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470B1 - 레들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레들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470B1
KR101175470B1 KR1020100073224A KR20100073224A KR101175470B1 KR 101175470 B1 KR101175470 B1 KR 101175470B1 KR 1020100073224 A KR1020100073224 A KR 1020100073224A KR 20100073224 A KR20100073224 A KR 20100073224A KR 101175470 B1 KR101175470 B1 KR 10117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ladle
winding
overhea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951A (ko
Inventor
태순재
이창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4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47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들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래들이 안착된 대차부를 권취부에 권취되는 와이어부에 연결하여 상기 권취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이어부를 감으면서 상기 대차부를 이동시키는 중 상기 권취부의 고장으로 상기 대차부의 이동이 중지되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와이어부를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의 하부에 걸쳐진 상태로 천장 기중기로 연결하고 상기 천장 기중기를 작동시켜 상기 대차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들 이송 장치{Transfer Apparatus for Ladle}
본 발명은 레들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강을 수강한 레들을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에서의 취련은 전로 내의 용선에 산소 가스를 투입하여 탄소(C)나 인(P)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전로 취련은 반응용기인 전로에 용선을 장입한 후 상부로 산소 가스를 공급하고 하부로 질소 또는 아르곤 가스를 공급하여 용선 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들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레들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로 레들이 안착되며, 하부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의 바퀴가 올려지며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대차 가이드 레일부와;
상기 대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가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와이어부가 하부로 걸쳐져 상기 와이어부를 천장 기중기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를 포함한 레들 이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는, 상기 와이어부가 하부로 걸쳐지는 도르래부재와, 상기 도르래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도르래 지지바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는,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를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기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대차부의 이송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르래부재를 상기 와이어부의 상부 측에 위치시키는 이동 기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는,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와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부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 상기 회전 기기와 상기 이동 기기, 상기 천장 기중기에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의 고장 발생 시 상기 회전 기기, 상기 이동 기기, 상기 천장 기중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가 권취되지 않는 비상 상태에서 레들을 기중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들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들을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레들의 이송 중지에 따른 조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단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대차부(10)는 상부에 레들(1)이 안착되는 안착부재(13)가 구비된다.
상기 레들(1)은 전로의 용강 또는 전기로에서 출강된 용강을 수강하는 것으로 상기 대차부(10)의 상부로 올려져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재(13)는 내부로 레들(1)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차부(10)의 상부로 돌설되는 것으로, 레들(1)의 외곽을 지지하여 이송 중 레들(1)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대차부(1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1)가 구비되며, 상기 대차부(10)의 일 측에는 후술될 와이어부(30)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 고리부재(12)가 구비된다.
상기 바퀴(11)는 상기 대차부(10)의 양 측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며 대차 가이드 레일부(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대차 가이드 레일부(20)는 상기 레들(1)의 수강 위치에서 레들(1)의 이송 위치까지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상기 대차부(10)의 이송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대차 가이드 레일부(20)는 이격되게 한 쌍의 가이드 레일(21)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21)의 상부에는 상기 대차부(10)의 바퀴(11)가 각각 안착되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대차부(10)는 상기 바퀴(11)가 구르면서 상기 대차 가이드 레일부(20)를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대차부(10)의 와이어 연결 고리부재(12)에는 와이어부(30)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부(30)는 권취부(40)에 감기면 상기 대차부(10)를 당겨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와이어부(30)가 감기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 릴부재(41)와;
상기 권취 릴부재(41)를 회전시키는 릴 회전 모터(42)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 릴부재(41)는 상기 릴 회전 모터(42)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부(30)를 감아 당기게 되고, 상기 와이어부(30)가 감겨짐에 따라 상기 와이어부(30)에 연결된 상기 대차부(10)가 당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차부(10)는 상기 대차 가이드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되어 레들(1)의 수강 위치에서 다음 공정을 위한 이송 위치까지 이송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권취부(40) 즉, 상기 릴 회전 모터(42)의 고장으로 상기 권취부(40)를 이용하여 상기 와어어부를 감아 당길 수 없을 때 상기 와이어부(30)를 천장 기중기(2)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부(30)의 방향을 상부로 안내하는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는 상기 와이어부(30)가 하부로 걸쳐지는 도르래부재(51)를 포함하며, 상기 도르래부재(51)의 위치를 지지하는 도르래 지지바부재(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는 상기 와이어부(30)가 하부로 걸쳐져 상기 와이어부(30)를 천장 기중기(2)로 연결하여 잡아 당길 때 천장 기중기(2)가 잡아 당기는 수직 방향의 힘을 상기 대차부(10)를 이동시키는 수평 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천장 기중기(2)는 공장 내 천장에 설치되어 종,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부(30)는 상기 천장 기중기(2)의 기중기 와이어(2a)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는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재(53)와;
