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76B1 -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76B1
KR101778676B1 KR1020160064522A KR20160064522A KR101778676B1 KR 101778676 B1 KR101778676 B1 KR 101778676B1 KR 1020160064522 A KR1020160064522 A KR 1020160064522A KR 20160064522 A KR20160064522 A KR 20160064522A KR 101778676 B1 KR101778676 B1 KR 10177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gear
pressing
rotation
redu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트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트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트인엔텍
Priority to KR102016006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건조대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세탁물건조대의 과도한 상승이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미트스위치가 보빈하우징에 구동모터와 함께 설치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종래에 비해 간편하며, 특히 스위칭부재가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스위칭시키면서 보빈의 회전범위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와이어의 길이를 변경시키거나 와이어 자체를 교환하지 않고도 세탁물건조대의 승강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A elevating control device of electric driving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건조대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의 작동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세탁물건조대의 과도한 상승이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건조대는 세탁을 마친 후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빨래가 얹혀지는 세탁물건조대 봉이 천정에 고정된 고정부와 팬터그래프(a pantagraph)에 의해 절첩되게 구성되고, 이러한 세탁물건조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동형과 윈치를 이용하는 자동승강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수동형은 고정부와 걸이봉을 연결한 견인줄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줄을 당기고 록킹수단을 해지함으로써 걸이봉이 승하강이동하여 빨래를 널거나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을 보다 편리하고 자동화시키기 위하여 전동모터를 이용한 윈치를 이용하는 경우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19017호에서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웜휠로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기술에서는 세탁물건조대를 이동하기 위하여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웜휠이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직접 접촉되어 설치되므로, 무거운 세탁물이 걸려있는 상기 세탁물건조대 봉을 일정 위치에 오랜 시간 동안 정지하거나 이동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세탁물건조대의 두께가 두꺼워져 천정으로부터 많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및 이동하는 물체와의 충돌 등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물건조대의 봉에 무거운 세탁물이 걸려있는 경우에 이를 지탱하기 위한 별도의 해결방법이 없고, 단순히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만으로는 설정된 위치에 세탁물이 건조하는 동안 정지하여 머무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구동모터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여 세탁물건조대의 과도한 상승이나 하강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리미트 스위치가 구동모터와 이격된 상태로 세탁물건조대의 세탁봉 등에 설치되기 때문에 세탁봉의 휨에 의해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리미트 스위치와 구동모터가 이격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설치가 번거롭고, 세탁물건조대의 승강범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0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미트스위치를 구동모터와 일체를 이루는 보빈하우징에 구비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의 회전범위를 제어함으로써 세탁물건조대의 승강범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 간의 스위칭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와이어의 길이를 변경시키거나 와이어 자체를 교환하지 않고도 세탁물건조대의 승강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는, 세탁물건조대의 걸이봉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걸이봉과 연결되는 와이어의 풀림 및 감김을 제어하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로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와이어가 표면에 감긴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연동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아서 상기 걸이봉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와이어를 풀어서 상기 걸이봉을 하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 상기 보빈이 수용되면서 상기 와이어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보빈하우징; 상기 보빈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차단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상기 보빈하우징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보빈회전축; 및 상기 보빈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빈으로부터 연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스위칭시키고, 상기 보빈의 회전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걸이봉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스위칭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칭부재는, 상기 보빈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출력기어; 상기 보빈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출력기어에 의해 회전하고, 기어열을 이루면서 상기 출력기어에 의한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감속기어트레인; 상기 감속기어트레인의 기어열을 구성하는 종동기어에 결합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종동기어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키는 제1 가압돌기; 상기 제1 가압돌기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종동기어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중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키는 제2 가압돌기; 및 상기 제1 가압돌기 및 상기 제2 가압돌기를 상기 종동기어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한 고정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 