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637B1 -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637B1
KR100918637B1 KR1020020070284A KR20020070284A KR100918637B1 KR 100918637 B1 KR100918637 B1 KR 100918637B1 KR 1020020070284 A KR1020020070284 A KR 1020020070284A KR 20020070284 A KR20020070284 A KR 20020070284A KR 100918637 B1 KR100918637 B1 KR 10091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
belt
guide
def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127A (ko
Inventor
김언식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6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6Eccent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6Pinch roll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디프렉트 롤과 가이드 롤 주변에 설치되어 이동중 파단된 스트립을 끌어올려 원위치로 복구시키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로서, 디프렉트 롤 상단에 위치하며 벨트를 감아 고정하는 벨트 회전축 및 벨트 회전축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벨트 권취부와; 벨트의 끝단에서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그립 롤 및 곡선 가이드에 의해 회전하여 상부 그립 롤과의 간격이 가변되는 복수의 편심 그립 롤을 구비하여 상부 그립 롤과 편심 그립 롤 사이로 스트립의 선단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스트립 체결부와; 벨트 회전축과 디프렉트 롤 사이에서 곡선 가이드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터치 롤을 구비하여 터치 롤의 회전력으로 곡선 가이드를 돌려 스트립을 분리시키는 스트립 해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를 제공한다.
스트립, 통판, 수직통판, 파단, 취성, 전기강판, 디프렉트롤, 스트립체결, 스트립분리

Description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DEVICE FOR PASSING STR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립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트립 유도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트립 해체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트립 수직 통판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성이 강한 스트립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립이 파단되는 경우, 파단된 스트립을 복구하기 위한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성이 강한 전기 강판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취성적 성질에 의해 스트립이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파단된 스트립을 인출하여 원위치로 복구하게 되는데, 도 5에 종래 기술에 의한 스트립 통판 과정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후진이 가능한 브라이들 롤(101)에 통판용 밴 드(102)를 감아 걸고, 브라이들 롤(101)을 회전시켜 통판용 밴드(102)를 지하피트 내에 위치한 스트립(103) 선단부에 이르도록 낙하시킨 다음, 연결 부재(104)를 이용하여 통판용 밴드(102)를 스트립(103) 선단부에 고정시키고, 브라이들 롤(10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판용 밴드(102)와 스트립(103)을 끌어올려 지상으로 인출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통판 작업은 장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중 연결 부재(104)가 쉽게 분리되어 스트립(103)과 통판용 밴드(102)를 연결하는 작업을 여러번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반복 작업으로 통판 과정이 지연됨은 물론, 취성이 강한 스트립을 작업자가 직접 취급함으로써 안전재해 위험이 잔존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립이 파단되는 경우, 파단된 스트립을 신속하게 복구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취성이 강한 스트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디프렉트 롤과 가이드 롤 주변에 설치되어 이동중 파단된 스트립을 끌어올려 원위치로 복구시키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로서,
디프렉트 롤 상단에 위치하며 벨트를 감아 고정하는 벨트 회전축 및 벨트 회 전축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디프렉트 롤과 가이드 롤 사이로 벨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벨트 권취부와, 벨트의 끝단에서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그립 롤 및 곡선 가이드에 의해 회전하여 상부 그립 롤과의 간격이 가변되는 복수의 편심 그립 롤을 구비하여 스트립의 선단부를 밀착 고정시키는 스트립 체결부와, 벨트 회전축과 디프렉트 롤 사이에서 곡선 가이드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터치 롤을 구비하여 터치 롤의 회전력으로 곡선 가이드를 돌려 상부 그립 롤과 하부 그립 롤 사이에 고정된 스트립을 분리시키는 스트립 해체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의하면, 하부 서포트 롤(1)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트립(S)은 가이드 롤(2)과 디프렉트 롤(3)을 거치면서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디프렉트 롤(3)을 지나 상부 서포트 롤(4) 위에서 다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트립(S)이 취성이 강한 전기 강판인 경우, 취성적 성질에 의해 스트립(S)이 파단될 수 있으며, 파단된 스트립(S)의 선단부는 하부 서포트 롤(1) 위에 정지된다. 