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754A -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754A
KR20220028754A KR1020200110184A KR20200110184A KR20220028754A KR 20220028754 A KR20220028754 A KR 20220028754A KR 1020200110184 A KR1020200110184 A KR 1020200110184A KR 20200110184 A KR20200110184 A KR 20200110184A KR 20220028754 A KR20220028754 A KR 2022002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guide
mask
hanging st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538B1 (ko
Inventor
박대호
Original Assignee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호 filed Critical 박대호
Priority to KR102020011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5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8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 B65H51/10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in groups or in co-operation with other elements with opposed coacting surfaces, e.g. providing n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8Regulating forwar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연결되고 공급되는 걸이끈의 이송 안내하는 이송안내부, 본체에 복수 개가 연결되어 이송안내부를 통과한 걸이끈을 지그재그 궤적을 따라 이송 안내하면서 걸이끈에 열기를 전달하여 구김을 펴는 히팅롤러유닛, 본체에 구비되어 히팅롤러유닛을 통과한 걸이끈을 외력에 의해 강제로 당겨 인출시킴으로써 걸이끈에 장력을 유지하는 인출안내부, 및 인출안내부 이후에 해당되는 걸이끈을 연결하여 인출안내부에서 인출되는 걸이끈의 길이에 따라 인출안내부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작동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스프레드장치로써 이송되는 걸이끈에 열을 가해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융착을 위해 걸이끈을 그리퍼로 잡고 안면보호대의 양측 가장자리로 이동할 경우 구김이 없어짐으로 인해 걸이끈이 안면보호대에 정위치하는 바, 걸이끈의 접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SPREAD DEVICE OF MASK-STRING}
본 발명은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레드장치로써 이송되는 걸이끈에 열을 가해서 펴지도록 함에 따라, 융착을 위해 걸이끈을 그리퍼로 잡고 안면보호대의 양측 가장자리로 이동할 경우 구김이 없어짐으로 인해 걸이끈이 안면보호대에 정위치하는 바, 걸이끈의 접착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1918년 스페인 독감이 발생한 이후,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은 10년에서 40년 주기로 대유행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는 신종플루나 조류독감 및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를 통하여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환들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국 등지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까지 침범하여, 이에 의한 폐암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발병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또는 미세먼지는 코, 구강, 피부접촉 등을 통하여 인체 내에 침입되며, 이 가운데 코를 통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 내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잘 일어나서 변종이 생기기 쉽고 또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침입하면 RNA 조작들이 서로 교차하여 대량 변이가 발생하여 백신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호흡기 감염성 바이러스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막는 방법으로는 섬유재질의 입과 코 주위를 덮는 마스크가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0005호(발명의 명칭: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2020.02.17: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마스크는 안면보호대의 양측 가장자리에 끈을 융착하여 제조 완료하는데, 공급되는 끈이 주름지게 형성됨에 따라, 자동집게설비가 주름진 끈의 하단을 하부로 연장한 채 끈을 잡고 이동 후 안면보호대의 가장자리로 이동함으로써 끈을 안면보호대에 접하게 작동되지만, 끈이 주름지기 때문에 안면보호대에 접하는 위치가 변경되어 제작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프레드장치로써 이송되는 걸이끈에 열을 가해서 펴지도록 한 후, 융착을 위해 걸이끈을 그리퍼로 잡고 안면보호대의 양측 가장자리로 이동할 경우, 구김이 없어짐으로 인해 걸이끈이 안면보호대에 정위치하는 바, 걸이끈의 접착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공급되는 걸이끈의 이송 안내하는 이송안내부; 상기 본체에 복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이송안내부를 통과한 상기 걸이끈을 지그재그 궤적을 따라 이송 안내하면서, 상기 걸이끈에 열기를 전달하여 구김을 방지는 히팅롤러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롤러유닛을 통과한 상기 걸이끈을 외력에 의해 강제로 당겨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걸이끈에 장력을 유지하는 인출안내부; 및 상기 인출안내부 이후에 해당되는 상기 걸이끈을 연결하여, 상기 인출안내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걸이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인출안내부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작동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이송안내부와 상기 히팅롤러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안내부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용공간을 둘레면에 