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141Y1 - 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141Y1
KR200177141Y1 KR2019990020648U KR19990020648U KR200177141Y1 KR 200177141 Y1 KR200177141 Y1 KR 200177141Y1 KR 2019990020648 U KR2019990020648 U KR 2019990020648U KR 19990020648 U KR19990020648 U KR 19990020648U KR 200177141 Y1 KR200177141 Y1 KR 200177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ifting arm
lifter
lu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원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0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과 이를 이동시키는 리프터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시키어 표면손상 및 설비파손을 방지토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리프팅 아암(20)의 중앙부분에 회동 가능하고 전,후위치를 조정가능토록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40) 및,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하부 및 아암(20)의 하측 러그(30)부분에 회동토록 설치된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을 구비하는 가이드부(70) 및,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의 전,후 이동시 작동토록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0)와 연결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82) 및 상기 러그(30)상에 돌출되는 누름편(86a)으로서 코일(C)의 내주면 접촉시 작동토록 리프팅 아암(3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84)를 구비하는 스위치부(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코일의 이동을 위한 리프터의 코일 고정작업시, 상기 코일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 1,2 및 제 3 가이드롤들에 의하여 코일 및 리프터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며, 특히 코일들 사이에 리프터의 아암부분이 끼이는 것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리프터{Coil lefter}
본 고안은 철판이 권취된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 리프터(coil lif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코일 리프터의 코일 리프팅작동시 코일과 리프팅 아암과의 접촉으로 인한 코일 및 리프터 아암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시키며, 특히 코일 사이에 리프팅아암부분이 끼이는 것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압연을 거치 철판을 코일로 권취하여 코일 제품을 출하하는데, 상기 코일의 중량이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크레인에 연결된 코일 리프터를 이용하여 코일을 이동시키며, 이는 상기 코일 리프터의 리프팅 아암부분이 코일의 내주면부분에 걸리어 리프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코일 리프터를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트(100)의 리프팅아암(130) 상측으로 내설된 구동모터(110)와 연설되는 스크류바아(122)가 그립블록(120)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10)의 작동시 승,하강하여 상기 그립블록(120)이 일체로 승,하강시키며, 상기 그립블록(120)의 하측으로 힌지 고정된 작동바아(124)에는 연결바아(122)로서 리프팅 아암(130)이 연설되며, 상기 리프팅 아암(130)의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코일(C)의 내주면(C')에 밀착하는 러그(140)가 수평하게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된 종래의 코일 리프터(100)에 있어서는, 구동모터 (110)가 작동하면 일체로 구동하는 스크류바아(122)에 의하여 그립블록(120)이 상승하면, 상기 그립블록(120)의 작동바아(124)에 의하여 연결바아(122)가 오무려 지면서, 상기 연결바아(122)의 하측으로 힌지 연결된 리프팅아암(130)의 러그(140) 부분이 코일(C)의 내주면(C')에 걸리면서 상기 리프터(100)의 상측으로 연결된 크레인(미도시) 작동으로 상기 코일제품(C)이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코일 리프터(100)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 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여러 코일(C1)(C2)(C3)... 제품들이 적재된 상태에서 대기중일때, 상기 코일 리프터(100)의 리프팅 아암(130)이 코일제품 사이공간으로 하강하면서 리프팅 하고자 하는 코일(C1)의 내주면에 안착 리프팅작업해야 하는데, 상기 리프팅 아암(130)의 이동시 리프팅 아암(130) 부분과 하측의 러그(140) 부분이 다른 코일(C2)(C3) 및, 리프팅되는 코일(C1)의 측면부분들(S1)(S2)(S3) (S4)(S5)에 충돌하면서 상기 코일 또는 리프팅 아암(130)과 러그(140) 부분의 손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 제품의 이동을 위한 코일 리프터의 리프팅 작동시, 리프팅 아암과 러그부분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롤들로 인하여, 리프팅아암과 러그 및 코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특히 코일들 사이에 리프터의 아암부분이 끼이는 것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코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일 리프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코일 리프터에 의한 코일 리프팅시 코일과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의 (a) 및 (b)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아암부분을 도시한 요부 측면 및 정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인 코일 리프터의 코일 리프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 리프터
20.... 리프팅 아암 30.... 러그
40,50,60.... 제 1,2 및 제 3 가이드롤
70.... 가이드부 80.... 스위치부
82,84.... 제 1 및 제 2 리미트스위치
86a.... 누름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구동모터로서 회동하는 스크류바아에 승,하강토록 연설되는 그립블록의 하측으로 하부에 러그가 형성된 리프팅아암이 개,폐토록 설치되어 코일(C)을 리프팅하는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암의 중앙부분에 회동 가능하고 전,후위치를 조정가능토록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 및, 상기 리프팅 아암의 하부 및 상기 러그의 전후측에 회동토록 설치된 제 2 및 제 3 가이드롤을 구비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롤의 전,후이동으로 작동토록 상기 리프팅 아암의 내측 상부 양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러그 상측으로 돌출되는 누름편의 코일(C)의 접촉시 작동되고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팅 아암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로서 구성되는 코일 리프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 및 (b)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아암부분을 도시한 요부측면 및 정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코일 리프터의 코일 리프팅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본 고안인 코일 리프터(1)는 가이드부(70) 및, 스위치부(80)로서 구성된다.