이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가 스트립(S)의 선단부를 인출하여 상부 서포트 롤(4) 위로 스트립(S)의 선단부를 복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는 크게 가이드 롤(2)과 디프렉트 롤(3)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벨트(11)를 구비하여 스트립(S) 선단부를 이동시키는 벨트 권취부(10)와, 벨트(11) 단부에 설치되고 파단된 스트립(S) 선단부를 체결하여 스트립(S) 선단부와 벨트(11)를 연결하는 스트립 체결부(20)와, 디프렉트 롤(3) 상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테이블(31)을 구비하여 벨트(11)에 의해 끌어올려진 스트립(S)을 가이드하는 스트립 유도부(30)와, 스트립 체결부(20)가 슬라이딩 테이블(31)에 위치할 때 작동하여 스트립 체결부(20)에 고정된 스트립(S)을 풀어 상부 서포트 롤(4)에 제공하는 스트립 해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 권취부(10)는 디프렉트 롤(3) 상단에 위치하며 벨트(11)를 감아 고정하는 벨트 회전축(12)과, 벨트 회전축(12)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구동 모터(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11)는 디프렉트 롤(3)과 가이드 롤(2)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제1 구동 모터(13)와 벨트 회전축(12)의 작동으로 가이드 롤(2)과 디프렉트 롤(3)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립 체결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트립 체결부(20)는 벨트(11)의 폭 방향을 따라 벨트(11) 단부에 고정되는 벨트 고정축(21)과, 벨트 고정축(21)의 양 끝단에 고정되며, 벨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 설치되는 링크 부재(22)와, 벨트(11)의 폭 방향을 따라 마주하는 2개의 링크 부재(22) 상단에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그립 롤(23)과, 각각의 상부 그립 롤(23) 하단에 위치하면서 중심축의 양 끝단이 2개의 링크 부재(22) 중앙에 설치되는 편심 그립 롤(24)과, 링크 부재(22) 외면에서 편심 그립 롤(24)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편심 그립 롤(24)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곡선 가이드(25)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 그립 롤(24)은 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편심 그립 롤(24)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부 그립 롤(23)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즉, 곡선 가이드(25)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편심 그립 롤(2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그립 롤(23)과의 간격이 축소되고, 곡선 가이드(2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편심 그립 롤(2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그립 롤(23)과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로서 파단된 스트립(S)의 선단부를 상부 그립 롤(23)과 편심 그립 롤(24) 사이에 위치시키고, 곡선 가이드(25)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편심 그립 롤(24)의 회전 위치를 변경하면, 스트립(S)이 편심 그립 롤(24)과 상부 그립 롤(23) 사이에 공고하게 고정되며, 이로서 스트립 체결부(20)가 스트립(S)의 선단부와 밴드(11)를 연결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트립 유도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트립 유도부(20)는 벨트 회전축(12) 하단에 위치하며 지지축(32)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테이블(31)과, 지지축(32) 일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테이블(31)을 회전시키는 로터리 에어팬(33)과, 벨트(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테이블(31) 하단에 설치되는 제1 실린더(34)와, 제1 실린더(34) 끝단에 고정되어 제1 실린더(34)의 작동으로 전, 후진 이동하는 가이드 롤(35) 및 보조 테이블(36)과, 제1 실린더(34)와 평행하게 가이드 롤(35)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가이드 롤(35)의 전, 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쌍의 슬라이딩 가이드(37)를 포함한다.
스트립(S)의 정상적인 이동 과정에서, 슬라이딩 테이블(31)은 상부 서포트 롤(4)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가이드 롤(35)과 보조 테이블(36)은 슬라이딩 테이블(31) 하단에 위치한다. 그리고 벨트(11)를 감아 스트립(S)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테이블(31)은 로터리 에어팬(33)의 작동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 테이블(31)의 끝단이 디프렉트 롤(3)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제1 실린더(34)의 작동으로 가이드 롤(35)과 보조 테이블(36)이 전진하여 슬라이딩 테이블(31)로부터 확장된다.
