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713Y1 -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713Y1
KR200171713Y1 KR2019990017463U KR19990017463U KR200171713Y1 KR 200171713 Y1 KR200171713 Y1 KR 200171713Y1 KR 2019990017463 U KR2019990017463 U KR 2019990017463U KR 19990017463 U KR19990017463 U KR 19990017463U KR 200171713 Y1 KR200171713 Y1 KR 200171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late
coupled
winding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2019990017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되었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직프레임(13)에 설치된 플레이트(16)와, 상기 플레이트(16)와 지지커버(17)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권선홈(22)이 형성된 권선부재(20); 일단에는 다중나사(32)가 형성되어 핸들(40)과 클러치부(50)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16)를 관통하여 설치된 주축(30); 상기 권선부재(20)와 맞물리도록 상기 플레이트(16)를 관통한 상기 주축(30)의 타단에 결합된 구동피니언(60); 상기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16)의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18)를 통과하여 상기 적재부재(12)에 고정된 와이어(70)로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재(12)를 와이어(70)를 감아 승강시킴으로써 승강장치(10)의 소음발생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승강장치(1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정비성 및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화물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RISE AND FALL APPARATUS OF PORTABLE LIFTER}
본 고안은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를 와이어가 감기도록 형성된 권선부재와, 이 권선부재를 구동시키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클러치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승강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고, 작동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리프터는 평지에서 이동이 가능하면서 화물을 일정한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리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1)와 바퀴(1-1)가 설치된 지지프레임(2)과, 상기 지지프레임(2)에 수직으로 설치된 '∩'형의 수직프레임(3)과, 상기 수직프레임(3)에 지지되면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적재부재(4)와, 상기 수직프레임(3)의 중간부에 설치된 승강장치(5)와, 상기 승강장치(5)와 적재부재(4)를 연결하여 상기 승강장치(5)의 작동으로 상기 적재부재(4)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체인(6)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리프터(9)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적재부재(4)에 화물(도시되지 않음)이 적재된 상태에서 이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장치(5)의 핸들(5-1)를 작동시킨다. 상기 승강장치(5)의 핸들(5-1)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5)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연동되면서 상기 체인(6)을 감아 올림으로써 상기 적재부재(4)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5)를 최초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승되었던 적재부재(4)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9)는 상기 승강장치(5)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체인블록(7)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핸들(5-1)을 이용하여 체인블록(7)을 작동시켰을 때, 상기 체인(6)이 각종 기어에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체인블록(7)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정비성 및 조립성 그리고 제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성과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승강장치의 작동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임의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재가 수직프레임에 지지되면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고,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캐스터와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된 지지커버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이의 중간부에 축방향과 직각되는 권선홈이 형성된 권선부재; 일단에는 다중나사가 형성되어 핸들과 클러치부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주축; 상기 권선부재와 맞물리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기 주축의 타단에 결합된 구동피니언; 상기 구동피니언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권선부재의 권선홈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를 통과하여 상기 적재부재에 고정된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주축에 고정 결합되는 클러치 플랜지; 상기 클러치 플랜지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 1클러치 라이너; 상기 제 1클러치 라이너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래칫휠,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축설되어 상기 래칫휠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을 구비한 래칫부; 상기 래칫휠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 2클러치 라이너; 상기 주축의 다중나사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내경에 걸림턱이 형성된 클러치 커버; 상기 클러치 커버의 타측 내경으로 돌출된 상기 주축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어 상기 클러치 커버의 이동거리를 단속하는 리미트 플레이트; 및 상기 클러치 커버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클러치 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리프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프레임 12 : 적재부재
13 : 수직프레임 14 : 캐스터
15 : 바퀴 16 : 플레이트
17 : 지지커버 18 : 안내로울러
20 : 권선부재 22 : 권선홈
30 : 주축 32 : 다중나사
40 : 핸들 50 : 클러치부
51 : 클러치 플랜지 52A,52B : 제 1,2클러치 라이너
53 : 래칫부 53A : 래칫휠
53B : 래칫 54 : 클러치 커버
54A : 걸림턱 55 : 리미트 플레이트
56 : 클러치 컵 60 : 구동피니언
70 : 와이어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 '10'은 승강장치이고, '13-1'은 수평바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는 수직프레임(12)에 설치된 플레이트(16)와 지지커버(17) 사이에 설치된 권선부재(20)와, 상기 권선부재(20)와 맞물리도록 주축(3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6)와 지지커버(17)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피니언(60)과, 상기 구동피니언(60)을 회동시키는 클러치부(50)와, 상기 권선부재(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화물이 적재되도록 형성된 적재부재(12)에 고정되어 상기 권선부재(20)의 회동시 상기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에 감기면서 상기 적재부재(12)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와이어(7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프레임(11)은 그 평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각 끝단 저면에는 바퀴(15)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3)은 '∩'형 형상을 갖는 각 수직바의 상단부가 수평바(13-1)에 의해 연결 고정되고, 각각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직각으로 결합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바(13-1)의 저면 중앙부에는 안내로울러(18)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권선부재(20)는 기어이의 중간부에 축방향과 직각되도록 권선홈(22)이 형성된 것으로, 이 권선홈(22)에는 상기 와이어(70)가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권선부재(20)는 상기 수직프레임(13)에 설치된 플레이트(16)와 상기 플레이트(16)의 일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된 지지커버(17)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것이다. 이때, 상기 권선홈(22)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70)의 일단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핀 끼움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축(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외주면에 다중나사(32)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부(50)와 너트 등이 조립되도록 단이지고 나사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1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16)를 경계로 일단에는 상기 클러치부(50)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권선부재(20)에 맞물리는 구동피니언(6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다중나사(32)는 후술할 클러치부(50)의 클러치 커버(54)가 결합되어 신속하게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구동피니언(60)은 상기 권선부재(20)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주축(30)의 회전시 상기 권선부재(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권선부재(20)에 감기면서 상기 적재부재(12)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 내부에 고정핀(도시되지 않음)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수평바(13-1)에 설치된 안내로울러(18)를 통하여 상기 적재부재(12)의 일측 중앙부에 고정된 것이다.
