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410B1 -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410B1
KR100506410B1 KR10-2000-0057519A KR20000057519A KR100506410B1 KR 100506410 B1 KR100506410 B1 KR 100506410B1 KR 20000057519 A KR20000057519 A KR 20000057519A KR 100506410 B1 KR100506410 B1 KR 10050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ase
access
tip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595A (ko
Inventor
표현주
권진달
장사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5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4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는 코일 통판시 코일 선단부가 얇아 기울기가 있는 스윙 테이블 쪽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뒤로 빠져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서도 코일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통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접근 조절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채 상기 받침판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진 접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복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에 대응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누름롤러로 이루어진 누름부와; 상기 텐션 릴 및 상기 케이스의 전방과 내부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부와 상기 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Apparatus for guiding sheet coil}
본 발명은 금속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냉간압연공정 또는 소둔공정에 사용되는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 압연공정, 더욱 상세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냉연공장의 광휘소둔라인에는 코일을 장입시키고 장입된 코일을 풀어서 소둔로로 이송시키는 통판(通板)작업이 있다.
이러한 통판작업의 일 실시예를 도 4에 나타내고 있다.
먼저, 코일(C)을 텐션 릴(2)에 장입 후 코일 선단부(C1)를 핀치 롤(4) 쪽으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 작업자 1인은 조작 패널(6)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경사가 45°로 된 상하 작동 스윙 테이블(8)을 상승시키는 한편, 다른 작업자는 풀려 나오는 간지(10)를 손으로 잡아서 페이퍼 와인더(12)에 감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코일 박판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박판 자체의 강도에 의하여 스윙 테이블에 얹혀진 코일 선단부는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코일의 두께가 0.4mm 이하로 얇을 경우에는 코일 선단부가 스윙 테이블의 앞쪽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아래로 미끄러져 낙하된다.
이와 같이 코일 선단부가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또 다른 작업자가 치구를 이용하여 코일 선단부를 잡은 후 스윙 테이블 위로 올려야만 한다.
따라서 코일 선단부를 재차 스윙 테이블로 올리는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이 지연되고, 이는 제품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코일 선단부의 핀치롤 통과 시 치구로 코일의 선단부를 다루던 또 다른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통판작업을 위하여 최소한 3인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됨으로 불필요한 인력이 소모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통판시 코일 선단부가 얇아 기울기가 있는 스윙 테이블 쪽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뒤로 빠져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서도 코일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통판시킬 수 있는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접근 조절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채 상기 받침판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진 접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복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에 대응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누름롤러로 이루어진 누름부와; 상기 텐션 릴 및 상기 케이스의 전방과 내부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부와 상기 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를 포함시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가이드장치는 텐션 릴(2)과 핀치 롤(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핀치 롤(4)의 후측에 세워진 지지빔(14)에 설치된다.
전술한 핀치 롤(4)의 전측에는 프레스너 롤이 배치되고, 텐션 릴(2)의 후측에는 코일(C)에서 풀려지는 간지(10)를 감기 위한 페이퍼 와인더(12)가 위치한다.
이러한 페이퍼 와이더(12)의 인접한 위치에는 감지센서(18)가 설치되어 간지(10)가 완전히 풀렸는 지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특히 텐션 릴(2)은 코일(C)에 감겨진 박판(S)을 풀기 위해서 전동박스 내부의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전술한 가이드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접근부(100)와, 누름부(200)와, 제어부(30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각 부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접근부(100)는 지지빔(14)의 상단부에 힌지 고정되는 받침판(102)과, 이 받침판(102)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근 조절 실린더(106)로 구성된다.
접근 조절 실린더(106)의 피스톤 로드는 후술하는 케이스와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 시 케이스를 코일(C) 쪽으로 접근 또는 후퇴시킨다.
이러한 접근 또는 후퇴 시 케이스가 원활하게 안내되기 위해서 상기 받침판 (102)의 상부 양 가장자리에는 레일(104)이 형성된다.
한편, 지지빔(14)에는 스윙 조절용 실린더(108)가 힌지 고정된다.
이 스윙 조절용 실린더(108)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받침판(102)의 측면 적소에 힌지 고정되어 스윙 조절용 실린더(108)로 유입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받침판(102)의 스윙 동작을 유도한다.
누름부(200)의 케이스(202)는 전후측 방향으로 관통이 된 통으로써 내부에 다수의 롤러가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202)의 내부에는 이송 안내판 (202a)(202b)이 상하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박판(S)의 원활한 이송 경로를 확보하게 된다.
케이스(202)의 하부에는 상술한 받침판(102)의 레일(104)에 대응되는 레일턱(204)이 형성된다.
