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765B1 - 코일리프터 - Google Patents

코일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765B1
KR101657765B1 KR1020140083293A KR20140083293A KR101657765B1 KR 101657765 B1 KR101657765 B1 KR 101657765B1 KR 1020140083293 A KR1020140083293 A KR 1020140083293A KR 20140083293 A KR20140083293 A KR 20140083293A KR 101657765 B1 KR101657765 B1 KR 101657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ope
wire
engaging means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200A (ko
Inventor
박기옥
박태진
장용태
진순규
최용림
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박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8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7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에 연결되며, 코일이 각각 걸리는 제1 걸림수단과 제2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두 개의 코일에 대해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송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제1 걸림수단과 상기 제1 걸림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걸림수단의 사잇각을 가변시키는 거리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수단은, 하나의 코일에 걸리는 제1 로프; 상기 제1 로프와 탈착되고,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크레인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에 장착고정된 제1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수단은, 다른 하나의 코일에 걸리는 제2 로프; 상기 제2 로프와 탈착되고, 상기 제2 로프와 상기 크레인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에 장착고정된 제2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제2 지지프레임은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양단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로프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양단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프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제1 걸림수단과 제2 걸림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거리가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동시 리프팅 및 이송과정에서 두 개의 코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리프터{Coil lifter}
본 발명은 코일리프터로서,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동시 리프팅 및 이송과정에서 두 개의 코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이 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적치대에 적치된 다음, 해송 출하 시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출하한다. 즉, 선박이 계류하는 접안시설인 선석에 코일을 적치한 후 여러 대의 크레인을 투입해 선박에 선적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코일 선적작업은, 크레인의 후크에 걸린 슬링벨트로 코일을 감은 다음,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코일을 들어올려 선박에 실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a)는 소직경 코일이 적치대에 적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대직경 코일이 적치대에 적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일은 적치대(3)에 적치 시 적치대(3)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3a) 사이에 걸림배치된다. 즉, 상기 적치대(3)에는 안착배치되는 코일의 폭방향과 대응되게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적치된 코일의 굴림이동을 차단하도록 일정 높이로 상방돌출된 돌출부(3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3a) 두 개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한 부분에 코일이 안착되어 위치고정된다.
이와 같이 적치대(3)에 적치되는 코일은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의 직경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 코일(1)은 적치대(3)에서 하나의 돌출부(3a) 양측으로 근접된 두 개의 다른 돌출부(3a) 사이 모두에 안착된다.
그런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 코일(2)은 적치대(3)에서 하나의 돌출부(3a) 양측으로 근접된 두 개의 다른 돌출부(3a)와의 사이에서 하나의 돌출부(3a)와의 사이에만 안착된다. 즉, 적치대(3)에 안착되는 코일들이 복수 개의 돌출부(3a) 사이의 모든 오목한 칸에 배치되지 않고, 한 칸씩 건너뛰어 배치되는 배치형태를 보인다. 이는 대직경 코일(2)의 큰 직경으로 인하여 인접된 옆 칸의 오목한 부분에는 대직경 코일(2)이 안착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적치대(3)에 오목한 부분의 두 칸 간격으로 안착된 두 개의 대직경 코일(2) 사이에는 다른 하나의 대직경 코일(2)이 안착되기에는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적치대(3)에 대직경 코일(2)을 적치 시에는 오목한 칸을 한 칸씩 건너뛰어 안착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해 도 1(b)의 대직경 코일이 이송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b)의 대직경 코일(2)을 두 개씩 크레인으로 이송하기 위해, 크레인의 후크(8)에 걸린 두 개의 슬링벨트(9)로 코일을 감싸서 고정한 후, 리프팅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두 개의 대직경 코일(2)을 리프팅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코일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의 소직경 코일(1)을 두 개씩 크레인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리프팅 시 두 개의 소직경 코일(1) 모두에 슬링벨트(9)를 감아서 동시에 리프팅할 수 있지만, 대직경 코일(2)인 경우 코일을 하나씩 슬링벨트(9)로 감아서 리프팅하게 된다. 즉, 적치대(3)에 안착된 코일이 대직경 코일(2)인 경우 코일 간의 간격이 멀기 때문에, 하나의 코일만을 슬링벨트(9)로 감아서 리프팅한 후 크레인의 후크(8)가 이동하여 다른 하나의 코일을 나머지 하나의 슬링벨트(9)로 감아서 리프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먼저 슬링벨트(9)에 의해 감겨 리프팅되는 코일은 다른 하나의 코일을 이송하기 위해 크레인의 후크(8)가 이동한 후 하강한 경우, 다른 하나의 코일 옆의 위치한 오목한 칸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돌출부(3a)에 대한 충돌 및 코일끼리 충돌이 발생함으로써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고중량의 코일에 감겨진 슬링벨트(9)는 크레인의 후크(8)에 대해 하방수직선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중량의 코일이 하방수직선 상을 벗어나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코일의 상부 모서리를 강한 힘으로 마찰시켜서 손상시키게 된다. 