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473B1 -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473B1
KR100519473B1 KR10-2000-0080275A KR20000080275A KR100519473B1 KR 100519473 B1 KR100519473 B1 KR 100519473B1 KR 20000080275 A KR20000080275 A KR 20000080275A KR 100519473 B1 KR100519473 B1 KR 10051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ip
wheel
traver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962A (ko
Inventor
윤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8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4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내주면에 부착된 센서 및 판스프링과, 그립프레임과, 상기 그립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상단이 치합되어 이를 서로 대향되게 이동시키는 한쌍의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그립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및 스크류샤프트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체인을 포함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그립 유닛의 그립프레임을 상하 유동가능하게 와이어로 고정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트라버스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트라버스프레임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그립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된 절첩가능한 형태의 플레이트형 링크와, 상기 트라버스프레임의 하단면에 설치된 휠과, 상기 휠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트라버스프레임의 일단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휠과 축으로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트라버스 유닛과; 에어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과 휠 및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랩박스를 싣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랜스퍼카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스크랩코일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서 작업환경 개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coil type scrap disposal system}
본 발명은 코일형 스크랩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특히 알씨엘(RCL:ReCoiling Line) 공장의 처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코일형 스크랩을 효율적으로 자동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심적부담을 사전에 제거하도록 한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정정라인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코일(4)이 코일카(COIL CAR)(2)를 통하여 코일스키드(3)에서 풀림방지를 위해 벤딩되게 되며, 벤드처리가 완료된 스크랩코일(4)은 작업자에 의해 안전통로까지 밀린 후 천정크레인을 통해 스크랩박스(5)에 수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알씨엘(RCL) 공정에서 생성되는 스크랩코일은 모든 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히 안전사고에 대한 작업자의 심적부담이 가중되므로 이러한 재해요인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텐션 릴(TENSION REEL)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코일을 코일카를 통하여 코일스키드에 안착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한 벤드체결과 벤드체결된 스크랩코일을 안전통로로 밀어낸 후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스크랩박스로 이송할 때에 작업자의 심적불안을 해소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의 실시예는, 한쌍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내주면에 부착된 센서 및 판스프링과, 그립프레임과, 상기 그립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의 상단이 치합되어 이를 서로 대향되게 이동시키는 한쌍의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그립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및 스크류샤프트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체인을 포함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그립 유닛의 그립프레임을 상하 유동가능하게 와이어로 고정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트라버스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트라버스프레임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그립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된 절첩가능한 형태의 플레이트형 링크와, 상기 트라버스프레임의 하단면에 설치된 휠과, 상기 휠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트라버스프레임의 일단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휠과 축으로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트라버스 유닛과; 에어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과 휠 및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랩박스를 싣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랜스퍼카 유닛으로 구성된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랩코일을 폭과 관계없이 스스로 감지하여 들어 올리는 그립 유닛의 상세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랩코일을 들어 올린후 스크랩박스 쪽으로 이송하는 트라버스 유닛의 상세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랩코일을 스크랩박스에 담기 위하여 스크랩박스를 이송하는 트랜스퍼카 유닛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스크랩코일을 처리할 때에 수작업으로 하던 작업방식을 개선하여 각각의 역할을 분담하는 각종 기기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제어토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스크랩코일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크게 그립 유닛과, 트라버스 유닛 및 트랜스퍼카 유닛 등과 같은 3개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 유닛은 스크랩코일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각각 제어된다.