함몰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걸이끈이 일부 펴지면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히팅롤러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서포트샤프트; 상기 서포트샤프트 각각에 구비되고, 각각의 둘레면에 함몰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이끈을 이송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궤적으로 이송 안내하는 서포트블록; 및 상기 서포트샤프트 또는 상기 서포트블록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걸이끈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걸이끈이 펼쳐진 채 이송되도록 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안내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히팅롤러유닛을 거친 상기 걸이끈의 이송 방향을 전환한 채 이송 안내하는 고정롤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롤러의 둘레면에 접한 상기 걸이끈을 강제로 이송시 자연 회전되면서 상기 걸이끈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신호발생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리미트센서; 상기 리미트센서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리미트센서가 양쪽 최외측에 근접함을 감지시 상기 인출안내부에 의한 상기 걸이끈의 강제 이송 여부를 위한 신호 발생을 유도하는 검지바; 및 상기 검지바에 구비되어, 외부에 연결된 상기 걸이끈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걸이끈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상기 검지바의 이동을 유도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히팅롤러유닛, 상기 인출안내부 및 상기 작동신호발생부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스프레드장치로써 이송되는 걸이끈에 열을 가해서 펴지도록 한 후, 융착을 위해 걸이끈을 그리퍼로 잡고 안면보호대의 양측 가장자리로 이동할 경우, 구김이 없어짐으로 인해 걸이끈이 안면보호대에 정위치하는 바, 걸이끈의 접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대기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대기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장치에 의해 구김이 제거된 걸이끈이 안면보호대에 부착된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장치의 투입 전과 투입 후의 상태를 보인 걸이끈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대기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대기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이 이송 상태인 스프레드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장치에 의해 구김이 제거된 걸이끈이 안면보호대에 부착된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드장치의 투입 전과 투입 후의 상태를 보인 걸이끈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용 걸이끈(30)의 스프레드장치(100)는 본체(110), 이송안내부(120), 히팅롤러유닛(130), 인출안내부(140) 및 작동신호발생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스프레드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이송안내부(120), 히팅롤러유닛(130), 인출안내부(140) 및 작동신호발생부(150)를 구비한다. 물론, 본체(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송안내부(120)는 본체(110)에 연결되고, 공급되는 걸이끈(30)의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송안내부(120)로 공급되는 걸이끈(30)은 구겨진 상태이다.
특히, 걸이끈(30)이 구겨진 상태로 그리퍼(50)에 잡혀진 채 단부 또는 가장자리가 마스크(10)의 안면보호대(20)의 설정 위치에 접할 경우 구겨짐으로 인해 안면보호대(20)에 정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 후, 걸이끈(30)이 안면보호대(20)에 접착(본딩)되면, 접착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퍼(5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절단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서, 스프레드장치(100)의 히팅롤러유닛(130)이 구비된다.
히팅롤러유닛(130)은 본체(110)에 복수 개가 연결되어, 이송안내부(120)를 통과한 걸이끈(30)을 지그재그 궤적을 따라 이송 안내하면서, 장력을 유지한 상태의 걸이끈(30)에 열기를 전달하여 구김을 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출안내부(140)는 걸이끈(30)이 히팅롤러유닛(130)에 장력을 유지한 채 열기를 전달받으면서 이동하도록 걸이끈(30)을 강제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걸이끈(30)은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히팅롤러유닛(130)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인출안내부(140)는 걸이끈(30)을 연속적으로 강제 이송할 수도 있고, 비연속적으로 강제 이송할 수도 있다.
작동신호발생부(150)는 인출안내부(140) 이후에 해당되는 걸이끈(30)을 연결하여, 인출안내부(140)에서 인출되는 걸이끈(30)의 길이에 따라 인출안내부(140)의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이로 인해, 걸이끈(30)은 비연속적으로 강제 이송된다.
상세히, 본체(110)는 브라켓(114)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송안내부(120)와 히팅롤러유닛(130)은 브라켓(1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이송안내부(120)와 히팅롤러유닛(130)이 평판 형상의 브라켓(114)에 조립된 후, 브라켓(114)이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됨에 따라, 이송안내부(120)와 히팅롤러유닛(130)의 설치가 용이하다. 물론, 브라켓(11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본체(110)는 히팅롤러유닛(130)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조작부(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110)는 인출안내부(14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다른 조작부(112)를 구비한다.