즉, 크레인의 후크(8)에 걸린 슬링벨트(9)에 두 개의 코일이 감겨서 올려진 경우, 크레인의 후크(8)로부터 하방연장되는 슬링벨트(9)의 배치각도는 하방수직선 상을 벗어나 양측으로 경사지게 되는데,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이 아닌 하나를 감아서 리프팅 및 이동한 후 다른 하나를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슬링벨트(9)가 고중량의 코일에 대응되는 엄청난 압박 마찰력으로 코일의 상부 모서리를 마찰시켜 손상시키게 된다. 물론, 소직경 코일(1)인 경우에도 코일 간의 간격으로 인하여 슬링벨트(9)에 의한 코일의 상부 모서리의 마찰손상이 일정 정도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로 인하여 제품으로서의 코일의 품질은 손상하게 되며 나아가 코일이 제품화되지 않고 폐기처분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하는 과정이, 해송 출하를 위한 선적작업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한계점을 발생하게 한다. 즉, 선적작업 시간적인 측면에 있어서 낭비가 발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형 크레인을 몇 대 더 가동하는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낭비 및 손실은 선적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엄청난 고비용의 경제적 지출을 초래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을 크레인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슬링벨트(9)만 사용하게 되는 경우,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동시 리프팅 및 이송과정에서 두 개의 코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리프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에 연결되며, 코일이 각각 걸리는 제1 걸림수단과 제2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두 개의 코일에 대해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송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제1 걸림수단과 상기 제1 걸림수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 걸림수단의 사잇각을 가변시키는 거리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수단은, 하나의 코일에 걸리는 제1 로프; 상기 제1 로프와 탈착되고,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크레인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에 장착고정된 제1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수단은, 다른 하나의 코일에 걸리는 제2 로프; 상기 제2 로프와 탈착되고, 상기 제2 로프와 상기 크레인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에 장착고정된 제2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제2 지지프레임은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양단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로프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양단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프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를 제공한다.
삭제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상기 제1 걸림수단과 제2 걸림수단의 힌지결합 부위인 힌지축에 일단부가 장착된 실린더부재; 상기 실린더부재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신축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제1 걸림수단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링크; 및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제2 걸림수단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실린더몸체; 및 피스톤과 피스톤로드를 가진 피스톤부;를 구비하되, 상기 실린더몸체는 내부가 상기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피스톤로드가 배치된 로드실과, 상기 로드실 맞은편의 헤드실로 나누어지며,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상기 실린더몸체의 로드실과 헤드실을 연결하며, 상기 로드실 및 헤드실과 함께 내부에 작동유가 충진되고, 개폐밸브가 장착된 유압관; 및 상기 힌지축과 승강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 시 상기 실린더부재가 작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상기 실린더부재와 연결된 유압펌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부재가 상기 유압펌프의 가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힌지축과 승강부재를 연결하면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굴곡부위에 대한 곡형지지 및 신축에 따른 롤링지지를 하도록,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제2 지지프레임 각각에 가이드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로프와 제1 와이어, 상기 제2 로프와 제2 와이어는 각각 서로에 대해 샤클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리프터는, 본체의 제1 걸림수단과 제2 걸림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거리가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동시 리프팅 및 이송과정에서 두 개의 코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는 소직경 코일이 적치대에 적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대직경 코일이 적치대에 적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해 도 1(b)의 대직경 코일이 이송하는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코일리프터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코일리프터의 실린더부재가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코일리프터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코일리프터는, 두 개의 코일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시키며, 아울러 이와 같은 동시 리프팅 및 이송과정에서 두 개의 코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제1 걸림수단과 제2 걸림수단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거리가변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코일리프터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의 