가압돌기 및 상기 제2 가압돌기 간의 각도를 조절을 허용하여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들의 스위칭 간격을 조절하는 돌기각도 어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기각도 어저스터는, 상기 제1 가압돌기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돌기와 함께 상기 종동기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종동기어와 동심을 이룬 상태로 상기 고정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고정판의 회전을 허용하여 상기 제1 가압돌기의 각도를 조절시키는 각도설정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속기어트레인은, 상기 보빈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출력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력기어에 의한 회전수를 감소시키며, 중심축에 상기 출력기어에 대응하는 축기어가 형성된 제1 감속기어; 및 상기 보빈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 감속기어의 축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이루며, 상기 축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감속기어에 의한 회전수를 추가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1 가압돌기와 상기 제2 가압돌기 및 상기 돌기각도어저스터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제2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에 따르면, 리미트스위치가 보빈하우징에 구동모터와 함께 설치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종래에 비해 간편하며, 특히 스위칭부재가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스위칭시키면서 보빈의 회전범위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와이어의 길이를 변경시키거나 와이어 자체를 교환하지 않고도 세탁물건조대의 승강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 가압돌기와 동일체를 이루는 고정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각도설정슬롯에 고정부재가 걸리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풀어서 고정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가압돌기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제어장치가 설치된 전동식 세탁물건조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가압돌기가 각도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세탁물건조대(1)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세탁물건조대(1)의 걸이봉과 연결되는 와이어(W)의 풀림이나 감김을 제어하여 세탁물건조대(1)를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제어장치(10)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0), 보빈(200), 보빈하우징(300), 리미트 스위치(400), 보빈회전축(500) 및 스위칭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100)는 전원에 의해 정회전하거나 역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한다.
보빈(200)은 구동모터(100)에 의해 회전하면서 와이어(W)를 감거나 풀면서 세탁물건조대(1)를 승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보빈(200)은 구동모터(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W)를 감아서 세탁물건조대(1)를 상승시키거나 와이어(W)를 풀어서 세탁물건조대(1)를 하강시킨다.
이러한 보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와이어(W)가 권선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단수로 구성되어 한 쌍의 와이어(W)가 동시에 권선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00)와 보빈(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150)과 웜휠(160)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웜(150)은 구동모터(10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웜휠(160)은 보빈(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웜(160)에 치합되어 웜(16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면서 보빈(200)을 회전시킨다.
보빈하우징(300)은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보빈(200)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면서 와이어(W)를 인출가능하게 수용한다.
리미트 스위치(400)는 구동모터(100)의 작동을 차단하여 세탁물건조대(1)의 과도한 상승이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보빈하우징(300)에 설치되고, 보빈(200)의 정회전이나 역회전에 따라 번갈아가며 스위칭되면서 구동모터(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1 리미트 스위치(410)는 보빈(200)의 정회전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구동모터(100)를 정지시켜 세탁물건조대(1)가 더는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고, 제2 리미트 스위치(420)는 보빈(200)의 역회전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구동모터(100)를 정지시켜 세탁물건조대(1)가 더는 하강하지 못하도록 한다.
보빈회전축(500)은 보빈(200)의 회전중심을 이루면서 보빈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출력기어(610)의 설치부위를 이룬다.
스위칭부재(600)는 보빈회전축(500)에 연결되어 리미트 스위치(400)를 번갈아가며 스위칭시키는 동시에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400) 간의 스위칭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보빈(200)의 회전범위를 설정하여 세탁물건조대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스위칭부재(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기어(610), 감속기어트레인(620), 제1 가압돌기(630), 제2 가압돌기(640) 및 고정부재(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기어(610)는 보빈회전축(5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보빈회전축(5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보빈(20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감속기어트레인(620)은 기어열을 이루면서 출력기어(610)에 연결되어 보빈(200)의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출력기어(610)에 의한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즉, 감속기어트레인(620)은 출력기어(610) 및 보빈(200)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전달하면서 후술되는 제1 가압돌기(630) 및 제2 가압돌기(640)를 회전시킨다.
예컨대, 감속기어트레인(6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속기어(621) 및 제2 감속기어(6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감속기어(621)는 출력기어(610)에 의한 회전수를 1차로 감속시키는 것으로, 보빈하우징(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출력기어(610)에 치합되어 보빈(200) 및 출력기어(610)에 의해 회전하며, 출력기어(6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출력기어(3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제1 감속기어(621)는 중심축에 축기어(621a)가 돌출형성된다.