상기 힌지부재(53)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재(54)와;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를 힌지부재(53)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기(55)와;
상기 베이스부재(54)를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르래부재(51)를 상기 와이어부(30)의 상부 측에 위치시키는 이동 기기(5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기기(55)는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의 힌지에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를 회전시키는 작동 모터(55a)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모터(55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기기(55)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를 회전시켜 상기 도르래부재(51)를 상기 와이어부(30)의 상부 측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 기기(56)는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유압 실린더(56a)를 포함한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이동 기기(56)는 상기한 유압 실린더(56a)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재(54)에 나사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54)를 전, 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이동 기기(56)는 도 4a 내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재(54)를 이동시켜 상기 도르래부재(51)를 상기 와이어부(30)의 상부에 올려지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도르래부재(51)는 상기 회전 기기(55) 및 상기 이동 기기(5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부(30)가 하부로 걸쳐지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는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4)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5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57)는 상기 이동 기기(56)의 작동에 의한 상기 베이스부재(54)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베이스부재(54)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전, 후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도르래부재(51)를 일정한 위치로 정확하게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권취부(40)와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부(30)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절단부(60)는 상기 권취부(40)의 고장으로 인한 비상 상황에서 상기 와이어부(30)를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을 상기 천장 기중기(2)의 기중기 와이어(2a)에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권취부(40), 상기 회전 기기(55)와 상기 이동 기기(56), 상기 천장 기중기(2)에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40)의 고장 발생 시 상기 회전 기기(55), 상기 이동 기기(56), 상기 천장 기중기(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절단부(60)는 상기 제어부(70)에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40)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는 상기 가이드 레일(21) 사이의 지면에 형성된 장착부(3)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부(3)는 지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르래부재(51) 및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가 상기 권취부(40)의 정상 작동 시에는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50)는 상기 권취부(40)의 정상 작동 시에 상기 장착부(3) 내에 보관되어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또는 기타 작업 시 방해물이 되지 않고 사용 시에만 상기 회전 기기(55) 및 상기 이동 기기(56)의 작동으로 지면 상으로 돌출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다른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고 공장 내 작업 환경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대차부(10)는 레들(1)의 수강 위치에서 용강이 수강된 레들(1)을 적재한다.
상기 권취부(40)는 상기 릴 회전 모터(42)의 작동으로 상기 권취 릴부재(41)를 회전시켜 상기 대차부(1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30)를 감아 당긴다.
상기 대차부(10)는 상기 대차 가이드 레일부(20)를 따라 상기 레들(1)의 수강 위치에서 다음 공정을 위한 이송 위치까지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시 상기 권취부(40)의 고장으로 상기 대차부(10)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회전 기기(55), 상기 이동 기기(56), 상기 천장 기중기(2), 상기 와이어 절단부(60)를 작동시킨다.
상기 회전 기기(55)는 상기 상기 제어부(70)에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40)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는 상기 지면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장착부(3) 내에 보관 중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 상태에서 작동이 시작됨을 예시한다.
또 상기 도르래부재(51)는 하부로 상기 와이어부(30)가 걸쳐지게 위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가 회전될 때 상기 와이어부(3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부(30)에 횡방향, 즉,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방향에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전 기기(55)의 작동으로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52)를 회전시켜 상기 도르래부재(51)를 상기 와이어부(30)의 상부 측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이동 기기(56)를 작동시켜 상기 도르래부재(51)가 상기 와이어부(30)의 상부에 걸쳐지게 되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부재(54)를 상기 대차부(10)의 이송 방향에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천장 기중기(2)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 절단부(60)의 상부 측에 위치시킨다.
상기 와이어 절단부(60)는 상기 와이어부(30)를 절단하여 상기 천장 기중기(2)의 기중기 와이어(2a)에 상기 와이어부(30)를 연결 가능하게 한다.
