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68Y1 -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68Y1
KR200494968Y1 KR2020200004266U KR20200004266U KR200494968Y1 KR 200494968 Y1 KR200494968 Y1 KR 200494968Y1 KR 2020200004266 U KR2020200004266 U KR 2020200004266U KR 20200004266 U KR20200004266 U KR 20200004266U KR 200494968 Y1 KR200494968 Y1 KR 200494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traction
rolle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00004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83Wheeled supports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 B62B5/0086Wheeled supports connected to the transported object arranged independently on either side of the transporte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를 취외/취부시에 해당 튜브의 균형성을 유지되도록 이동시켜 안전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재, 튜브가 탑재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면에는 튜브를 전후진 방향으로 견인하는 권취가능한 와이어가 구비된 롤러부재, 튜브의 플랜지에 설치되도록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의해 튜브가 전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갖는 견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는 튜브의 후진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와 분리 후, 상기 이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의해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The transfer apparatus for the tube pulling}
본 고안은 튜브를 취외/취부시에 해당 튜브의 균형성을 유지되도록 이동시켜 안전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 등을 공급하는 설비시설은 LNG수송선으로부터 인수기지(저장탱크)에 저장되고, 배관망을 통하여 지역별 관리소에 약 70㎏/㎠의 압력으로 인입되며, 가스필터와 정압설비를 통과하여 약 8.5㎏/㎠~20㎏/㎠의 압력으로 감압되고, 계량설비를 통해 수요처인 도시가스와 발전소로 공급된다.
이때, 1㎏/㎠당 감압될때 가스온도가 0.5℃씩 내려가는 줄톰슨 효과의 현상이 발생되고 정압설비 후단에 저온취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므로, 이를 보완하는 설비로써 가스히터가 정압설비 전단에 설치된다.
이 가스히터는 간접가열방식으로 가스를 가열하여 가스의 온도를 높여서 정압설비 후단의 저온현상을 보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스히터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와, 가스필터를 경유한 가스가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에 의해서 분배되어 유입되고 정압설비로 공급시키는 가스관과, 몸체 내에 수용되는 열교환수와, 상기 열교환수를 가열시키는 연소관과, 연소관 내에 화염과 스모크를 발생시키는 버너 및 배기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연소관, 버너 및 배기관은 정기적인 점검은 물론, 내부청소 및 수리를 위하여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몸체 내부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연소관 저면에 설치된 이동롤러가 구름운동하면서 연소관의 취외(분리)/취부(결합)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연소관은 약 4~6ton의 무게로 대형크레인을 이용하여 취외/취부하고 있는바, 연소관의 취외/취부시에 중량으로 인하여 특히, 좌/우 유동에 의해 이동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안내레일로 이동롤러가 올라타는 등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실용 제20-0434453호(공고일:2006.12.21.) 국내등록특허 제10-0872307호(공고일:2008.11.28.) 국내등록특허 제10-1687282호(공고일:2016.12.16.)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소관 등과 같은 무거운 관체를 취외/취부시에 해당 관체를 균형성이 보장된 이송장치에 의해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취외/취부의 용이성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는 베이스부재, 튜브가 탑재되되 상기 베이스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재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면에는 튜브를 전후진 방향으로 견인하는 권취가능한 와이어가 구비된 롤러부재, 튜브의 플랜지에 설치되도록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의해 튜브가 전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갖는 견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는 튜브의 후진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와 분리 후, 상기 이송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에 의해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와이어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이송판, 상기 이송판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부재 상면에 지지되는 바퀴, 텐션을 갖는 재질이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판 상부 양측에 구비되며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 또는 플랜지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이 형성된 완충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는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다수 구비되어 튜브 외면이 다수의 상기 완충체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 가능하게 감겨지되 양측이 상기 베이스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롤러, 상기 베이스부재 외면에 다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 외면이 지지되는 보조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플랜지 외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하되 외면에는 고정링이 형성된 결합체, 일측은 각각의 상기 고정링과 개별 결합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타측은 상기 와이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을 갖는 견인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견인와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텐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메인롤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와이어를 통해 전진이 이루어진 튜브가 레일에 지지된 복수의 이송부재의 지지를 통해 좌/우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후진이 가능해져 왕복 이동한 튜브가 설비시설 또는 또 다른 튜브와 결합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베이스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이송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롤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이하, 간략하게 '이송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튜브(YUBE)는 가스히터 등의 설비시설(미도시)에 사용되는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T)를 의미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1)는 크게 튜브(T)가 전후진 방향으로 견인시에 이동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100) 및 해당 튜브(T)가 이동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견인부(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 상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되 그 상부에 전후진 방향으로 견인하고자 하는 튜브(T)가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베이스부재(110) 및 이송부재(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베이스부재(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 상에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레임이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B)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이송부재(120)에 안착한 튜브(T)가 이동할 수 있게 소정길이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레일(111) 및 상기 레일(111)이 지면에 소정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지지각(112)을 포함한다.