제2 감속기어(622)는 출력기어(610) 및 보빈(200)에 의한 회전수를 2차로 감속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 감속기어(622)는 보빈하우징(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감속기어(621)의 축기어(621a)에 치합되어 제1 감속기어(621)와 함께 기어열을 이루면서 보빈(200)의 회전력이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종동기어를 구성한다.
즉, 보빈(200)의 회전력은 출력기어(610) 및 제1 감속기어(621)로 전달되면서 1차로 감속된 후, 기어열의 종동기어를 이루는 제2 감속기어(622)로 전달되면서 2차로 감속된다.
제1 가압돌기(630)는 제2 감속기어(622)와 함께 회전하면서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400) 중 제1 리미트 스위치(410)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후술되는 고정부재(650)에 의해 제2 감속기어(622)에 고정되면서 제2 감속기어(622)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가압돌기(640)는 제1 가압돌기(630)와 분리된 상태로 고정부재(650)에 의해 제2 감속기어(622)에 고정되면서 제2 감속기어(622)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며, 제2 감속기어(622)와 함께 회전하면서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400) 중 제2 리미트 스위치(420)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킨다.
이러한 제2 가압돌기(640)는 대략 제1 가압돌기(630)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제2 감속기어(62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가압돌기(630)와 번갈아가면서 리미트 스위치(400)를 스위칭시킨다.
즉, 제1 가압돌기(630)는 구동모터(100) 및 보빈(200)에 의한 제2 감속기어(622)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제1 리미트 스위치(410)를 스위칭시켜서 구동모터(100)를 정지시키고, 제2 가압돌기(640)는 구동모터(100) 및 보빈(200)에 의한 제2 감속기어(622)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제2 리미트 스위치(420)를 스위칭시켜서 구동모터(100)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 사이의 각도는 제1 리미트 스위치(410)와 제2 리미트 스위치(420) 간의 스위칭 간격을 나타내며, 제1 리미트 스위치(410)와 제2 리미트 스위치(420) 간의 스위칭 간격은 보빈(200)의 회전범위 및 세탁물건조대(1)의 승강범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경우에는 제1 리미트 스위치(410)와 제2 리미트 스위치(420) 간의 스위칭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세탁물건조대(1)의 승강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감속기어(621)에 돌출된 축기어(621a)와 제2 감속기어(622)의 직경을 다르게 구성할 경우에도 제2 감속기어(622)의 회전수가 다르게 조절됨에 따라 제1 리미트 스위치(410)와 제2 리미트 스위치(420) 간의 스위칭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고정부재(650)는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를 각각 제2 감속기어(622)에 고정하는 부재이다.
예컨대, 고정부재(6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볼트(651) 및 제2 고정볼트(652)로 구성되어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를 각각 제2 감속기어(6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부재(650)는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무방하다.
예컨대, 고정부재(650)는 제2 감속기어(622)의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홈을 이루는 미도시된 돌기홀더; 및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에 각각 돌출되어 돌기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미도시된 돌출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의 위치변경이 용이하므로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 사이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각도 어저스터(660)의 구성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각도 어저스터(660)는 고정부재(650)에 의한 고정부위를 제공하면서 제1 가압돌기(630)와 제2 가압돌기(640) 간의 각도조절을 허용하는 구성요소로서, 고정판(661) 및 각도설정슬롯(6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6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형태를 이루면서 제1 가압돌기(630)와 동일체를 이루며, 고정부재(650)를 통해 제2 가압돌기(640)와 함께 제2 감속기어(622)에 고정된다.
각도설정슬롯(662)은 제2 감속기어(622)와 동심을 이룬상태로 고정판(661)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제1 고정볼트(651) 및 제2 고정볼트(652)의 체결부위를 이룬다. 이러한 각도설정슬롯(662)은 제1 고정볼트(651) 및 제2 고정볼트(652)의 체결이 풀릴 경우에 고정판(661)의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제1 가압돌기(630)의 각도를 조절시킨다.
종합하면, 제2 가압돌기(6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설정슬롯(662)을 통해 체결되는 제2 고정볼트(652)에 의해 고정되면서 고정위치를 가지며, 제1 가압돌기(6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설정슬롯(662)에 의해 고정판(661)과 함께 회전이 허용됨에 따라 제2 가압돌기(640)와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가압돌기(630)의 각도조절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640) 간의 스위칭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탁물건조대(1)의 승강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제1 고정볼트(651) 및 제2 고정볼트(652)를 풀어서 고정판(661) 및 제1 가압돌기(630)를 회전시켜 제1 리미트 스위치(410)와 제2 리미트 스위치(420) 간의 스위칭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세탁물건조대(1)의 승강범위를 설정한다.