상기 대차부(1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30)의 절단된 단부는 상기 기중기 와이어(2a)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천장 기중기(2)를 작동시켜 상기 기중기 와이어(2a)를 감아 상기 대차부(1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부(30)를 당겨 상기 대차부(1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40)가 고장난 비상 상황에서 상기 대차부(10)를 원하는 이송 위치 즉, 다음 공정을 위한 위치까지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부(10)의 이동이 중지된 상태가 오래되면 상기 레들(1) 내의 용강의 온도가 낮아져 상기 레들(1) 내에 수강된 용강을 폐기해야하고, 철강 제품의 불량률이 증대되는 등 큰 손실이 발생하며, 이송이 중지된 상태에서 기타 구조물과의 충돌로 대형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이 중지된 상기 대차부(10)를 신속하게 이송시켜 용강이 수강된 레들(1)을 안정적으로 이송시켜 철강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대형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대차부 20 : 대차 가이드 레일부
30 : 와이어부 40 : 권취부
50 :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 51 : 도르래부재
52 : 도르래 지지바부재 53 : 힌지부재
54 : 베이스부재 55 : 회전 기기
56 : 이동 기기

Claims (6)

  1. 상부로 레들이 안착되며, 하부에 지면을 따라 구르는 복수의 바퀴가 구비된 대차부와;
    상기 대차부의 바퀴가 올려지며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대차 가이드 레일부와;
    상기 대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가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와이어부가 하부로 걸쳐져 상기 와이어부를 천장 기중기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부를 절단하는 와이어 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는,
    상기 와이어부가 걸쳐지는 도르래부재와;
    상기 도르래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도르래 지지바부재와;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도르래 지지바부재를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기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대차부의 이송 방향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르래부재를 상기 와이어부의 상부 측에 위치시키는 이동 기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들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방향 전환 도르래부는,
    이송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 이동 가이드 레일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들 이송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 상기 회전 기기와 상기 이동 기기, 상기 천장 기중기에 연결되고, 상기 권취부의 고장 발생 시 상기 회전 기기, 상기 이동 기기, 상기 천장 기중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들 이송 장치.
KR1020100073224A 2010-07-29 2010-07-29 레들 이송 장치 KR10117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224A KR101175470B1 (ko) 2010-07-29 2010-07-29 레들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224A KR101175470B1 (ko) 2010-07-29 2010-07-29 레들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951A KR20120011951A (ko) 2012-02-09
KR101175470B1 true KR101175470B1 (ko) 2012-08-20

Family

ID=4583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224A KR101175470B1 (ko) 2010-07-29 2010-07-29 레들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32B1 (ko) * 2017-09-07 2019-03-25 주식회사 포스코 제품 이동 설비
CN111906286A (zh) * 2020-07-22 2020-11-10 陈辉 一种铝合金铸造用浇铸装置
KR200494968Y1 (ko) * 2020-11-24 2022-02-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679A (ja) 1995-07-14 2000-02-15 モリンス ピーエルシー 包装装置
JP2003128387A (ja) 2001-10-26 2003-05-08 Meishin Kosan Kk 索状体の巻き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679A (ja) 1995-07-14 2000-02-15 モリンス ピーエルシー 包装装置
JP2003128387A (ja) 2001-10-26 2003-05-08 Meishin Kosan Kk 索状体の巻き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951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192A (en) Suspender arm for machinery
KR101175470B1 (ko) 레들 이송 장치
US20190291220A1 (en) Scrap Cutting Apparatus with Traveling Protective Enclosure
EP3341151B1 (en) Torch cutting machine and method of cutting metal material using such machine
CN111254974A (zh) 管廊施工中楼板运输安装工法
TWI311979B (ko)
JP2011236650A (ja) 荷の揚げ降ろし装置
JP2009285689A (ja) 鍋蓋搬送装置
JP2013121618A (ja) 遠隔操作可能な圧延ロール組替装置
JP2016082633A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KR20160001752U (ko) 간이 지주 설치용 서비스 타워
JP6491041B2 (ja) ランス昇降台車の保守方法及び昇降装置
CN209929134U (zh) 绕制变压器用的升降旋转装置
JP5027015B2 (ja) ケーブル搬送装置
KR20150014187A (ko)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JP4169717B2 (ja) 軌道用スラブ搬送装置
CN110315767B (zh) 一种保温层低温罐的缠绕套合工装
EP1852205B1 (de) Strangbrennschneidmaschine
CN215626291U (zh) 一种泡棉牛皮纸上料装置
JP5270519B2 (ja) 連続鋳造設備のセグメント交換装置
KR200450700Y1 (ko) 레들 이송용 대차
CN220920873U (zh) 一种立式连铸机出坯系统
CN210632918U (zh) 一种离心浇注平车
KR101518548B1 (ko) 워크롤 이송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워크롤 이송장치
AU2010366351B2 (en) Pre-assembling, lifting, moving and emplacing device for large factory and min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