한편, 종래기술부분과 동일한 구성, 즉 리프터 구동모터(110)와 스크류바아 (112), 그립블록(120) 및, 상기 그립블록(120)의 작동바아(124)와 연결바아(122)는 동일부호로서 나타낸다.
또한, 코일 리프터(1)의 리프팅아암(20) 및 그 하측 러그(30)상에 설치되어 코일 (C)과 리프팅아암(20) 및 러그(3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상기 가이드부(70)는,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중앙부분에 회동 가능하고 전,후위치를 조정가능토록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40) 및,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하부 및 상기 러그(30)의 전,후측에 회동토록 설치되는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을 구비토록 한다.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은, 상기 리프팅아암(20)의 내부 상측에 횡설된 고정핀(22a)의 하측으로 결합된 고정판(22)의 중앙에 수평 고정되고, 상기 리프팅아암 (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장홈(20a)을 통하는 회전축(24)의 양단부에 고정와셔 (26)로서 회동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22)의 하부에는 상기 리프팅아암(20)을 통하고 양단부에 조정볼트(28a)가 결합되는 작동바아(28)가 연설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가이드롤 (50)(60)은 상기 아암 러그(40)의 하부 양측으로 횡설된 회전축 (52)(62)에 고정와셔(54)(64)로서 회동토록 설치된다.
상기 리프터(1)의 구동모터(110)와 상기 리프터(1)를 승,하강시키는 크레인과 연결되어 리프터(1)의 이동을 제어토록 하는 상기 스위치부(80)는,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의 전,후이동으로 작동토록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내측 상부 양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10)와 연결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82) 및, 상기 러그(30) 상측으로 돌출되는 누름편(86a)의 코일(C)의 접촉시 작동되고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팅 아암(3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8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 리미트 스위치(82)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이 연설된 고정판(22)에 돌설된 작동봉(82a)이 접촉토록 위치되며, 상기 누름편(86a)의 하측에는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내부에 힌지 고정된 힌지편(86)의 단부가 접촉토록 위치되며, 상기 힌지편(86)의 상단부에는 상기 아암(2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스프링(88a)이 탄설되는 고정바아(88)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편(86)의 작동시 상기 제 2 리미트 스위치(84)가 작동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된 코일제품(C1)(C2)(C3)의 이동을 위하여 크레인(미도시)에 와이어로서 연결되는 코일 리프터(1)에 여러개의 가이드롤들을 설치하여 리프팅 아암(20)과 하측의 러그(30)부분이 코일과 충돌하여도 코일(C)의 표면 손상 및 리프터(1)의 파손을 방지시킨 코일 파손방지용 코일 리프터(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리프터(1)는 크레인(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동되는데, 상기 리프터(1)의 그립블록(120)의 내측으로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10)가 회동하면, 상기 구동모터(110)와 연설된 스크류바아(112)가 일체로 회동하고, 결국 상기 스크류바아(112)에 연설된 그립블록(120)이 상기 스크류바아 (112)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이때 상기 그립블록(120)의 하측으로 연설된 연결바아(122)는 작동바아(124)를 축으로 오무려 지거나, 또는 반대로 벌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아(122)의 하측으로 힌지 연결된 리프팅아암(20)이 오무려지거나 또는 벌려지는 동시에, 크레인의 작동으로 승,하강하는 것이다.
한편, 도 3a 및 도 3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아암(20)의 상측으로 좌,우측을 관통토록 횡설된 고정핀(22a)의 하측으로 결합된 고정판(22)의 하부에는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중앙부분 좌,우측에 형성된 장홈(20a)을 통하는 회전축(24)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4)의 양단부에는 제 1 가이드롤(40)이 고정와셔(26)로서 각각 회동 가능토록 설치된다.