이 때, 슬라이딩 테이블(31) 하단에는 슬라이딩 가이드(37)와 연동하는 스트립 해체부(40)가 위치하며, 스트립 해체부(40)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테이블(31) 상에 제1 실린더(34)와 평행한 장방형의 슬릿(38)이 형성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스트립 해체부(40)의 터치 롤(41)이 슬릿(38)을 통해 슬라이딩 테이블(31) 위로 돌출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트립 해체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스트립 해체부(40)는 연결대(42)를 통해 슬라이딩 가이드(37)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가이드(37)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 막대(43)와, 각 이동 막대(43)의 끝단과 회전축(44)을 연결하는 제1 레버(45)와, 일단이 회전축(44)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회전축(44) 상단에 설치된 지지축(46)에 고정되어 회전축(44)과 지지축(46)을 연결하는 제2 레버(47)와, 제3 레버(48)를 통해 지지축(4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치 롤(41)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막대(43)는 슬라이딩 테이블(31)에 고정된 원통형 가이드(39)에 둘러싸여 전, 후진 이동이 가이드되며, 원통형 가이드(39)와 연결대(42) 사이에 탄성 부재(49)가 위치하여 슬라이딩 가이드(37) 후진시 압축되었다가 슬라이딩 가이드(37) 전진시 탄성 복원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37)의 전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스트립 해체부(40)는 스트립 체결부(20)가 슬라이딩 테이블(31)에 위치할 때 작동한다. 즉, 가이드 롤(35) 및 슬라이딩 가이드(37)의 후진에 따라 이동 막대(43)가 후진하면, 지지축(46)이 회전하면서 터치 롤(41)을 상승시켜 터치 롤(41)이 슬릿(38)을 통해 슬라이딩 테이블(31) 위로 돌출되며, 각각의 터치 롤(41)이 스트립 체결부(20)에 형성된 곡선 가이드(25)와 접촉하여 스트립 체결부(20)에서 스트립(S) 선단부를 분리시키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프렉트 롤(3) 상단에는 벨트(11)에 의해 인출된 스트립(S)을 디프렉트 롤(3)에 밀착시키는 스트립 밀착부(50)가 위치하며, 가이드 롤(2) 하단에는 스트립 체결부(20)를 지지하는 라운드 서포트(60)가 위치한다.
상기 스트립 밀착부(50)는 스트립(S)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핀치 롤(51)과, 핀치 롤(51)의 중심축과 연결되어 핀치 롤(5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제2 실린더(52)와, 핀치 롤(51)의 중심축 일단에 설치되어 핀치 롤(51)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53)를 포함하며, 제 2실린더(52)의 작동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막대(43)에 고정된 센서(53)가 이동 막대(43)의 후진으로 원통형 가이드(39)에 고정된 터치 바(54)로부터 분리될 때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S)은 하부 서포트 롤(1)을 지나 가이드 롤(2)과 디프렉트 롤(3) 사이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부 서포트 롤(4) 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스트립 이동 과정에서, 벨트 권취부(10)는 제1 구동 모터(13)를 작동하여 벨트 회전축(12)으로부터 벨트(11)를 풀어 벨트(11) 끝단에 위치한 스트립 체결부(20)가 라운드 서포트(60)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과정에서 스트립(S)이 파단되면, 스트립(S)의 선단부는 하부 서포트 롤(1) 위에 정지하게 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스트립(S)의 선단부를 전진시켜 스트립 체결부(20)의 상부 그립 롤(23)과 편심 그립 롤(24) 사이에 진입시킨다. 그리고 곡선 가이드(25)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편심 그립 롤(2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편심 그립 롤(24)과 상부 그립 롤(23)의 간격이 축소되어 스트립(S)의 선단부가 스트립 체결부(20)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벨트 권취부(10)의 제1 구동 모터(13)를 작동하여 벨트(11)를 벨트 회전축(12)에 감아 스트립 체결부(20)와 여기에 고정된 스트립(S) 선단부를 디프렉트 롤(3)을 향해 상승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 유도부(30)의 로터리 에어팬(33)이 작동하여 슬라이딩 테이블(31)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딩 테이블(31)은 그 끝단이 디프렉트 롤(3) 상단에 위치하며, 제1 실린더(34)의 작동으로 가이드 롤(35)과 보조 테이블(36)이 전진하여 벨트(11)와 스트립(S)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와 같이 벨트(11)를 감아 올려 스트립 체결부(20)가 슬라이딩 테이블(31) 위에 위치하면, 제1 구동 모터(1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1 실린더(34)를 축소하여 가이드 롤(35)과 보조 테이블(36)을 후진시킨다. 