이때, 이송안내부(120)는 가이드샤프트(122) 및 가이드블록(124)을 포함한다.
가이드샤프트(122)는 브라켓(114)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샤프트(122)는 공급되는 걸이끈(30)의 가닥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물론, 가이드샤프트(122)가 본체(110)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가이드블록(124)은 걸이끈(30)을 펴지게 하면서 히팅롤러유닛(130)으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블록(124)은 가이드샤프트(122)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사이에 수용공간(125)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용공간(125)을 둘레면에 함몰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블록(124)이 한 쌍으로 구비될 경우, 걸이끈(30)은 마주하는 가이드블록(124) 사이의 수용공간(125)을 통해 가이드샤프트(122)의 둘레면에 접한 채 이송 안내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블록(1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가이드블록(124)은 가이드샤프트(12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가이드샤프트(122)에 구속되어 회전이 방지될 수도 있다.
또한, 걸이끈(30)이 뭉쳐져서 구겨진 상태에서 초기에 가이드블록(124)으로 공급시 간섭이나 이송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110)는 이송안내부(120)의 전측에 하부가이드부재(118)를 구비한다. 걸이끈(30)은 하부가이드부재(118)를 통과하면서 직선 상태로 가이드샤프트(122) 또는 가이드블록(124)으로 이송된다. 그래서, 걸이끈(30)은 이송 저항이 최소화된다.
하부가이드부재(11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본체(110) 또는 브라켓(114)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히팅롤러유닛(130)은 서포트샤프트(132), 서포트블록(134) 및 히팅부재(136)를 포함한다.
서포트샤프트(132)는 브라켓(114)의 축 방향(상하방향)을 따라 브라켓(114)에 복수 개로 구비된다.
서포트블록(134)은 서포트샤프트(132) 각각에 구비된다. 그리고, 서포트블록(134)은 서포트샤프트(132)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사이에 함몰홈부(135)를 형성하거나 또는 함몰홈부(135)를 둘레면에 함몰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이송안내부(120)에 안내되는 걸이끈(30)은 지그재그 궤적을 이루면서 복수 개의 서포트블록(134) 각각의 함몰홈부(135)를 따라 이송된다. 걸이끈(30)이 지그재그 궤적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걸이끈(30)은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물론, 서포트블록(1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히팅부재(136)는 서포트샤프트(132) 또는 서포트블록(134)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원 공급시 이송되는 걸이끈(30)에 열을 전달한다. 그래서, 걸이끈(30)은 복수 개의 서포트블록(134)을 지그재그 궤적을 따라 이송되면서 장력을 유지한 채 열을 전달받음으로써 구겨짐이 펴지게 된다. 이때, 히팅부재(136)는 히팅블록이나 히터코일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히팅부재(136)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조작부(112) 중 특정 조작부(112)의 조작에 의해 가열된다. 물론, 히팅부재(136)는 과열시 더 이상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인출안내부(140)는 고정롤러(142) 및 가압이송롤러(144)를 포함한다.
고정롤러(142)는 본체(110) 또는 브라켓(11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히팅롤러유닛(130)을 거친 걸이끈(30)의 이송 방향을 전환한 채 강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걸이끈(30)은 가이드블록(124), 서포트블록(134) 및 고정롤러(142) 각각에 이송 안내되면서 이송 방향이 전환된다. 이로써, 걸이끈(30)은 항상 장력이 유지된다.
이때, 걸이끈(30)은 본체(110)에 고정 설치된 가동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는 고정블록에 의해 강제 이송된다. 아울러, 걸이끈(30)은 그리퍼(50)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자연적으로 고정블록의 둘레면에 접한 채 강제 이송 안내될 수도 있다.