따라서, 다음에 도 4 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상기 제 1 가이드롤 (40)은 리프팅아암(20)의 양측면에서 그 선단 및 후단부분이 돌출토록 설치됨으로써, 결국 상기 리프팅바아(20)의 전,후방부분을 가이드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롤 (40)은 리프팅바아(20)와 코일(C1)(C2)(c3)들간의 직접 접촉을 방지시킨다.
더하여,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이 설치된 고정판(22)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프팅아암(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정볼트(28a)와결합되는 작동바아(28)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정볼트(28a)를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바아(28)가 전,후이동하여 결국 상기 고정판(22)이 전,후 이동되면, 상기 고정판(22)의 제 1 가이드롤(40)이 회동토록 설치된 회전축(24)이 장홈(20a)의 내측에서 일정간격 이동하며, 아는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할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22)의 상부 양측면에 돌설된 작동봉(82a)의 양측으로 상기 리프팅아암(20)의 내측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82)가 설치되고, 결국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이 코일(C)의 측면부분에 충돌하면 그 충격으로 상기 제 1 리미트 스위치(82)가 작동되고, 상기 제 1 리미트 스위치(82)와 연결된 상기 리프터(1)의 구동모터(110) 작동이 일시적으로 중지되어 리프팅아암(20)의 개,폐작동 즉, 벌려지거나 오무려 지는 작동이 중지되며, 동시에 리프팅아암(20)이 코일들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도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바아(20)의 하부 후방 및 그 전방에 형성된 ㄴ자 형상의 러그(30)에는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이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제 1 가이드롤(40)과 마찬가지로 상기 리프팅 아암(20)을 관통한 회전축(52)(62)에 고정와셔(54)(64)로서 회동가능토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은, 상기 리프팅아암(20)의 하강시 인접한 코일(C)들의 측면부분에 리프팅아암(20) 및 러그(3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시키어 결국, 코일(C)의 표면 손상이나 리프팅바아(20) 및 러그(30)의 파손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프팅아암(20) 및 러그(30)부분이 각 가이드롤(40)(50)(60)로서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오무려지면, 상기 러그(30)부분이 코일(C)의 내주면(C')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승하여 결국 코일(C)이 이동하는데, 상기 코일(C)의 내주면에 러그(30)부분이 접촉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러그(30)상에 돌출되는 누름편(86a)이 눌려진다.
따라서, 도 3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편(86a)이 눌려지면 러그(30) 내측으로 힌지작동하는 힌지편(86)의 상단부가 상승하여 그 상측에 설치된 제 2 리미트 스위치(84)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작동은 중지시키고 크레인(미도시)를 작동시키어 코일(C)의 이동이 시작되게 되며, 결국 구동모터(110)에 연설된 그립블록(120)와 리프팅바아(20)의 개,폐작동이 중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편(86)의 상부는 상기 리프팅바아(20)의 내측으로 설치된 고정바아(88)에 스프링(88a)으로서 탄설됨으로써, 상기 스프링(88a)의 탄성력에 의하여 힌지편(86)은 항상 상기 누름편(86a)을 항상 위방향으로 밀게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인 코일 리프터(1)의 제 1,2 및 제 3 가이드롤(40)(50) (60)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프터(1)에 의한 제 1,2 및 제 3 가이드롤(40)(50)(60)들의 위치를 나탄낸 것이다. 즉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하는 리프팅아암(20)이 코일(C1)(C2)(C3)들 사이에 삽입될 때, 리프팅아암(20)보다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이 먼저 접촉하여 가이드하고(P1)(P2), 다음 계속 하강하여 리프팅아암(20)이 리프팅되는 코일(C1)과 인접 코일(C2)(C3)에 접촉하기 전에 제 1 가이드롤(40)이 먼저 접촉하고(P3)(P5),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롤(40)로서 작동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82)가 작동하여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는, 리프팅 아암(20)의 러그(30)가 코일(C)의 측면부분에 접촉하기전에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이 접촉하여 파손을 방지하고(P6)(P7), 상기 리프팅바아(20)가 코일(C1)의 내주면(C'1) 내주면내에 들어가면, 상기 리프팅바아(20)는 상승하여 상기 리프팅아암(2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제 1 가이드롤(40)이 코일에 먼저 접촉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편(86a)이 눌려지게 되어 리프팅바아(20)의 전체 상승이 수행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롤(40)에 따라 작동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82)와, 상기 러그(30)의 누름편(84)에 따라 작동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84)는 상기 리프터(1)의 구동모터(10)와 연결되고, 동시에 크레인과도 연결되어 리프팅아암(20)의 오무려지거나 벌려지고 승,하강하는 작동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코일 리프터(1)의 리프팅아암(20) 및 러그(30)에 설치된 제 1,2 및 제 3 가이드롤(40)(50)(60)들에 의하여 코일(C)의 