이 과정에서 한쌍의 슬라이딩 가이드(37)가 가이드 롤(35)과 함께 후진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막대(43)가 슬라이딩 가이드(37)와 연동하여 후진하며, 이동 막대(43)의 후진으로 회전축(44)과 지지축(46)이 회전하면서 지지축(46)에 고정된 터치 롤(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롤(41)이 슬릿(38)을 통해 슬라이딩 테이블(31) 위로 돌출되면서 스트립 체결부(20)에 형성된 곡선 가이드(25)와 접촉하고, 터치 롤(41)의 회전력이 곡선 가이드(25)에 전달되어 곡선 가이드(25)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편심 그립 롤(2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서 편심 그립 롤(24)이 상부 그립 롤(23)에서 멀어지면서 스트립의 선단부가 스트립 체결부(20)에서 분리된다.
한편, 슬라이딩 가이드(37)가 후진할 때 이동 막대(43)에 고정된 센서(53)가 터치 바(54)로부터 분리되며, 센서(53)의 신호에 의해 스트립 밀착부(50)에 구비된 제2 실린더(52)가 축소된다. 따라서 제2 실린더(52)의 축소로 핀치 롤(51)이 하강하여 스트립(S)을 디프렉트 롤(3)에 밀착 고정시키며, 이어서 스트립 유도부(30)에 구비된 로터리 에어팬(33)이 작동하여 슬라이딩 테이블(31)을 상승시키면, 스트립(S)의 선단부가 상부 서포트 롤(4)에 위치하여 스트립의 수평 이동이 이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취성이 강한 스트립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립이 파단되는 경우, 파단된 스트립을 신속하게 복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취성이 강한 스트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디프렉트 롤과 가이드 롤 주변에 설치되어 이동중 파단된 스트립을 끌어올려 원위치로 복구시키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로서,
    상기 디프렉트 롤 상단에 위치하며, 벨트를 감아 고정하는 벨트 회전축과, 상기 벨트 회전축 일단에 설치되는 제1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디프렉트 롤과 상기 가이드 롤 사이로 상기 벨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벨트 권취부와;
    상기 벨트의 끝단에서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립의 상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상부 그립 롤과, 단부에 고정된 곡선 가이드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상부 그립 롤과의 간격이 가변되며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립의 하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편심 그립 롤을 구비하여 스트립의 선단부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스트립 체결부; 및
    상기 벨트 회전축과 상기 디프렉트 롤 사이에서 상기 곡선 가이드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터치 롤을 구비하며, 상기 곡선 가이드가 상기 터치 롤에 밀착시 회전하여 상기 상부 그립 롤과 상기 편심 그립 롤 사이에 고정된 스트립을 자동으로 분리시키는 스트립 해체부
    를 포함하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회전축과 상기 디프렉트 롤 사이에 스트립 유도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유도부는 상기 벨트 회전축 하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테이블과,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하단에 설치된 제1 실린더에 의해 전, 후진 이동하여 상기 벨트와 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과, 상기 가이드 롤의 전, 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해체부는 상기 슬라이딩 테이블 하단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연동하는 복수의 이동 막대와, 각 이동 막대의 끝단과 회전축을 연결하는 제1 레버와, 일단이 회전축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회전축 상단에 설치된 지지축에 고정되는 제2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롤이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렉트 롤 상단에 스트립 밀착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 밀착부는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핀치 롤과, 상기 핀치 롤의 중심축에 설치되어 상기 핀치 롤을 상기 디프렉트 롤 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제2 실린더와, 상기 핀치 롤의 중심축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핀치 롤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KR1020020070284A 2002-11-13 2002-11-13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KR10091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284A KR100918637B1 (ko) 2002-11-13 2002-11-13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284A KR100918637B1 (ko) 2002-11-13 2002-11-13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127A KR20040042127A (ko) 2004-05-20