삭제
먼저, 도 3에 도시된 그립 유닛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며, 코일카(3)에 스크랩코일이 오게 되면 그 외경을 감지하는 센서(18)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9)를 통하여 스프라켓(20)이 구동되며, 이와 연결된 링크체인(22)이 구동됨으로써 그와 연결된 스크류샤프트(21)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상기 스크류샤프트(21)는 볼베어링(25)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지지되며, 스크랩코일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아암(23)에 부착된 센서(18)가 그 외경을 감지하게 되면 모터(19)는 정지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샤프트(21)의 구동도 정지되므로 아암(23)의 이동도 정지되게 된다.이때, 상기 아암(23)의 이동시 그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샤프트(21)와 한조로 된 보스(26)가 장착되며, 이 보스(26)는 아암(23)의 상단을 구성하게 된다.또한, 상기 아암(23)에는 상기 센서(18)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와 동일면에 판스프링(24)이 부착되는데, 상기 판스프링(24)은 상기 아암(23)과 스크랩코일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긴밀히 하여 그 밀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트라버스 유닛은 상술한 그립프레임(17)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트라버스프레임(6)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상,하로 작동될 때 좌.우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형 링크(7)가 구비된다.그리하여, 스크랩코일이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확인되면 모터(8)가 작동되고, 이 모터(8)와 연결된 감속기(9)와 기어커플링을 통해 축(11)으로 동력이 전달되며,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이때, 상기 와이어로프(미도시)를 원활히 가이드하기 위해 쉬브(28)가 설치될 수 있다.결국, 그립프레임(17)은 상기 와이어로프와 플레이트형 링크(7)에 의해 흔들림없이 원활히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아울러, 트라버스프레임(6)은 모터(8)의 구동을 통해 휠(16)이 회전되면서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이때, 상기 휠(16)은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롤러베어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된 트랜스퍼카 유닛은 에어실린더(29)에 의해 작동되며, 레일(32)과 휠(31) 및 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스크랩박스(5)를 싣고 운반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도 2는 스크랩코일이 운반위치에 도착되면 도 3에 도시된 그립유닛이 다운되어 스크랩코일을 파지하게 되고, 파지가 완료되면 공정제어에 따라 그립 유닛이 상승되며, 그립 유닛이 상승되면 트라버스 유닛이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이동하여 스크랩박스(5)에 스크랩코일을 운반하게 된다.이후, 스크랩코일이 스크랩박스(5)에 수납되면 에어실린더(29)가 동작되면서 상기 스크랩박스(5)를 필요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연정정라인 스크랩코일 자동 처리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던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서 작업환경 개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 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는 원리를 설명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랩코일을 폭과 관계없이 스스로 감지하여 들어 올리는 그립 유닛의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랩코일을 들어 올린후 스크랩박스 쪽으로 이송하는 트라버스 유닛의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랩코일을 스크랩박스에 담기 위하여 스크랩박스를 이송하는 트랜스퍼카 유닛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트라버스프레임(Traverse Frame) 7 : 링크(Link)
8 : 모터(Motor) 16 : 휠(Wheel)
17 : 그립프레임(Grip Frame) 23 : 아암(Arm)
29 : 에어실린더(Air Cylinder)

Claims (1)

  1. 한쌍의 아암(23)과, 상기 아암(23)의 내주면에 부착된 센서(18) 및 판스프링(24)과, 그립프레임(17)과, 상기 그립프레임(17)에 설치되고 상기 아암(23)의 상단이 치합되어 이를 서로 대향되게 이동시키는 한쌍의 스크류샤프트(21)와, 상기 그립프레임(17)에 고정된 모터(19)와, 상기 모터(19)의 회전축 및 스크류샤프트(21)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 스프라켓(20)과, 상기 스프라켓(20)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체인(22)을 포함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그립 유닛의 그립프레임(17)을 상하 유동가능하게 와이어로 고정하는 와이어드럼이 구비된 트라버스프레임(6)과, 일단은 상기 트라버스프레임(6)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그립프레임(17)의 상단에 고정된 절첩가능한 형태의 플레이트형 링크(7)와, 상기 트라버스프레임(6)의 하단면에 설치된 휠(16)과, 상기 휠(16)이 안착되는 가이드레일(15)과, 상기 트라버스프레임(6)의 일단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휠(16)과 축으로 연결된 모터(8)를 포함하는 트라버스 유닛과;