레일(111) 양단에는 체결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또 다른 베이스부재(110)가 결합하여 튜브(T)의 이동길이를 연장하거나 후술하는 롤러부재(210)가 결합할 수 있는 제1설치편(113)이 형성된다.
레일(111)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계(114)가 더 구비되어 상기 레일(111)의 수평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레일(111)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각(112)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그 내부에 삽입된 연장봉이 하방으로 늘어나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지면에 지지된 상기 레일(111)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111) 외면에는 견인고리(115)가 형성되어 크레인(미도시) 등과 같은 중장비를 통해 베이스부재(11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 및 차량 등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그 상면에는 탈착 가능하되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복원 가능한 재질로 성형된 스토퍼(116)가 더 구비되어 이송부재(120)에 탑재된 튜브(T)가 레일(111)을 따라 이동시에 그 이동거리를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부재(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부(200)의 동력제공을 통해 튜브(T)가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판(121), 바퀴(123) 및 완충체(125)를 포함하며, 튜브(T)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어 해당 튜브(T)가 안착함과 동시에 레일(111)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송판(121)은 금속재질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상기 이송판(121) 외면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롤러부재(210)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면에는 와이어(211)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공(122)이 형성된다.
하여, 와이어(211)와 연결공(122)의 연결 이후에 상기 와이어(211)가 메인롤러(212)에 의해 당겨지는 외력이 작용하면 이송부재(120)가 후진하여 튜브(T)의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참조)
이송판(121) 하부에는 레일(1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바퀴(12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연결공(122)은 플랜지와 결합하는 이송부재(120)를 구성하는 이송판(121) 외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완충체(125)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송판(121) 상면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완충체(125) 사이에 공간부(124)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튜브(T)의 길이방향으로 면접하거나 끼움 결합하여 해당 튜브(T)를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체(125)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완충체(125)가 튜브(T)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T-a) 외면에 끼움 결합하며, 해당 플랜지(T-a)와 결합하지 않은 다른 완충체(125)는 튜브(T) 하면과 면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완충체(125)는 플랜지(T-a)의 지름이나 튜브(T)의 형상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111) 등과 부딪쳐 파손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해당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판(121) 상면에 다수가 소정의 높이를 갖게 적층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완충체(125)는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6)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126)와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127)이 형성된다.
특히, 끼움홈(127)은 깊이를 갖는 내측 방향으로 지름(D1,D2)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플랜지(T-a) 또는 돌출부(126)와 억지 끼움에 의해 튜브(T) 또는 적층 구조를 갖는 완충체(125) 간에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견인부(20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레일(111)에 장착되어 전후진 방향으로 견인하고자 하는 튜브(T)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롤러부재(210) 및 연결부재(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롤러부재(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가능한 와이어(211)의 당김에 의해 연결부재(220) 또는 상술한 이송판(121)을 당겨 튜브(T)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메인롤러(212) 및 보조롤러(213)를 포함한다.
메인롤러(212)는 제2설치편(214)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면에는 권취 가능한 와이어(211)가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지며, 상기 제2설치편(214)은 체결수단(B)을 통해 레일(111) 일단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롤러(212)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손잡이(215)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본 고안에서는 해당 손잡이(215)의 회전을 통해 메인롤러(212)가 회전하여 와이어(211)를 당기는 구조로 기재 및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롤러(212)가 회전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보조롤러(213)는 레일(111)의 외면은 물론, 제2설치편(214) 외면에도 다수 형성되며, 와이어(211)가 면접하도록 지지되어 튜브(T)가 이동시에 상기 와이어(211)의 팽팽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해당 튜브(T)의 이동속도가 일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참조)
이때, 제2설치편(214)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롤러(213)의 높이(H)는 다수의 이송부재(120)에 지지되어 레일(111) 상에 안착한 튜브(T) 임의의 중심점(P) 위치와 대비하여 더 높게 설치하여 와이어(211)가 상기 보조롤러(213)에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튜브(T)의 견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220)는 권취되는 와이어(211)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11)의 당김에 의한 외력의 작용으로 튜브(T)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체(221) 및 견인와이어(223)를 포함한다.
