하부롤(3a)(3b)3c) (4a)(4b)(4c)(4d)사이로 통판용 로프(32)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통과시킬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이동부(10), 센서부(20) 및 로프공급부(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부롤(3a)(3b)(3c)이 장착되는 루프카(5)와, 복수개의 하부롤(4a)(4b)(4c)(4d)이 장착되는 수직빔(6)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를 갖추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즉, 승하강되는 상기 루프카(5)에 갖추어지는 이동부(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 1모터(11)와 상기 루프카(5)상에서 수평이동되는 드럼카(15)를 갖추는바, 상기 제 1모터(11)는 루프카(5)의 상단 일측에 마련된 베이스(11b)에 감속기(11a)와 더불어 장착되고, 베어링블록(12b)에 지지되는 구동축(12)의 양단에는 체인(14a)(14b)이 감기는 스프로켓(12a)을 각각 갖추고, 상기 로프카(5)의 상단타측에 상기 구동축(12)과 마주하여 설치되는 종동축(13)은 베어링블록(13b)에 양단이 지지되고, 체인(14a)(14b)이 감기는 스프로켓(13a)을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카(15)는 루프카(5)의 상단에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5a)상에 올려지는 롤러(15a)를 하부에 다수개 갖추고, 그 전후면에는 상기 스프로켓(12a)(13a)에 감긴 체인(14a)(14b)의 선,후단이 각각 연결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 1모터(11)의 정,역방향구동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5a)을 따라 루퍼카(5)상에서 좌,우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드럼카(15)에는 외주면에 나선홈(16a)이 형성되고, 이에 일정길이의 보조로프(18)가 권선되는 제 1드럼(16)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고, 그 일측에는 정,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감속기(17a)와 더불어 베이스(17b)에 고정되는 제 2모터(17)를 갖추어 구성한다. 상기 드럼카(15)의 일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보조로프(18)만이 통과되는 사각터치바(19a)를 갖는 리미트스위치(19)를 갖추고, 상기 보조로프(18)의 길이중간에는 상,하한 감지링(18a)(18b)을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시켜 갖추며, 하단부에는 무게추(18c)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드럼카(15)는 원통형의 제 1드럼(16)을 내부중앙부에 수용할수 있도록 직사각의 틀형상으로 갖추어지며, 상기 사각터치바(19a)도 제 1드럼(16)의 회전시 승하강되면서 좌우로 움직이는 보조로프(18)는 간섭없이 통과시키면서 상기 상,하한 감지링(18a)(18b)은 통과시키지 않고 걸리게 하는 직사각형의 틀형상으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루프카(5)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20)는 상기 루프카(5)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안내위치센서(21)(22)(23)(24)를 상기 상부롤(3a)(3b)(3c)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상기 드럼카(15)의 일측면에는 수평이동중 상기 안내위치센서(21)(22)(23)(24)에 감지되는 위치감지판(25)을 장착하는 한편, 상기 루프카(5)의 선단에 장착되는 하한감지판(27)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루프카(5)의 하한위치를 제어하도록 수직빔(6)의 일측에 장착된 하한위치센서(26)에 감지되는 것이다.
한편, 설비바닥면에서 통판용 로프(32)를 공급하는 로프공급부(30)는 도 3과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보조로프(18)의 하단에 연결된 무게추(18c)과 선단이 결속용 체결부재(31a)(31b)로서 결속되는 일정길이의 통판용로프(32)를 갖추는바, 이러한 통판용 로프(32)는 드럼베이스(33)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원통형의 제 2드럼(34)에 감겨있고, 일측으로 연장되어 베어링블록(34b)과 양단이 조립되는 드럼축(34a)에는 상기 제 2드럼(34)을 회전시켜 권취된 통판용 로프(32)를 공급하는 손잡이(35)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베이스(33)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바(37)를 갖추고, 상기 드럼축(34a)에는 외주에 다수개의 고정홈(38a)이 형성된 원판(38)을 고정설치하며, 상기 고정바(37)의 직후방에는 스토퍼(36)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고정바(37)을 원판(38)측으로 선회시켜 그 선단을 상기 원판(38)의 고정홈(38a)에 끼워 상기 제 2드럼(34)의 회전에 의한 통판용 로프(32)의 풀림을 방지하면서, 상기 고정바(37)가 스토퍼(36)보다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서 미설명부호 37a 는 상기 고정바(37)의 선회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보조바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판용 로프(32)가 감긴 제 2드럼(34)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원판(38)의 고정홈(38a)에 끼워진 고정바(37)를 스토퍼(36)으로 젖혀 이탈시켜 손잡이(35)에 의한 상기 제 2드럼(34)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루프카(5)의 양측에 연결된 이동체인(51)을 하방으로 내리면, 상기 루프카(5)는 다수개의 휠(5b)이 접해지는 수직빔(6)의 레일(6a)을 따라 다운되고, 하강되던 상기 루프카(5)의 하한위치감지판(27)은 최대다운위치에 장착된 하한위치센서(26)에 감지될 때 상기 루프카(5)의 하강은 정지된다.