이때, 상기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의 크기는 상기 와이어(7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와이어(70)가 귄취홈(22)에 엇갈리게 감겨짐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권선홈(22)이 너무 작아 상기 와이어(70)가 상기 권선부재(20)의 기어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권선홈(22)의 넓이가 4mm이면, 상기 와이어(70)의 직경을 3.5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피니언(60)과 권선부재(20)의 감속비는 힘의 전달에서 0.2(구동피니언 : 권선부재 12: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클러치부(50)는 상기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에 와이어(70)를 감거나 권선홈(22)으로부터 와이어(70)가 풀리도록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권선부재(20)가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즉, 화물의 정지위치를 임으로 할 수있도록 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부(50)는 상기 플레이트(16)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주축(30)에 결합되는 클러치 플랜지(51)와, 상기 클러치 플랜지(51)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 1클러치 라이너(52A)와, 상기 제 1클러치 라이너(52A)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래칫휠(53A) 및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16)의 타면에 축설되어 상기 래칫휠(53A)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53B)을 구비한 래칫부(53)와, 상기 래칫휠(53A)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 2클러치 라이너(52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축(30)의 다중나사(32)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내경에 걸림턱(54A)이 형성된 클러치 커버(54)와,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타측 내경으로 돌출된 상기 주축(30)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54A)에 접촉되어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이동거리를 단속하는 리미트 플레이트(55) 및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40)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클러치 컵(56)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3)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에는 상기 적재부재(12)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중간부에 플레이트(16)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16)에 상기 승강장치(10)가 결합되면, 상기 적재부재(12)의 상면에 화물을 적재한다.
상기 받치부재(12)에 적재된 화물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클러치부(50)의 클러치 컵(56)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핸들(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 커버(54)가 상기 주축(30)의 다중나사(32)를 타고 도 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어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일면이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에 접촉되면서 압박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 커버(54)가 제 2클러치 라이너(52B)를 압박하게 되면,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는 상기 래칫부(53)의 래칫휠(53A) 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래칫휠(53A)을 상기 제 1클러치 라이너(52A) 측으로 밀어 상호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회전에 의한 전진(도 4에 도시된 일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이동은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와 래칫휠(53A) 그리고 제 1클러치 라이너(52A)를 상기 클러치 플랜지(51)의 일면에 밀착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이어서 상기 핸들(40)에 의한 클러치 커버(54)의 회전력은 상기 주축(30)에 고정 결합된 상기 클러치 플랜지(51)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핸들(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된 상기 클러치 커버(54)가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와 래칫휠(53A) 그리고 제 1클러치 라이너(52A)를 상기 클러치 플랜지(51)의 일면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핸들(40)의 회전력은 상기 주축(30)을 회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축(30)이 핸들(40)의 조작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피니언(60)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권선부재(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권선홈(22)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권선홈(22)에 감기게 된다.
상기 와이어(70)가 권선홈(22)에 감기게 되면, 그 타단이 상기 적재부재(12)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적재부재(12)는 상기 수직프레임(13)에 지지되면서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와이어(70)는 상기 수평바(13-1)에 설치된 안내로울러(18)에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권선부재(20)의 기어이에 간섭되거나 권선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할하게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70)의 감김으로 상승하는 적재부재(12)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40)의 회전을 멈춘다.
상기 핸들(40)의 회전을 멈추게 되면, 상기 클러치 커버(54)가 전진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와 래칫휠(53A) 그리고 제 1클러치 라이너(52A)가 서로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래칫휠(53A)은 스프링의 탄성을 받도록 결합된 래칫(53B)에 걸려 회전이 방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피니언(60)과 권선부재(20)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화물이 적재된 상기 적재부재(12)의 상승은 정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부재(12)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40)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70)가 권선홈(22)에 감김으로 상기 적재부재(12)는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적재부재(12)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40)을 반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킨다.