KR100918637B1 true KR100918637B1 (ko) 2009-09-25

Family

ID=3733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284A KR100918637B1 (ko) 2002-11-13 2002-11-13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29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 강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 강판 연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533A (ja) * 1991-11-29 1993-06-22 Kawasaki Steel Corp ブライドルロールの通板方法
JPH05277538A (ja) * 1991-05-10 1993-10-26 Kawasaki Steel Corp 薄鋼板の通板搬送装置
KR970004148U (ko) * 1995-07-31 1997-02-19 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00014703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텐션롤의 스트립 통판 장치
KR20010061709A (ko) * 1999-12-29 2001-07-07 이구택 박판 통판장치
KR20020025595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538A (ja) * 1991-05-10 1993-10-26 Kawasaki Steel Corp 薄鋼板の通板搬送装置
JPH05154533A (ja) * 1991-11-29 1993-06-22 Kawasaki Steel Corp ブライドルロールの通板方法
KR970004148U (ko) * 1995-07-31 1997-02-19 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00014703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텐션롤의 스트립 통판 장치
KR200295254Y1 (ko) * 1998-12-30 2003-04-18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롤의 스트립 통판 장치_
KR20010061709A (ko) * 1999-12-29 2001-07-07 이구택 박판 통판장치
KR20020025595A (ko) * 2000-09-29 2002-04-04 이구택 박판 코일의 인출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29A (ko)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포스코 절단 강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단 강판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127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54749U (zh) 一种断料自动裁切装置
EP09623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end packaging from web rolls
KR100918637B1 (ko)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KR101431017B1 (ko) 온라인에서의 스트립 꺽임부 복구 장치
US4285475A (en) Mechanical feed-up of web material on a recoiler
EP1518615B1 (de) Vorrichtung zum Einführen von Bandmaterial und Besäumen der Bandkanten für Bandbearbeitungsmaschinen, insbesondere Feinband- und Folienwalzwerke
JPH1099917A (ja) プレス加工装置
EP0149358A2 (en) Feeding apparatus for coiled strip material
KR100829961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KR100227091B1 (ko) 이동식 자동 스틸밴드 절단장치
KR100408694B1 (ko)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KR100829807B1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CN220028302U (zh) 一种可调式压卷成型机
KR200159516Y1 (ko) 스트랩 중앙제어 기구를 갖는 스크랩 권취장치
CN110103287B (zh) 撕边机
CN219971450U (zh) 一种集束绝缘电缆用收线机构
KR200204802Y1 (ko) 조질압연기의 스트립 평탄도 교정장치
CN110980368B (zh) 一种可在钢片裁剪时对钢片限位的重卷机
KR20020083853A (ko) 가변식 스트립 선단부 절곡장치
SU1159675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гибки и задачи переднего конца полосы
EP1166911A2 (en) Machine for bending tubes and the like
KR19980042442U (ko) 강판 후진 장치의 구조
SU13280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гибки и задачи переднего конца рулонной полосы с разматывател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агрегат
JPH07156099A (ja) 紙管切断機
JP2564636Y2 (ja) ストリップ通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