그리고, 드럼카(15)에 조립된 제 1드럼(16)의 보조로프(18)는 완전히 감겨져 있고, 이에 조립된 상한감지링(18a)이 사각터치바(19a)에 접해져 있기 때문에, 리미트스위치(19)의 상기 사각터치바(19a)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젖혀진 위치 'H' 로 있고, 상기 드럼카(15)는 루프카(5)에 장착된 첫 번재 위치센서(21)에 위치감지판(25)이 감지되어 위치정지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초기상태에서, 제어판(29)의 스위치(미도시)을 눌러 제 2모터(17)를 구동시켜 제 1드럼(16)에 감긴 보조로프(18)를 직하부로 내리면, 무게추(18c)가 달린 보조로프(18)는 첫 번째 하부롤(4a)과 두 번재 하부롤(4b)사이의 직하부로 내려오고, 상기 상한감지링(18a)보다 일정높이 높게 보조로프(18)에 장착된 하한감지링(18b)이 상기 사각터치바(19a)에 접해지면, 상기 사각터치바(19a)는 상기와 반대로 시계반향으로 젖혀져 'L' 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위치전환되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9)의 감지신호는 제어판(29)으로 전송되어 상기 제 2모터(17)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보조로프(18)가 더 이상 권하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로프(18)의 승,하강길이는 상기 사각터치바(19a)와 접하는 상,하한감지링(18a)(18b)사이의 간격을 가감하여 적절히 조절할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제 2드럼(34)으로부터 인출된 통판용 로프(32)를 첫 번째 하부롤(4a)의 밑으로 통과시킨 다음, 선단의 로프고리(32a)를 무게추(18c)의 하부고리(18d)에 맞추고, 이에 결속용 체결부재(31a)(31b)를 결합하여 상기 통판용 로프(32)와 보조로프(18)를 연결한다.
그리고, 이러한 로프결속작업이 완료되면 제어판(29)의 스위치을 눌러 제 2모터(17)를 구동시켜 제 1드럼(16)을 감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방으로 권하된 상기 보조로프(18)는 권상되어 상기 제 1드럼(16)에 권취되고, 권상되던 보조로프(18)의 상한감지링(18a)이 상기 사각터치바(19a)에 접해져 이를 다시 H 위치로 전환시키면, 리미트스위치(19)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2모터(17)의 구동은 다시 정지되어 상기 제 1드럼(16)의 감김작동도 정지된다. 이때, 상기 제 1드럼(16)에 보조로프(18)가 권취되는 길이 만큼 제 2드럼(34)에 감겨 있던 통판용 로프(32)는 풀려진다.
또한, 상기 상한감지링(18a)에 의한 감지신호에 의해서 제 1모터(11)의 구동이 이루어져 구동축(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드럼카(15)가 스프로켓(12a)(13a)에 감긴 체인(14a)(14b)의 선,후단에 연결되어 있고, 레일(5a)상에 올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카(15)는 일측(도면상 우측으로)으로 이동된다.
상기 드럼카(15)의 수평이동시 위치감지판(25)이 첫 번재 상부롤(3a)과 두 번째 상부롤(3a)사이에 배치된 루프카(5)의 두 번째 안내위치센서(22)에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1모터(11)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드럼카(15)의 수평이동은 정지되고, 상기 보조로프(18)와 통판용 로프(32)사이를 연결한 무게추(18c)는 첫 번째 상부롤(3a)과 두 번째 상부롤(3b)사이에 배치된다. 즉, 이는 상기 상한감지링(18a)이 무게추(18a)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은 위치로 보조로프(18)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고, 최대로 올려진 무게추(18c)의 위치가 상기 상부롤(3a)(3b)(3c)의 상부외부면위치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통판용 로프(32)와 연결된 무게추(18c)는 상부롤(3a)(3b)(3c)을 용이하게 타고 넘어서 롤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 안내위치센서(22)에 위치감지판(25)이 감지될 때 정지되는 제 1모터(11)와 다르게 상기 제 2모터(17)는 재구동되어 제 1드럼(16)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권취되었던 보조로프(18)가 두 번째하부롤(4b)과 세 번째 하부롤(4c)사이의 직하부로 다시 권하되며, 하강하던 상기 보조로프(18)의 하한감지링(18b)이 사각터치바(19a)의 상부면에 접해지면, 그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 2모터(17)의 구동이 정지되고, 보조로프(18)의 권하도 멈추어지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하강된 무게추(18c)의 결속용 체결부재(31a)(31b)를 풀어 자유로워진 통판용 로프(32)를 세 번째 하부롤(4c)밑으로 통과시켜 롤사이의 상부로 인출하고, 상기 무게추(18c)에 다시 결속한 다음, 제어판(29)의 스위치를 눌러 상술한 바와같은 보조로프(18)의 권상,권하 및 드럼카(15)의 수평이동을 반복하여 상기 통판용 로프(32)가 네 번째 하부롤(4d)의 외측에 이르면, 통판용 로프(32)의 안내통과작업이 모두 종료되어, 결속용 체결부재(31a)(32b)를 풀은 통판용 로프(32)의 선후단에 스트립(2)을 연결하여 라인작업을 시작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판(29)의 복귀스위치를 누르면, 제 2모터(17)가 구동되어 제 1드럼(16)을 감김방향으로 회전시켜 무게추(18a)가 달린 보조로프(18)를 다시 권취하면서 상한위치에서 정지됨과 동시에, 제 1모터(11)의 역방향 구동으로 상기 드럼카(15)는 상기와 반대로 수평이동되어 첫 번재 안내위치센서(21)에 감지될 때 정지되어 홈포지션으로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단독작업자가 지상에서 루프카(5)에 설치된 상부롤(3a)(3b)(3c)과 수직빔(6)에 설치된 하부롤(4a)(4b)(4c)(4d)사이로 통판용 로프(32)를 설비바닥면에 닿게 하지 않면서 간편하게 통판안내작업을 완료할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로프오염을 방지하고, 고소위치에서 발생하던 추락사고를 예방할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력을 줄일수 있고 작업준비시간을 줄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복수개의 상부롤(3a)(3b)(3c)을 장착한 루프카(5)와, 복수개의 하부롤(4a)(4b)(4c)(4d)을 장착한 수직빔(6)으로 이루어진 루퍼설비에 있어서,