리프팅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코일손상 및 설비파손없이 원활하게 수행되며, 특히 리프팅아암(20)이 과다하게 또는 적게 벌려지는 것을 방지시키어 코일 사이에 리프팅아암(20)이 끼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코일 리프터에 의하면, 코일 제품의 이동을 위한 코일 리프터의 리프팅 작동시, 리프팅 아암과 러그부분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롤들로 인하여, 리프팅아암과 러그 및 코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특히 코일들 사이에 리프터의 아암부분이 끼이는 것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하측으로 구동모터(110)로서 회동하는 스크류바아(112)에 승,하강토록 연설되는 그립블록(120)의 하측으로 하부에 러그(30)가 형성된 리프팅아암(20)이 개,폐토록 설치되어 코일(C)을 리프팅되는 코일 리프터(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중앙부분에 회동 가능하고 전,후위치를 조정가능토록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40) 및,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하부 및 상기 러그 (30)의 전후측에 회동토록 설치된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을 구비하는 가이드부(70) 및,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의 전,후이동으로 작동토록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내측 상부 양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10)와 연결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82) 및, 상기 러그(30) 상측으로 돌출되는 누름편(86a)의 코일(C)의 접촉시 작동되고 크레인과 연결되는 리프팅 아암(3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84)를 구비하는 스위치부(8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은, 상기 리프팅아암(20)의 내부 상측에 횡설된 고정핀(22a)의 하측으로 결합된 고정판(22)의 중앙에 수평 고정되고, 상기 리프팅아암(20)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장홈(20a)을 통하는 회전축(24)의양단부에 고정와셔(26)로서 회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22)의 하부에는 상기 리프팅아암(20)을 통하고 양단부에 조정볼트(28a)가 결합되는 작동바아(28)가 연설되며, 상기 제 2 및 제 3 가이드롤(50)(60)은 상기 아암 러그(40)의 하부 양측으로 횡설된 회전축(52)(62)에 고정와셔(54)(64)로서 회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미트 스위치(82)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롤(40)이 연설된 고정판(22)에 돌설된 작동봉(82a)이 접촉토록 위치되며, 상기 누름편(86a)의 하측에는 상기 리프팅 아암(20)의 내부에 힌지 고정된 힌지편(86)의 단부가 접촉토록 위치되며, 상기 힌지편(86)의 상단부에는 상기 아암(2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스프링(88a)이 탄설되는 고정바아(88)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편(86)의 작동시 상기 제 2 리미트 스위치(84)가 작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KR2019990020648U 1999-09-27 1999-09-27 코일 리프터 KR200177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48U KR200177141Y1 (ko) 1999-09-27 1999-09-27 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48U KR200177141Y1 (ko) 1999-09-27 1999-09-27 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141Y1 true KR200177141Y1 (ko) 2000-04-15

Family

ID=1959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648U KR200177141Y1 (ko) 1999-09-27 1999-09-27 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1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16B1 (ko) 2005-11-07 2006-11-02 (주)새텍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16B1 (ko) 2005-11-07 2006-11-02 (주)새텍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2014A (en) Device for operating a sliding door
KR200177141Y1 (ko) 코일 리프터
CA1300950C (en) Gate assembly
EP0352364A2 (en) Fast coupling for roller replacement
KR101023115B1 (ko) 가열로 도어장치
KR100423826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930007427Y1 (ko) 로울러(Roller)가 장착된 천정크레인용 코일걸이팔
JP4527558B2 (ja) 洗浄装置
JPH0447191Y2 (ko)
CN113182378B (zh) 一种型材牵引机的卸料方法及其卸料装置
KR200258121Y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KR19980047514U (ko) 프레스작업용 스크랩 슈트(Scrap Chute)의 덮개 개폐장치
KR930002188Y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JPS6333317Y2 (ko)
KR200226540Y1 (ko) 스페어 타이어 승강장치
KR200281996Y1 (ko) 산업차량용작업기레버의스위치작동장치
JPH08135227A (ja) 片持型二段式駐車装置
JPH11139734A (ja) エレベータの縦開きドアの安全装置
KR200171713Y1 (ko)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JPH0641988Y2 (ja) 電動チェーンブロック
KR970002461Y1 (ko)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승강팔렛트 상하한정위치 정지장치
KR910008146Y1 (ko) 자동차 주차대 승강장치
KR100339083B1 (ko) 복합 링크를 이용한 캐리어
KR940002126Y1 (ko) 캠코더의 폴베이스 압착장치
JPH044301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