가압이송롤러(144)는 본체(110) 또는 브라켓(114)에 연결되고, 고정롤러(142)의 둘레면에 접한 걸이끈(30)을 강제로 이송시 자연 회전되면서 걸이끈(30)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압이송롤러(144)는 고정롤러(142)에 외접되며 걸이끈(30)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걸이끈(30)이 더 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체(110) 또는 브라켓(114)은 힌지축(146)을 구비하고, 힌지축(146)은 연결부재(148)의 일측을 힌지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가압이송롤러(144)는 연결부재(148)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연결부재(148)와 가압이송롤러(144)는 자중에 의해 힌지축(146)을 기준으로 회동됨에 따라, 가압이송롤러(144)는 고정롤러(142)의 상부에서 고정롤러(142)에 외접하게 된다.
물론, 가압이송롤러(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작동신호발생부(150)는 리미트센서(152), 검지바(154) 및 걸이부재(156)를 포함한다.
리미트센서(152)는 고정롤러(142)에 인접되게 본체(110)에 구비된다.
그리고, 검지바(154)는 리미트센서(15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리미트센서(152)는 검지바(154)가 일측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고, 타측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한다.
그리퍼(50)가 걸이끈(30)을 당겨서 안면보호대(20)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걸이끈(3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검지바(154)가 일측 최외측에 위치할 경우, 리미트센서(152)는 검지바(154)의 해당 위치를 검출 후 인출안내부(140)의 고정롤러(142)의 회전을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아울러, 그리퍼(50)가 초기 위치로 복귀 후 걸이끈(30)을 잡은 상태에서, 검지바(154)가 타측 최외측으로 복귀할 경우, 리미트센서(152)는 검지바(154)의 해당 위치를 검출 후 인출안내부(140)의 고정롤러(14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한다.
물론, 검지바(15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리미트센서(152)에 연결된다.
걸이부재(156)는 검지바(154)에 구비되어, 그리퍼(50)에 연결되는 걸이끈(30)을 통과시킴으로써, 걸이끈(30)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검지바(154)의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걸이부재(1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체(110)는 히팅롤러유닛(130), 인출안내부(140) 및 작동신호발생부(150)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116)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커버(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걸이끈(30)이 최외측(최상측)의 서포트블록(134)을 벗어나 고정롤러(142) 측으로 이동시 고정롤러(142)와의 접촉을 줄이기 위해, 본체(110)는 최외측의 서포트블록(134)과 고정롤러(142)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가이드부재(119)를 구비한다. 걸이끈(30)은 상부가이드부재(119)를 통과하면서 직선 상태로 고정롤러(142)의 상측 둘레면 측으로 이송된다. 그래서, 걸이끈(30)은 이송 저항이 최소화된다.
상부가이드부재(11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본체(110) 또는 브라켓(114)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마스크 20: 안면보호대
30: 걸이끈 50: 그리퍼
100: 스프레드장치 110: 본체
114: 브라켓 116: 커버
120: 이송안내부 122: 가이드샤프트
124: 가이드블록 130: 히팅롤러유닛
132: 서포트샤프트 134: 서포트블록
136: 히팅부재 140: 인출안내부
142: 고정롤러 144: 가압이송롤러
150: 작동신호발생부 152: 리미트센서
154: 검지바 156: 걸이부재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공급되는 걸이끈의 이송 안내하는 이송안내부;
    상기 본체에 복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이송안내부를 통과한 상기 걸이끈을 지그재그 궤적을 따라 이송 안내하면서, 상기 걸이끈에 열기를 전달하여 구김을 펴는 히팅롤러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히팅롤러유닛을 통과한 상기 걸이끈을 외력에 의해 강제로 당겨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걸이끈에 장력을 유지하는 인출안내부; 및
    상기 인출안내부 이후에 해당되는 상기 걸이끈을 연결하여, 상기 인출안내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걸이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인출안내부의 작동신호를 발생하는 작동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이송안내부와 상기 히팅롤러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안내부는,
    상기 브라켓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장되는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설정간격만큼 유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그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용공간을 둘레면에 함몰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걸이끈이 펴지면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롤러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서포트샤프트;
    상기 서포트샤프트 각각에 구비되고, 각각의 둘레면에 함몰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이끈을 이송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궤적으로 이송 안내하는 서포트블록; 및