코일리프터의 실린더부재가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레인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거리가변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힌지결합된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을 구비하며, 이러한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에는 코일(10)이 각각 걸리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수단(110)은 하나의 코일(10)에 걸리는 제1 로프(111)와, 크레인의 후크(8)와 제1 로프(11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걸림수단(120)은 다른 하나의 코일(10)에 걸리는 제2 로프(121)와, 크레인과 제2 로프(121)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서로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로프(111)와 제2 로프(121)는 슬링벨트가 활용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로프(111)와 탈착되는 제1 와이어(112), 상기 제1 와이어(112)가 장착고정된 제1 지지프레임(113)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 로프(121)와 탈착되는 제2 와이어(122), 상기 제2 와이어(122)가 장착고정된 제2 지지프레임(12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은 서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은 일례로서 상부에 힌지축(130)이 통과되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130)에 조립됨으로써 힌지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112), 제2 와이어(122)는 고정블록(140)에 의해 제1 지지프레임(113), 제2 지지프레임(123)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프레임(113),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의 상부에서 역U자 형상으로 굴곡배치되어 크레인의 후크(8)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은 판 형상의 부재로서 내구성 보강을 위해 리브(113a)(123a)가 장착될 수 있고, 높은 위치에서의 바람과 같은 공기의 유동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공기가 통과되는 통과홀(113b)(12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에는, 제1 와이어(112)와 제2 와이어(122)의 굴곡부위에 대한 곡형지지 및 신축에 따른 롤링지지를 위해 가이드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롤러는 상부롤러(151), 하부롤러(152) 및 하단롤러(15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와이어(112)와 제2 와이어(122) 각각은 양단부가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고 중앙부가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구조상 중앙부가 굴곡됨으로써 이러한 굴곡된 부분에 상방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롤러(15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111), 제2 로프(121) 각각이 감싸는 코일(10)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상기 제1 와이어(112)와 제2 와이어(122)는 코일(10)의 고중량에 의해 일정 정도 신장되고, 코일(10)이 제1 로프(111), 제2 로프(121) 각각으로부터 풀려서 내려지는 경우 수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신축되는 제1 와이어(112) 및 제2 와이어(122)를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롤러(151), 하부롤러(152), 하단롤러(153)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롤러(152)는 한 쌍이 구성되어, 제1 와이어(112)와 제2 와이어(122)가 제1 지지프레임(113),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에서의 설치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가이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단롤러(153)는 제1 와이어(112)와 제2 와이어(122)가 하측으로 방향전환 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굽힘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 로프(111)와 제1 와이어(112), 상기 제2 로프(121)와 제2 와이어(122)는 각각 서로에 대해 샤클(160)로 연결될 수 있는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와이어(112) 및 제2 와이어(122)에 대해 제1 로프(111) 및 제2 로프(121)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샤클(160)과 동일한 잠금기능을 가진 별도의 잠금부재가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에서,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되는 거리가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두 개의 코일(10)에 대해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해, 본체의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되는데, 이때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은 힌지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의 사잇각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의 힌지결합 부위인 힌지축(130)에 일단부가 장착된 실린더부재(210), 상기 실린더부재(21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실린더부재(210)의 신축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220), 상기 승강부재(220)를 제1 걸림수단(110)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링크(231), 및 상기 승강부재(220)를 제2 걸림수단(120)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링크(2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부재(210)는 일 실시예로서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동작동을 위한 거리가변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상기 실린더부재(210)는 실린더몸체(211), 및 피스톤(212a)과 피스톤로드(212b)를 가진 피스톤부(212)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몸체(211)는 내부가 피스톤(212a)을 사이에 두고 피스톤로드(212b)가 배치된 로드실(211b)과, 상기 로드실(211b) 맞은편의 헤드실(211a)로 나누어진다.