결합체(2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분체가 경첩 등에 서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합체(221)는 회전 이후에 탄성력을 갖는 토션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 이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체(221)는 소정지름을 갖는 플랜지(T-a) 외면에 튜브(T) 임의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둘 이상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면에는 고정링(222)이 돌출 형성되어 견인와이어(223)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견인와이어(223)는 일측에 구비된 연결링(224)을 통해 와이어(211)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측은 다수의 결합체(221)와 동시적으로 다발 연결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211)의 당김을 통해 다수의 상기 결합체(221)가 당겨져 튜브(T)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견인와이어(223) 또는 와이어(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장력에 의한 튜브(T) 파손을 최소화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1)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튜브(T)가 설비시설 또는 다른 튜브(T)와 분리(취외)되기 위해 전진하는 작용관계를 제1실시예로 하며, 그 반대로 분리된 해당 튜브(T)가 결합(취부)하기 위한 후진에 관한 작용관계는 제2실시예로 명명하여 설명하되 다수의 이송부재(120)는 지면 상에 수평이 유지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재(110) 상면에 기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작업자는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와이어(223) 일측에 연결된 다수의 결합체(221)를 튜브(T) 플랜지(T-a)에 방사상으로 결합하며, 메인롤러(212)에 감겨진 와이어(211)를 일정길이 풀어 상기 견인와이어(223) 타측의 연결링(224)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손잡이(215)를 파지 후, 역방향(도면상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211)를 당기면 상기 와이어(211)와 연결된 견인와이어(223)에 장력이 방생할 수 있게 팽팽해지게 되면서 튜브(T)를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해당 튜브(T)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이송부재(120)가 레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저항 없이 상기 튜브(T)가 전진하여 작업자에 의해 설비시설 등의 정기점검정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정기점검정비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작업자는 견인와이어(223)의 연결링(224)과 연결된 와이어(211)를 분리 후, 레일(111)을 관통하여 보조롤러(213)에 지지되게 그 하부를 지나 상기 레일(111) 후단에 설치된 보조롤러(213)에 함께 지지되게 상기 레일(111) 상부로 상기 와이어(211)를 메인롤러(212)에서 권취시킨다.
이 후, 작업자는 와이어(211) 끝단을 플랜지(T-a)가 삽입된 이송부재(120)를 구성하는 이송판(121) 외면에 형성된 연결공(122)과 연결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또 다른 이송부재(120) 즉, 플랜지(T-a)가 삽입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부재(120)에 간섭을 주지 않게 상기 와이어(211)가 연결공(122)과 연결될 수 있게 상기 와이어(211)는 공간부(124)를 관통하도록 레일(111) 상부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손잡이(21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공(122)과 연결된 와이어(211)가 다수의 보조롤러(213)를 통해 팽팽함이 유지되면서 상기 연결공(122)이 형성된 이송부재(120)를 당겨 튜브(T)의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메인롤러(21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와이어(211)를 통해 전진이 이루어진 튜브(T)가 레일(111)에 지지된 복수의 이송부재(120)의 지지를 통해 좌/우 균형이 유지된 상태로 후진이 가능해져 왕복 이동한 튜브(T)가 설비시설 또는 또 다른 튜브(T)와 결합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100: 가이드부
110: 베이스부재 111: 레일
112: 지지각 113: 제1설치편
114: 수평계 115: 견인고리
116: 스토퍼 120: 이송부재
121: 이송판 122: 연결공
123: 바퀴 124: 공간부
125: 완충체 126: 돌출부
127: 끼움홈
200: 견인부
210: 롤러부재 211: 와이어
212: 메인롤러 213: 보조롤러
214: 제2설치편 215: 손잡이
220: 연결부재 221: 결합체
222: 고정링 223: 견인와이어
224: 연결링
T: 튜브
T-a: 플랜지

Claims (3)

  1. 베이스부재(110), 튜브(T)가 탑재되되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20)를 갖는 가이드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면에는 튜브(T)를 전후진 방향으로 견인하는 권취가능한 와이어(211)가 구비된 롤러부재(210), 튜브(T)의 플랜지(T-a)에 설치되도록 상기 와이어(211)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튜브(T)가 전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220)를 갖는 견인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211)는 튜브(T)의 후진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220)와 분리 후, 상기 이송부재(120)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120)는