사용자는 세탁물건조대(1)를 상승시킬 경우, 구동모터(100)를 통해 보빈(2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와이어(W)를 보빈(200)에 감아서 세탁물건조대(1)를 상승시킨다.
이때, 제1 가압돌기(630)는 출력기어(610) 및 감속기어트레인(620)에 의해 고정판(661)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리미트 스위치(410)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00)는 작동이 정지되면서 세탁물건조대(1)가 더는 상승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세탁물건조대(1)를 하강시킬 경우, 구동모터(100)를 통해 보빈(20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와이어(W)를 보빈(200)에서 풀어서 세탁물건조대(1)를 하강시킨다.
이때, 제2 가압돌기(640)는 출력기어(610) 및 감속기어트레인(620)에 의해 고정판(661)과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리미트 스위치(420)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00)는 작동이 정지되면서 세탁물건조대(1)가 더는 하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10)는, 리미트스위치(400)가 보빈하우징(300)에 구동모터(100)와 함께 설치되므로 제작 및 설치가 종래에 비해 간편하며, 특히 스위칭부재(600)가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410)(420)를 번갈아가며 스위칭시키면서 보빈(200)의 회전범위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와이어(W)의 길이를 변경시키거나 와이어(W) 자체를 교환하지 않고도 세탁물건조대(1)의 승강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100 : 구동모터
200 : 보빈
300 : 보빈하우징
400 : 리미트 스위치
410 : 제1 리미트 스위치
420 : 제2 리미트 스위치
500 : 보빈회전축
600 : 스위칭부재
610 : 출력기어
620 : 감속기어트레인
621 : 제1 감속기어
621 : 축기어
622 : 제2 감속기어
630 : 제1 가압돌기
640 : 제2 가압돌기
650 : 고정부재
651 : 제1 고정볼트
652 : 제2 고정볼트
660 : 돌기각도 어저스터
661 : 고정판
662 : 각도설정슬롯

Claims (5)

  1. 세탁물건조대의 걸이봉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걸이봉과 연결되는 와이어의 풀림 및 감김을 제어하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로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와이어가 표면에 감긴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연동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아서 상기 걸이봉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와이어를 풀어서 상기 걸이봉을 하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빈;
    상기 보빈이 수용되면서 상기 와이어가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보빈하우징;
    상기 보빈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스위칭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차단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상기 보빈하우징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보빈회전축; 및
    상기 보빈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빈으로부터 연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번갈아가며 스위칭시키고, 상기 보빈의 회전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걸이봉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스위칭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재는,
    상기 보빈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출력기어;
    상기 보빈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출력기어에 의해 회전하고, 기어열을 이루면서 상기 출력기어에 의한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감속기어트레인;
    상기 감속기어트레인의 기어열을 구성하는 종동기어에 결합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종동기어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중 하나의 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키는 제1 가압돌기;
    상기 제1 가압돌기와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종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상기 종동기어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 중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가압하여 스위칭시키는 제2 가압돌기;
    상기 제1 가압돌기 및 상기 제2 가압돌기를 상기 종동기어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한 고정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제1 가압돌기 및 상기 제2 가압돌기 간의 각도를 조절을 허용하여 상기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들의 스위칭 간격을 조절하는 돌기각도 어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각도 어저스터는,
    상기 제1 가압돌기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돌기와 함께 상기 종동기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판; 및
    상기 종동기어와 동심을 이룬 상태로 상기 고정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고정판의 회전을 허용하여 상기 제1 가압돌기의 각도를 조절시키는 각도설정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트레인은,
    상기 보빈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출력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출력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력기어에 의한 회전수를 감소시키며, 중심축에 상기 출력기어에 대응하는 축기어가 형성된 제1 감속기어; 및