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실린더몸체(211)의 로드실(211b)과 헤드실(211a)을 연결하는 유압관(260), 및 상기 힌지축(130)과 승강부재(22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관(260)은 로드실(211b) 및 헤드실(211a)과 함께 내부에 작동유가 충진되고, 개폐밸브(261)가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개폐밸브(261)는 유압관(260) 내부의 작동유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압관(260)을 개방하고, 상기 작동유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유압관(260)을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개폐밸브(261)는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일례로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자밸브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제어판 또는 리모콘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거리가변수단의 유압관(260) 및 탄성부재(270)에 의해 실린더부재(210)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치대에 적치된 두 개의 코일(10)의 간격과 대응되게 제1 로프(111)와 제2 로프(121)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유압관(260)이 개폐밸브(261)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의 적정 사잇각을 만든 다음, 개폐밸브(261)로 유압관(260)을 폐쇄함으로써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의 사잇각이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1 로프(111)와 제2 로프(121)로 두 개의 코일(10)을 감아서 각각 제1 와이어(112), 제2 와이어(122)에 연결한 다음, 크레인에 의해 두 개의 코일(10)을 리프팅하여 이송한 후 선박에 내려놓는 과정에서 선박의 적치장소에서 두 개의 코일(10)에 대한 적치위치 간격이 좁은 경우, 개폐밸브(261)로 유압관(260)을 일정 정도 개방시켜서 두 개의 코일(1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유압관(260)이 개폐밸브(261)에 의해 일정 정도 개방되면 내부의 작동유는 일정 속도로 유동가능하여,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의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고중량 코일(10)의 자중에 의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잇각이 작아지게 됨에 따라, 두 개의 코일(10)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물론, 두 개의 코일(10) 사이의 간격을 적정 간격으로 줄인 다음에는 유압관(260)을 개폐밸브(261)에 의해 다시 폐쇄시켜서, 줄여진 두 개의 코일(1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코일(10)을 선박에 적치한 후 개폐밸브(261)로 유압관(260)을 개방하여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의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는 상태로 하게 되면, 탄성부재(2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220)를 상측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의 사잇각이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재(210)는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자동작동을 위한 거리가변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리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코일리프터가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실린더부재(210)와 연결된 유압펌프(29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압펌프(290)는 전력에 의해 가동됨으로써 실린더부재(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펌프(290)는 실린더부재(210)와 작동유 유동라인(291)이 연결되는데 일례로서 승강부재(220)의 하부에 설치고정된 받침대(280)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압펌프(290)는 크레인 측으로부터 전력선(미도시)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수동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유압펌프(290)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부재(210)는, 고중량 코일(10)의 리프팅을 위해 힌지축(130)과 승강부재(220)를 연결하면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 3 내지 도 6과 동일한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본체의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거리가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두 개의 코일(10)을 동시에 리프팅 및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동시 리프팅 및 이송과정에서 두 개의 코일(10)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제1 걸림수단 111 : 제1 로프
112 : 제1 와이어 113 : 제1 지지프레임
113a : 리브 113b : 통과홀
120 : 제2 걸림수단 121 : 제2 로프
122 : 제2 와이어 123 : 제2 지지프레임
123a : 리브 123b : 통과홀
130 : 힌지축 140 : 고정블록
151 : 상부롤러 152 : 하부롤러
153 : 하단롤러 160 : 샤클
210 : 실린더부재 211 : 실린더몸체
211a : 헤드실 211b : 로드실
212 : 피스톤부 212a : 피스톤
212b : 피스톤로드 220 : 승강부재
231 : 제1 연결링크 232 : 제2 연결링크
260 : 유압관 261 : 개폐밸브
270 : 탄성부재 280 : 받침대
290 : 유압펌프 291 : 작동유 유동라인

Claims (10)

  1. 크레인에 연결되며, 코일(10)이 각각 걸리는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두 개의 코일(10)에 대해 손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송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제1 걸림수단(110)과 상기 제1 걸림수단(110)에 힌지결합되는 제2 걸림수단(120)의 사잇각을 가변시키는 거리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수단(110)은,
    하나의 코일(10)에 걸리는 제1 로프(111);
    상기 제1 로프(111)와 탈착되고, 상기 제1 로프(111)와 상기 크레인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112);
    상기 제1 와이어(112)에 장착고정된 제1 지지프레임(113);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수단(120)은,
    다른 하나의 코일(10)에 걸리는 제2 로프(121);
    상기 제2 로프(121)와 탈착되고, 상기 제2 로프(121)와 상기 크레인을 연결하는 제1 와이어(122);
    상기 제2 와이어(122)에 장착고정된 제2 지지프레임(123);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은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와이어(112)는,
    양단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로프(111)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122)는,