    에어실린더(29)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32)과 휠(31) 및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랩박스를 싣고 상기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는 트랜스퍼카 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KR10-2000-0080275A 2000-12-22 2000-12-22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KR10051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275A KR100519473B1 (ko) 2000-12-22 2000-12-22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275A KR100519473B1 (ko) 2000-12-22 2000-12-22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962A KR20020050962A (ko) 2002-06-28
KR100519473B1 true KR100519473B1 (ko) 2005-10-07

Family

ID=2768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275A KR100519473B1 (ko) 2000-12-22 2000-12-22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4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72B1 (ko) * 2013-11-14 2015-02-16 (주)오토엔 압연롤 로딩시스템
KR101527464B1 (ko) * 2013-11-14 2015-06-11 (주)오토엔 압연롤 로더용 그립퍼
KR20150067850A (ko) * 2013-12-10 2015-06-19 (주)마미로봇 농작물 관리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74B1 (ko) * 2013-12-19 2015-06-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트레이 상부에서 주행하는 전선포설로봇
CN113163640B (zh) * 2021-03-02 2022-07-05 台州职业技术学院 一种ros平台智能机器人导航用防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698U (ko) * 1996-03-28 1997-10-13 스크랩 코일 자동 처리장치
KR19980030122A (ko) * 1996-10-29 1998-07-25 김종진 코일자동 인출장치 및 코일내경 확장용 러버 슬리브 자동인출입장치
KR19990025739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볼 스크랩 운반겸용 크레인 리프터
JP2000095478A (ja) * 1998-09-24 2000-04-04 Yoshikawa Kogyo Co Ltd クラブ付きクレーン及びそ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698U (ko) * 1996-03-28 1997-10-13 스크랩 코일 자동 처리장치
KR19980030122A (ko) * 1996-10-29 1998-07-25 김종진 코일자동 인출장치 및 코일내경 확장용 러버 슬리브 자동인출입장치
KR19990025739U (ko)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볼 스크랩 운반겸용 크레인 리프터
JP2000095478A (ja) * 1998-09-24 2000-04-04 Yoshikawa Kogyo Co Ltd クラブ付きクレーン及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72B1 (ko) * 2013-11-14 2015-02-16 (주)오토엔 압연롤 로딩시스템
KR101527464B1 (ko) * 2013-11-14 2015-06-11 (주)오토엔 압연롤 로더용 그립퍼
KR20150067850A (ko) * 2013-12-10 2015-06-19 (주)마미로봇 농작물 관리로봇
KR101630224B1 (ko) * 2013-12-10 2016-06-16 프로텍이엠에스주식회사 농작물 관리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962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9397A (ko) 권선기용 스풀의 자동교체장치
KR100519473B1 (ko) 코일형 스크랩 처리용 시스템
CN108689338A (zh) 一种前移式自动推料叉车
KR101493072B1 (ko) 압연롤 로딩시스템
WO2022262267A1 (zh) 一种揭盖门机及方法
JPH0628545Y2 (ja) 段積みuベンド管の取出し搬出装置
KR20030041541A (ko) 선재코일 터닝장치
JP4407065B2 (ja) ガラス固化体取り扱いクレーン
CN212539666U (zh) 一种中厚板热轧钢卷取样装置
JP2594492B2 (ja) 車輛移送用トラバーサー
CN216915582U (zh) 一种电动机车维护站
CN219545748U (zh) 垃圾收集箱的移动设备
JP2622986B2 (ja) 帯状部材の供給装置
KR100414826B1 (ko) 원단 자동연속 에이징시스템
CN216104712U (zh) 一种取料用的转运机构
JP2767662B2 (ja) シフト機構付きロール吊用自動クレーン
KR20000007684U (ko)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JP2503414Y2 (ja) フオ―ク式吊具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JP4483068B2 (ja) ガラス固化体取り扱いクレーン
KR0119038Y1 (ko) 복수개의운반대차를이용한코일운반장치
JP3080490B2 (ja) リバース圧延における円筒状体搬送装置
JPH1024325A (ja) スリーブ交換装置
JPH0271992A (ja) 遠隔マニピュレータの安定装置
JP3200461B2 (ja) 帯状材料の巻取り装置におけるライナー巻取りセルの自動入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