    상기 보빈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 감속기어의 축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종동기어를 이루며, 상기 축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감속기어에 의한 회전수를 추가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1 가압돌기와 상기 제2 가압돌기 및 상기 돌기각도 어저스터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제2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KR1020160064522A 2016-05-26 2016-05-26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KR10177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522A KR101778676B1 (ko) 2016-05-26 2016-05-26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522A KR101778676B1 (ko) 2016-05-26 2016-05-26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676B1 true KR101778676B1 (ko) 2017-09-14

Family

ID=5992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522A KR101778676B1 (ko) 2016-05-26 2016-05-26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6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904A (zh) * 2018-01-29 2018-06-01 赖季谷 升降机构
CN108677484A (zh) * 2018-07-09 2018-10-19 宁波斯洛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晾衣架及其调试方法
KR20190004645A (ko) * 2017-07-04 2019-01-14 송명진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CN110002355A (zh) * 2019-04-19 2019-07-12 宁波杜亚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晾衣机驱动装置
KR20190117964A (ko) * 2018-04-09 2019-10-17 송명진 전동식 건조대에 사용되는 구동 박스
CN111824994A (zh) * 2020-07-14 2020-10-27 乐屋(广东)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晾衣架的升降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636Y1 (ko) * 2001-06-01 2001-10-17 (주)에치케이콘트로매틱 밸브 개폐작동장치
KR200356610Y1 (ko) * 2004-04-26 2004-07-19 (주)우리기술 빨래건조대의 승·하강제어장치
KR100509343B1 (ko) * 2003-08-25 2005-08-18 이대영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100993296B1 (ko) * 2008-05-27 2010-11-09 (주)씨넷 전동식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636Y1 (ko) * 2001-06-01 2001-10-17 (주)에치케이콘트로매틱 밸브 개폐작동장치
KR100509343B1 (ko) * 2003-08-25 2005-08-18 이대영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0356610Y1 (ko) * 2004-04-26 2004-07-19 (주)우리기술 빨래건조대의 승·하강제어장치
KR100993296B1 (ko) * 2008-05-27 2010-11-09 (주)씨넷 전동식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645A (ko) * 2017-07-04 2019-01-14 송명진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2036451B1 (ko) * 2017-07-04 2019-11-26 송명진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CN108100904A (zh) * 2018-01-29 2018-06-01 赖季谷 升降机构
KR20190117964A (ko) * 2018-04-09 2019-10-17 송명진 전동식 건조대에 사용되는 구동 박스
KR102036447B1 (ko) * 2018-04-09 2019-11-26 송명진 전동식 건조대에 사용되는 구동 박스
CN108677484A (zh) * 2018-07-09 2018-10-19 宁波斯洛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晾衣架及其调试方法
CN108677484B (zh) * 2018-07-09 2024-05-28 宁波斯洛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自动晾衣架及其调试方法
CN110002355A (zh) * 2019-04-19 2019-07-12 宁波杜亚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晾衣机驱动装置
CN111824994A (zh) * 2020-07-14 2020-10-27 乐屋(广东)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晾衣架的升降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76B1 (ko)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RU2640942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EP1536096B1 (en) Cord winding device for a blind
EP1686418A1 (en) In height or otherwise adjustable device for mounting of a projection device.
US6464190B1 (en) Self-winding-type fixture-lifting/lowering device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US20080217460A1 (en) Lifting Apparatus Having Lifting Reel
US20220196226A1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US7654300B2 (en) Obstacle detection stopping device of solar radiation shielding apparatus
KR101026555B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JP6151571B2 (ja) カムユニット
KR101440071B1 (ko) 세탁물 건조대 승/하강 장치
KR20090123188A (ko) 전동식세탁물건조대의 제어장치
KR100624553B1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JP4801112B2 (ja) ブラインド
KR101628075B1 (ko) 높이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소형 무대 승강장치
KR101672160B1 (ko) 핸들식 구동 장치
JP5184143B2 (ja) 昇降装置
KR20050095295A (ko)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400985Y1 (ko) 수평형 블라인드용 승강 및 각도조절 장치
JP2010261194A (ja) ブラインドの昇降高さ決定装置
JP2005083051A (ja) ブラインド
JP2009275351A (ja) 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及び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回動方法
JP3820723B2 (ja) 電動シャッターの障害物感知装置
JP2006261016A (ja) ポール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