    양단부가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3)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로프(121)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123)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상기 제1 걸림수단(110)과 제2 걸림수단(120)의 힌지결합 부위인 힌지축(130)에 일단부가 장착된 실린더부재(210);
    상기 실린더부재(21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부재(210)의 신축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220);
    상기 승강부재(220)를 상기 제1 걸림수단(110)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링크(231); 및
    상기 승강부재(220)를 상기 제2 걸림수단(120)과 연결시키는 제2 연결링크(23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210)는, 실린더몸체(211); 및 피스톤(212a)과 피스톤로드(212b)를 가진 피스톤부(212);를 구비하되, 상기 실린더몸체(211)는 내부가 상기 피스톤(212a)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피스톤로드(212b)가 배치된 로드실(211b)과, 상기 로드실(211b) 맞은편의 헤드실(211a)로 나누어지며,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상기 실린더몸체(211)의 로드실(211b)과 헤드실(211a)을 연결하며, 상기 로드실(211b) 및 헤드실(211a)과 함께 내부에 작동유가 충진되고, 개폐밸브(261)가 장착된 유압관(260); 및
    상기 힌지축(130)과 승강부재(22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70);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개폐밸브(261)의 개방 시 상기 실린더부재(210)가 작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변수단은,
    상기 실린더부재(210)와 연결된 유압펌프(29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유압펌프(290)의 가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재(21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210)는 상기 힌지축(130)과 승강부재(220)를 연결하면서 복수 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112)와 제2 와이어(122)의 굴곡부위에 대한 곡형지지 및 신축에 따른 롤링지지를 하도록, 상기 제1 지지프레임(113)과 제2 지지프레임(123) 각각에 가이드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111)와 제1 와이어(112), 상기 제2 로프(121)와 제2 와이어(122)는 각각 서로에 대해 샤클(16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리프터.
KR1020140083293A 2014-07-03 2014-07-03 코일리프터 KR10165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93A KR101657765B1 (ko) 2014-07-03 2014-07-03 코일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93A KR101657765B1 (ko) 2014-07-03 2014-07-03 코일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0A KR20160005200A (ko) 2016-01-14
KR101657765B1 true KR101657765B1 (ko) 2016-09-20

Family

ID=5517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93A KR101657765B1 (ko) 2014-07-03 2014-07-03 코일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25U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엘케이 코일리프터
KR20230086335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31B1 (ko) * 2006-05-03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가 내장된 코일 리프터
KR100890809B1 (ko) * 2002-12-09 2009-03-3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과 코일포장재 운반이 용이한 코일 리프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02B1 (ko) * 2003-08-04 2005-09-14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작업용 리프팅 장치
KR101053346B1 (ko) * 2003-11-12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손상을 방지하는 코일 리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809B1 (ko) * 2002-12-09 2009-03-3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과 코일포장재 운반이 용이한 코일 리프터 장치
KR100711431B1 (ko) * 2006-05-03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가 내장된 코일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0A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3337C (en) Scissor-type lifting table
JP6903768B2 (ja) 貨物積載システム
KR101657765B1 (ko) 코일리프터
JP2014181098A (ja) 玉掛け外し装置及び自動スリング式吊具
KR101960731B1 (ko) 컨테이너 내부 화물 푸쉬아웃장치
EP2277818A1 (en) Device for handling bundles of profiles such as beams, I-beams, pipes and the like
KR20180074859A (ko) 향상된 제진성능을 가지는 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US6502879B1 (en) Spreader for container crane
CN112357828A (zh) 一种转运车的液压起挑结构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20180038125A (ko) 코일리프터
KR200402250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CN205419527U (zh) 内涨式自动钢筋盘条吊具
KR101085546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JPH11171464A (ja) コンテナ段積み用スプレッダー
US20160167931A1 (en) Automate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metal goods-transportation boxes for stowage on ships
CN111332407A (zh) 一种锚链提升器及其使用方法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142182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풀리 교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514802B1 (ko) 하역작업용 리프팅 장치
JP2006327735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KR100498102B1 (ko) 회전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후크장치
KR100742922B1 (ko) 중력과 압축력을 이용한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JP6669356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20180001325U (ko) 코일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