    상기 서포트샤프트 또는 상기 서포트블록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걸이끈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걸이끈이 펼쳐진 채 이송되도록 하는 히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안내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히팅롤러유닛을 거친 상기 걸이끈의 이송 방향을 전환한 채 이송 안내하는 고정롤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롤러의 둘레면에 접한 상기 걸이끈을 강제로 이송시 자연 회전되면서 상기 걸이끈이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발생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리미트센서;
    상기 리미트센서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리미트센서가 양쪽 최외측에 근접함을 감지시 상기 인출안내부에 의한 상기 걸이끈의 강제 이송 여부를 위한 신호 발생을 유도하는 검지바; 및
    상기 검지바에 구비되어, 외부에 연결된 상기 걸이끈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걸이끈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라 상기 검지바의 이동을 유도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히팅롤러유닛, 상기 인출안내부 및 상기 작동신호발생부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KR1020200110184A 2020-08-31 2020-08-31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KR10243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84A KR102438538B1 (ko) 2020-08-31 2020-08-31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84A KR102438538B1 (ko) 2020-08-31 2020-08-31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54A true KR20220028754A (ko) 2022-03-08
KR102438538B1 KR102438538B1 (ko) 2022-08-31

Family

ID=8081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84A KR102438538B1 (ko) 2020-08-31 2020-08-31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5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84U (ko) * 1998-10-07 2000-05-06 이구택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KR200319661Y1 (ko) * 2003-02-11 2003-07-16 호 열 최 끈의 표면 가공장치
JP2009145262A (ja) * 2007-12-17 2009-07-02 Meisan Kk シートのたるみ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JP2011229895A (ja) * 2010-04-07 2011-11-17 Nobuhiro Umehara マスクの耳掛け紐取付け装置
KR102129111B1 (ko) * 2019-03-19 2020-07-01 전익희 마스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84U (ko) * 1998-10-07 2000-05-06 이구택 스트립 통판용 로프 안내장치
KR200319661Y1 (ko) * 2003-02-11 2003-07-16 호 열 최 끈의 표면 가공장치
JP2009145262A (ja) * 2007-12-17 2009-07-02 Meisan Kk シートのたるみ評価方法および評価装置
JP2011229895A (ja) * 2010-04-07 2011-11-17 Nobuhiro Umehara マスクの耳掛け紐取付け装置
KR102129111B1 (ko) * 2019-03-19 2020-07-01 전익희 마스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538B1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9587A1 (ko) 합지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JP2007532205A5 (ko)
CN106626738B (zh) 一种玻璃连续热转印设备
KR102438538B1 (ko) 마스크용 걸이끈의 스프레드장치
TW200300808A (en) Process for increasing the softness of base web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ITPC20110001A1 (it) Impianto per essiccare in continuo un film rivestito
WO2014171704A1 (ko)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60128364A (ko) 롤 마무리기
IT8322829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manipolazione di materiale tipo tessuto
JP2021092650A (ja) 露光機の除塵装置
TWI721753B (zh) 吸取薄膜結構
JP2008087791A (ja) ロール紙胴巻き包装装置及び方法
ITUA20163958A1 (it) Macchina per la stampa digitale su nastro.
JP4485220B2 (ja) 深絞り包装機用フィルム自動供給装置
FI118017B (fi) Alipainehihnakuljetin päänvientinauhan viemiseksi rainanmuodostuskoneessa
JP2006255205A (ja) 布類投入機における布類整形装置
ITTO20111237A1 (it) Unita' di taglio per macchine etichettatrici alimentate da bobina
JP2011208306A (ja) 捺染処理装置
IT9003413A1 (it) Dispositivo per l'asportazione di una fascetta adesiva di chiusura da una bobina di materiale in nastro.
KR102333895B1 (ko) 마스크 제조 장치의 와이어 정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장치, 및 마스크 제조 방법
KR101518432B1 (ko) 의류 포장기
CN205525116U (zh) 窗帘环圈输送包装机构
US11835906B2 (en) Foil transfer device
JP2005312478A (ja) 布類投入装置における整形装置
JP2018171270A (ja) 被洗物送出装置及びロールアイロ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