상기 핸들(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와 래칫휠(53A) 그리고 제 1클러치 라이너(52A)를 압박하던 클러치 커버(54)가 후진(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하기 때문에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와 래칫휠(53A) 그리고 제 1클러치 라이너(52A)를 압박하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적재부재(12)의 하중이나 화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권선부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70)가 풀리게 되고 상기 적재부재(12)는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권선부재(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피니언(6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핸들(4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핸들(40)이 화물과 적재부재(12)의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40)을 서서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적재부재(12)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하강하는 상태에서 이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40)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클러치 커버(54)가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와 래칫휠(53A) 그리고 제 1클러치 라이너(52A)를 상기 클러치 플랜지(51)에 밀착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피니언(60)이나 권선부재(20)의 회전은 정지되는 것이고, 상기 핸들(4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는 상기 와이어(70)는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미트 플레이트(55)가 클러치 커버(54)의 내경에서 상기 걸림턱(54A)에 걸리도록 상기 주축(30)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40)의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상기 클러치 커버(54)가 급격하게 후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회전을 단속하여 클러치 커버(54)의 축방향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승강장치는 상기 와이어(70)를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에 감거나 풀어 화물이 적재된 상기 적재부재(12)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동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피니언(60)을 클러치부(50)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부재(12)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는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권치홈이 형성된 권선부재와, 상기 권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피니언과, 상기 구동피니언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된 클러치부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재를 와이어를 감아 승강시킴으로써 승강장치의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승강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정비성 및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화물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재(12)가 수직프레임(13)에 지지되면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고, 지지프레임(11)의 저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캐스터(14)와 바퀴(15)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3)에 설치된 플레이트(16)와, 상기 플레이트(16)의 일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된 지지커버(17)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기어이의 중간부에 축방향과 직각되는 권선홈(22)이 형성된 권선부재(20);
    일단에는 다중나사(32)가 형성되어 핸들(40)과 클러치부(50)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16)를 관통하여 설치된 주축(30);
    상기 권선부재(20)와 맞물리도록 상기 플레이트(16)를 관통한 상기 주축(30)의 타단에 결합된 구동피니언(60);
    상기 구동피니언(6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권선부재(20)의 권선홈(22)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16)의 상단부에 설치된 안내 로울러(18)를 통과하여 상기 적재부재(12)에 고정된 와이어(7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50)는 상기 플레이트(16)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주축(30)에 고정 결합되는 클러치 플랜지(51);
    상기 클러치 플랜지(51)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 1클러치 라이너(52A);
    상기 제 1클러치 라이너(52A)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래칫휠(53A),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16)의 타면에 축설되어 상기 래칫휠(53A)의 회전을 단속하는 래칫(53B)을 구비한 래칫부(53);
    상기 래칫휠(53A)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 2클러치 라이너(52B);
    상기 주축(30)의 다중나사(32)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클러치 라이너(52B)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타측 내경에 걸림턱(54A)이 형성된 클러치 커버(54);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타측 내경으로 돌출된 상기 주축(30)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턱(54A)에 접촉되어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이동거리를 단속하는 리미트 플레이트(55); 및
    상기 클러치 커버(54)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핸들(40)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클러치 컵(56)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KR2019990017463U 1999-08-23 1999-08-23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KR200171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63U KR200171713Y1 (ko) 1999-08-23 1999-08-23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63U KR200171713Y1 (ko) 1999-08-23 1999-08-23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713Y1 true KR200171713Y1 (ko) 2000-03-15

Family

ID=1958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463U KR200171713Y1 (ko) 1999-08-23 1999-08-23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7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76B1 (ko)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KR200171713Y1 (ko) 휴대용 리프터의 승강장치
JP5165424B2 (ja) 補助モータ付きチェーンブロック
KR100227564B1 (ko) 벨트식 호이스트
KR101849953B1 (ko) 감속기가 없는 호이스트
WO2023173339A1 (zh) 升降装置、仓储机器人及取货组件的调平方法
US6527253B2 (en) Lifting device
KR100624553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EP1528030B1 (en) Hoist for quickly lifting and positioning an object to a suitable height
JPH08268239A (ja) 昇降脚における上下位置決め装置
KR100480842B1 (ko) 후프코일의 이송보조장치
CN2284252Y (zh) 晾衣架的升降控制装置
KR20180065650A (ko) 승강장치
JP3261096B2 (ja) 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H0122716Y2 (ko)
JPH0718961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2631565B2 (ja) 入口に対して出口方向を自由に選べる低階層用簡易エレベータ
JP3274121B2 (ja)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WO2008096972A1 (en) Winch for escape
KR200327915Y1 (ko) 승강장치의 와이어 과다권취 방지구
JPS6328308Y2 (ko)
KR200327979Y1 (ko) 승강장치의 역회전 방지구
JP2000177853A (ja) 枚葉印刷機の給紙台昇降装置
KR200301716Y1 (ko) 드럼브레이크를 갖는 호이스트
JPH08225156A (ja) 反転機構付きリフ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