상술한 다수의 롤러는 케이스(202)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전측과 후측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된다.
한 쌍을 이루는 롤러는 케이스(202)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롤러(206)와, 이 고정롤러(206)의 상부에서 고정롤러(206) 측으로 승하강 가능한 누름롤러(210)이다.
여기서 고정롤러(206)는 케이스(202)의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208)와 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누름롤러(210)는 케이스(202)의 외측에 고정된 누름 조절용 실린더(212)에 의해 승하강된다.
특히, 고정롤러(206)의 둘레에는 3개의 결함 방지용 아이들 롤러(206a)가 밀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결함 방지용 아이들 롤러(206a)는 케이스(202)의 외측에서 서로 벨트로 연결되어 고정롤러(206)의 구동시 동시에 회전된다.
그리고, 고정롤러(206)의 하방과 누름롤러(210)의 상방에는 에어 공급관 (214)이 배치되어 박판(S)과 간지(10) 사이로 에어를 분사시킨다.
에어 공급관(214)에는 조절 밸브(214a)가 설치되어 에어의 공급을 제어한다.
한편, 케이스(202)의 전방과 내부 적소에는 근접센서(216)와 복수의 위치 감지센서(218)가 설치된다.
여기서 케이스(202)의 전방에 위치한 근접센서(216)는 케이스(202)가 코일 측으로 접근 또는 후퇴 동작하는 경우 코일(C)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복수의 위치 감지센서(218)는 코일(C)에서 풀려진 박판(S)의 선단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들이다.
한편, 제어부(300)는 텐션 릴(2)과 상술한 다수의 센서에 함께 연결되어 텐션 릴(2)과 다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부(100)와 상기 누름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텐션 릴(2)에 코일을 장입시키고, 이렇게 장입된 코일(C)의 선단부 (C1)를 이송하기 위해서 접근 조절 실린더(106)에 유압을 공급하여 케이스 (202)를 코일(C) 측으로 전진시킨다.
전진 중에 케이스(202)가 코일(C)에 접근하게 되면, 근접센서(216)가 코일(C)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00)로 보내진다.
보내진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300)는 접근 조절 실린더(106)로 공급되던 유압을 차단하여 케이스(202)를 멈추게 한다. 그 결과 코일(C)과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절한 간격이 유지된다.
이어서, 제어부(300)의 조작패널에서 텐션 릴(2)을 구동시키면 코일(C)의 선단부(C1)가 전방에 위치한 고정롤러(206)에 얹히게 된다.
이때 전방에 설치한 위치 감지센서(218)가 코일 선단부(C1)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는 제어부(300)로 입력된다.
이에 제어부(300)는 누름 조절용 실린더(212)를 동작시켜 전방에 위치한 누름롤러(210)를 다운시키고, 동시에 조절 밸브를 동작시켜 에어 공급관(214)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에어 공급관(214)에서 분사된 에어가 박판과 간지를 서로 분리시킨다.
한편, 전방에 위치하여 다운된 누름롤러(210)와 전방에 위치한 고정롤러(206)는 박판(S)의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모터(208)가 구동되어 전방에 위치한 고정롤러(206)를 회전시키면 박판(S)이 전진된다.
전진되던 박판의 선단부를 후방에 설치한 위치 감지센서(218)가 감지하면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보내지고, 제어부는 후방에 위치한 누름 조절용 실린더(212)를 작동시켜 후방에 위치한 누름롤러(210)를 하강시킨다.
후방에 위치하여 하강된 누름롤러(210)는 박판(S)의 상면에 밀착되고, 이때 후방에 위치한 고정롤러(206)은 박판의 하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후방에 위치된 모터(208)에 의해 고정롤러(206)가 회전되면 박판 (S)은 핀치 롤(4) 쪽으로 이송되고, 핀치 롤(4)에 다다르면 상부의 핀치 롤(4)이 하강하여 박판(S)에 밀착된다.
이어서, 접근 조절 실린더(106)가 동작하여 케이스(202)를 후퇴시킨다.
케이스(202)의 후퇴가 종료되면서 전후방에 위치한 누름롤러(210)가 상승하고 모터들도 모두 정지되며 에어 공급관(214)에서 분사되던 에어도 분사를 멈추며 박판(S)은 핀치 롤(4)에 인도되어 프레스너 롤(16)로 이송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케이스가 코일 측으로 접근한 상태에서 누름롤러와 고정롤러를 이용하여 코일의 인출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코일의 선단부를 스윙 테이블로 올려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발생되지 않아 종래에 비해 제품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치구를 이용해 코일의 선단부를 다룰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코일 선단부의 핀치 롤 통과 시 작업자가 위험에 처하는 경우가 사라진다.