    상기 와이어(211)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공(122)이 형성된 이송판(121), 상기 이송판(121)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부재(110) 상면에 지지되는 바퀴(123), 텐션을 갖는 재질이되 공간부(124)가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판(121) 상부 양측에 구비되며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126)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126) 또는 플랜지(T-a)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홈(127)이 형성된 완충체(125)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재(120)는 튜브(T)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상기 베이스부재(110) 상부에 다수 구비되어 튜브(T) 외면이 다수의 상기 완충체(125)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210)는
    상기 와이어(211)가 권취 가능하게 감겨지되 양측이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메인롤러(212), 상기 베이스부재(110) 외면에 다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211) 외면이 지지되는 보조롤러(213)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20)는
    플랜지(T-a) 외면에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하되 외면에는 고정링(222)이 형성된 결합체(221), 일측은 각각의 상기 고정링(222)과 개별 결합하게 복수로 형성되되 타측은 상기 와이어(211)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224)을 갖는 견인와이어(223)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211) 또는 상기 견인와이어(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텐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KR2020200004266U 2020-11-24 2020-11-24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KR200494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66U KR200494968Y1 (ko) 2020-11-24 2020-11-24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66U KR200494968Y1 (ko) 2020-11-24 2020-11-24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968Y1 true KR200494968Y1 (ko) 2022-02-08

Family

ID=8025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266U KR200494968Y1 (ko) 2020-11-24 2020-11-24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68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236A (en) * 1973-06-27 1975-09-02 Robert K Deem Washer spin tube puller
KR930012536A (ko) * 1991-12-31 1993-07-20 박원근 작업로내의 튜브 이송장치
KR200434453Y1 (ko) 2006-09-15 2006-12-2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 가온용 히터의 연소관 안내장치
KR100872307B1 (ko) 2007-09-05 2008-12-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 가온용 히터의 튜브번들 지지장치
KR20120011951A (ko) * 2010-07-29 2012-02-09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들 이송 장치
KR101257799B1 (ko) * 2011-06-22 2013-04-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상된 주행성능과 통합 조정되는 중심 일체성의 배관 작업 로봇
KR101687282B1 (ko) 2015-10-27 2016-12-16 주식회사 삼정기계 선반셋팅장치
CN111633398A (zh) * 2020-06-17 2020-09-08 森松(江苏)重工有限公司 热交换设备管束安装及拆卸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236A (en) * 1973-06-27 1975-09-02 Robert K Deem Washer spin tube puller
KR930012536A (ko) * 1991-12-31 1993-07-20 박원근 작업로내의 튜브 이송장치
KR200434453Y1 (ko) 2006-09-15 2006-12-2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 가온용 히터의 연소관 안내장치
KR100872307B1 (ko) 2007-09-05 2008-12-0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 가온용 히터의 튜브번들 지지장치
KR20120011951A (ko) * 2010-07-29 2012-02-09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들 이송 장치
KR101257799B1 (ko) * 2011-06-22 2013-04-29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상된 주행성능과 통합 조정되는 중심 일체성의 배관 작업 로봇
KR101687282B1 (ko) 2015-10-27 2016-12-16 주식회사 삼정기계 선반셋팅장치
CN111633398A (zh) * 2020-06-17 2020-09-08 森松(江苏)重工有限公司 热交换设备管束安装及拆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968Y1 (ko) 튜브 견인용 이송장치
KR101444857B1 (ko) 이동식 열교환기 튜브 번들 핸들링 장치 및 방법
CN110282485B (zh) 一种多线缆便捷放线装置
CN212509817U (zh) 一种便于调节的抗震支架
CN211720136U (zh) 一种多用途电缆滑车
CN108458165A (zh) 主管道安装调整装置
CN218542264U (zh) 作业平台
US5657524A (en) Apparatus for handling web roll shafts and cores
US2527097A (en) Hoist
US2680544A (en) Folding carrying bracket
CN110282497A (zh) 电缆铺设装置
CN208249588U (zh) 玻璃钢辊自动缠绕石棉绳设备
GB2211907A (en) Pipe trailer
CN210175650U (zh) 一种便于运输的不锈钢水箱
CN210335674U (zh) 一种电力线缆检修工具的定位组件
CN209853467U (zh) 一种电力施工用放线装置
CN111550619A (zh) 一种用于燃气供应的天然气管道连接装置
US3857430A (en) Tire removing apparatus
CN219652380U (zh) 一种山地光伏电缆放线装置
US2525715A (en) Trailer for boat handling
CN216430707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管道支撑装置
CN212584420U (zh) 一种中心可调滚动式管道支架
CN215490264U (zh) 一种方便位移调节的特种设备空调用冷气管
CN214084399U (zh) 一种大口径mpp缠绕电力管转运装置
CN113772487B (zh) 一种手推绕管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