    상기 루프카(5)의 상단 일측에 제 1모터(11)를 갖추고, 상기 제 1모터(11)의 구동축(12)과 이에 마주하는 종동축(13)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14a)(14b)의 선,후단은 레일(5a)상에 올려진 드럼카(15)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드럼카(15)에는 외주면에 나선홈(16a)을 형성하여 보조로프(18)가 권선되는 제 1드럼(16)과 이를 회전시키는 제 2모터(17)를 갖추고, 단부에 무게추(18c)를 갖는 상기 보조로프(18)의 길이중간에 고정된 상,하감지링(18a)(18b)을 감지하도록 사각터치바(19a)를 갖는 리미트스위치(19)를 갖춘 이동부(10);
    상기 루프카(5)에 장착된 복수개의 안내위치센서(21)(22)(23)(24)를 감지되는 위치감지판(25)을 상기 드럼카(15)의 일측에 장착하고, 상기 루프카(5)의 선단에는 수직빔(6)의 하한위치센서(26)에 감지되는 하한감지판(27)을 갖추고, 상기 제 1,2모터(11)(1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판(29)을 갖춘 센서부(20); 및
    상기 무게추(18a)에 선단이 결속되는 일정길이의 통판용로프(32)가 권선되고, 손잡이(35)에 연결된 제 2드럼(34)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베이스(33)에는 드럼축(34a)에 장착된 원판(38)의 고정홈(38a)에 끼워지는 고정바(37)를 갖추고, 그 후방에 스토퍼(36)를 장착한 로프공급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KR2019980019139U 1998-10-07 1998-10-07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KR200000076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39U KR20000007684U (ko) 1998-10-07 1998-10-07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39U KR20000007684U (ko) 1998-10-07 1998-10-07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84U true KR20000007684U (ko) 2000-05-06

Family

ID=6951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139U KR20000007684U (ko) 1998-10-07 1998-10-07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68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31B1 (ko) 2003-06-13 2011-02-08 주식회사 포스코 통판체인 하향 분배 유도장치
KR20160076386A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저장 장치의 로프 또는 와이어 절단 시 기계식 조치 시스템
KR20220028754A (ko) * 2020-08-31 2022-03-08 박대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831B1 (ko) 2003-06-13 2011-02-08 주식회사 포스코 통판체인 하향 분배 유도장치
KR20160076386A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저장 장치의 로프 또는 와이어 절단 시 기계식 조치 시스템
KR20220028754A (ko) * 2020-08-31 2022-03-08 박대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7684U (ko)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CN112055764B (zh) 具有呈门型结构的机架和布置在机架处的拾取单元的开包机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200204804Y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KR100815801B1 (ko) 선재코일 터닝장치
KR200175355Y1 (ko) 디스켈러 워크롤 교환 장치
KR100519473B1 (ko)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KR100507666B1 (ko) 패드 내장형 슬래브 이동 테이블장치
KR200227124Y1 (ko) 강판불량부자동절단장치
KR200197995Y1 (ko) 스트립의 수직소둔로 원격 통판장치
JP2503414Y2 (ja) フオ―ク式吊具
KR200227125Y1 (ko) 코일선단부자동테이핑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KR100878691B1 (ko) 루퍼 캐리지의 강판사행 조정장치
KR100542330B1 (ko) 코일의 방향전환 및 스트립의 통판이 용이한 정정설비
KR20010064199A (ko)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0414826B1 (ko) 원단 자동연속 에이징시스템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JP2000291392A (ja) 防水シート張り装置及び防水シートの張設方法
JPS6142667Y2 (ko)
KR100723254B1 (ko)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KR101048945B1 (ko) 교정롤 통판 유도장치
KR101018113B1 (ko) 압연롤의 포장지및 쵸크받침대 제거장치
KR200260920Y1 (ko) 전장장력통판시스템용정위치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