아울러 통판작업이 기계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를 포함시켜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종래 코일의 선단부를 가이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업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코일 C1...코일의 선단부
S...박판
2...텐션 릴 4...핀치 롤
10...간지 12...페이퍼 와인더
100...접근부 102...받침판
106...접근 조절용 실린더 200...누름부
202...케이스 206...고정롤러
210...누름롤러 212...누름 조절용 실린더
214...에어 공급관 216...근접센서
218...위치 감지센서 300...제어부

Claims (1)

  1. 텐션 릴에 장입된 코일의 간지를 페이퍼 와인더에서 감고 박판을 통판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접근 조절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된 채 상기 받침판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케이스로 이루어진 접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복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에 대응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누름롤러로 이루어진 누름부와;
    상기 텐션 릴 및 상기 케이스의 전방과 내부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접근부와 상기 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KR10-2000-0057519A 2000-09-29 2000-09-29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KR10050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519A KR100506410B1 (ko) 2000-09-29 2000-09-29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519A KR100506410B1 (ko) 2000-09-29 2000-09-29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595A KR20020025595A (ko) 2002-04-04
KR100506410B1 true KR100506410B1 (ko) 2005-08-05

Family

ID=1969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519A KR100506410B1 (ko) 2000-09-29 2000-09-29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37B1 (ko) * 2002-11-13 2009-09-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CN105449954B (zh) * 2015-12-16 2019-05-14 嵊州市利达电器厂 一种用于电机生产的槽绝缘纸插入机
CN109856906A (zh) * 2019-03-11 2019-06-07 秦存凤 一种放射科用取片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519A (ja) * 1981-08-14 1983-02-21 Hitachi Ltd 圧延機の入側案内装置
JPS58135726A (ja) * 1982-02-05 1983-08-12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レベラ用入口ガイド装置
JPS6410309U (ko) * 1987-07-07 1989-01-19
JPH026088A (ja) * 1988-06-27 1990-01-10 Nec Corp 半導体ウェーハの刻印方法
JPH0395108A (ja) * 1989-09-08 1991-04-19 Ajinomoto Co Inc 頭髪化粧料
JPH0550191A (ja) * 1991-08-21 1993-03-02 Kawasaki Steel Corp 金属薄帯の誘導搬送装置
KR19980042418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상하승강 지지롤을 가지는 강판안내장치
JPH1190520A (ja) * 1997-09-16 1999-04-06 Kawasaki Heavy Ind Ltd ミル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519A (ja) * 1981-08-14 1983-02-21 Hitachi Ltd 圧延機の入側案内装置
JPS58135726A (ja) * 1982-02-05 1983-08-12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レベラ用入口ガイド装置
JPS6410309U (ko) * 1987-07-07 1989-01-19
JPH026088A (ja) * 1988-06-27 1990-01-10 Nec Corp 半導体ウェーハの刻印方法
JPH0395108A (ja) * 1989-09-08 1991-04-19 Ajinomoto Co Inc 頭髪化粧料
JPH0550191A (ja) * 1991-08-21 1993-03-02 Kawasaki Steel Corp 金属薄帯の誘導搬送装置
KR19980042418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상하승강 지지롤을 가지는 강판안내장치
JPH1190520A (ja) * 1997-09-16 1999-04-06 Kawasaki Heavy Ind Ltd ミル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595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2929A (en) Device for taking out sheet rolls and mounting sheet roll cores
KR101219288B1 (ko) 원단 자동 절단 장치
KR100506410B1 (ko)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GB2185927A (en) Conveying apparatus for introducing strip material into strip processing machines
JP2001505861A (ja) パイル交換装置
US3381906A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into successive convolutions of metal coils and method therefor
KR101277580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KR100858126B1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KR100829961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KR20010064199A (ko)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1713093B1 (ko) 코어의 적층 높이 제어장치
JPH03245911A (ja) ストリップ処理ラインにおけるサンプル材の採取方法および装置
KR200178766Y1 (ko) 스트립 자동 벤딩 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20020040149A (ko) 코일강판 결함부 절단장치
CA1301137C (en) Continuously running unwinder
CN216189602U (zh) 一种智能全自动分卷机
JPH0871646A (ja) 連続鋼帯の蛇行矯正装置
JP2649901B2 (ja) ロール体の自動補給装置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950010894B1 (ko) 텐션릴(Tension Reel) 자동권취 제어장치
JPH0615814U (ja) 長尺材料の送り出し装置
CN112517662B (zh) 一种热轧钢卷卷取卸卷位置稳定装置及其位置判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